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Sitemap | Contact Us |  
top_img
Hum. Ecol. Res Search

CLOSE

Human Ecology Research > Volume 62(2); 2024 > Article
신체적·재무적·심리적 요인이 고령자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nhance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population in South Korea by exploring their satisfaction levels and identifying influencing factors. Utilizing data from the 17th Korean Welfare Panel, which includes 6,260 individuals aged 65 and older, this study employs independent sample t-tests, one-way ANOVA,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in general,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population was somewhat lower than that of the general adult population in all areas, except for job satisfaction and satisfaction with housing. Key factors influencing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population includ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gender, age, economic activity, residence, education level), subjective health status factors, financial factors (disposable income, monthly living expenses), and psychological factors (depression, self-esteem). Notably, psychological factors, particularly self-esteem and depression, profoundly affect all life satisfaction domains. Enhancing life satisfaction necessitates fostering positive self-perception and capabilities in the elderly population, suggesting the need for programs focused on positive emotional experiences. Moreover, depression significantly reduces life satisfaction, underscoring the importance of policy interventions to address negative emotions in this demographic.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concrete and effective policie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population. Additionally, by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positive psychological factors, it is anticipated that the study will offer a new direction for improving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population.

서론

국내의 고령화 현상은 상당한 시간 동안 사회적 관심을 끌어왔다. 2023년을 기준으로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고령 인구는 18.4%로 나타났으며, 향후 계속해서 증가하여 2025년에는 20.6%로 초고령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예측된다(Statistics Korea, 2023). 고령화가 진행됨에 따라 고령자의 삶의 질, 생활만족도에 대한 연구가 중요성을 더하고 있다. 노년기의 생활만족도는 자신의 전반적인 삶, 삶의 의미 발견, 삶에 대한 통합감, 삶의 마지막 정서발달이라는 측면에서 다른 연령대와는 다른 무게감을 갖기 때문이다(Lee & Park, 2023). 특히 고령자의 생활만족도에 대한 관심은 한 개인의 삶을 통합하고 정서발달의 최종단계라는 측면에서 중요한 의의가 있다. 고령자는 나이가 들면서 신체 기능의 저하, 만성질환 발생 가능성 증가, 사회적 지위 상실, 가족관계 변화 등을 경험하고, 심리적 고독감이나 경제적 어려움과 같은 문제를 겪을 수 있다(Chang & Park, 2012). 최근에는 소가족화, 가족부양에 대한 가치관 변화 등과 같은 가족부양 환경 악화로 부양 공백이 커졌고, 과거보다 더 오랜 기간 고립과 경제적 어려움 등을 겪을 가능성이 커졌다. 이러한 고령자들의 문제들은 노인 부양과 보호, 사회보장 비용 증대와 연관되어 개인적 문제를 초월하여 사회적, 국가적 차원의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Kim & Ko, 2013; Park, 2013). 고령자들의 생활만족도 향상은 개인의 측면에서는 성공적인 노후생활과 연관이 있으며, 국가적 차원에서는 사회적 비용의 증감과 연관되는 중요한 문제이다.
생활만족도는 과거에는 단일 차원으로 연구되었으나 최근에는 다차원적 접근이 이루어지고 있다. 고령자가 경험하는 생활만족도는 크게 신체적, 경제적, 사회적, 관계적 차원 등으로 구분된다(Han & Choe, 2015; Ka, 2006; Koeran Welfare Panel Study, 2023). 생활만족도에 대한 다차원적 접근을 통해 고령자의 생활만족도를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으며, 이는 고령자의 삶의 질 향상에 더욱 적합한 정책 수립 및 프로그램 지원에 기반이 될 수 있다.
노년기를 보내는 고령자는 은퇴와 함께 경제활동을 멈추기 때문에 재무적 문제를 경험하고, 신체적 기능의 저하에 따라 다양한 문제를 경험하기 때문에 고령자의 생활만족도에 대한 연구는 주로 고령자의 재무적, 신체적 요인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다(Hong & Lim, 2022; Kang & Jung, 2020; Kim & Kim, 2000; Lee & Park, 2023). 그러나 최근에는 고령자의 자살과 우울증이 중요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면서 고령자의 생활만족도와 심리적 요인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2022년 기준 우리나라 65세 이상 고령자의 자살율은 인구 10만명 당 39.9명으로 OECD 평균 17.2명보다 높은 수준으로 OECD 가입국 중 1위이다. 또한 노인 우울은 2020년 기준 13.5%로 이 역시 OECD 평균 12%(2017년 기준)보다 높은 수준이다(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21). 이에 따라 고령자의 심리적 요인과 생활만족도의 관계를 살펴본 연구들이 주목받고 있으나 대부분의 연구나 정책이 고령자의 우울감과 같은 부정적 심리요인에 보다 집중하고 있다(Shin et al., 2022; Yun & Kang, 2016). 그러나 생활만족도에 인간이 경험하는 긍정적 심리요소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언급됨에 따라(Seligman, 2011), 고령자의 긍정적 심리요인이 생활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살펴보는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다(Kwak & Lee, 2014; Shin, 2015; Tae, 2021).
이와 같이 다양한 요인들이 고령자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만, 이러한 요인들 간의 상대적 영향력을 비교하는 것은 여전히 한계가 있다. 또한 고령자의 생활만족도는 주로 전반적인 생활만족도로 측정되었으나 최근 고령자의 삶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려는 노력에 따라 다양한 영역으로 구분하여 연구되고 있다(Choe et al, 2012; Han & Choe, 2015). 이에 따라 고령자의 생활만족도를 각각의 세부영역으로 구체적으로 나누어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있어 차이가 있는지 살펴볼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고령자의 생활만족도 개선 및 향상을 위한 구체적인 방법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요인 중 어떠한 요인이 우선적으로 개선되어야 하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신체적, 재무적, 심리적 요인이 고령자의 생활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각각의 요인들 간의 영향력 수준을 비교하고, 고령자 생활만족도 세부 영역별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밝혀내는 것을 통해 고령자의 삶의 질을 향상하기 위한 실효성 있는 논의를 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지닌다. 첫째, 고령자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의 설명력을 비교하여 고령자의 생활만족도 향상을 위한 정책 및 프로그램 개발 시 실무자들이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부분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기존 연구들은 우울과 같이 고령자의 부정적인 측면에 주로 집중하여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고령자 정책 역시 부정적인 심리요인에 주로 초점을 맞추어 실행되고 있다(Shin et al., 2022; Yun & Kang, 2016). 본 연구를 통해 고령자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 중 긍정적인 심리의 영향력을 검증하여 고령자의 긍정적 심리요인과 관련한 연구와 정책의 필요성을 환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마지막으로 고령자의 생활만족도를 세부 영역별로 살펴봄으로써 고령자의 세부 영역별 생활만족도 향상을 위한 주요 영향요인을 검증하고, 구체적이고 실효성 있는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론적 배경

1. 생활만족도

일반적으로 삶의 질은 생활만족도 또는 삶의 만족도로 측정된다(Diener, 2000; Son & Choi, 2020). 생활만족도는 다양한 학자들에 의해 다양하게 정의되고 있다. 생활만족도는 그동안 심리적 안녕 상태, 웰빙(well-being), 복지(welfare), 만족도(satisfaction), 행복감(happiness), 삶의 만족도 등 유사 개념의 용어를 혼용하여 연구되었다. 삶의 만족도는 삶의 질을 구성하는 다양한 요인 중의 하나로 자신이 지각하는 삶의 질에 대해 일정한 기준을 바탕으로 긍정적이고 부정적인 범위 내의 개인의 주관적 인지평가로 삶의 질을 나타내는 주요 지표로 사용되고 있다(Diener, 2000; Lee & Park, 2023). 삶의 만족도는 Havighurst와 Albrecht (1953)의 연구에서 시작된 개념으로 초기에는 재무적 요인, 건강 상태 등을 삶의 질을 평가하는 주요 요인으로 설명하려 했으나 사회환경이 복잡해지면서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요인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삶의 만족도는 생활만족도와 동일한 의미로 혼용하고 있다(Chai & Seo, 2019). 이러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삶의 만족도와 생활만족도를 동일한 개념으로 보고자 한다.
Medley (1976)는 생활만족도를 개인의 기대수준이 합리적으로 충족되었는가에 대한 평가로 보았다. Kalish와 Knudtson (1976)도 이와 유사하게 생활만족도를 자신의 인생에 의미를 두고, 중요한 목표를 성취했다고 느끼며, 효율적으로 주변 환경에 잘 대응하여 정서적, 사회적 어려움 없이 개인 욕구를 충족시키는 정도라고 정의하였다. Kim과 Kim (2000)은 생활만족도를 일상적 생활을 통해 누적된 정서와 인식이 오랜 기간 지속되면서 구성된 생활의 객관적이고 환경과는 구별되는 주관적인 만족도로 정의했으며, Han과 Kim (2004)은 생활만족도를 생애전반에 걸쳐 느끼는 지배적인 정서에 대한 평가이고 기대의 충족 정도라고 하였다. Hillier와 Barrow (2015) 또한 생활만족도를 개인이 경험하고 인식하는 주관적인 안녕감이라고 정의내렸으며, Kang과 Jung (2020)은 생활만족도에 대해 삶의 부정적, 긍정적 영향에 대한 개인의 만족도를 반영하는 개념으로 개인의 삶의 질을 파악할 때 적합하다고 하였다. 이러한 다양한 연구에서 내린 생활만족도에 대한 정의를 통해, 생활만족도는 주관적이고 인지적인 개인의 평가이며, 복합적이고 다차원적 영역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볼 수 있다.
생활만족도는 생애주기에 따라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생애주기에 따른 생활만족도는 U자형 곡선으로 나타나는데 젊은 연령층에서 높은 생활만족도 수준을 보이다가 중장년기에서 가장 낮은 수준을 나타내며, 노년기에 다시 증가하는 현상을 보인다. 학자에 따라 노년기 생활만족도는 소폭 증가하거나 지속적인 감소세를 보인다고도 한다(Helliwell & Wang, 2014). 노년기는 신체적 변화를 경험하며, 사회적으로는 역할이 축소되는 시기이다. 이와 관련하여 고령자는 고독과 소외 등을 경험하기도 하고, 오랜 기간의 책임감에서 벗어나 휴식을 취하며 자신의 삶을 돌아보고, 죽음에 대하여 준비를 하는 등의 시간을 보내기도 한다(Cumming & Henry, 1961; Havighurst & Albrecht, 1953). 따라서 노년기의 생활만족도는 한 개인의 삶 전반에 대한 평가이며, 고령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하여 관심을 가져야 하는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연구자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최근 대부분의 연구자들은 생활만족도를 다차원의 개념으로 보고 있다. Han과 Choe (2015)의 경우 은퇴자의 생활만족도를 전반적 생활만족도, 여가생활만족도, 주거생활만족도, 관계만족도, 재무만족도로 구분하고, 이 영역들의 총합을 은퇴자의 행복으로 측정하였다. Kwon과 Cho (2000)은 생활만족도를 인지적 차원과 정서적 차원으로 구분하기도 하였다. 한국복지패널의 경우 생활만족도를 건강, 가족수입, 주거환경, 가족관계, 직업, 사회적 친분관계, 여가생활의 7개의 세부 영역으로 분류하여 조사하고 있다. Ka (2006)는 생활만족도를 삶의 생활 영역을 기준으로 가정생활, 직장생활, 여가생활 만족도로 구분하였다. 기존에는 생활만족도를 주로 전반적인 생활만족도로 측정하였으나 이처럼 세부 영역을 구분하는 것을 통해 각각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보다 면밀히 살펴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도 고령자의 생활만족도를 건강, 가족의 수입, 주거환경, 가족관계, 직업(일), 사회적 친분과계, 여가생활, 전반적 생활만족도로 구분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2. 고령자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1 신체적 요인

