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Sitemap | Contact Us |  
top_img
Hum. Ecol. Res Search

CLOSE

Fam. Environ. Res > Volume 52(5); 2014 > Article
지역 공동체 활성화와 가족친화를 위한 지원센터에 관한 연구: 서울과 인천소재 건강가정 · 다문화가족 지원센터의 물리적 공간환경 조사를 중심으로

Abstract

Family instability has a negative effect on not only an individual household but also the society. The government continues to operate family support centers as a countermeasure to family instability issues. A healthy and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is considered an effective support system that extends from a family unit to the local community. In this study, the satisfaction and demand levels of each center, located in Seoul and Incheon, were examined with respect to items such as operation contents, physical space, and organizational structure. The results showed that various efforts for creating a family-friendly community were implemented in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s and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It was found that the center organizers and operators focused more on software and programs than on the physical environment. There was mostly a shortage of physical and environmental space. This space shortage limited the planned and ongoing activities in terms of the residents’ self-directed participation and space formation for a family-friendly educational culture. Therefore, it was necessary to set up the space-related criteria for each center in order to solve this environmental issue. We identified the baseline data of the criteria for a center’s physical and spatial design and size. In particular, it was suggested that a more strategic physical and spatial design is needed to achieve an integral and effective operation for the connection of the family with the local society.

서론

1. 연구배경

한국의 가족은 현재 구조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기능적인 측면에서도 많은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다문화가족을 포함한 가족형태의 다양화, 가족구조의 단순화, 가족기능의 축소와 변화, 부부권력의 평등화, 가족역할의 대체기능 증대, 가족 생활주기의 변화, 그리고 가족가치체계의 다양화 등을 들 수 있다. 더욱이 자녀의 양육부담으로 인한 저출산, 부양의식의 약화로 인한 노인돌봄 문제, 청소년 문제, 실직과 신용불량자의 증가로 인한 가족해체 등 가정의 문제가 다양하고 심각한 위기에 처해있다. 이러한 가족의 불안정성은 개인, 개별 가정이나 가족에게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가정문제해결은 이제 더 이상 국가나 사회문제와 분리되어서 생각 할 수 없게 되었으며 가정 문제의 해결 방안 또한 가정 내부의 문제로만 접근하는 것은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정부는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가정의 기능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었고, 가정의 기능을 잘 수행할 수 있도록 가정의 건강성을 증진시킬 필요에 대한 인식이 대두되었으며, 통합적 가족복지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는 사회적 요구에 주목하게 되었다. 이러한 맥락 하에 2004년 가정문제의 해결 및 예방과 더불어 다양한 가정의 건강성을 증진시킴으로써 가정의 복지와 사회복지를 동시에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건강가정 기본법이 제정되어 건강가정지원센터에서 건강한 가족을 위한 사업을 실시하고 있다[6]. 또한 국제결혼, 외국인 근로자가 늘어나면서 다문화가족이 늘어나는 추세에 있으며 이들 가족의 건강한 사회 정착과 적응을 위하여 다문화 가족을 위한 지원센터도 운영 중에 있다[5].
국가와 사회의 가장 기본적인 가족의 건강성 증진이라는 목적으로 시행된 두 센터는 전국적으로 확산되어 다양한 가족지원 서비스를 지역사회 가족에게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해 왔다. 가족의 돌봄과 가족해체예방을 위한 사회적 차원의 다양한 지원을 중심으로 최근에는 개별적 가족을 대상으로 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지역사회가 안고 있는 문제해결을 위해 개별 가족뿐 아니라 이웃, 지역사회와의 통합적인 서비스를 지원하는 등 사업영역들이 다양한 차원과 포괄적인 시각으로 진행되고 있다[3, 4]. 지역사회거주 가족들에게 필요한 안전하고 쾌적하며 풍요로운 삶을 가족이 함께 같이 누릴 수 있는 가족친화적인 지역사회 환경조성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를 대변하여 센터에서도 최근에는 공동육아나눔터, 지역 공동체 활동 및 품앗이 사업 등 지역사회와 연계한 프로그램들이 활발히 제안되고 있다[8].
2005년 센터가 시작된 이후 이제 8년 정도가 지나 이제는 센터마다 정착을 하기 위한 시점에 들어섰다고 보여 진다. 이 시점에서 건강가정지원센터와 다문화가족지원센터가 그 간에 진행되어온 사업성과와 내용들을 바탕으로 앞으로 개인, 가족뿐 아니라 한 단계 더 발전하여 가족친화 지역사회조성을 위한 지원센터로서 충분한 기능과 역할을 담당해 낼 수 있는 준비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사업의 운영에 관한 소프트웨어 측면의 연구와 사업 수행을 위한 필수적인 제반 요건으로서 하드웨어 부분의 물리적 공간 설치와 시설에 대한 연구도 함께 필요하다[1, 7]. 그러나 상대적으로 건강가정지원센터와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물리적인 공간환경에 대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며 센터의 주관 부서인 여성가족부의 센터 운영세부지침에 설치 기준이 간략하게 소개되어있을 뿐 구체적인 공간계획 및 설치기준 지침이 아직 정해진 것이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8년 간의 사업의 운영을 바탕으로 가족친화 지역사회 조성을 위한 다양하고 통합적인 서비스 제공의 실질적 장소로서 물리적 공간환경[2]에 대한 구체적 연구가 필요하다.

