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This study analyzes the welfare services and spatial composition of social welfare centers that represent complex welfare facilities in order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the spatial planning of social welfare centers. We examined 15 social welfare centers built in the 2000s. A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y were used as research methodology. The findings are as follow. First, services provided at the surveyed facilities overlapped for seniors and the handicapped. Most social welfare centers provided welfare services for seniors, young children, and teenagers. Second, the proportion of common area, program rooms was high for spatial composition. Third, front access by car was most common (used at nine centers) for the design of the access area and used by. Fourth, shared entry and exit was most common (used at 10 centers) for the design of the entrance. Fifth, regarding space combining style, a mixed style was most frequently used (observed at seven centers) where different private areas for different service users were partly mixed on certain floors. Sixth, a corridor type was most common (used at seven centers) for the design of a corridor space where visitors could walk along the corridor to access individual rooms. Based on the findings, we propose spatial composition of social welfare centers to promote mingling and exchanges among users of different generations.
서론우리나라는 급속한 경제성장으로 인한 도시화, 산업화, 세계화로 출산율 감소, 고령화 사회의 진입, 전문직 여성의 증가, 다민족 유입 등의 사회문화적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또한 저출산·고령화로 경제활동 인구가 감소하면서 사회적 부담이 증가하고, 다문화 사회에 대한 사회복지서비스도 증가하고 있다.
사회복지는 도움과 지원을 필요로 하는 사람이 자립하여 그가 속한 사회에서 자신의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지역사회에 통합되어 살아가는 것을 목표로 한다. 따라서 몸이 불편한 장애인, 양성평등에 따른 여성, 생애주기에 따른 노인, 세계화에 따른 이주민 및 다문화가정 등 다양한 복지수혜대상자를 그 특성에 따라 적합하게 지원해 줄 지역사회 내에서의 생활중심 지원서비스 및 장소의 제공이 필수적이다[4].
현재 우리나라 사회복지시설은 국민생활기초법, 아동복지법, 노인복지법 등 20여개의 법률에 근거하여 노인, 아동, 장애인, 저소득층 등으로 서비스 수혜대상자를 구분하고 그에 따른 집중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개별적인 시설을 설치·운영 중에 있다. 그러나 복지서비스는 대상을 구분하기보다 지역주민으로 통합하여 접근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세대 간의 단절 보다는 세대 간 교류의 장소로 활용하여 커뮤니케이션의 장으로써의 복지시설에 대한 의식개선이 필요하다. 이러한 대안으로 다양한 복지서비스가 통합된 복합복지시설이 대두되고 있으며, 지역복지계획의 측면에서도 복지시설의 복합화를 통해 사업수행의 경제적, 물리적 효율성을 증대시키려 하고 있다.
여러 종류의 복지시설 가운데 종합사회복지관은 아동, 청소년, 장애인, 노인, 성인 등 전세대를 포괄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어 국내 대표적인 복합복지시설이라 할 수 있으며 또한 세대간 교류도 용이하다. 이에 이 연구는 종합사회복지관의 서비스 질을 높이고, 이용자들에게 최적의 환경을 제공하며, 세대간의 교류 활성화를 위해 공간구성의 특징을 분석하여, 종합사회복지관 공간구성의 개선방향 및 복합복지시설의 공간구성 계획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론적 배경1. 복합복지시설의 개념복합복지시설에 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노인복지시설의 복합화를 중심으로 한 연구들을 시작으로 학교 등과 같은 지역 유관기관과의 복합화 방안도 모색되고 있다. 복지시설의 복합화는 여러 복지시설을 개별적으로 설치하는 것 보다 통합 설치 및 운영으로 토지 및 공간의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하고 유지관리의 측면에서 합리적이며, 물리적·재정적인 비용이 절감되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복합복지시설은 다양한 복지서비스 및 복지 이외의 서비스 즉 보건의료, 문화체육시설 또는 행정시설 등을 복합적으로 제공하는 기능적 복합과 서로 다른 운영주체가 하나의 시설을 복합적으로 운영하는 운영적 복합 등을 포괄하는 개념을 가진다. 복지시설의 복합화를 통해 시설별 서비스의 전문성을 유지하면서 이용자 간의 교류 및 시설이용의 편의성 증대를 도모할 수 있고, 운영적인 면에서 시설 간 중복기능의 배제 및 관리의 효율성 제고를 통한 초기투자비와 시설운영비 절감의 효과가 기대된다[3].