고령자가 경험하는 또 다른 변화로 연령 증가에 따른 신체 기능의 변화이며, 신체적 건강 역시 고령자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Borg et al., 2006; Cho, 2015: Kim & Kim, 2000; Kim & Yoo, 2009). 일반적으로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게 나타난다(Kim et al., 2018; Park et al., 2009)의 연구에 따르면 노인의 생활만족도는 시간이 지날수록 전반적으로 상승하나 그 성장세가 둔화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생활만족도 변화에 건강상태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밝혔다. Cho (2015)는 개인의 인구학적 특성이나 자산규모보다도 건강상태와 사회경제적 배경이 생활만족도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임을 검증하였다. 신체 건강에 대하여 객관적 차원에서 살펴볼 때 일반적으로는 만성질환을 살펴본다. 만성질환은 급성질환과 달리 완치가 어렵고, 수개월 이상 지속되어 장기간의 돌봄과 치료가 필요한 질환이다(Harvey & Miller, 2000). 또한 만성질환은 노년층의 주요 사망원인이라는 측면에서 건강상태를 나타내는 주요지표로 활용되고 있다(Kim & Yoo, 2009; Lee & Park, 2023). 만성질환의 유무 역시 고령자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만성질환이 있는 고령자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삶의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Bowling et al., 2003). 주관적인 건강상태 역시 고령자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주관적인 건강상태가 높을수록 고령자의 생활만족도가 높았다(Cha & Kim, 2015).

2.2 재무적 요인

다양한 연구에서 재무적 자원은 고령자의 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나타났다. 고령자가 노년기에 경험하는 가장 큰 변화는 은퇴이다. 은퇴를 기점으로 고령자는 주요 경제활동을 중단하게 되는데, 이로 인한 노후의 경제적 문제는 심리적 불안정을 초래한다. 고령자가 경험하는 가장 큰 어려움도 경제적 어려움으로 보고되고 있다. 고령자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재무적 자원은 소유재산, 생활비, 소득 수준 등이 있다(Hong & Lim, 2022; Kang & Jung, 2020). 고령자의 소득 수준이 고령자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며, 소득 수준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Hong & Lim, 2022). 또한 고령자의 소유재산이 많을수록 고령자의 삶의 만족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Won과 Kim (2015)은 생활비와 생활만족도가 관계가 있음을 밝혔다.

2.3 심리적 요인

고령자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연구는 그동안 고령자의 객관적인 변화 즉, 은퇴에 따른 경제수준의 변화, 노화에 따른 신체적 변화를 중심으로 오랜 시간 지속되었다. 그러나 고령자의 생활만족도는 단순히 객관적인 자원과 신체적 변화뿐만이 아니라(Choe et al., 2012; Kang & Jung, 2020) 심리적인 측면과도 매우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어 최근에는 심리적인 요인들을 중요하게 고려하고 있다(Asebedo & Seay, 2014; Hong & Lim, 2022; Shin et al., 2022). 고령자의 생활만족도에 대한 연구들이 고령자의 심리적 요인을 살펴보고 있기는 하지만 고령자의 우울감과 같은 부정적 심리요인에 보다 집중되었다(Shin et al., 2022; Yun & Kang, 2016). 그러나 생활만족도는 인간이 경험하는 긍정적인 심리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에(Seligman, 2011), 긍정적 자기개념, 자아존중감과 같은 요인들도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Kwak & Lee, 2014; Lee, 2021; Shin, 2015). 대표적으로 Seligman (2011)의 웰빙이론에 따르면 인간이 경험하는 행복, 웰빙, 즉 삶의 질은 인간이 경험하는 긍정적인 측면에 영향을 받는다. 긍정적인 감정(Positive Emotions), 몰입(Engagement), 긍정적 관계(Positive Relationship), 의미(Meaning), 성취(Accomplishment)의 5가지 요소를 많이 경험하면 높은 수준의 웰빙에 이를 수 있다고 주장한다. 즉, 긍정적인 심리요인들의 많은 경험을 통해 수준 높은 행복에 이를 수 있다는 것이다. 해당 이론을 바탕으로 고령자의 긍정적인 심리요인이 생활만족도에 미친 영향을 살펴본 결과 인간이 경험하는 긍정적 정서들이 행복이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Asebedo & Seay, 2014; Shin et al., 2022).
심리적 요인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비교적 최근에 진행되어 왔기 때문에 고령자의 생활만족도와 관련한 연구에서는 여전히 신체적, 재무적 요인이 더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다(Lee, 2008; Son & Choi, 2020). 또한 고령자의 생활만족도에 대한 연구에는 긍정적인 심리요인보다도 우울과 같은 부정적 심리요인에 집중되었다(Kim et al., 2009).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령자의 신체적, 재무적 요인 외에도 심리적 요인이 고령자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력의 크기를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심리적 요인으로 우울감이나 스트레스와 같은 부정적인 심리와 함께 자아존중감과 같은 긍정적 심리도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기반으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연구 문제 1] 고령자의 전반적인 생활만족도 수준은 어떠하며, 고령자의 특성에 따라 생활만족도 수준에 차이가 있는가?
[연구 문제 2] 신체적, 재무적, 심리적 요인이 고령자의 생활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 고령자의 전반적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가?
- 고령자의 생활만족도 세부영역별 영향요인의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가?

연구방법

1. 연구 대상 및 분석 방법

본 연구에서는 신체, 재무, 심리적 요인이 고령자의 생활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한국복지패널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2022년 데이터를 수집한 17차 한국복지패널 데이터에는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신체적 건강(질병 여부, 건강에 대한 인식 등), 재무상태(소득, 부채, 자산, 생활비 지출 규모 등), 정신적 건강(우울감 및 자존감) 등이 포함되어 있다. 17차 한국복지패널 중 전국 만 65세 이상의 고령자 6,260명(남자 39.2%, 여자 60.8%)가 분석대상에 포함되었다. 연령을 만 65세 이상으로 정한 것은 통계청의 고령자에 대한 정의를 따랐다. 연구를 위하여 IBM SPSS 25.0(IBM Co., Armonk NY)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요인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은 Table 1에 제시하였다.

2. 측정 도구

2.1 생활만족도

본 연구에 사용된 한국복지패널 자료의 경우 생활만족도를 총 7가지의 세부영역과 전반적인 생활만족도로 분류하여 조사한다. 생활만족도는 세부 영역은 건강, 가족의 수입, 주거 환경, 가족관계, 직업(일), 사회적 친분과계, 여가생활, 전반적인 만족도로 구분하여 항목별로 응답자가 얼마나 만족하는가에 대하여 측정이 이루어진다. 각 항목에 대하여 조사응답자의 만족도를 5점 리커트 척도로 측정하였으며, 조사응답자들은 1점 매우 불만족으로부터 5점 매우 만족에 응답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총 7개의 생활만족도 세부 영역과 전반적인 생활만족도 점수를 모두 활용하였으며, 패널의 응답을 별도의 가공 없이 그대로 활용하였다(Table 2 참조).

