| Home | Sitemap | Contact Us |  
top_img
Hum. Ecol. Res Search

CLOSE

Fam. Environ. Res > Volume 53(1); 2015 > Article
학령기 자녀를 둔 다문화가정의 가정생활경험과 생활만족도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 variety of family life experiences related to the life satisfac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with school-aged children. Data were drawn from the first wave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conducted in 2010 and develop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Further, the sample for this study consisted of 95 multicultural families who met the requirements.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he t-test, analysis of variance,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 ver. 18.0. The main results showed that family life experiences that were made up of 5 domains, specifically time, leisure, household economy, health, and child education had a broad range of levels. In addition, family life experiences differed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al families with school-aged children, such as mother’s employment status, number of children, father’s employment status and education level, and family composition. Lastly, their life satisfaction was significantly predicted by the father’s employment status and health, children’s age, children’s education, and leisure in the order of significance. These findings suggested the need to expand the social intervention range for multicultural families with school-aged children, particularly in terms of family leisure and children’s school life adaptation.

서론

우리나라의 다문화가족은 2013년 현재 75만명 내외로,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자녀 연령을 보았을 때, 만 6세 이하의 자녀를 둔 다문화가족의 비율이 여전히 가장 높기는 하지만, 점차 고학년 자녀의 수도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25]. 특히 고학년 자녀를 둔 다문화가족의 증가는 우리나라의 다문화가족정책 2차 기본계획수립에 중요한 고려사항이 되었을 만큼 중요한 변화로 간주되고 있다[24].
다문화가족의 양적 확대 및 인구 내용의 변화는 그들이 경험하는 다양한 어려움을 예측하게 하는 데, 이러한 요구를 반영하여 현재 우리나라의 다문화가족 지원 정책은 결혼준비부터 자립 지원을 위한 역량강화까지 생애주기별 맞춤형 서비스 지원을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다.
무엇보다 다문화가정 내 이주 어머니들은 한국 사회로의 통합 및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를 자녀로 꼽는데, 많은 이주여성들은 자녀 출생에 따른 엄마로서의 경험이 한국생활 적응의 지지대가 된다고 하였다[40]. 이에 다문화가정 부모들은 자녀들이 사회에서 소외당하지 않고 성장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자녀들을 제대로 교육시켜야한다는 강한 신념을 가지고 적절한 교육환경 조성과 과외활동 제공 등의 심적·물적 지원을 아끼지 않는 경향이 있다[9]. 정부 역시 자녀를 둔 다문화가족 지원 정책으로 부모교육서비스, 자녀생활서비스, 자녀 언어발달지원, 다문화 프로그램, 언어영재교실 등을 마련해놓고 있으며, 이는 다문화가족의 대표적인 정책 수요로 제시된 자녀 정체성 확립, 부모-자녀관계 및 학부모 역할 등과도 일맥상통하는 내용이라고 할 수 있다[14, 18].
특히 자녀들의 활동 영역이 가정에서 학교로 확장되면서, 또래 집단의 문화와 가치관을 습득하고 학습이나 사회화의 토대를 개발하게 되는 학령기부터는 부모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줄어드는데, 이 시기의 부모들에게는 기존과는 다른 훈육방법이 요구된다[22]. 더욱이 이주 여성의 한국어 역량이 자녀의 학습능력을 뒷받침할 수 없을 만큼 자녀가 성장을 하게 되면, 자녀와 어머니뿐 아니라 가족 구성원들은 갈등, 소외, 긴장관계 등을 경험하기도 한다[9]. 따라서 어머니들은 점점 자녀들에 대한 양육행동과 역할수행에 소극적으로 대처하고 외부의 다양한 과외활동에 더욱 의존하게 되는데, 과외활동에 대한 지나친 의존은 경제활동 부담으로 이어지고 가족이 함께 보내게 되는 시간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또 다시 자녀교육 및 가족관계 등에 어려움을 가져오는 악순환을 반복시킬 수 있다[17]. 그리고 현재 다문화가정 부모가 겪는 언어와 문화 차이로 인한 사회적응의 어려움이 자녀의 학업 중도 포기와 같은 학교생활부적응으로 연결되면서 빈곤, 사회적 부적응 문제가 대물림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3, 10]. 이러한 악순환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문화가정의 학령기 이후 자녀교육에 대해 학교와 같은 외부기관으로 전적으로 일임하는 것이 좋다는 의견이 있기도 하지만 학령기 다문화 가정 자녀의 학교생활적응과 가정생활의 연계 효과는 부정할 수 없는 부분이다[9].
학령기는 자녀에게 있어 건강한 성장과 성인기 삶 형성의 바탕이 되는 학교생활적응이 중요한 과제이면서 동시에 부모도 사회 경제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고 자녀에 대한 관심이 양육에서 학업문제로 이동하는 시기이다[32]. 선행 연구들은 학령기 자녀가 있는 가정의 욕구와 가족 기능의 관계를 제시하고 있는데, 다문화가족 내에서 가족지지에 대한 지각이나 부부관계 만족도, 가정 내 의사소통 수준이 높을수록 자녀의 적응이 높았고, 자녀들의 학교생활 적응의 바탕이 되는 자아정체감 형성에 부모의 양육 행동이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4, 13, 29, 33]. 또한 다문화가정 내 자녀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도움이 되는 보호요인으로 지지와 같은 긍정적인 가족관계 경험이 제시되기도 하였고,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 관련 요인을 가족배경과 가족관계로 구분하여 살펴본 연구에서도 부모의 관심과 같은 가족관계가 가족배경보다 자녀의 사회적응에 더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12, 23, 37].
이와 같이 학령기 자녀의 적응과 가정생활은 중요한 관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연구들은 다문화가정 구성원들 각각의 욕구나 문제를 다루거나, 다문화가정 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에서는 주로 가정 내 구성원들의 관계에서 얻을 수 있는 부모지지, 의사소통, 애착, 부모양육태도 등과 같은 대인적 차원의 변인이 주로 다루어졌다. 그러나 가정 내 대인적 자원과 적응의 관계뿐 아니라, 이러한 자원이 개발되고 제대로 역할을 하도록 작용하는 관리 영역에서의 다양한 가정생활경험과 적응의 관계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다문화가정의 생활수준에 따라 자녀의 심리사회적 적응에는 차이가 있고, 만족스러운 여가 활동은 학교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하였다[23, 35]. Cha [2] 역시 결혼이주 여성들의 여가활동을 분석하면서, 결혼이주여성의 개인 여가가 자녀교육으로 수렴되는 경향이 있기는 하지만, 가족여가활동은 그들의 생활만족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그리고 시기상으로 다양한 건강위험행위가 시작된다고 보는 학령기 아동의 건강증진행위와 가족기능의 관계를 분석한 연구도 조금씩 증가하고 있다[7]. 이러한 흐름을 토대로 학령기 자녀를 둔 다문화가정의 전반적인 생활만족도 향상을 위해서는 자녀 학업문제가 중요할 수밖에 없는 시기에 학교 및 사회적 차원의 고려도 중요하지만 가정 내의 여러 가지 생활경험, 예를 들면 경제적 생활, 시간 및 여가활동, 건강 활동 등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령기 자녀를 둔 다문화가정이 양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이들의 여러 가지 생활경험을 살펴보고, 그것과 생활만족도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보다 실질적이고 실천적인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를 통한 정보는 향후 학령기 자녀를 둔 다문화가정을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확대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의 논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연구문제 1. 학령기 자녀를 둔 다문화가정의 가정생활경험은 어떠한가?