일본의 경우, 복합복지시설의 대부분은 노인시설이 필수적으로 포함되어 있으며 노인복지시설의 복합화는 지역복지의 향상과 함께 노인과 지역사회의 다양한 계층과의 교류에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특히 유아 및 아동과의 세대 간 교류증진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어 노인복지시설과 보육시설, 초·중학교 등과의 복합화 사례가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4].
2. 복합복지시설의 세대간 교류세대간 교류는 아동, 청년, 중·고년 세대가 자신이 가지고 있는 능력과 기술을 발휘하여 자기 자신의 발전과 함께 주변인들을 비롯한 사회 전체에 도움이 되는 건전한 지역사회형성을 실천하는 활동으로 미국과 일본 등 이미 고령화가 정착되기 시작한 선진국을 중심으로 다각적으로 활발한 연구와 실천이 진행되어 그 효과를 인정받고 있다[1]. 국내에서도 세대간 교류의 개념을 노인복지측면으로 도입하여 노인복지사업의 활성화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방안으로 아동복지 프로그램과의 연계, 교류공간 분석 등의 연구가 보고되고 있다. Park과 Park [7]은 세대간 교류의 종류를 크게 시각적·청각적 접촉 유무에 따라 ‘직접교류’와 ‘간접교류’로 구분하고 직접교류는 다시 운영자의 의도에 의해 진행되는 ‘기획교류’와 일상생활 중 자연스럽게 만나는 ‘우발교류,’ 대상자의 능동적인 행동에 의해 발생되는 ‘자발교류’로 세분화하고 있다.
특히 복합복지시설은 다양한 세대를 대상으로 한 복지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어 교류활동을 위한 공간구성에 따라 커뮤니티 증진에 기여하는 정도가 다를 수 있으므로 세대간 교류측면에서 종합사회복지관을 분석하여 향후 계획되는 다양한 복합복지시설에 참고하는 것이 필요하다.
3. 종합사회복지관의 개념 및 현황우리나라 종합사회복지관은 사회복지관과 혼용되고 있다.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 제5조에서 “사회복지관(종합사회복지관을 포함한다)”이라고 정의하고 있으며, 보건복지부에서 발표한 사회복지관 설치·운영규정 제5조에서 “사회복지관의 명칭은 ○○사회복지관 또는 ○○종합사회복지관으로 사용하여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다.
19세기 산업혁명 및 도시화로 인한 사회문제의 해결을 위해 사회복지사업이 시작되었고 우리나라에는 1906년 원산에서 미국 선교단체에 의한 여성계몽사업을 시작으로 다양한 사회복지사업이 실시되었다. 이후 사회복지관이 설립되면서 민간차원의 사회복지사업이 발전되었으며, 1982년 정부의 정책사업으로 채택되고 1983년 사회복지관 사업법이 제정되면서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
국내 복합복지시설을 대표하는 종합사회복지관은 지역사회복지를 중심으로 종합적인 사회복지사업을 수행하는 사회복지시설로 가족복지, 아동복지, 청소년복지, 장애인복지, 노인복지, 지역복지 등 6개 분야별 단위사업 중에서 해당 복지관의 실정에 적합한 프로그램을 10개 이상 선정하여 수행하고 있다[6].
연구방법1. 연구방법 및 내용이 연구는 문헌을 통한 실증조사와 현장조사방법을 채택하여 관련 선행연구, 홈페이지 등을 중심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종합사회복지관의 공간구성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국내 종합사회복지관은 총 446개소 중에서 도면수집이 가능하고, 2000년 이후에 개관한 종합사회복지관 15개소로 선정하였다.