2.2 인구통계학적 특성

인구통계학적 특성으로는 성별, 연령, 배우자유무, 주된 경제 활동, 거주지역, 교육수준 변수를 사용하였다. 성별, 연령, 배우자유무, 거주지역은 패널데이터에 제시된 측정도구를 수정 없이 사용하였다. 거주지역은 서울, 광역시, 시, 군, 도농복합권으로 5개 권역으로 구분되었다. 배우자 유무는 혼인상태를 조사한 항목에서 유배우만을 배우자가 있다고 판단, 그 외의 경우는 배우자가 없다는 응답으로 분류하였다. 주된경제활동은 원자료에서는 상용직 임금근로자, 임시직 임금근로자, 일용직 임금근로자, 자활근로/공공근로/노인일자리, 고용주, 자영업자, 무급가족종사자, 실업자, 비경제활동인구로 구분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일자리의 안정성, 일자리를 통한 소득 창출 등을 기준으로 상용직(상용직 임금근로자), 일용직(임시직, 일용직 임금근로자), 자영업/고용주, 무직으로 재분류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교육수준은 미취학은 7세 미만으로 본 연구에서 제외되었다. 무학,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전문대학, 대학교, 대학원(석사)로 구분되어 있는 원데이터에서 무학, 초중고, 대학이상으로 재분류하였다(Table 3 참조).

2.3 신체적 요인

신체적 요인은 주관적 건강상태와 만성질환 투병·투약 여부 및 기간으로 측정하였다. 주관적 건강상태는 조사 시점의 건강상태에 대하여 5점 리커트 척도로 측정되었으며, 1점 아주 건강하다에서 5점 건강이 아주 안 좋다로 측정되었다. 만성질환 투병·투약 여부 및 기간의 경우 만성질환 비해당, 3개월 미만 투병·투약, 3개워 이상 6개월 미만 투병 ·투약, 6개월 이상 투병·투약으로 측정되었다(Table 4 참조).

2.4 재무적 요인

재무적 요인은 조사응답자들의 가처분소득, 부채, 부동산 자산, 금융 자산, 총생활비로 측정하였다. 가처분 소득, 총생활비, 부동산자산, 금융자산의 경우 원데이터에서 조사된 항목을 수정 없이 사용하였다. 부동산 자산은 조사 당시 거주하고 있는 집을 제외한 소유부동산(주택, 건물, 토지 등)의 현시가로 측정되었으며, 금융자산은 조사 당시 소유하고 있는 금융자산(예금, 적금, 주식, 채권, 펀드 등)의 가격으로 측정되었다. 부채는 금융기관, 사채, 카드빚의 항목을 포함하였다(Table 5 참조).

2.5 심리적 요인

심리적 요인은 우울감과 자존감으로 조사되었고, 각각 조사응답자가 지난 1주일간 각 항목에 대한 느낀 정도와 조사 당시 응답자와 가장 가깝다고 느끼는 것에 대하여 4점 리커트 척도로 측정되었다. 우울감의 경우 응답자들은 ‘상당히 우울했다, 모든 일들이 힘들게 느껴졌다. 사람들이 나를 싫어하는 것 같았다’와 같은 항목에 대하여 1점 극히 드물다로부터 4점 대부분 그랬다로 자신이 지난 1주일간 느낀 정도에 응답을 하였다. 우울감은 긍정적인 항목에 대하여 역코딩하여 총합을 구하였다. 자존감의 경우 응답자들은 ‘나는 좋은 성품을 가졌다고 생각한다, 나는 내 자신에 대하여 대체로 만족한다. 나는 대체적으로 실패한 사람이라는 느낌이 든다.’ 와 같은 항목에 동의한는 정도를 1점 대체로 그렇지 않다로부터 4점 항상 그렇다로 응답하였다. 이 역시 부정적 정서를 척정한 문항 5개를 역코딩하여 총합을 구하였다(Table 6 참조).

2.6 변수들의 상관관계

신체적 요인, 재무적 요인, 심리적 요인 변수를 독립변수에 두고 7개 영역의 만족도에 대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기 위해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먼저 살펴보았다. 그 결과 Table 7과 같다. 모든 변수 간의 상관계수는 권장 임계값인 0.70 미만으로 나타나 다중공선성 문제는 없는 것으로 확인하였다(Tabachnick & Fidell, 2001).

연구결과

1. 전반적인 생활만족도 수준과 집단별 차이

1.1 고령자의 생활만족도 수준

고령자의 전반적인 생활만족도 수준과 세부 만족도 수준을 살펴본 결과 고령자들의 전반적인 생활만족도는 3.47점(5점 만점)으로 나타났다(Table 8 참고). 고령자의 생활만족도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가족관계, 주거환경, 사회적 친분관계에 대한 만족도가 각각 3.81점, 3.71점, 3.61점으로 보통 수준 이상의 만족감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건강에 대한 만족도는 2.93점으로 가장 낮았고, 가족 수입에 대한 만족도는 3.01점으로 그다음으로 낮게 나타났다. 고령자의 생활만족도는 일반 성인 전체 평균에 비해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17차 한국복지패널 데이터에 따르면 일반 성인의 전반적 만족도는 3.57점이며, 가족의 경제적 수입 만족도(3.10점)< 건강 만족도(3.21점)< 여가생활 만족도(3.31점)< 직업 만족도(3.47점)< 주거 만족도(3.68점)< 사회적 친분 관계 만족도(3.70점)< 가족관계 만족도 (3.89점) 순으로 나타났다. 이와 비교했을 때 고령자의 생활만족도는 전반적으로 일반 성인의 전체 평균에 비해 낮은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1.2 고령자 특성에 따른 생활만족도 차이

고령자의 특성에 따른 생활만족도 차이를 Table 9에 제시하였다. 성, 연령, 배우자유무, 주된 경제활동, 거주지역, 교육수준 모두에서 생활만족도 수준이 유의하게 차이가 있다. 성별에 따른 만족도는 가족 수입 만족도와 가족관계만족도를 제외한 모든 만족도 수준에서 차이가 나타난다. 전반적으로 남성의 만족도 수준이 여성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연령에 따른 만족도는 연령이 높은 집단이 연령이 낮은 집단에 비해 만족도 수준이 낮았다. 이는 남성이 여성에 비해 생활만족도에 취약할 수 있으며,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생활만족도 수준이 낮아진다는 선행연구들의 결과와 일치하는 결과이다(Helliwell & Wang, 2014). 배우자가 있는 집단이 배우자가 없는 집단에 비해 만족도가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주된 경제 활동의 경우 상용직인 경우가 모든 만족도 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무직인 집단의 만족도가 모두 낮게 나타났다. 고령자들에게는 경제활동을 지속한다는 것도 의미가 있으나, 자신의 직업의 안정성이나 직업의 특성이 고령자의 생활만족도와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교육수준의 경우 모든 만족도의 수준이 무학인 집단이 가장 낮고, 대학교 졸업 이상인 집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거주 지역에 따라서는 도농복합군에 거주하는 고령자의 생활만족도 수준이 타 지역에 거주하는 고령자의 생활만족도 수준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자의 신체적 요인에 따라 생활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본 결과 만성질환 유약, 투병 유무와 주관적 건강상태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Table 9). 만성질환이 6개월 이상인 집단이 만성질환이 없는 집단과 만성질환이 6개월 미만인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만족도 수준이 낮게 나타났다. 주관적 건강상태의 경우에는 자신의 건강 수준에 대해서 낮게 판단하는 집단이 모든 만족도의 수준이 낮게 나타났고, 높게 판단하는 집단은 모든 만족도의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고령자의 만성질환이 있는 고령장의 삶의 만족도가 만성질환이 없는 고령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다는 선행연구 결과(Bowling et al., 2003)와 주관적 건강상태가 높을수록 생활만족도 수준이 높다진다는 선행연구 결과(Cha & Kim, 2015)와 일치한다.
재무적 요인의 경우 가처분소득, 부채, 부동산자산, 금융자산, 월 평균 생활비 모두 집단 간의 유의미한 만족도 차이가 있었다(Table 9 참조). 가처분소득, 부동산자산, 금융자산, 월 평균 생활비의 경우 그 수준이 높은 집단의 경우 모든 만족도 수준이 다른 집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는 소득과 자산이 많을수록 고령자의 생활만족도가 높다는 선행연구들의 경과와 일치하는 결과이다(Hong & Lim, 2022; Won & Kim, 2015). 부채의 경우 부채가 없는 집단과 부채가 2천만 원 이상인 집단이 부채가 2천만원 미만인 집단에 비해 만족도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심리적 요인인 우울감과 자존감에 따라서도 집단별로 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Table 9). 우울감은 총합을 구한 후 Kwak과 Lee (2014)의 연구를 참고하여 척도 값이 16 이상의 경우 우울 의심, 25 이상이면 심각한 우울 증상으로 판단하여 우울감을 ‘낮음, 위험, 매우 위험’의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우울감이 낮은 집단은 생활만족도가 높았고, 우울감이 매우 위험한 집단의 경우 모든 생활만족도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존감의 경우는 자존감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으로 구분하였는데, 자존감이 높은 집단의 만족도가 3.69점으로 낮은 집단(3.16점)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감이 낮고, 자존감이 높을수록 생활만족도 수준이 높다는 선행연구(Kwak & Lee, 2014; Shin et al., 2022)와 그 결과가 일치하였다.