  • 연구문제 2. 학령기 자녀를 둔 다문화가정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무엇이 있는가?

이론적 배경

1. 학령기 자녀를 둔 다문화가정의 특성

학령기가 되면 자녀들은 또래를 통해 그들만의 가치관과 문화, 행동규범 등을 보다 더 뚜렷하게 습득하게 되고 부모들은 자녀의 긍정적인 적응과 발달을 위하여 양육 방식과 양육 관점의 변화를 시도하지만 많은 어려움을 느낀다[22]. 다문화가정 구성원의 연령이 높아지고 있는 현재 학령기 자녀를 둔 다문화가정 수가 증가하고 있는데, 동시에 가정 구성원들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욕구가 증가하면서 이러한 욕구는 다문화가정 지원을 위한 정책 수요로 고려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이주 여성들에게는 자녀의 성장과 언어능력의 향상으로 취업에 대한 욕구, 한국인 배우자들은 은퇴 및 노후 대비에 대한 욕구 확대가 제기되고 있다[24]. 특히 정책수요로 연결되는 다문화가정 내 학령기 자녀세대의 욕구는 학교 적응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데, 그 이유는 다문화가정의 자녀들은 가정에서부터 다른 언어나 외모 등의 이중 문화를 경험하면서 그를 통해 자신감 결여, 정체성 혼란을 겪을 수 있고 이러한 문제가 학령기 이후에는 학교 부적응으로까지 연결되는 사례가 많이 발생하고 있기 때문이다. 언어와 문화의 차이로 인한 학교 및 또래 부적응, 다문화를 포용하지 못하는 교사와의 관계 부적응 등이 학업을 포기하고 사회부적응으로 연결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다문화가정 자녀 세대의 학습문제 및 정체성 혼란 문제는 가정에서 해결해야 할 중요한 문제가 되고 있다[24, 29]. 그러나 기존의 선행연구들은 학령기 자녀를 둔 다문화가정 전반의 특성보다는 학교생활 적응 정도에 주목하였고, 그것과 관계되는 가정 내 변수, 학교생 활적응 향상을 위한 사회적 개입까지 광범위한 주제를 다루어 왔다[3, 6, 8, 12, 15, 29, 33-35, 39].
다양한 변수 중 본 연구는 가정생활경험 고찰이 주요 목적이므로, 학령기 자녀에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가족 요인 중심으로 살펴보면, 부모의 출신국, 결혼 이주 부모의 한국에서의 거주 기간, 현재 거주 지역, 최종학력 등의 배경변인, 가족지지, 부부관계만족도, 어머니의 문화적응태도, 가족의 정서적 관여 수준, 의사소통, 부모의 양육태도 등이 주요 변인으로 제시되었다[8, 13, 21, 33, 34, 37, 39]. 다문화가정 자녀의 적응 향상을 위한 개입 방안으로 여가교육프로그램 개발 필요성이 강조되기도 하였고, 특히 학령기 자녀와 부모 모두를 고려한 개입으로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도 이루어졌는데, 학령기 이전과는 다른 양육지식과 정보가 필요한 학령기의 다양한 욕구를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고 하였다[22, 35, 36]. 이러한 선행연구들은 대인적 차원의 가족요인 중심으로 접근하였다는 한계가 있으며, 이에 생활경험이라는 측면으로 변인 도출의 범위를 확대하여 그러한 변인들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실제적 개입의 영역을 다양하게 제시하고자 하였다.