2. 연구대상 개요조사대상 종합사회복지관의 일반적 개요는 Table 3과 같다. 사회복지관의 법인유형은 사회복지법인, 재단법인, 학교법인으로 구분되고, 사회복지법인은 9개소(60.0%), 재단법인은 4개소(26.7%), 학교법인은 2개소(13.3%)로 대부분 사회복지법인에서 위탁운영을 하고 있다. 입면규모는 MS복지관을 제외한 모든 복지관이 4층 이하의 저층이고, 연면적은 YT복지관과 MS복지관이 10,000 m2 이상이고 나머지는 6,000 m2 미만이다. 입지지역은 도시가 12개소(80.0%)이고 읍면지역이 3개소(20.0%)로 도시지역에 편중되어 있다.
시설을 복합화하는 유형은 크게 공간적 복합화와 기능적 복합으로 구분하며, 공간적 복합은 시설별로 전용으로 사용하는 공간 외에 현관홀, 회의실, 식당, 복도, 계단 등을 공동으로 이용하는 것을 의미하고, 기능적 복합은 프로그램 등의 기능적 연계 및 운영을 같이 하거나 설비의 유지관리, 보안, 경비 등을 공동으로 이용하는 것을 의미한다[2]. 조사대상 종합사회복지관의 복합화 방식은 Table 4와 같이 공간적 복합과 기능적 복합이 통합되어 있으며 동일건물에 여러 복지시설이 위치한 경우, 동일대지 별동으로 여러 복지시설이 위치한 경우, 인접대지에 여러 동으로 복지시설이 분포한 경우로 구분된다. 조사대상 종합사회복지관의 경우 대부분이 동일건물에서 여러 복지시설을 운영하고 있었는데 1개의 운영주체로 인한 복합복지시설 관리상의 문제를 해결하고 협소한 대지조건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대안으로 적합하다. 동일대지나 인접대지에 여러 복지시설이 있는 경우는 노인공동작업장이나 보건소, 노인센터 등 복지시설에서 요구되는 시설이 근접해있어 다양한 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데 도움이 된다.
연구결과1. 종합사회복지관의 영역별·대상별 복지서비스 현황보건복지부에서 고시한 사회복지관 사업은 가족복지사업, 지역사회보호사업, 지역사회조직사업, 교육·문화사업, 자활사업의 5개 영역으로 구분하고 있다[6]. Table 5는 이를 기준으로 조사대상 종합사회복지관이 운영하는 복지서비스 현황을 분석한 것이다. 첫째, 가족복지사업은 부모의 역할을 보완하기 위해 실시되는 방과후 교육, 도서관운영, 진로탐색 등의 가족보완 사업과 신체적, 정신적 장애가 있는 가족을 위한 가정문제 해결·치료사업, 부양가족 지원사업이 있으며, 조사대상 모든 종합사회복지관에서 다양한 형태의 가족복지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둘째, 지역사회보호사업은 급식서비스, 보건·의료서비스, 경제적 지원, 자립적인 생활을 위한 일상생활 지원, 정서지원 서비스, 일시보호 서비스 등이 있으며, 조사대상 종합사회복지관 중 13개소(86.7%)에서 실시하고 있다. 셋째, 지역사회조직사업은 주민조직 강화 및 교육의 일환으로 재활용 운동, 주민의식 강화교육 등을 실시하고, 각 시설들과 복지네트워크를 구성하거나 주민복지 증진을 위한 지역주민행사, 시설대여, 정보제공, 자원봉사자 및 사회복지사 교육 등이 이루어지며, 조사대상 종합사회복지관 중 11개소(73.3%)에서 운영하고 있다. 넷째, 교육·문화사업은 아동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기능교실, 성인 기능교실, 노인 여가·문화사업, 문화복지사업 등이 있으며, 조사대상 종합사회복지관 중 13개소(86.7%)의 사례에서 운영하고 있다. 다섯째, 자활사업은 자립능력배양을 위한 직업기능훈련과 취업알선, 직업능력 개발, 자활공동체(공동작업)등과 같은 서비스를 운영하는 것으로 조사대상 종합사회복지관 중 7개소(46.7%)에서 실시하고 있다.