2. 고령자의 생활만족도 영향요인

2.1 전반적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고령자의 전반적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세분화(신체적 요인, 재무적 요인, 심리적 요인)하여 각 요인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단계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위계적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Table 10와 같다. 위계적 회귀 분석은 독립변수를 단계적으로 투입하면서 이전에 투입된 독립변수들의 효과를 통제하여 새롭게 추가되는 독립변수가 종속변수를 얼마나 설명할 수 있는지를 살펴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Seo, 2015). 1단계에서는 고령자의 인구통계학적 요인인 성별(여성 기준), 연령, 배우자 유무(배우자 없음 기준), 주된 경제활동(일용직 및 임시직 기준), 거주지(중소도시 거주 기준), 교육 수준(무학 기준)이 독립변수로 투입되었다. 2단계에서는 고령자의 신체적 건강 상태를 나타내는 주관적인 건강상태 평가와 만성질환 정도(6개월 미만의 투병·투약)가 투입되었으며, 3단계에서는 재무적 요인으로써 가처분소득, 부채, 부동산자산, 금융 자산, 월평균 생활비가 추가되었다. 마지막으로 4단계에서는 심리적 요인인 우울감과 자아존중감이 추가되었다.
단계별 결과를 살펴보면, 인구통계학적인 요인이 투입된 1단계 회귀모형에서는 성별, 배우자 유무, 주된 경제활동, 거주지, 교육 수준이 생활만족도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령자의 생활만족도를 6.7% 설명하였다. 건강 상태가 추가된 2단계 모형에서는 만성질환은 생활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고, 주관적 건강상태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2단계 회귀모형에서는 성별, 연령, 배우자 유무, 주된 경제활동, 거주지, 교육수준, 주관적 건강상태가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며, 1단계 모형에 비해 고령자의 생활만족도를 추가적으로 6.7% 더 설명할 수 있어 13.4%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무자원이 추가된 3단계 모형에서는 가처분소득, 부채, 월평균 생활비가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구체적으로 가처분소득과 월평균 생활비는 생활만족도와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부채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3단계 모델에서는 성별, 연령, 배우자 유무, 주된 경제활동, 거주지, 교육수준, 주관적 건강상태, 가처분소득, 부채, 월평균 생활비가 영향을 미치며, 2단계 모델에 비해 1%의 설명력을 증가시켜 고령자의 생활만족도를 14.3% 설명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심리적 요인이 추가된 4단계 모형에서는 우울감과 자아존중감이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3단계 모형에 비해 고령자의 생활만족도를 16.2% 더 설명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단계 모형을 살펴보면, 남성인 경우, 일용 및 임시직에 비해 무직인 경우, 중소도시에 비해 서울에 거주하는 경우, 우울감이 높은 경우 고령자의 생활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연령이 높아질수록, 중·소도시에 비해 도·농복합시에 거주할수록, 무학에 비해 전문대졸 이상일수록, 주관적으로 평가하는 건강 상태가 좋을수록, 가처분소득이 많을수록, 월평균 생활비가 많을수록, 자존감이 높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각 단계에 따른 설명력 변화를 살펴보면, 1단계의 R2값은 .067로 6.7%의 설명력을 갖고, 2단계의 R2값은 .134, 3단계의 R2값은 .143, 4단계의 R2값은 .305로 각 단계별로 13.4%, 14.3%, 30.5%의 설명력을 갖는다. 단계별로 설명력이 증가했으며, 특히 심리적 요인이 추가됨에 따라 설명력이 전 단계에 비해 약 16.2% 증가하였다. 이를 통해 고령자의 전반적 생활만족도를 설명하는데 있어 심리적 요인이 중요한 변수임을 알 수 있다. 이는 고령자의 삶의 질 및 생활만족도 향상을 위해서는 고령자의 신체적 여건, 재무적 여건과 같은 객관적인 조건은 물론 심리적 안녕이 핵심 조건이 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고령자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상대적인 크기를 비교했을 때, 자아존중감> 우울감> 주관적 건강상태 평가> 연령> 성별> 도농복합시 거주> 전문대졸 이상> 월평균 생활비> 가처분소득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도 고령자의 생활만족도에는 심리적인 요인이 매우 큰 부분을 차지하며, 특히 자신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갖추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더불어 외로움, 슬픔 등의 우울감 및 자신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 및 정서도 생활만족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변수임을 알 수 있다.

2.2 고령자의 생활만족도 세부 영역별 영향요인

생활만족도는 복합적이고 다차원적 영역을 포함하는 개념이기 때문에 전반적 생활만족도만 살펴볼 경우 고령자의 생활만족도 개선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논의하기 어렵다. 생활만족도 세부 영역별로 어떠한 요인이 중요한지 구체적인 영향요인을 살펴보기 위해 ‘건강 만족도, 가족의 수입 만족도, 직업 만족도, 주거환경 만족도, 가족관계 만족도, 사회적 친분 만족도, 여가생활 만족도’ 로 나눠 각각의 영향요인과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각 세부 영역별 영향요인을 살펴보면 Table 11, Table 12와 같다. 우선, 고령자의 ‘건강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배우자, 무직, 우울감은 고령자의 건강 만족도에 부(-)적 영향을 미쳤으며, 광역시 거주, 전문대졸 이상, 만성질환 없음, 주관적 건강 상태, 자아존중감은 건강 만족도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건강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면, 주관적 건강상태 평가> 우울감> 자아존중감> 만성질환 등의 순서로 나타났고, 성별, 연령, 재무적 요인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고령자의 건강 만족도에 는 건강 상태와 심리적 요인이 크게 영향을 미치며, 특히 신체적으로 건강한 것뿐만 아니라 우울감을 낮추고 개선하는 것도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가족의 수입 만족도’에는 재무적 요인인 부채(-), 가처분소득(+), 월평균 생활비(+)가 영향을 미쳤다. 그 외에 남성, 배우자, 자영업자, 서울·광역시·군 단위의 농어촌 거주, 6개월 이상 투병 또는 투약 중인 만성질환, 우울감은 가족의 수입 만족도에 부(-)적 영향을 미쳤고, 연령, 전문대졸 이상, 주관적 건강상태, 자아존중감은 정(+)적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경제적 만족도에는 상대적으로 유동성이 낮은 부동산이나 금융자산보다 당장 필요한 곳에 쓸 수 있는 가처분소득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부채는 미래 상환으로 인해 부담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경제적 만족도를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생활비가 많은 경우 활용할 수 있는 자원이 많다는 의미에서 경제적 만족도를 높이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가족의 수입 만족도 영향요인의 상대적 크기를 살펴보면, 자아존중감> 연령> 가처분소득> 우울감> 월평균 생활비> 서울 거주 등의 순서로 영향력이 높았다. 경제적 요인 이외에 심리적 요인, 연령, 거주지, 주된 경제활동도 경제적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특히 서울에 거주하는 경우 경제적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으며, 이는 서울의 장바구니 물가(groceries index)가 전 세계에서 11번째로 비싸고, 주거비용이 높아 서울에 거주하는 고령자의 경제적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Numbeo, 2024).
고령자의 ‘직업 만족도’의 경우 남성, 임시직에 비해 자영업과 무직, 우울감이 부(-)적 영향을 미쳤으며, 연령, 군 단위의 농어촌 거주, 도농복합시 거주, 전문대졸 이상, 주관적 건강상태, 월평균 생활비, 자아존중감이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직업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은 자아존중감> 무직> 우울감> 연령> 주관적 건강상태> 성별> 자영업자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특히 직업 만족도에 있어 주된 경제 활동 상태가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거 환경 만족도’는 직업 만족도와 비슷한 양상을 보였으나 배우자가 있는 경우 주거 환경 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주된 경제활동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상대적 영향력은 자아존중감> 연령> 우울감> 도농복합시 거주> 군 단위 거주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고령자의 ‘가족관계 만족도’의 경우 남성, 우울감이 부(-)적 영향을 미치며, 연령과 배우자, 자영업, 광역시·도농복합시·군 거주, 전문대졸 이상, 가처분소득 및 월평균 생활비, 자아존중감이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상태 요인은 가족관계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상대적 영향력이 자아존중감> 우울감> 연령> 성별> 배우자> 월평균 생활비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가족관계 만족도에 있어 심리적 요인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다른 만족도와 비교해 성별, 배우자의 존재도 가족관계 만족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사회적 친분 만족도’는 남성, 무직, 우울감이 부(-)적 영향요인이며, 광역시 및 도농복합시 거주, 교육수준, 주관적 건강상태, 월평균 생활비, 자아존중감이 정(+)적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고령자의 사회적 친분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상대적 크기를 살펴보면, 자아존중감> 우울감> 성별> 무직> 주관적 건강 상태 등의 순서로 나타나 무엇보다도 심리적 요인의 상대적 영향력이 컸다. 그 중에서도 자아존중감의 영향력이 매우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고령자의 경우 남성, 무직인 경우 사회적 친분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고령자의 여가생활 만족도는 남성, 우울감이 부(-)적 영향요인이며, 연령, 도농복합시 거주, 교육수준, 주관적 건강상태, 자아존중감이 정(+)적 요인으로 나타났다. 상대적 영향요인을 살펴보면, 자아존중감> 주관적 건강상태> 우울감> 연령 등의 순서로 나타나 여가생활 만족도에도 건강 만족도와 유사하게 신체적·정신적 건강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결론 및 논의