2. 다문화가정의 생활만족도 및 영향변인

생활만족도는 연구자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되고 있기는 하지만 만족을 평가하는 그 기준은 개인마다 다를 수 있고, 일반적으로 생활 전반을 구성하는 활동에 대한 기쁨, 생활에 대한 의미 및 성취감, 자신이 가치있다고 느끼는 긍정적인 태도와 감정 등 자신의 생활에 대한 주관적인 평가를 의미한다[1, 28]. 그리고 가정생활만족도는 가정 내 다양한 요인들의 상호작용과 관리과정을 통해 산출되는 질적 측면의 결과로서 삶의 질, 적응, 행복감, 생활 효능감, 삶의 만족도 등 다양한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31].
다문화가정의 생활만족도 향상 역시 중요한 사회적 과제로 다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다문화 가정의 생활만족도와 관련된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으며, 연구의 대부분은 이주 여성, 부부, 아동 등 대상별 생활만족도 수준이나 그들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탐색 등에 주로 주목해 왔는데, 선행연구에서 다룬 변인들을 재구성하면 개인, 가족, 지역사회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우선 다문화가정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환경으로는 한국어수준 및 언어소통능력 등이 공통적으로 강조되었고, 결혼동기, 자아존중감, 경제적 수준, 건강, 가족가치관 등도 제시되었다[5, 11, 20, 30, 38]. 이러한 변인들이 생활만족도에 갖는 효과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자발성과 신뢰 등의 동기로 형성된 결혼관계일수록, 가족중심의 가족가치관을 가지고 있을수록, 건강할수록, 경제적 문제로 인한 갈등이 낮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다고 하였으며, 특히 자아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일수록 생활만족도를 촉진하고 이는 생활의 다양한 위기 상황에서도 균형을 잘 유지할 수 있도록 작용한다고 하였다. 무엇보다 한국어 수준은 학령기 자녀의 학교 적응에도 중요하게 제시된 변인으로, 생활만족도에도 중요한 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다문화가정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환경 관련 연구들은 자녀수, 자녀교육, 자녀양육문제갈등, 친밀감 및 신뢰 등의 영향변수 파악과 함께 생활만족도를 독립변수로 두고 다른 변인과의 관계를 분석하기도 하였다[5, 15, 20, 28]. 또한 국제결혼이주 여성들의 결혼생활경험과 자녀양육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Kang과 Sohn [11]은 결혼동기가 자발적일수록 남편의 가정생활에 대한 지지 정도가 높고 생활만족도에도 영향을 미쳐 자녀양육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하여 부부관계, 생활 만족도 및 자녀양육과의 관계를 예측하게 하였다. 이는 자녀의 학교생활적응의 하위영역을 세분화하여 부부관계 만족도와의 관계를 살펴본 연구 결과와도 일맥상통하는 것으로 부부관계만족도는 교사와의 관계, 학교행사참여, 규칙준수, 학습활동의 영역과 정적인 유의미한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부부의 상호 이해도를 높이는 것이 자녀의 정서적 측면에도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쳐 학교생활적응에도 연결될 수 있음을 지지하는 것이다[33].
지역사회환경과 생활만족도의 관계는 물리적 환경과 심리적 환경 모두 다루어졌는데, 주요 변인으로는 거주지와 지역사회 적응문제, 이웃사람들에게서 느끼는 친밀감과 신뢰, 복지만족도, 여가활동 등을 제시할 수 있다. 무엇보다 사회적 지지는 자녀 적응 욕구 해결을 위한 중요한 보호요인으로 강조되었고, 동시에 생활만족도에도 중요한 작용을 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28]. Kim과 Park [15]은 결혼이주여성들의 가족갈등을 농촌과 도시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는데 자녀양육문제갈등이 도시지역에서만 나타났고, 이를 통해 지역 간 자원의 차이가 자녀양육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게 하였다. 또한 다문화가족의 인식과 생활만족을 분석한 Kim과 Chung [16]의 연구에서 대상자들은 다양한 생활만족 영역 중 자녀관계 만족도를 가장 높게 평가하였고, 한국어교육, 한국 적응 교육, 가족상담, 임신 및 출산지원 등으로 구성되는 복지만족도가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정치활동, 지역사회활동, 학습활동, 종교활동, 여가활동 등 다양한 사회참여 활동도 다문화가정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 그 중에서 여가활동 참여가 자아존중감뿐만 아니라 생활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파악되어 사회적 개입의 필요성과 방법의 다양화 강구 등을 지지하였다[1].
다문화가정의 생활만족도를 다룬 선행연구들을 검토한 결과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다양하게 제시되기는 하였지만, 자녀문제가 다문화가정의 생활만족 및 적응에 중요한 바탕이 된다는 해석적 주장에 비해 실증적 연구는 미미한 상황이다. 또한 다문화가정의 부모자녀관계 증진을 위한 사회적 개입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학령기 자녀를 둔 다문화가정 부모교육 프로그램도 한국식의 자녀양육과 교육을 위한 정보 제공과 그에 따른 지식과 방법 전달에만 치중하는 일방적인 경향이 강하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26]. 단순한 정보제공을 넘어 실천적 측면에서 자녀 적응 및 부모의 생활만족도 관계에서 공통적으로 여가활동 등의 활용이 제시되고 있는 점을 고려한다면, 사회적 개입의 근거를 보다 확장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및 자료 수집

본 연구를 위하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2010년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패널에서 다문화가정만을 추출하였다.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은 우리나라 아동·청소년의 성장과 발달 과정, 변화양상 및 실태를 다각적으로 관찰할 수 있는 종단자료 구축이라는 목표를 가지고 전국의 초등학생에서 중학생까지의 대표 패널 표본을 대상으로 신체, 지적, 사회·정서 등의 성장발달 측면과 가정, 또래, 교육, 지역사회, 매체 등의 환경 측면 이해를 위하여 실시되는 조사로, 2010년 1차 조사가 이루어졌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이라고 답한 95가구를 최종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패널조사의 대상이었던 초등학생과 중학생을 학령기로 통칭하였다. 그리고 표본수 적정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최소한의 표본수를 산출할 수 있는 프로그램인 G Power 3.1 (Heinrich -Heine-Universität Düsseldorf, Düsseldorf, Germany)을 활용한 결과, 최소 표본수 기준(독립변수 16개 기준, 85개)을 충족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조사 대상 가구의 일반적 특성은 Table 1과 같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자인 다문화가정 자녀의 평균 연령은 2010년을 기준으로 11세였고, 7세에서 11세까지가 69.5%, 12세에서 16세까지가 30.5%로 나타났다. 조사에 포함시켰던 자녀의 성별은 남학생 약 58%, 여학생 약 42%로 남학생 비율이 좀 더 높았으며, 거주지역은 전국적으로 분포하고 있었는데, 서울·경기가 약 28%, 광역시 약 25%, 전라도 약 20%, 경상도 약 12%, 기타 약 15%이었다. 이들의 가족구성은 부모와 자녀로 구성된 가구가 약 83%, 한 조부모 및 한부모와 자녀는 약 12%, 한부모가정은 약 5%로, 부모와 자녀로 구성된 가구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또한 자녀수를 파악한 결과 두 명에서 세 명의 자녀가 있는 가정이 약 76%로 가장 많았고, 외동 아이 가정이 약 14%, 네 명 이상의 자녀를 둔 가정이 약 10% 순으로 그 뒤를 이었다. 이들의 주거형태는 아파트 거주 비율이 약 42%로 가장 높았고, 단독주택 약 38%, 연립이나 다세대주택 등이 약 20%로 나타났다. 다문화가정 부모의 근로여부를 부와 모로 구분하여 파악한 결과는 부의 경우 일을 하고 있는 경우가 86%로, 하고 있지 않은 경우 14%보다 높았고, 모의 경우는 일을 하지 않고 있는 경우가 57%로, 하고 있는 경우 43%보다 높게 나타났다. 부모들의 교육수준도 각각 살펴보았는데 아버지의 경우 고졸이 약 53%로 가장 높았고, 중졸이하가 약 21%, 대졸 이상이 약 19%, 전문대졸이 약 7%순으로 그 뒤를 이었다. 어머니의 경우 역시 고졸 이하가 약 49%로 가장 높았지만, 대졸이상이 약 30%, 전문대졸이 약 13%, 중졸이하가 약 9%로 나타나 아버지의 경우보다 고졸 이상의 학력 분포가 더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2. 연구도구