사업영역별 복지서비스는 가족복지사업, 지역사회보호사업, 교육·문화사업, 지역사회조직시업, 자활사업의 순서로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사업들은 세대 간 교류 보다는 수혜대상의 개별적인 복지증진을 위한 서비스가 대부분이며 지역사회조직사업 중에서 주민복지증진사업의 일환으로 년1회 실시되는 공동체사업으로 기획교류를 의도하는 서비스가 일부 편성되어 있었다. 따라서 사업영역이나 하위단위사업으로 세대간 교류증진을 위한 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Table 6은 조사대상 종합사회복지관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복지서비스를 지역주민, 노인, 장애인, 아동, 청소년의 수혜대상으로 구분하여 현황분석을 실시한 것이다.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복지서비스로는 부양가족 지원사업, 급식서비스, 일시보호 서비스, 경제적·정서적 지원, 자립생활지원, 여가·문화사업, 주민복지사업(경로잔치), 직업기능훈련, 자활공동체 육성 등이 있는데, 사업영역별로 보면 가족복지사업, 지역사회보호사업, 자활사업에 집중되어 있다. 아동과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복지서비스는 방과후 교육, 공부방 및 도서관 운영, 급식서비스, 기능교실, 직업기능훈련, 취업알선교육 등이 있으며 가족복지사업과 교육·문화사업에 집중되어 있다. 장애인을 대상으로 하는 복지서비스로는 신체적·정신적 장애 관련 프로그램, 부양가족 지원, 보건·의료서비스, 일시보호서비스, 직업기능훈련, 자활공동체 육성 등이 있으며, 사업영역별로 가족복지사업, 지역사회보호사업, 자활사업에 집중되어 있다.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은 가족상담과 부부상담, 주민의식강화교육, 주민복지증진사업(마을잔치, 벼룩시장 등), 자원봉사자 모집, 성인기능교실, 문화복지사업(영화상영, 음악회 등)으로 가족복지사업, 지역사회조직사업, 교육·문화사업에 집중되어 있다.
조사대상 종합사회복지관에서는 성인과 노인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을 모든 사례에서 실시하고 있다. 빈도가 가장 낮은 복지서비스는 장애인으로 9개소(60.0%)이다. 종합사회복지관은 다양한 이용자를 수용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었는데, 특히 모든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례가 4개소(26.7%), 성인, 노인, 장애인, 아동,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사례가 3개소(20.0%), 지역주민, 노인, 아동,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사례가 2개소(13.3%)이다.
사업영역별로 공통되는 수혜대상은 노인과 장애인으로 특히 보건·의료서비스와 일시보호 서비스, 직업기능과 자활공동체 육성의 서비스에서 공통점이 보이고 있어 이들의 복합화에 대한 계획도 가능하다. 또한 전체적으로 공통되는 수혜대상으로는 노인, 아동, 청소년이 많아 세대 간의 교류를 통한 지역복지의 향상과 커뮤니티 활성화에 긍정적인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사업영역별 복지서비스는 개개인의 복지증진을 위한 서비스가 대부분으로 사업영역의 교류증진을 위한 서비스 개편이 필요하다.