본 연구는 초고령사회로 전환되고 있는 현시점에 고령자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밝히고, 고령자를 대상으로 한 다양한 복지정책 수립에 함의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신체적 건강 상태, 경제적 상태 등의 객관적인 요인과 함께 심리적 요인도 포함해 고령자의 생활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고찰하였으며, 고령자의 생활만족도를 세부 영역으로 나누어 각각의 영역별 영향요인을 구체적으로 검토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와 논의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령자의 전반적인 생활만족도는 일반 성인에 비해 직업 만족, 주거생활 만족도를 제외하고 다소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고, 인구통계학적 요인, 신체적·재무적·심리적 요인에 따라 집단 간 차이가 있었다. 생활만족도의 세부영역을 살펴보면 가족관계에 대한 만족도가 3.81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경제적 수입과 건강에 대한 만족도가 보통 수준(3점) 이하로 나타나 신체적 노화 및 질병, 은퇴로 인한 생활고 등의 문제가 고령자 삶의 질을 해치는 가장 큰 문제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고령자의 인구통계학적 요인 중에서는 성별, 연령, 주된 경제활동, 거주지, 교육수준 등의 요인들이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인구통계학적 요인에 따른 집단 간 생활만족도 차이와 위계적 회귀분석의 결과, 남성, 무직, 서울에 거주하는 경우, 우울감이 높은 경우 고령자의 생활만족도가 낮았다. 반면, 연령이 높을수록, 중·소도시에 비해 도·농복합시에 거주할수록, 무학에 비해 전문대졸 이상일수록, 주관적으로 평가하는 건강 상태가 좋을수록, 가처분소득이 많을수록, 월평균 생활비가 많을수록, 자존감이 높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인구통계학적 변인 중 흥미로운 몇 가지를 살펴보면, 성별은 건강 만족도를 제외하고 모든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남성일수록 건강 만족도를 제외하고 만족도가 더 낮게 나타났다. 고령 남성이 생활만족도에 있어 여성보다 취약할 수 있어(Park, 2003; Park, 2004), 성별에 따른 고려가 필요함을 보여준다. 고령자는 생애주기적으로 은퇴라는 역할 상실을 경험하게 되는데 선행연구에 따르면 역할이론에 의해 많은 남성들이 은퇴 이후의 삶을 위기로 인식하고 있다(Kim et al., 2009). 은퇴로 인한 사회적, 경제적 역할상실은 개인의 심리적 안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 연구(Kim et al., 2009)를 함께 고려해 보았을 때, 본 연구 결과는 은퇴 이후 고령 남성들의 상실감 극복과 삶의 활력 회복을 위한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또 한 가지 흥미로운 점은 고령자의 주된 경제활동 상태인데, 무직의 경우 건강·직업·사회적 친분 만족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고령자는 시기적으로는 경제활동을 중단하는 은퇴의 시기이지만 2020년 노인취업률을 살펴보면 35.3%로 2017년 대비 4.4%p 증가하였다(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21). 고령자는 생계비 마련과 건강 유지 이유로 취업을 원하는 경우가 많고, 고령자의 경제활동 지속은 경제적, 신체적, 그리고 자아실현 측면에서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현재에도 노인 일자리와 관련한 정책이 진행 중이기는 하지만, 현재의 노인 일자리 정책이 직업 활동을 원하는 고령자에게 유의미하게 실행되고 있는지를 진단해볼 필요가 있다. 고령자들에게 일자리는 단지 경제활동의 의미를 넘어 건강 유지와 사회적 친분의 도구일 수도 있음을 고려하여 다양한 측면에서의 고령자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 노인 일자리와 관련된 활발한 논의와 정책 수립이 필요하다.
셋째, 신체적 요인도 고령자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이다. 주관적 건강상태 평가가 높은 집단과 만성질환이 없는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생활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최종적으로 고령자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신체적 요인은 주관적 건강 상태 평가 수준이었다. 주관적 건강 상태 평가가 높을수록 생활만족도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관적 건강 상태 평가의 경우 가족 관계 만족도를 제외한 모든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건강, 가족 수입, 직업, 여가생활 만족도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건강 상태는 고령자의 생활만족도를 위한 기본적인 자원이라 할 수 있으며, 건강한 사람이 적극적으로 사회에 참여하는 활동을 함으로써 경제적, 직업적, 여가생활 등의 만족감이 높아질 수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신체적 능력이 저하되는 것은 부정할 수 없는 현실이지만, 건강한 고령자로서 오랜 기간 유지하기 위해서는 각 지역 단체별 건강 및 체육 프로그램에 대한 지원이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
넷째, 재무적 요인의 경우 가처분 소득, 부동산자산, 금융자산, 부채, 월평균 생활비가 높은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생활만족도 수준이 높았으나 최종적으로 가처분소득과 월평균 생활비가 생활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생활만족도 세부 항목으로 살펴보면, 재무적 요인인 생활비는 경제적, 직업, 주거환경, 가족관계, 사회적 친분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고, 가처분소득의 경우 가족수입 만족도와 가족관계 만족도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자산은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기존 연구 결과에서 자산은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준다는 결과(Kwak & Lee, 2014; Sung & Ahn, 2011)와 그렇지 않다는 결과(Baek, 2009)가 혼재되어 있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상대적으로 유동성이 떨어지는 자산을 얼마나 가지고 있느냐보다 실질적으로 욕구를 충족시키는 수단으로써 자원을 얼마나 활용했냐가 고령자의 생활만족도에 더 유의한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섯째, 본 연구 결과 심리적 요인은 고령자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요인으로 밝혀졌다. 심리적 특성에 따른 집단별 생활만족도 차이 분석 결과와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에서 모두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우울감이 낮을수록 생활만족도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자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별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하여 인구통계학적 요인(모형1), 신체적 요인(모형2), 재무적 요인(모형3), 심리적 요인(모형4)을 차례로 투입하여 살펴본 결과에서도 심리적 요인의 설명력이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행복한 노후생활을 위해서는 건강한 신체와 경제적인 조건뿐만 아니라 심리적 건강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족관계나 친분관계 만족도에서는 자신에 대해 긍정적으로 가치를 인정하는 자아존중감이 매우 중요한 변수로 확인되었고, 우울감의 경우 건강 만족도에 있어 자아존중감보다 더 큰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나 고령자의 건강 만족도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우울, 외로움, 슬픔 등의 부정적 정서를 잘 관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자아존중감은 고령자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요소로 고령자가 자신의 가치나 능력 등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태도를 갖는 것이 삶의 질을 높이는 데 매우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삶의 만족도를 높이는 데 긍정적 정서가 매우 중요한 요소임을 밝힌 Seligman 등 (2006)Han과 Lee(2012) 등의 연구 결과와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신체적 퇴화, 경제적인 어려움 등으로 인해 다양한 부정적인 생각이 우울감으로 연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은 노년기에는 부정적인 사고의 악순환이 형성되지 않도록 긍정심리치료 등이 고령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Han & Lee, 2012). 긍정심리치료는 긍정적인 정서를 경험하고, 삶의 참여와 몰입을 통한 즐거움을 얻어 삶의 질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 이와 함께 우울감도 고령자의 생활만족도를 떨어뜨릴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이 되기 때문에 고령자를 대상으로 부정적인 정서를 치료하는 것도 중요하다. 따라서 삶의 몰입과 사회적 관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령자 우울증 치료 및 긍정적 심리치료 등의 정책적 지원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초고령사회로 진입하여 고령화가 주요 이슈인 현시점에 고령자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인을 밝혀내고, 각 요인 간의 영향력 수준을 비교하여 고령자 삶의 질을 개선하는 데 함의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특히 기존 연구에서 주로 논의된 객관적인 조건(신체적 건강, 경제적 풍요 등) 이외에 심리적 안녕, 즉, 긍정적인 심리적 요인이 고령자의 삶의 질을 높이는 핵심 요인임을 밝혀내고 고령자 정신건강의 중요성을 제기하였다. 더불어 생활만족도를 포괄적인 측면뿐 아니라 건강, 경제, 직업, 주거 환경, 가족관계, 사회적 친분, 여가활동 측면으로 나눠 세부 영역별 유의한 영향요인을 분석했다는 점에서 고령자 복지정책을 수립하는 데 구체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추후 연구에서는 본 연구 결과에서 미처 밝혀내지 못한 심리적 요인이 다른 요인과 상호작용을 통해 생활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등의 연구를 통해 변인들의 구체적인 관계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구성된 심리적 요인 척도를 활용하였다. 현재 한국복지패널에서 활용하는 심리적 요인 척도는 Radloff의 CES-D를 기반으로 한 11개의 문항의 우울증 척도(Lee, 2021)와 Rosenberg의 자기효능감 척도를 활용하고 있다(Korean Welfarae Panel Study, 2023). 각각의 척도는 우울증과 자기효능감을 측정하는 데에 매우 유용한 척도이지만,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은 더욱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기 때문에 관련한 심리적 요인에 대한 척도 개발도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고령자를 대상으로 하는 복지 정책 등이 더욱 구체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고령자를 하나의 집단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성별, 소득, 지역, 세대, 소비 행태 등 다양한 기준을 통해 세분화하여 그 특성에 맞는 맞춤형 정책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처럼 요인 간의 영향력 수준이나 생활만족도의 세부영역별로 살펴보는 것이 의미 있으나 추후 성별이나 세대에 따른 생활만족도 영향요인을 비교해보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를 통해 노후의 행복한 삶에 영향을 미치는 조건들을 보다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eclaration of Conflicting Interests

The authors declare no conflict of interest with respect to the authorship or publication of this article.