1) 가정생활경험

본 연구는 학령기 자녀를 둔 다문화가정의 가정생활만족도 향상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수 추출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한국아동청소년패널 자료 중 실천적 개입과 연결할 수 있는 변수인 가족공유시간, 여가활동, 소득, 건강상태, 방과 후 교육 등을 선택하여 가정생활만족도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선정한 시간생활, 경제생활, 여가생활, 건강생활, 교육생활 등은 가정 내 욕구나 목표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수단으로서 관리활동과 연결되는 생활자원들로 강조되고 있다[7, 12, 17, 19, 27, 35].
구체적으로 시간생활은 “방과 후 부모님이나 돌봐주는 어른없이 자녀가 혼자 보내는 일수,” 여가생활은 “가족 또는 단체와 1박 이상의 여행 빈도, 문화활동 참여 빈도”로 파악하였다. 경제생활은 실제 연간 소득 척도를 사용하였고, 건강생활은 부모와 자녀 각각의 건강상태 평가 척도를 활용하였다. 교육생활은 자녀의 방과 후 교육 경험여부와 참여유형, 자녀의 학교생활적응 등으로 측정하였다. 그 중 학교생활적응은 기존의 학교생활 적응 영역을 재분류하여 제시한 학습활동, 학교규칙, 교우관계 및 교사관계의 총 네 가지 하위 영역으로 이루어졌고[21], 총 20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4점 Likert 척도로 측정하였다. 학교생활적응 전체 문항의 신뢰도 계수는 .86으로 나타나 신뢰할만한 수준을 보였다.

2) 가정생활만족도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 생활만족도 측정을 위하여 2010년 한국아동청소년패널자료에 제시되어 있는 단일 척도를 사용하였다. 생활만족도는 본인의 전반적인 삶에 대한 주관적인 평가로 정의할 수 있기 때문에 가정 및 사회의 다양한 상호작용으로 산출된 삶의 만족도에 대한 본인의 평가 수준은 본 연구에서 측정하고자 한 생활만족도를 설명하기에 충분하다고 보았다. 생활만족도는 4점 Likert 척도로 측정하였고 점수가 높을수록 본인의 삶에 만족하는 것을 의미한다. 전체 평균 점수는 2.85점(.684)로 나타났다.

3. 분석방법

본 연구에서는 자료 분석을 위하여 SPSS ver. 18.0 통계 프로그램(SPSS Inc., Chicago, IL, USA)을 이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우선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등을 파악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각 영역별 차이검증을 실시하였고, Scheffé 사후검증을 하였다. 또한 하위 변인들의 상관 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Pearson 상관계수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정한 연구 문제의 검증을 위하여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여 변인의 효과와 영향력을 파악하였으며, 각각의 변수들에 대한 상관계수 및 분산팽창지수(variation inflation factor, VIF)를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1. 학령기 자녀를 둔 다문화가정의 가정생활경험

본 연구의 조사대상자인 다문화가정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가정생활경험의 영역을 시간, 경제, 여가, 건강 및 교육 중심으로 파악한 결과는 Table 2와 같다. 시간 생활을 일주일동안 부모님이나 돌보아 주는 어른 없이 방과 후 집에 혼자 있거나 혹은 형제자매끼리만 있는 일수를 통해 파악한 결과 혼자 있는 날이 거의 없는 경우가 약 55%로 높게 나왔으며, 1일 이상 혼자 있는 경우는 약 45%로 나타났다. 초등학교 이후 학교에서 가는 수련회나 문화행사는 제외하고 가족 혹은 단체와 함께 한 여행이나 문화활동 참여를 통해 여가생활을 살펴본 결과 여행은 평균 1.47회, 문화활동은 평균 2.68회로 나타났다. 그리고 다문화가정의 경제생활을 연간 소득 수준으로 파악하였는데, 평균 약 3,152만원으로 나타나 우리나라 2010년 4인 가구 기준 최저생계비의 150% 정도로 취약계층 기준에 적용되는 소득 수준을 보였다. 다음으로 이들의 건강생활에 대한 평가는 자녀의 건강상태 평가가 3.20점으로 부모 자신에 대한 건강 평가인 2.99점 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다문화가정의 학교생활적응 정도와 자녀 방과 후 교육을 통해 교육생활을 파악하였는데 학교생활적응은 평균 2.86점이었고, 약 58%의 학생이 방과 후 교육을 받은 적이 있으며, 평균 1.60개의 방과 후 교육에 참여하고 있었다. 참여하였던 교육 유형은 기타를 제외하고 학원이 가장 많았고, 방과 후 학교, 방문수업, 그룹과외, 인터넷, 복지기관, 개인과외, 사설문화센터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가정생활경험이 사회인구학적 배경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였다(Table 3). 시간생활의 경우 어머니의 근로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어머니가 일을 하고 있는 경우 혼자 보내는 시간이 많았다(t=7.465, p=.008). 여가생활의 경우는 자녀수(F=2.783, p=.067), 아버지 근로여부(t=2.012, p=.055), 아버지의 교육수준(F=2.188, p=.096) 평균에서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가족 및 단체와의 여행 빈도는 자녀가 한 명인 가구에서 가장 높았고, 자녀가 많은 경우에 그 빈도가 낮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아버지가 일을 하는 경우 여가생활 수준이 높았고, 아버지의 학력에 따라 가족 및 단체와의 여행 빈도에 차이가 있었는데, 아버지가 중졸이하의 학력을 가진 경우 평균 여행 횟수가 가장 적었고, 전문대졸의 경우가 가장 많았다. 다문화 가정의 경제생활 수준은 주택형태(F=4.560, p=.013)와 아버지의 근로여부(t=4.759, p=.000) 및 교육수준(F=4.177, p=.009)에 따른 평균 차이가 검증되었는데, 아파트에 거주하는 다문화 가정의 경우 소득 수준이 가장 높았고, 기타주택(연립, 다세대), 단독주택 순으로 평균 소득이 낮아졌다. 아버지가 일을 하고 있는 경우, 학력수준이 높은 경우에 가구의 평균 소득이 높게 나타났다. 건강생활은 가족구성(F=2.485, p=.089)과 아버지의 근로 여부(t=2.287, p=.038)에 따라 평균에서 차이가 나타났는데, 부모와 자녀로만 구성된 가정의 부모가 스스로의 건강 상태를 낮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아버지가 일을 하는 경우가 일을 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본인에 대한 건강 평가가 긍정적이었다. 학령기 자녀를 둔 다문화가정 자녀의 학교생활적응만으로 파악한 교육 생활은 자녀 연령(t=18.354, p=.000), 아버지의 근로여부(t=2.338, p=.037), 아버지의 학력 수준(F=3.721, p=.015)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즉 조사대상 가구 중 자녀의 연령이 어리고, 아버지가 일을 하고 있는 경우 그리고 전문대 졸업인 경우에 자녀의 학교생활적응이 높게 나타났다.