2. 종합사회복지관의 공간구성 현황선행연구를 통해 종합사회복지관의 공간구성은 크게 이용자공간과 관리공간으로 구분되며 이용자공간은 전용공간과 공용공간으로 세분화된다. Table 7과 같이 이용자 전용공간은 어린이집, 노인, 장애인, 아동 및 청소년 등 이용자의 특성에 맞는 개별적인 공간이고, 공용공간은 강당, 도서관, 특별활동실, 식당, 매점(카페), 체력단련실, 수영장, 보건의료실로 구분된다. 관리공간은 사무실, 상담실, 회의실, 기계실 등으로 구분된다. 세대간 교류가 가능한 공간은 공용공간으로 특히 강당에서는 관리자의 기획에 의한 교류가 가능하고, 도서관, 체력단련실, 수영장, 식당, 매점(카페) 등에서는 우발교류와 간접교류가 가능하다. 프로그램실은 수혜대상별로 프로그램의 운영이 이루어지지만 공간이 협소한 경우에는 시간차에 의한 공간운영으로 우발교류가 이루어질 가능성도 있다. 공용공간 프로그램실은 모든 사례 종합사회복지관에 있으며, 강당과 식당이 14개소(93.3%)로 그 다음 순서이다. 또한 노인전용공간은 13개소(86.7%), 아동 및 청소년 전용공간은 10개소(66.7%), 장애인 전용공간은 5개소(33.3%)로 공용공간을 중심으로 공간구성이 이루어지고 있다.
공용공간의 구성이 많은 경우, 복지대상자별로 갈등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런 경우에는 공용공간 이외에 불필요한 접촉을 줄일 수 있는 전용공간의 구성과 시설관리, 복지서비스의 운영이 필수적이다. 또한 노인과 장애인에게 필수적인 보건·의료서비스에 소요되는 공용공간이 부재시 서비스를 받는 방법과 동선 상에 문제가 생길 수 있으므로 전문적인 서비스가 불가능한 경우라도 기본적인 서비스가 이루어질 공간구성이 필요하다.
3. 종합사회복지관의 공간구성 유형1) 진입공간 형태종합사회복지관의 진입공간의 형태는 도로와 진입로의 형태에 따라 도로진입, 정면진입, 우회진입으로 구분되며 Table 8과 같다. 도로근접은 도로와 건물사이의 인도를 통해 주출입구에 진입하는 형태로 주차장은 건물주변에 별도로 배치되어 있어 보행에 의한 주출입구와 주차장의 보조출입구가 따로 배치된다. 도로근접형의 대부분은 주거 및 상가가 밀집된 지역에서 나타나고 있으며 조사대상 종합사회복지관에서는 3개소(20.0%)로 나타났다. 정면진입은 도로에서 건물의 정면을 향하는 주차장 진입로를 따라 진입하는 형태로 건물 정면에 주차장이 있어 보행로와 주차장 진입로가 혼합되어 있다. 대부분 대지가 넓거나 도심지 외곽에 위치하여 여유대지가 있을 경우에 나타났다. 조사대상 종합사회복지관에서는 9개소(60.0%)로 가장 많은 빈도를 보이고 있다. 우회 진입은 도로에서 건물의 측면을 따라 우회하여 주출입구로 진입하는 형태로 보조출입구가 도로에 근접하여 위치하기도 하지만 주출입구는 주차장과 맞닿아 있으며, 주거 및 상가 밀집지역에서 보이는 형태이나 주차장의 대지가 확보된 상태가 대부분이다. 조사대상 종합사회복지관에서는 3개소(20.0%)에서 나타났다. 종합사회복지관의 진입공간은 도로와 주차장의 관계에 따라 주출입구로 진입하고 있어 보행로와 차량통행로의 충돌이 예상되며 보행으로 복지시설을 이용하는 세대에 대한 배려가 필요하다.