Table 1.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N=6,260)
변인 구분 빈도(%) 변인 구분 빈도(%)
성별 남성 2,454 (39.2) 만성 질환 없음
여성 3,805 (60.8) 6개월 미만 516 (2.5)
연령 평균 76.3세 65~74세 2,666 (42.6) 6개월 이상 5,495 (87.8)
75~84세 2,616 (41.8) 주된경제활동 상용직 121 (1.9)
85세 이상 978 (15.6) 임시 일용 자활 1,365 (21.8)
거주 지역 서울 667 (10.7) 자영업 고용주 1,045 (16.7)
광역시 1,467 (23.4) 무직 3,729 (59.6)
2,428 (38.8) 가처분소득 평균 2,895.1만원 1천만원 미만 820 (13.1)
1,437 (23.0) 2천만원 미만 2,080 (33.2)
도농복합군 261 (4.2) 3천만원 미만 1,240 (19.8)
교육 수준 무학 801 (12.8) 3천만원 이상 2,120 (33.9)
초중고 4,985 (79.6) 부채 평균 1,350만원 없음 5,165 (82.5)
대졸이상 474 (7.6) 2천만원 미만 333 (5.3)
혼인 상태 유배우 3,785 (60.5) 2천만원 이상 762 (12.2)
사별 1,967 (31.4) 부동산자산 평균 17,740.9만원 없음 3,732 (59.6)
이혼 385 (6.2) 1억 8천만원 미만 1,225 (19.6)
별거 53 (0.8) 1억 8천만원 이상 1,303 (20.8)
미혼 70 (1.1) 금융자산 평균 8,671.3만원 5천만원 미만 4,502 (71.9)
가구원수 평균 1.8명 1 2,217 (35.4) 5천만원 ~ 1억원 미만 759 (12.1)
2 3,278 (52.4) 1억원 이상 999 (16.0)
3 603 (9.6) 총생활비 평균 218.2만원 150만원 미만 2,741 (43.8)
4명 이상 162 (2.7) 150만원~ 300만원미만 2,228 (35.6)
300만원 이상 1,291 (20.6)
Table 2.
Measurement Items and Reliability: Life Satisfaction
변수명(신뢰도계수) 측정
생활만족도(.817) 다음 각 항목에 대하여 귀하의 만족도는 어느 정도입니까?
- (항목) 건강, 가족의 수입, 주거환경, 가족 관계, 직업(일), 사회적 친분관계, 여가생활, 전반적인 만족도
- (측정) 1. 매우 불만족 2. 대체로 불만족 3. 그저 그렇다 4. 대체로 만족 5. 매우 만족
Table 3.
Measurement Items and Reliability: Demographic Variables
변수명 측정
성별 남, 여
연령 태어난 연도를 기반으로 구분
배우자 유무(혼인상태) 유, 무
주된 경제활동 ‘상용직, 임시/일용/자활, 자영업/고용주, 무직’
거주지역 서울시, 광역시, 시, 군, 도농 복합군
교육수준 무학, 초·중·고졸업, 대졸이상
Table 4.
Measurement Items and Reliability: Physical Variables
변수명 측정
만성질환(투병투약) 없음, 6개월 미만, 6개월 이상
주관적 건강상태 낮음, 보통, 높음
Table 5.
Measurement Items and Reliability: Financial Variables
변수명 측정
가처분소득 연간 근로, 사업, 재산, 기타 소득 등을 조사하여 가처분 소득을 계산하여 데이터 공시
부채 2021. 12. 31 기준 부채의 형태별 부채액(명의 기준)
1.금융기관대출 2.일반사채 3.카드빛
부동산자산 2021. 12. 31 기준 거주하고 있는 집을 제외한 소유부동산의 유형별 가격(현시가기준)
1.주택 2.주택외 건물 3.토지, 양식장, 기타 부동산
금융자산 2021. 12. 31 기준 소유하고 있는 금융자산의 유형별 가격
1.예금 2.적금 3. 주식, 채권, 펀드
총생활비 2021년 1년동안 지출한 총 생활비의 월평균 금액
Table 6.
Measurement Items and Reliability: Psychological Variables
변수명(신뢰도계수) 측정
귀하는 지난 1주일간 얼마나 자주 다음과 같이 느끼셨습니까?
우울감(.874) 항목 1.먹고 싶지 않고 식욕이 없다
2.비교적 잘 지냈다(역)
3.상당히 우울했다
4.모든 일들이 힘들게 느껴졌다
5.잠을 설쳤다(잠을 잘 이루지 못했다)
6.세상에 홀로 있는 듯한 외로움을 느꼈다
7.큰 불만없이 생활했다(역)
8.사람들이 나에게 차갑게 대하는 것 같았다
9.마음이 슬펐다
10.사람들이 나를 싫어하는 것 같았다.
11.도무지 뭘 해 나갈 엄두가 나지 않았다
측정 1.극히 드물다(일주일에 1일 미만) 2.가끔 있었다(일주일에 1-2일간)
3.종종있었다(일주일에 3-4일간) 4.대부분 그랬다(일주일에 5일 이상)
귀하가 가장 가깝다고 느끼시는 곳에 표시하여 주십시오.
자존감(.777) 항목 1.나는 내가 다른 사람들처럼 가치 있는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2.나는 좋은 성품을 가졌다고 생각한다.
3.나는 대체적으로 실패한 사람이라는 느낌이 든다(역)
4.나는 대부분의 사람들과 같이 일을 잘 할 수가 있다
5.나는 자랑할 것이 별로 없다(역)
6.나는 내 자신에 대하여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다
7.나는 내 자신에 대하여 대체로 만족한다
8.나는 내 자신을 좀 더 존경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
9.나는 가끔 내 자신이 쓸모없는 사람이라는 느낌이 든다(역)
10.나는 때때로 내가 좋지 않는 사람이라고 생각한다(역)
측정 1.대체로 그렇지 않다 2.보통이다 3.대체로 그렇다 4.항상 그렇다
Table 7.
Correlations Among All the Variables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 1
2 -.300** 1
3 .023 -.028* 1
4 .073** -.062** .071** 1
5 .023 -.009 .033** .091** 1
6 .200** -.122** .032* .187** .074** 1
7 .228** -.136** .065** .246** .087** .459** 1
8 -.362** .134** -.024 -.044** -.048** -.185** -.231** 1
9 .369** -.129** .033** .049** .058** .208** .256** -.595** 1
10 .622** -.281** .024 .051** .028* .177** .200** -.431** .412** 1
11 .232** -.082** .035** -.004 .032* .194** .182** -.287** .333** .329** 1
12 .147** -.045** .017 .033* .039** .083** .119** -.221** .282** .218** .319** 1
13 .149** -.055** .014 .028* .034** .129** .160** -.291** .352** .197** .300** .380** 1
14 .272** -.074** .025* .033** .044** .134** .164** -.347** .417** .332** .373** .333** .355** 1
15 .236** -.087** .018 .032* .018 .125** .162** -.330** .431** .285** .242** .334** .379** .452** 1
16 .249** -.076** .026* .026* .003 .100** .119** -.300** .387** .288** .282** .287** .278** .443** .517** 1
17 .317** -.110** .027* .028* .022 .165** .186** -.419** .505** .406** .468** .467** .471** .595** .591** .595** 1

Note. 1: 주관적 건강상태, 2: 만성질환 정도, 3: 금융자산, 4: 부채, 5: 부동산 자산, 6: 가처분소득, 7: 월평균생활비, 8: 우울감, 9: 자존감, 10: 건강만족도, 11: 경제적 만족도, 12: 주거 만족도, 13: 가족관계 만족도, 14: 직업 만족도, 15: 사회적 관계 만족도, 16: 여가 만족도, 17: 전반적 만족도

Table 8.
Life Satisfaction Level of the Elderly Population
구분 전반적 만족도
건강 가족수입 주거환경 가족관계 직업 사회적 친분관계 여가생활
평균 3.47 2.80 2.99 3.68 3.68 3.38 3.61 3.24
Table 9.
Differences in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Elderlys‘ Characteristics
변수 구분 전반적 만족도
인구통계학적 요인 성별 3.5
3.45
t-value -3.155**
연령 65-74 3.53 c
75-84 3.44 b
85세이상 3.35 a
F-value 30.559***
배우자 3.54
3.36
t-value 10.711***
교육 수준 무학 3.30 a
초중고 3.47 b
대졸이상 3.73 c
F-value 70.539***
주된 경제 활동 상용직 3.77 c
임시/일용/자활 3.56 b
자영업/고용주 3.59 b
무직 3.38 a
F-value 57.083***
거주 지역 서울 3.44 a
광역시 3.44 a
3.46 a
3.47 a
도농복합군 3.72 b
F-value 11.716***
신체적 요인 만성 질환 없음 3.66
6개월 미만 3.59
6개월 이상 3.44
F-value 37.561***
주관적 건강 상태 낮음 3.26a
보통 3.48 b
높음 3.74 c
F-value 327.212***
재무적 요인 가처분 소득 1천만원 이하 3.21 a
1천만원 ~2천만원 3.36 b
2천만원 ~3천만원 3.52 c
3천만원 이상 3.63 d
F-value 126.465***
부채 없음 3.47 b
2천만원 이하 3.35 a
2천만원 이상 3.50 b
F-value 6.777**
부동산 자산 없음 3.39 a
1억 8천만원 이하 3.51 b
1억 8천만원 이상 3.64 c
F-value 77.758***
금융자산 5천만원 이하 3.39 a
5천만원~1억원 3.61 b
1억원이상 3.71 c
F-value 136.741***
월 평균 생활비 150만원 미만 3.32 a
150만원~300만원 3.53 b
300만원 이상 3.66 c
F-value 154.263***
심리적 요인 우울감 낮음 3.69 c
위험 3.40 b
매우위험 2.95 a
F-value 510.896***
자존감 낮음 3.16
높음 3.69
t-value -35.176***