2.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현재 서울과 인천에 소재한 건강가정지원센터와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 대한 현 실태를 조사하고 분석하고자 한다. 센터의 기본 운영 형태와 내용적 실태와 함께 센터의 물리적 공간 환경에 관한 실태 및 만족도와 요구도를 살펴봄으로써 건강가정지원센터와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성공적인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건강가정지원센터와 다문화가족지원센터가 가족에서 나아가 지역사회까지 포괄할 수 있는 효율적인 지원체계로서 발전하기 위한 물리적 환경적 공간의 요건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신규로 설치되거나 새로 증설, 이전하는 센터에는 참고자료가 될 수 있고 현재 설치된 센터에는 센터의 물리적 상황을 점검하고 개선하는데 도움이 되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연구방법

1. 조사방법 및 조사내용

조사방법은 두 차례 실시하였으며 1차의 경우 사례조사로 현장관찰 조사방법이며 담당자와의 면접, 구조화된 설문지와 사진 촬영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2차의 경우는 설문조사로 실시하였다. 또한 두 차례의 조사 전에 각 센터의 해당 홈페이지(건강가정지원센터[http://www.familynet.or.kr], 다문화가족지원센터[http://kihf.or.kr], 한국건강가정진흥원[http://www.mogef.go.kr], 여성가족부[http://www.liveinkorea.kr])에서 기초 자료를 수집하였다.
조사내용은 Table 1과 같다. 첫째, 센터의 개요로서 일반적인 특성(센터의 운영형태, 운영주체. 설치년도, 보조금 지원)과 운영현황(센터의 운영조직 및 종사자 수, 협약기관, 카페개설 수, 운영프로그램 특성)을 조사하였다. 둘째, 물리적 특성으로 일반적인 특성(건물 특징, 건물소유, 임차료, 건물총면적)과 공간구성 및 면적 특성(공간의 종류 및 존재유무, 면적, 면적 구성비, 중복사용공간비율, 사무실 1인당 공간면적)을 조사하였다. 마지막으로, 센터 종사자의 공간 필요도 항목으로 조사 대상자의 특성(소속센터, 소속팀, 성별, 나이, 학력, 전공, 자격증, 센터경력, 품앗이 사업경험유무, 품앗이 사업 경력)과 센터의 물리적 공간에 대한 의견(센터 내 공간사용현황, 공간구성비율, 공간 만족도 및 요구도)을 조사하였다.