2) 출입구 형태출입구 형태는 출입구와 개별실의 진입에 따라 공동출입-공유진입, 공동출입-개별진입, 개별출입으로 분류되며 Table 9와 같다. 공동출입-공유진입은 각 공간의 이용자들이 출입구과 진입공간을 모두 공유하는 형태로 우발교류가 자주 일어날 수 있으며 이용시간에 따라 동선의 혼잡이 일어날 수 있다. 공동출입-개별진입은 각 공간의 이용자들은 출입구만 공유하고 전용공간의 진입은 독립적으로 우발교류의 빈도가 공유진입에 비해 낮고 이용자의 특성에 따른 독립적인 공간운영이 가능하다. 개별출입은 이용자의 특성에 따라 출입구가 다르고 시설별 독립성 유지에 용이하며 공간의 진출입으로 인한 우발교류의 빈도가 가장 낮은 유형이다. 사례조사에서는 공동출입의 형태가 10개소(66.7%)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3) 공간적 복합종합사회복지관은 대상에 따라 공간의 영역을 구분하여 동선의 효율성과 이용자 특성에 따른 독립성을 유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의 영역을 구분하는 배치상의 특성을 공간적 복합으로 분석하였다. 공간적복합은 Table 10과 같이 이용자 전용공간을 중심으로 단면상 배치된 위치에 따라 병렬형, 적층형, 혼합형, 별동형으로 분류된다. 병렬형은 이용자 전용공간이 수직적으로 배치되는 형태로 수평층의 각 실에서 이용자들 간의 수평적 접근이 용이하다. 적층형은 각 수평층별로 이용자 전용시설이 분리 배치된 형태로 노인 및 아동 전용공간은 저층, 청소년 및 성인 전용 공간은 2층 이상으로 배치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전용공간을 이용하는 경우 이용자들 간의 교류가 어렵다. 혼합적 형태는 이용자 전용공간이 서로 복합적으로 배치되는 형태로 공용공간이 다양한 층에 분포되거나 같은 층에 전용공간이 배치되어 있어 이용자들의 다양한 상호교류가 발생될 수 있다. 별동형은 이용자 전용공간이 같은 대지 내 별도의 건물로 배치되어 독립적인 이용이 가능한 형태로 대부분의 사례가 아동전용공간을 별동으로 운영하는 경우이다. 사례조사에서는 혼합형이 7개소(46.7%)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4) 통로공간 형태통로공간 형태는 개별실을 진입하는 공간의 형태에 따라 홀형, 복도형, 혼합형으로 분류되며 Table 11과 같다. 홀형은 각 층에서 홀을 중심으로 개별실로 진입하는 형태로 개별실로 진입하면서 우발교류가 일어나거나 홀에 라운지 기능을 할 수 있는 소파나 벤치를 통해 간접교류가 발생할 수 있으며 홀 공간을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운영하면서 기획교류가 이루어지기도 한다. 복도형은 편복도 및 중복도의 통로공간에서 각 개별실로 진입하는 형태로 개별실의 독립성이 확보되면서 우발교류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혼합형은 홀형과 복도형이 복합적으로 구성된 형태로 홀형의 특징을 모두 포함하는 형태이다. 사례조사에서는 복도형이 7개소(46.7%)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결론 및 제언이 연구는 국내 종합사회복지관을 대표하는 종합사회복지관을 대상으로 공간구성을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혜대상별 복지서비스에는 노인과 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공통된 서비스 운영이 많았고, 종합사회복지관에서 대부분 노인, 아동,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복지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둘째, 공간구성은 공용공간을 중심으로 배치되어 대부분의 복지서비스가 공용공간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셋째, 진입공간 형태는 도로근접, 정면진입, 우회진입으로 구분되며, 정면진입형이 9개소(60.0%)로 가장 많은 빈도를 보였다.
넷째, 출입구 형태는 공동출입-공유진입, 공동출입-개별진입, 개별출입으로 구분되며, 공동출입이 10개소(66.7%)로 가장 높았다.
다섯째, 공간적 복합 형태는 병렬형, 적층형, 혼합형, 별동형으로 구분되며, 혼합형이 7개소(46.7%)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는데 이는 특별활동실을 위주로 한 복합화의 결과로 분석된다.