Note. 사후검정 Scheffe a<b<c

* p <.05,

** p <.01,

*** p <.001

Table 10.
Result for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of Life Satisfaction(Total)
변인 모형1
모형2
모형3
모형4
B β B β B β B β
(상수) 3.541*** 2.623*** 2.382*** 1.368***
성별(남성=1) -.087*** -.067 -.104*** -.081 -.106*** -.082 -.082*** -.064
연령 -.002 -.021 .003** .037 .006*** .069 .008*** .092
배우자 유무(배우자 있음=1) .147*** .114 .131*** .102 .088*** .069 .010 .008
주된 경제활동(준거:일용 및 임시직) 상용직 .125* .027 .124* .027 .053 .012 .033 .007
자영업/ 고용주 .017 .010 .015 .009 .001 .001 -.024 -.014
무직 -.177*** -.138 -.127*** -.099 -.123*** -.096 -.042* -.033
거주지역(준거:중소도시) 서울 -.058* -.028 -.099*** -.049 -.119*** -.059 -.057* -.028
광역시 -.029 -.020 -.019 -.013 -.023 -.016 .010 .007
-.023 -.018 -.018 -.014 -.022 -.017 .018 .014
도농복합군 .240*** .076 .161*** .051 .165*** .052 .169*** .054
교육수준(준거: 무학) 초중고졸 .111*** .071 .083** .053 .080** .052 .029 .019
전문대졸 이상 .378*** .159 .287*** .121 .243*** .102 .127*** .053
신체적 요인 만성질환 없음 .025 .012 .020 .009 -.008 -.004
6개월이상 투병,투약 .005 .002 .002 .001 -.026 -.014
주관적 건강상태 .197*** .276 .190*** .267 .089*** .125
재무적 요인(단위: 천 만원) 가처분 소득 .011*** .057 .009*** .044
부채 -.003* -.027 -.001 -.012
부동산 자산 -0.00 -.003 -0.00 -.016
금융자산 0.00 .007 0.00 .005
월평균 생활비 .308*** .087 .158** .045
심리적 요인 우울감 -.020*** -.166
자아 존중감 .053*** .348
R2 0.067 0.134 0.143 0.305
Adj.R2 0.065 0.131 0.14 0.302
R2변화량 0.067 0.067 0.01 0.162
F 변화량 37.124 160.746 14.025 724.8

* p <.05,

** p <.01,

*** p <.001

Table 11.
Result for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Sub-Life Satisfaction
변인 건강만족도
가족의 수입 만족도
직업만족도
주거환경 만족도
B β B β B β B β
(상수) 1.298*** 0.273 1.299*** 1.872***
성별(남성=1) 0.010 0.005 -0.075** -0.044 -0.114*** -0.079 -0.060** -0.043
연령 -0.002 -0.014 0.020*** 0.186 0.011*** 0.116 0.010*** 0.107
배우자 유무(배우자 있음=1) -0.086*** -0.046 -0.111*** -0.066 0.029 0.020 0.066** 0.047
주된 경제활동(준거:일용 및 임시직) 상용직 0.064 0.010 -0.012 -0.002 0.084 0.016 -0.058 -0.012
자영업/ 고용주 -0.014 -0.006 -0.157*** -0.071 -0.148*** -0.078 0.008 0.004
무직 -0.127*** -0.068 -0.037 -0.022 -0.283*** -0.197 0.020 0.014
거주지역(준거:중소도시) 서울시 -0.005 -0.002 -0.194*** -0.072 0.052 0.023 -0.017 -0.008
광역시 0.100*** 0.046 -0.075** -0.038 0.015 0.009 0.022 0.013
0.042 0.023 -0.053* -0.031 0.061** 0.042 0.079*** 0.056
도농복합시 0.048 0.010 0.066 0.016 0.223*** 0.063 0.223*** 0.065
교육수준(준거: 무학) 초중고졸 0.036 0.016 0.059 0.029 0.048 0.027 0.030 0.017
전문대졸 이상 0.115** 0.033 0.162** 0.052 0.137** 0.051 0.124** 0.048
신체적 요인 주관적 건강상태 0.496*** 0.477 0.107*** 0.114 0.085*** 0.106 0.034** 0.044
만성 질환 없음 0.267*** 0.086 -0.084 -0.030 -0.002 -0.001 -0.069 -0.030
6개월이상 투병,투약 -0.027 -0.010 -0.122* -0.048 0.018 0.008 -0.066 -0.032
재무적 요인(단위: 천 만원) 금융자산 0.000 0.002 0.000 0.017 0.000 0.005 0.000 0.002
부채 -0.002 -0.012 -0.008*** -0.052 -0.001 -0.006 0.002 0.012
부동산자산 0.000 0.001 0.000 0.003 0.000 0.011 0.000 0.011
가처분소득 0.002 0.008 0.037*** 0.141 0.005 0.021 0.002 0.011
월평균 생활비 0.012 0.002 0.589*** 0.126 0.183** 0.046 0.208*** 0.054
심리적 요인 우울감 -0.030*** -0.169 -0.021*** -0.130 -0.018*** -0.130 -0.011*** -0.080
자아 존중감 0.024*** 0.109 0.042*** 0.209 0.046*** 0.269 0.035*** 0.214
F 242.386 66.660 89.800 32.972
R2 .461 .190 .241 .104
Adj.R2 .459 .188 .238 .101

* p <.05,

** p <.01,

*** p <.001

Table 12.
Result for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Sub-Life Satisfaction (Cont.)
변인 가족관계만족도
사회적 친분 만족도
여가생활 만족도
B β B β B β
(상수) 2.026*** 2.219*** 1.187***
성별(남성=1) -0.125*** -0.098 -0.124*** -0.092 -0.061** -0.041
연령 0.009*** 0.105 0.001 0.008 0.007*** 0.067
배우자 유무(배우자 있음=1) 0.124*** 0.097 0.004 0.003 -0.032 -0.021
주된 경제활동(준거:일용 및 임시직) 상용직 0.053 0.012 0.049 0.010 0.051 0.010
자영업/ 고용주 0.058* 0.034 0.028 0.016 -0.006 -0.003
무직 0.016 0.012 -0.108*** -0.081 -0.017 -0.011
거주지역(준거:중소도시) 서울시 0.005 0.002 0.012 0.006 -0.023 -0.009
광역시 0.056* 0.038 0.064** 0.041 0.006 0.003
0.065** 0.051 0.013 0.010 0.020 0.013
도농복합시 0.149*** 0.048 0.164*** 0.050 0.105* 0.029
교육수준(준거: 무학) 초중고졸 0.042 0.027 0.050* 0.031 0.058* 0.032
전문대졸 이상 0.087* 0.037 0.103** 0.041 0.162*** 0.058
신체적 요인 주관적 건강상태 0.004 0.005 0.042*** 0.056 0.095*** 0.114
만성 질환 없음 0.037 0.017 -0.049 -0.022 -0.084 -0.034
6개월이상 투병,투약 0.021 0.011 -0.057 -0.028 -0.071 -0.031
재무적 요인(단위: 천 만원) 금융자산 0.000 -0.003 0.000 -0.001 0.000 0.010
부채 0.000 -0.001 -0.001 -0.005 0.000 0.002
부동산자산 0.000 0.000 0.000 -0.013 0.000 -0.024
가처분소득 0.007** 0.036 0.001 0.006 0.003 0.014
월평균 생활비 0.210*** 0.059 0.133* 0.036 0.073 0.017
심리적 요인 우울감 -0.015*** -0.127 -0.013*** -0.104 -0.014*** -0.097
자아존중감 0.038*** 0.253 0.050*** 0.316 0.052*** 0.291
F 53.483 77.603 60.077
R2 .159 .215 .175
Adj.R2 .156 .212 .172

* p <.05,

** p <.01,

*** p <.001

References

Asebedo, S. D., & Seay, M. C. (2014). Positive psychological attributes and retirement satisfaction. Journal of Financial Counseling and Planning, 25(2), 161-173.