2. 학령기 자녀를 둔 다문화가정의 생활만족도

학령기 자녀를 둔 다문화가정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파악하기 위하여 t검증을 통해 유의하게 나온 변인 중심으로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가정생활경험에 따른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4와 같다.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가정생활경험 내 다양한 독립변수들이 투입된 결과 설명력(R2)은 .492로 종속변수인 생활만족도를 약 50%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F값이 3.631로 회귀식이 종속변수인 생활만족도를 설명하는데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사회인구학적 변인에서는 자녀연령, 자녀수, 아버지의 근로여부가 유의한 변인으로 나타났고, 가정생활경험에서는 여가생활, 건강생활, 교육생활 등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자녀의 연령이 높아질수록 (β=.272, p<.05), 자녀수가 많을수록(β=.195, p<.10), 아버지가 일을 하는 경우(β=-.348, p<.01)에 생활만족도가 높았다. 또한 자녀가 가족 및 단체와의 여행 횟수가 많을수록(β=.217, p<.05), 본인의 건강상태를 보다 건강하다고 인식할수록(β=.311, p<.01), 자녀가 학교생활에 보다 잘 적응할수록(β=.260, p<.05) 부모의 생활만족도는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변수들의 생활만족도에 대한 상대적 영향력은 아버지의 근로여부, 건강생활, 자녀연령, 교육생활, 여가생활 순이었다.