여섯째, 통로공간 형태는 홀형, 복도형, 혼합형으로 구분되며, 복도형이 7개소(46.7%)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서비스 기능에 따라 개별 실을 운영하여 동선의 혼잡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된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세대교류를 위한 공간구성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복지서비스에서 노인과 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보건·의료서비스와 일시보호서비스 같이 공통되는 서비스가 있으므로 이들을 위한 공간구성이 필요하다. 또한 노인과 아동 및 청소년을 위한 복지서비스가 많이 운영되고 있으므로 이들의 우발교류 및 간접교류를 위해 노인공간의 주변에 아동 및 청소년의 프로그램실을 배치하도록 한다.
둘째, 공용공간 프로그램실 빈도가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는데 프로그램실의 공간배치는 프로그램 성격에 맞게 혼합적으로 배치하여 기획교류를 의도하거나, 프로그램실로 이동하는 동선을 따라 우발교류와 간접교류가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셋째, 진입공간 형태가 차량에 의한 건물정면진입이 많은데 주차장과 건물 정면 사이에 쉼터나 휴게공간 등의 공터를 계획하여 우발교류와 간접교류를 의도한다.
넷째, 출입구 형태는 공동출입 형태가 많으나 복지서비스 이용특성에 사생활보호가 필요한 상황도 있을 수 있으므로 공동출입-개별진입 형태로 우발교류를 의도하면서 개별적인 복지서비스를 받도록 계획한다. 특히 공동출입의 근처에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공간을 배치하여 간접교류의 가능성을 높이도록 한다.
다섯째, 세대간 교류를 위한 공간적 복합형태는 병렬형과 혼합형으로 계획하고 수평층으로 교차되는 공용공간에서 우발교류와 간접교류를 증가시키도록 한다.
여섯째, 세대간 교류를 위한 통로공간 형태는 홀형이나 혼합형으로 계획하여 주변 공간으로는 노인공간을 배치하여 홀형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행사, 휴게공간을 통해 기획교류, 우발교류, 간접교류를 의도한다.
이상의 연구에서 대부분의 종합사회복지관에서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복지서비스와 전용공간을 포함하고 있었다. 노인은 신체적·정신적 이유로 활동공간의 범위에 제약이 있는데 노인 전용 공간을 중심으로 프로그램과 공용공간을 계획하여 기획교류, 우발교류, 간접교류를 의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대간 교류를 위한 종합사회복지관의 최종목표는 기획교류, 우발교류, 간접교류를 통한 자주적 교류에 있다. 세대간 교류를 통해 이해과 관심이 증가되면서 자발적인 교류가 이루어짐으로써 지역복지의 활성화가 이루어질 것이다.
Declaration of Conflicting InterestsThe authors declared that they had no conflicts of interest with respect to their authorship or the publication of this article. Acknowledgments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the 2015 scientific promotion program funded by Jeju National University.
Table 1.
Table 2.
Table 3.Table 4.Table 5.Table 6.Table 7.Table 8.Table 9.Table 10.Table 11.ReferencesJung, A. Y., Kim, H. J., & Park, C. I. (2010). Study on revitalization plan through the present condition analysis of intergenerational exchange of social welfare center.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19(3), 3-12.
Kim, S. H., & Kim, B. A. (2015, September). A study on the space composition of complex welfare facilities in Korea. Paper presented at the 8th Conference of the Jeju Regional Association of Architecture Institute of Korea. Jeju, Korea.
Kwon, S. J., Kim, S. G., Kim, S. J., Park, H. S., Sung, G. C., Shin, H. J., et al. (2008). A report on construction plan and design guidelines of regional complex welfare facilities in administrative city. Sejong: National Agency for Administrative City Construction.
Kwon, S. J., Kim, S. G., Kim, S. J., Park, H. S., Sung, G. C., Shin, H. J., et al. (2011). Design guidelines for the innovative welfare facilities. Paju: Gyomoonsa.
Lee, E. R., Soh, J. Y., & Lee, S. H. (2008). A study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senior residential complexes.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Journal, 17(2), 67-7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0). Management guidelines of welfare center and home-cased welfare service center.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Park, H. S., & Park, Y. K. (2008). A study of intergenerational interaction space planning in social welfare center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24(9), 133-143.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