Baek, E. Y. (2009). Determinants of retirement satisfaction of retirees.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44, 345-371. https://doi.org/10.21194/kjgsw..44.200906.345
crossref
Borg, C., Hallberg, I. R., & Blomqvist, K. (2006). "Life satisfaction among older people (65+) with reduced self-care capacity: the relationship to social, health and financial aspect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5(5), 607-618. https://doi.org/10.1111/j.1365-2702.2006.01375.x
crossref pmid
Bowling, A., Gabriel, Z., Dykes, J., Dowding, L. M., Evans, O., Fleissig, A., et al. (2003). Let's ask them: A national survey of definitions of quality of life and its enhancement among people aged 65 and over.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and Human Development, 56(4), 269-306. https://doi.org/10.2190/BF8G-5J8L-YTRF-6404
crossref pmid
Cha, E. J., & Kim, K. H. (2015). Effects of subjective health status on life satisfaction among middle-aged and aged people in Korea: Testing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70, 53-80. https://doi.org/10.21194/KJGSW..70.201512.53
crossref
Chai, J. H., & Seo, J. W. (2019). A Study on the life satisfaction influence factors of senior: A comparative analysis of between urban and rural Area.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31(3), 137-158. https://doi.org/10.22885/KRDA.2019.31.3.158
crossref
Chang, M. S., & Park, K. S. (2012). Factors affecting life satisfaction for the aged: From the ecosystem perspective.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32(2), 232-266. https://doi.org/10.15709/HSWR.2012.32.2.232
crossref
Cho, D. H. (2015). Analysis on the determinant of life satisfaction by using panel data. Korea Review of Applied Economics, 17(1), 5-27.

Choe, H. J., Joo, S. H., Kim, M. J., Kim, J. H., & Cho, H. J. (2012). The development of retirement readiness composite index of Korea. Survey Research, 13(3), 63-87. http://uci.or.kr/I410-ECN-0102-2013-330-002082059

Cumming, E., & Henry, W. E. (1961). Growing old: The process of disengagement. NY: Basic Boks. https://doi.org/10.1017/S0144686X00004025.

Diener, E. (2000). Subjective well-being: The science of happiness and a proposal for a national index. American psychologist, 55(1), 34-43. https://doi.org/10.1037/0003-066X.55.1.34
crossref pmid
Han, J. R., & Kim, S. H. (2004). The effect of demographic variables and self-esteem on the life-satisfaction of the older men and women in rural area.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26, 91-118.

Han, J. H., Choe, H. C., & (2015). Who can enjoy happy retired life?. Financial Planning Review, 8 (3). Who can enjoy happy retired life? Financial Planning Review, 8(3), 95-123. http://doi.org/10.2139/ssrn.3113331
crossref
Han, S. M,Lee, B. K. (2012). Effectiveness of a character strengthsbased positive psychotherapy on depression, life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among the depressed elderly.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1(4), 971-992. https://doi.org/10.15842/KJCP.2012.31.4.006006
crossref
Harvey, J. H., & Miller, E. D. (2000). Loss and trauma: General and close relationship perspectives. Psychology Press. NY: Brunner Routledge.

Havighurst, R. J., & Albrecht, R. (1953). Older people. NY: Longmans Green.

Helliwell, J. F., & Wang, S. (2014). Life satisfaction in Korea: Trends, distributions, and explanations. Measuring and Explaining Subjective Well-being in Korea, 51.

Hillier, S. M., & Barrow, G. M. (2015). Aging, the individual, and society. CA: Cengage.

Hong, S. P., & Lim, H. R. (2022). Analysis of changes in life satisfaction and influence factors in single-person households of middle-aged and elderly people: Comparative analysis of middle-aged and elderly people with multi-person households. Health Social Welfare Review, 42(2), 7-27. https://doi.org/10.15709/hswr.2022.42.2.7
crossref
Ka, Y. H. (2006). The effects of adults' work-family conflicts on satisfaction in the domains and subjective quality of life.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11(2), 163-186. http://uci.or.kr/I410-ECN-0102-2009-180-000933625

Kalish, R. A., & Knudtson, F. W. (1976). Attachment versus disengagement: A life-span conceptualization. Human Development, 19(3), 171-181. https://doi.org/10.1159/000271527
crossref
Kang, Y. S., & Jung, J. (2020). The effects of characteristic and social support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15(1), 259-268. https://doi.org/10.16972/apjbve.15.1.202002.259
crossref
Kim, C., & Kim, I. K. (2000). Patterns of intergenerational support exchange and the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0(2), 155-168.

Kim, M. S., & Ko, J. W. (2013).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 An integrative approach. Jou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3(6), 246-259. https://doi.org/10.5392/JKCA.2013.13.06.246
crossref
Kim, H. J., Ko, S. Y., Jung, H. W., Lee, J. S., & Lim, J. Y. (2009). . A study of predictors of retired elderly men's life satisfaction."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Research 21, 21, 253-280.

Kim, E. Y., Lee, D. S., & Han, J. R. (2018). The effect of difference age and aging anxiety on life satisfaction among elderly. Korean Society Education Gerontol, 4(1), 25-46.

Kim, C. S., & Yoo, S. H. (2009). The investigation of the level of satisfaction towards life of the elderly: Focusing on the difference according to one's personal backgrounds. Social Sciences Research Review Kyungsung University, 25(4), 51-73.

Korean Welfare Panel Study(2023), Korean welfare panel study user guide 17th, Retrieved 8 20th, 2023 from https://www.koweps.re.kr:442/data/guide/list.do

Kwak, M. J., & Lee, H. S. (2014). The effects of economic factors on life satisfaction: Focused on modulating effects of psychological factors. Journal Of Consumer Studies, 25(2), 93-119.

Kwon, J. D., & Cho, J. Y. (2000). A studiy of factors influencing the life satisfacion of the aged.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20(3), 61-76.

Lee, G. G. (2008). An exploratory study on the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in Seoul. Korean Journal of Geronological Social Welfare, 42, 55-78. http://doi.org/10.21194/KJGSW..42.200812.55
crossref
Lee, K. W. (2021). Validation of the CESD-11 using item response theory. Korea Academy Of Mental Health Social Work, 49(2), 5-26. https://doi.org/10.24301/MHSW.2021.3.49.2.5
crossref
Lee, E. J., & Park, J. H. (2023). The actor-partner effects of marital satisfaction on life satisfaction in middle-aged and older couple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health behavior and health. Human Ecology Research, 61(4), 615-633. http://doi.org/10.6115/her.2023.040
crossref
Medley, M. L. (1976). Satisfaction with life among persons sixty-five years and older: A causal model. Journal of Gerontology, 31(4), 448-455. https://doi.org/10.1093/geronj/31.4.448
crossref pmid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2021) The Korean elderlysurvey 2020. Retrieved 9 13th, 2023 from https://www.narastat.kr/metasvc/index.do?confmNo=117071&inputYear=2020

Numbeo. (2024). Current grocery index by city, Retrived 3 24th, 2024 from https://www.numbeo.com/cost-of-living/rankings_current.jsp?displayColumn=3

Park, C. J. (2013). The effects on the retired elder's life satisfaction of decision type for retirement and preparedness for aging.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59, 115-138. https://doi.org/10.21194/kjgsw..59.201303.115
crossref
Park, K. S. (2003). Labor exit process of old workers aged 55 and over; Implication for typology of retirement. Quarterly Journal of Labor Policy, 3(1), 103-140.

Park, K. N. (2004). Gender differences in the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24(3), 13-29. http://uci.or.kr/G704-000573.2004.24.3.006

Park, S. M., Son, J. A., & Bae, S. W. (2009). A longitudinal analysis on the prospective change of life satisfaction among elderly-Focusing on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Social science research, 25(3), 1-24. http://uci.or.kr/G704-001638.2009.25.3.010

Seligman, M. E. (2011). Flourish: A visionary new understanding of happiness and well-being.

Seligman, M. E., Rashid, T., & Parks, A. C. (2006). Positive psychotherapy. American psychologist, 61(8), 774-788. https://doi.org/10.1037/0003-066X.61.8.774
crossref pmid
Seo, J. G. (2015). A hierarchical analysis on the commuting behaviors and urban spatial characteristics.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11(4), 506-514. https://doi.org/10.15683/KOSDI.2015.11.4.506
crossref
Shin, H. S., Kim, N. Y., & Kim, M. J. (2022). Testing a multidimensional factor structure of well-being in a Korean college student sample: Application of the PERMA framework.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8(3), 149-178. http://dx.doi.org/10.21509/KJYS.2021.03.28.3.149
crossref
Shin, S. B. (2015). The analysis on the determinants of happiness in Korea. Journal of Social Science, 41(2), 183-208. https://doi.org/10.15820/KHJSS.2015.41.2.008
crossref
Son, Y. K., & Choi, S. M. (2020). The effects of preparation for later life on life satisfaction after retirement : Focused on gender difference. Social Work Practice & Research, 17(2), 5-40. http://dx.doi.org/10.38082/SWPR.2020.17.02.5
crossref
Statistics Korea. (2023). Elderly statistics 2023. Retrieved 11 14th, 2023 from https://www.kostat.go.kr/board.es?mid=a10301010000&bid=10820& act=view& list_no=427252

Sung, J. M., & Ahn, J. Y. (2011). A study of retirees' satisfaction on retirement. Korean Economic Studies, 29(3), 175-212.

Tae, M. W. (2021). The effect of the self-efficiency of older people on the quality of life-Based on the mediated effect of self-respect.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1(4), 220-232. https://doi.org/10.5392/JKCA.2021.21.04.220
crossref
Won, K. H., & Kim, Y. H. (2015). Relationship between retirees' subjective health and life satisfaction.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10(6), 225-233. https://doi.org/10.16972/APJBVE.10.6.201512.225
crossref
Yun, K. I., & Kang, I. S. (2016). The effect on the life satisfaction of poverty of single households based on the capability approach of Amartya Sen.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36(2), 457-473.

Editorial Office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TEL : +82-2-561-6416, +82-2-561-6446    FAX : +82-2-562-2999    
E-mail : khea6416@daum.net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2014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Developed in M2P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