결론 및 논의

본 연구는 학령기 자녀를 둔 다문화가정의 생활만족도를 이해하기 위하여 다문화가정의 일반적 특성과 다양한 가정생활경험 중 그들의 생활만족도와 관련된 요인들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2010년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1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다문화가정만을 추출하여 총 95가구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분석을 위하여 기술통계, 차이검증, 중다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파악된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령기 자녀를 둔 다문화가정의 가정생활경험을 시간생활, 여가생활, 경제생활, 건강생활, 교육생활 등으로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 부모자녀가 일주일동안 함께 있는 시간으로 파악한 시간생활 수준은 낮지 않았고, 초등학교 이후에 있었던 여행과 문화 활동 경험으로 측정한 여가생활 수준은 높지 않은 편이었다. 연간 소득으로 알아본 경제생활은 약 3,150만원으로, 2010년 4인 가구 기준 최저생계비의 150% 수준을 보여 취약계층 수준의 소득을 보유하고 있었다. 건강생활은 자녀에 대한 평가가 부모 자신에 대한 건강상태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자녀의 학교생활적응과 방과 후 교육으로 알아본 교육생활은 학교생활적응 정도가 보통 이상의 수준을 보였고, 과반수가 방과 후 교육 경험이 있었다. 그리고 약 1.60개의 방과 후 교육에 참여하고 있었으며 방과 후 교육 유형으로는 기타를 제외하고 학원, 방과 후 학교, 방문수업, 그룹과외, 인터넷, 복지기관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령기 자녀를 둔 다문화가정의 다양한 가정생활경험의 차이를 가구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분석한 결과 시간생활은 어머니의 근로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 자녀의 초등학생 이후 가족 및 단체와의 여행 빈도만 포함한 여가생활은 자녀수, 아버지의 근로 여부 및 교육수준에서 차이가 있었다. 즉 어머니가 일을 하고 있는 경우 자녀가 혼자 있는 시간이 많았고, 자녀가 한명인 경우와 아버지가 전문대를 졸업한 가구의 여가활동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경제생활은 주택형태와 아버지의 근로여부 및 교육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었는데, 아파트에 거주하는 경우, 아버지가 일을 하는 경우, 그리고 학력 수준이 높은 경우에 소득 수준이 높았다. 보호자의 건강상태 평가만을 포함한 건강생활은 가족구성과 아버지의 근로여부에 따른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부모와 자녀로만 구성된 가정의 경우 건강상태 인식이 낮게 나타났고 일을 하는 아버지는 본인의 건강을 보다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육생활은 자녀 연령, 아버지의 근로여부 및 교육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었는데, 자녀가 어린 경우, 아버지가 일을 하고 있는 경우, 그리고 전문대 졸업인 경우에 자녀의 학교생활적응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가정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파악하기 위하여 학령기 다문화가정의 일반적 특성과 가정생활경험을 투입한 결과 설명력(R2)은 약 50%로 나타났다. 가정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자녀연령, 자녀수, 아버지의 근로여부, 여가생활, 건강생활, 교육생활 등이 파악되었고, 변수들의 상대적 영향력은 아버지의 근로여부, 건강생활, 자녀연령, 교육생활, 여가생활 순으로 나타났다. 유의한 영향관계를 갖는 사회인구학적 측면에서의 자녀연령과 부 근로여부, 가정생활경험으로 분류한 여가, 건강 등은 앞서 살펴보았던 국제결혼이주여성의 결혼만족도나 생활 만족도에 대한 영향변수를 고찰한 선행연구 결과와 유사한 것으로, 다문화가정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을 포함한 다양한 변인에 대한 포괄적 접근의 필요성을 지지한다[5]. 또한 자녀교육생활 수준이 높을수록 가정의 생활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자녀교육이 결혼이주여성들의 한국 적응에 가장 필요한 요소 중 하나로 언급되고 있는 점과 연결해 볼 수 있는 부분이다[20].
이러한 주요 결과를 토대로 학령기 자녀를 둔 다문화가정의 생활만족도와 관련하여 가정생활 측면에서 생각해볼 수 있는 사항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여가생활의 질적인 측면에 대한 제고가 필요하며, 시간 생활 간의 균형을 모색해 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의 여가생활을 초등학교 이후에 가족 혹은 단체와 함께 한 여행이나 문화체험 빈도로 파악하였는데, 평균 약 2회 정도로 상당히 낮은 수준을 보였고, 자녀수가 많고, 아버지가 일을 하지 않는 경우, 아버지의 학력이 낮은 경우 등에서 여가생활 수준이 낮게 나타났다. 그러나 여가생활은 가정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가족여가는 가정의 중요한 관리 자원 중 하나이며, 학령기 자녀를 둔 가정에서 구성원간의 응집력이나 적응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활동으로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19]. 다문화가정 여가생활과 관련된 연구나 활동들은 현재까지 이주여성 혹은 자녀 여가로 구분되어 접근이 이루어졌고[1, 27, 35, 41], 다문화가정의 가족 단위 여가생활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결혼이주여성의 관점에서 다문화가정의 여가생활을 파악한 Cha [2]는 다문화가정의 가족여가활동으로 여행, 장보기, 놀이터, 찜질방, 등산, 외식 등을 제시하면서, 여가활동의 제약요인으로 시간과 비용을 언급하였다. 이러한 시간과 비용 제약은 학령기 자녀를 둔 다문화가정 안에서 자녀양육이라는 발달과업과 상대적으로 낮은 가계소득으로 설명되는데, 본 연구에서 여가활동의 영향변수로 파악된 자녀수, 부모의 근로여부 및 아버지의 학력과도 연결되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향후 다문화가정 특성을 고려한 가족단위 여가활동 확대는 시간생활의 내용을 풍부하게 하여 생활만족도 향상에도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학령기 자녀가 있는 다문화가정의 생활만족도에 자녀의 학교적응 정도로 파악한 교육생활도 중요한 영향 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다문화가정 자녀의 학업 적응 수준은 무조건 낮을 것이라는 인식과는 달리 연구들은 상이한 결과를 제시하고 있고, 적응과 관련하여 자녀의 개별요인, 가족요인, 사회환경 요인 등 다양한 영향변인이 다루어졌다. 개인변수로는 자아존중감, 자아탄력성, 다문화적응 정도, 한국어능력, 교급, 성별, 외모인식 등이 제시되었고[13, 21, 29], 가족요인으로는 앞서 살펴본 대로 부모배경변인과 대인적 변인 등이 제시되었다[8, 13, 21, 33, 34, 37, 39]. 마지막으로 사회환경 요인으로는 또래 및 교사의 지지가 중요한 변인이었다[6, 8, 13, 29]. 이러한 선행연구들을 종합하면, 학령기 자녀가 있는 다문화가정의 생활만족도 향상을 위해서는 자녀 혹은 이주 여성 각각의 대상에 집중하거나 가족, 학교, 지역사회 환경을 구분하여 접근하기보다는 전체론적인 관점에서의 이해와 개입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실천적 측면으로 연결할 수 있는 자아존중감 향상교육이나, 부모자녀관계의 의사소통 증진교육 및 또래 및 교사의 다문화통합교육 등은 다문화가정의 생활만족도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을 밝히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학령기 자녀를 둔 다문화가정의 다양한 가정생활경험을 이해하고, 그것이 가정생활만족도와 갖는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국가데이터를 활용하였기 때문에 일반화의 근거를 마련한 점에서는 의의가 있으나, 교육부가 제시한 2013년 기준 다문화가정 학생 수가 초등학생 3만 9,423명, 중학생 1만 1,235명임을 감안한다면, 95개라는 제한된 표본 수는 단점으로 제시할 수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표본수의 한계를 보완하거나 일반가정과의 비교 연구를 통해 학령기 자녀를 둔 다문화가정만의 특성을 보다 확실하게 파악할 수 있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는 한국아동청소년 패널데이터의 1차년도 자료만을 이용한 횡단연구로서, 현재 학령기 자녀를 둔 다문화가정이 갖는 다양한 특성에 표면적으로 접근하였다. 학령기 자녀를 둔 다문화가정 수가 증가하고 있는 현재 그들의 다양한 특성에 대한 분석은 시의적절한 정보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지만, 다문화가족정책 기본계획의 동기가 연령변화, 가족구성의 다양화와 같은 시간에 따른 다문화가정의 특성 변화임을 고려한다면[24], 후속 연구에서는 시간 흐름에 따라 다문화가정의 생애주기 전반에 대한 가정생활경험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는 생애주기별 다문화가족지원정책의 내용을 보다 실천적인 측면에서 보완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제한점이 있기는 하지만 본 연구는 국가데이터를 2차 분석한 것으로, 학령기 자녀를 둔 다문화가정의 가정생활경험과 생활만족도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생활만족도 향상과 관련된 보다 실천적이고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기존의 다문화가족을 지원하기 위한 사회적 개입은 대상을 이주여성 혹은 자녀로 각각 구분하거나, 부모교육이나 훈련이라는 제한된 방법만을 제시해 왔는데, 본 연구를 통해 여가, 건강, 자녀교육 등 가족을 단위로 하는 관리적 차원의 생활자원이 다문화가정을 위한 사회적 개입 방안의 토대로 활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Declaration of Conflicting Interests

The author declared that she had no conflicts of interests with respect to her authorship or the publication of this article.

Acknowledgments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Sookmyung Women’s University Research Grant 2012 (1-1203-0108).