2. 자료수집과정

조사대상은 서울과 인천에 소재하고 있는 지역별 건강가정지원센터와 다문화가족지원센터로 2차에 걸친 조사를 실시하였다. 1차 조사는 서울에서 12개소, 인천에서 9개소로 총 21곳의 센터를 조사하였다(서울: 강남구, 강동구, 강서구, 관악구, 노원구, 도봉구, 동대문구, 동작구, 마포구, 서울시, 성동구, 중구; 인천: 강화군, 계양구, 남구, 남동구, 동구, 부평구, 서구, 연수구, 중구). 2차 조사는 설문을 허락한 서울 9개소와 인천 9개소로 총 18곳을 조사하였다(서울: 강남구, 강동구, 강서구, 관악구, 노원구, 동대문구, 마포구, 성동구, 중구; 인천: 강화군, 계양구, 남구, 남동구, 동구, 부평구, 서구, 연수구, 중구).
1차 조사의 경우 인천은 100% 전수 조사가 되었으며 서울의 경우 방문을 허락한 12개소로 약 48%가 조사되었다. 2차 조사의 경우 각 센터 당 8-10부 정도로 총 150부 정도를 조사하였으며 그 중 회수되어 결과에 사용된 설문지는 총 112부를 사용하였다. 평균 센터 직원 수(센터장 포함)를 11명으로 할 때 총 198명 중 112명이 응답하였다고 보면 응답률은 센터당 6.2명 정도로 약 56.7%의 응답률을 보였다(Table 2).
조사시기는 1차 2011년 6월 20일-8월 30일에 시행되었으며 직접 방문조사로 센터장이나 센터의 중요 근무자와의 심층면접을 진행하였고 센터의 일반적인 사항과 물리적 환경 특성에 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2차 조사는 2012년 3-5월에 시행되었으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센터 근무 종사자들의 물리적 환경 특성에 대한 만족도 및 요구도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및 해석

1. 센터 개요

1) 센터의 일반적인 사항

센터의 운영 형태를 살펴보면 총 4개의 형태(병합형, 다기능화, 독립형1, 독립형2)가 있다. 센터의 형태에 따른 운영현황을 보면 Table 3과 같다. 서울의 경우 건강가정지원센터에 다문화가족지원센터가 들어온 병합형이 주를 이루고 있고 건강가정지원센터와 다문화가족지원센터가 독립되어 따로 존재하는 독립형2가 두 곳이 있었다. 인천의 경우는 병합형,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 건강가정지원센터가 들어온 경우인 다기능화, 한 개의 센터만 독립적으로 있는 독립형1과 2의 형태가 모두 있어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운영주체의 경우 서울은 학교법인이 많았으며 종교단체가 없는 반면 인천의 경우는 종교단체가 운영주체인 경우가 서울에 비해 많았다. 전반적으로는 학교법인이 제일 많고 사단법인이 그 다음 순으로 많았다.