Table 1.
Sample Characteristics (N=95)
Variable N %
Children’s age (yr) (M=11) 7-11 66 69.5
12-16 29 30.5
Children’s gender Male 55 57.9
Female 40 42.1
Residential district Seoul & Gyeonggi-do 27 28.4
Metropolitan city 24 25.3
Gangwon-do 4 4.2
Chungcheong-do 7 7.4
Jeolla-do 19 20.0
Gyeongsang-do 11 11.6
Jeju-do 3 3.2
Family composition Parent/children 79 83.2
Single parent/children 5 5.3
Single (grand) parent/children 11 11.6
Number of children (M=2.38) Only child 13 13.7
Two to three 72 75.8
Four or more 10 10.5
Housing Detached house 36 37.9
Apartment 40 42.1
Others 19 20.0
Employment status Father Employed 76 86.4
Unemployed 12 13.6
Mother Employed 39 43.3
Unemployed 51 56.7
Father’s education Below middle school graduate 18 20.5
High school graduate 47 53.4
College graduate 6 6.8
Higher than a university graduate 17 19.3
Mother’s education Below middle school graduate 7 7.8
High school graduate 44 48.9
College graduate 12 13.3
Higher than a university graduate 27 30.3

One single parent family was included.

Table 2.
Level of Family Life Experience (N=95)
Variable N %
Time Few or no 52 54.7
1-2 Days 14 14.7
3-4 Days 13 13.7
Almost everyday 16 16.8
Leisurea) Travelling 1.47 1.77
Culture activity 2.68 3.74
Household economya) (yearly income) 3,152b) 2,744
Healtha) Children’s health 3.20 .61
Parent’s health 2.99 .64
Education Experience of after-school education Yes 55 57.9
No 40 42.1
Type of after-school educationc) Private institute 30 31.6
Private tutor 8 8.4
Private tutor by group 16 16.8
Visit teaching 18 18.9
E-learning 13 13.7
After-school program 19 20.0
Community center 11 11.6
Private culture center 2 2.1
Others 33 34.7
Number of after-school programs which a student participatesa) 1.60 1.15
School adaptation of childrena) 2.86 .46

a) Values were presented as M±SD .

b) The unit was 10,000 Korean won.

c) The answers for the category of “Type of after-school education” were overlapping.

Table 3.
Differences of Family Life Experiences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Sample (N=95)
Variable Time
Leisure (only travelling)
Household economy
Health (only of parents)
Education (children’s school adjustment)
M SD t/F M SD t/F M SD t/F M SD t/F M SD t/F
Children’s age (yr) 7-11 2.05 1.21 2.276 1.43 1.94 .093 3,069 2,049 .170 2.97 .66 .202 2.99 .43 18.35***
2-16 1.66 1.04 1.55 1.35 3,333 3,899 3.03 .63 2.58 .41
Family composition Parent/children 1.91 1.17 1.767 1.49 1.84 .061 3,327 2,904 1.111 3.14 .62 2.485 2.89 .46 2.062
Single parent/children 2.80 1.64 1.20 1.79 1,476 894 3.40 .55 2.47 .31
Single (grand) parent/children 1.64 .81 1.45 1.29 2,376 1,276 3.55 .52 2.83 .43
Number of children Only child 1.77 1.24 .638 2.46b 2.44 2.783 2,803 2,124 .189 2 .77 .73 1.592 2.91 .46 .530
Two to three 1.90 1.17 1.37ab 1.66 3,256 2,956 3.06 .65 2.83 .47
Four or more 2.30 1.16 .90a 1.10 2,875 1,847 2.80 .42 2.99 .33
Housing Detached house 1.69 1.04 1.801 1.17 1.08 .994 2,099a 1,163 4.560* 3.08 .65 .618 2.76 .50 1.760
Apartment 1.95 1.22 1.74 2.36 4,018b 3,602 2.93 .73 2.90 .44
Others 2.32 1.25 1.47 1.35 3,247ab 2,059 2.95 .41 2.98 .39
Father’s employment status Employed 2.47 .88 .158 1.57 1.88 2.012 3,586 2,916 4.759*** 3.05 .61 2.287* 2.90 .44 2.338*
Unemployed 2.43 .54 .83 1.03 1,553 831 2.58 .67 2.55 .47
Mother’s employment status Employed 2.26 1.23 7.465*** 1.51 1.90 .007 3,139 2,249 .046 3.03 .58 .035 2.80 .49 .753
Unemployed 1.61 1.02 1.48 1.74 3,274 3,160 3.00 .69 2.89 .42
Father’s education Below middle school graduate 1.72 1.07 .185 .78a 1.11 2.188 1,426a 783 4.177** 2.89 .68 .217 2.60a .48 3.721*
High school graduate 1.96 1.18 1.50ab 1.79 3,347ab 3,084 3.00 .63 2.85ab .43
College graduate 1.83 .75 2.83b 3.76 3,466ab 1,651 3.00 .00 3.12b .22
Higher than a university graduate 1.88 1.27 1.65ab 1.17 4,775b 2,710 3.06 .75 3.05ab .46

Scheffé’ test was used.

Health’s values of family composition were presented as children’s health.

p <.10,

* p <.05,

** p <.01,

*** p <.001.

Table 4.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Predicting Life Satisfaction of Multicultural Family with School-Aged Children (N=95)
Predictor B SE β S.P.
Children’s age .084 .035 .272* .020
Number of children .160 .088 .195 .074
Housinga)
 Apartment -.035 .176 -.024 .843
 Others -.183 .202 -.103 .369
Family compositionb)
 Single parent/children .265 .621 .042 .671
 Single (grand) parent/children .031 .248 .013 .902
Father’s employment statusc) -.748 .272 -.348** .008
Mother’s employment statusc) .091 .151 .062 .551
Father’s educationd)
 High school graduate -.192 .237 -.133 .420
 College graduate -.554 .339 -.206 .107
 Higher than university graduate .020 .270 .011 .942
Time .090 .064 .144 .167
Leisure .086 .041 .217* .039
Household economy -.021 .081 -.029 .801
Health .359 .118 .311** .003
Education .409 .184 .260* .030
B -.776
F 3.631 (p=.000)
R2 (adjusted R2) .492 (.356)

Dummy variable a)detached house, b)parent/children, c)employed, d)below middle school graduate.

p <.10,

* p <.05,

** p <.01.

References

Bae, K. H. (2013). The effect of social participation on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among married immigrant women. Korean Journal of Family Social Work, 41, 33-54.

Cha, S. L. (2011). The leisure of multi-cultural family in marriage migrant women’s view. Journal of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15(1), 51-70.

Chang, O. J. (2010). A study on an educational program for school parents of multi-cultural family.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23(3), 77-99.

Cho, H. S., & Moon, H. J. (2010). A sense of self-identity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The relations between the maternal mother`s behaviors and the children`s school satisfaction.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8(5), 87-102.
crossref
Choi, J. H. (2012). A study on the marital satisfaction and relative variables of international women as marriage immigrants. Koran Journal of Family Welfare, 17(4), 153-171.

Choi, S. B. (2011).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school life adaptation of a student in a multicultural family and related variables. Secondary Education Research, 59(2), 261-287.

Choi, S. H., Sohn, M., & Ahn, Y. M. (2011). Association among family environment, health problems and health-risk behaviors in Korean school-aged childr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Living Environmental System, 18(5), 609-618.

Hong, J. M. (2008). Ecological variables affecting adjustment to school life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Jun, H. J., Pae, S. Y., & Kwak, K. J. (2008). Practices and meanings of immigrant mothers’ support for children’s education: Cases of mothers from the Philippines and Japan. Family and Culture, 20(3), 161-186.

Jun, K. S., & Song, M. K. (2011). A research on the differences of adjustment level by multicultural children`s nationality.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8(11), 305-330.

Kang, S. J., & Sohn, S. M. (2011). A case study on the marital satisfaction and child-rearing perception of four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with infants.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6(6), 161-188.

Kang, Y. J., & Moon, J. W. (2005). Family related factors’ influences on school adjustment among Korean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Studies on Korean Youth, 16(1), 283-315.

Kim, G. D., & Park, M. S. (2009).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school adaptations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Focusing on the Cheonan city and Asan city. Journal of Social Science, 48(1), 97-121.

Kim, J. H., Oh, J. A., Yoon, C. M., & Lee, J. H. (2009). Married immigrant women`s child-rearing experiences including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efficacy. Korean Parent-Child Health Journal, 12(1), 46-60.

Kim, J. H., & Park, O. I. (2008). Comparative analysis on family conflict and life satisfaction between rural and urban immigrated women. The Journal of Rural Society, 18(1), 127-160.

Kim, J. R., & Chung, W. H. (2012). A study on life satisfac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The Journal of Korean Policy Studies, 12(3), 87-102.

Kim, S. H. (2011). A qualitative study on the problem of educating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9(4), 17-33.

Kim, Y. S., Chu, Y. S., & Fang, M. H. (2012). Research on the blind spot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policy. Seoul: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Kwon, M. H. (2012).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in adolescents’ family-leisure activity and family function.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47(1), 519-526.

Lee, H. S. (2013). Awareness to the experience of rural married migrant women`s life in Korea.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20(1), 71-103. http://dx.doi.org/10.0000/jecd/2013.20.1.0071
crossref
Lee, J. B., Kim, H. W., & Oh, S. B. (2009). Investigation of current status and needs of educational support for multicultural families at school. Seoul: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Lee, S. R., & Park, J. S. (2010). A study on effects of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parents with school aged children.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8(1), 1-14.
crossref
Lee, Y. J. (2009). A study on the risk factors influencing psychosocial adjustment of a multicultural family adolescent.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14(2), 103-119.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2012). Dynamic multicultural families, sharing society. Retrieved December 11, 2012, from http://enews.mogef.go.kr/view/search/view.jsp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2014). Statistics on multicultural families. Retrieved May 1, 2014, from http://www.mogef.go.kr/korea/view/policy/policy02_05a.jsp?func=view&currentPage=0&key_type=&key=&search_start_date=&search_end_date=&class_id=0&idx=691668

Nam, B. H., & Jung, C. S. (2010). An exploratory study on development direction of parenting education program for multicultural family: Focused on woman marriage migrants. Paper presented at the 48th Conference of the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Seoul, Korea.

Nam, E. Y., Park, S. J., & Kim, Y. B. (2010). A study on leisure activity and Korean culture acculturation of married immigrant women. Education and Culture Research (Inha Unversity), 16(1), 169-195.

Park, E. H., & Cho, I. J. (2012). A study on life satisfaction of married immigrant women. Social Science Research Review (Kyungsung University), 28(2), 29-54.

Park, K. R., & Lee, J. M. (2011). The factors of school life adjustment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9(2), 89-99.
crossref
Park, M. S. (2011). Relationship between married immigrant women’s self-esteem and resilience: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psychology happines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1(5), 393-402. http://dx.doi.org/10.5392/JKCA.2011.11.5.393
crossref
Park, M. S., & Kim, M. Y. (2012). Family resources and life satisfaction among middle-aged married men and women. Journal of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16(3), 35-51.

Rho, M. S., & Kim, S. O. (2011).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learning coaching: Focused on families with school aged children.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9(4), 89-107.
crossref
Seo, B. J., & Park, S. T. (2012). The effect of satisfaction in multi culture family’s marital relationships on children’s adaptation of school life. Journal of Pubic Welfare Administration, 22(1), 127-155.

Shin, J. H. (2010). Exploring pathways from acculturation attitudes to children’s school adjustment of multicultural families: The mediating effects of marital conflict and parent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Shin, K. L. (2011). Research for the factors of the leisure education for improving school life adaptation and leisure awareness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Education and Culture Research (Inha University), 17(1), 313-336.

Shin, S. H., & Won, J. S. (2009). The effects of a self-esteem enhancement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mothers with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Journal of Korean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Academic Society, 18(4), 492-500.

Un, S. K. (2010).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school adjustment of bicultural children: Focused on family function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33, 37-74.

Won, S. J., & Song, I. U. (2011). The effect of personal, cultural, and social factors on the marital satisfaction of marriage migrant women in Korea.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16(2), 95-113.

Yang, S. M. (2007). Variables impacting the school life adjustment and family life happiness of the women marriage migrants family`s children in rural.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12(4), 559-576.

Yoon, M. S., & Lee, H. K. (2011). A study on the foreign mothers` adaptation through parenthood experiences in rural area. Korean Journal of Family Social Work, 32, 103-135.

Yun, M. S., Lee, J. H., & Kim, J. R. (2011). Analysis on leisure viewpoint of immigrant female of multi-cultural familie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1(6), 337-349. http://dx.doi.org/10.5392/JKCA.2011.11.6.337
crossref
Editorial Office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TEL : +82-2-561-6416, +82-2-561-6446    FAX : +82-2-562-2999    
E-mail : khea6416@daum.net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2014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Developed in M2P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