2) 운영 현황

운영조직 및 종사자수를 살펴보면 Table 4와 같다. 센터의 사업과 운영조직을 살펴보면 건강가정지원사업의 경우에는 가족상담, 가족교육, 가족문화, 아이돌보미, 운영지원(행정지원)팀이 주로 조직되어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총무기획팀이나 사업팀이 있는 경우가 있었다. 다문화가족지원사업의 경우에는 다문화가족지원, 방문교육, 언어발달팀이 주로 조직되어 있었으며 인천의 경우 통번역지원사업팀이 있는 사례가 있었다. 팀별 종사자 수는 평균 센터장 1명, 사무국장 .5명, 팀장 2.6명(건가 2.2명/다문화 .4명), 팀원 7.2명(건가 5.5명/다문화 1.9명)이었으며 총 인원은 평균 11.3명이었다.
사무국장의 경우 팀장이 사무국장의 역할을 겸하는 경우가 있었으며 건강가정지원센터의 경우 5-6개의 팀이 조직되어 있는 것에 비해 팀장은 2.6명으로 보통 팀장이 2-3개정도의 팀을 맡아서 운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팀장과 팀원의 비율을 살펴보면 1명의 팀장이 2.8명 정도의 팀원과 함께 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 팀별로 2명 정도의 인원으로 사업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경우는 3-4개의 팀이 있음에도 팀장이 .4명으로 팀장이 없는 경우도 있었으며 팀원이 평균 1.9명으로 총 2.3명이 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책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건강가정지원센터보다 적은 종사자로 이루어져있었다.
협약기관 및 카페개설 수는 센터의 다양한 협력관계를 통한 좀 더 폭 넓은 구축망을 살펴볼 수 있다(Table 5). 협약기관의 경우 가장 많은 곳은 33개였으며 가장 작은 곳은 2곳인 곳도 있어 센터별로 차이가 많았다. 평균은 18곳이었으며(서울, 20.1; 인천, 15.2) 주로 서울의 경우 협약기관이 많은 것으로 보아 인천보다는 비교적 네트워크 구성이 잘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시민단체와의 협약수가 비교적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서울은 복지기관, 공공기관, 교육기관과의 협약비율이 높고 인천의 경우 교육기관과 공공기관의 협약비율이 높았다. 서울의 경우 기관종류별로 평균 3-4개정도의 기관과 협력하고 있었으며 대체적으로 20개정도의 협약기관과 협력하고 있었다. 인천의 경우는 서울보다는 적어 기관종류별로 평균 1-3개정도의 기관과 협력하고 있었으며 평균 15개 정도의 협약기관과 협력하고 있었다.
카페개설 수는 품앗이 사업과 연관하여 센터 이용자들의 자치적인 활동 활성화 측면을 살펴볼 수 있는데 카페개설 수는 평균 서울 2.4개, 인천 1.6개이며 평균 2.0개의 카페를 개설하여 운영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센터마다 평균 2개 정도의 카페가 개설 되어있었지만 모두가 활성화 된 카페는 아니어서 아직은 센터 이용자들의 자발적인 그룹활동이 사이버 상에서 활발하다고 보기는 어렵다.
다음으로 센터 프로그램의 운영현황을 살펴보면 Tables 6, 7과 같다.
우선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운영프로그램은 가족교육사업, 가족돌봄사업, 가족상담사업, 가족친화문화조성사업으로 구성된다. 가족교육사업을 보면 서울센터들은 예비부부 및 신혼기 부부교육과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11곳(91.7%)으로 가장 활발히 운영되고 있었다. 인천센터의 경우는 남성대상교육이 6곳(85.7%), 아카데미 교육이 5곳(71.4%)으로 활발히 이루어지는 프로그램이었다. 가족돌봄사업은 11개소 평균 57.9% (서울 50.0%, 인천 71.4%)로 아이돌보미 사업이 가장 많이 이루어지는 프로그램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서울센터의 경우는 놀토돌봄이 5개소(41.7%)였으며 장애아 돌봄지원의 경우는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인천센터의 경우 장애아돌봄지원이 3개소(42.9%)로 높았으며 초등아동 취학적응돌봄, 단기(임시)방학돌봄, 방과후 돌봄 프로그램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상담사업을 살펴보면 서울센터의 경우 집단상담(66.7%), 이혼전후 상담(58.3%), 개인상담(50.0%) 순으로 높은 비율을 나타냈으며 인천센터의 경우 집단상담 및 개인상담(71.4%), 이혼전후상담 및 모래놀이치료(42.9%) 순으로 높은 비율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서울의 경우 인천에 비해 미술치료(41.7%) 프로그램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었다. 그 밖에 외부기관협약, 인터넷중독예방사업, 부부집단 프로그램이 서울센터에서는 전무하였으나 인천센터에서는 비록 1개소(14.3%)이지만 이루어지고 있었다. 가족친화문화조성사업을 살펴보면 가족봉사단 프로그램이 서울, 인천 모두 전 센터(100%)에서 실시되고 있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가족품앗이 프로그램이 서울에서 11개소(92.7%), 인천에서 6개소(85.7%)로 활발히 이루어지는 프로그램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가족사랑의 날(서울 50.0%, 인천 57.1%)과 가족사랑 캠페인(서울 50.0%, 인천 42.9%)이 그 다음 순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서울의 경우 가정헌법과 이웃사촌한가족 프로그램이 전무하였고 인천의 경우에는 다문화가족과 함께하는 프로그램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가정지원센터의 프로그램 운영현황을 프로그램별로 살펴보면 가족봉사단 프로그램이 모든 센터에서 이루어지고 있었고 가족품앗이, 부모교육, 남성대상교육, 예비부부 및 신혼기 부부교육, 집단상담, 아카데미 교육 순으로 프로그램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나 주로 가족교육사업이 가장 활발히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운영프로그램은 크게 기본사업과 특성화사업으로 나뉘며 기본사업으로 한국어교육, 다문화가족통합교육, 다문화가족취업연계지원, 개인 및 가족상담 프로그램으로 이루어져있다. 특성화사업으로는 언어발달지원, 통번역서비스, 언어영재교실과 같은 언어관련 사업들이 있으며, 다문화가족자조모임,다문화가족나눔봉사단, 다문화인식개선, 지역사회네트워크강화, 육아정보나눔터 등과 같은 홍보 등 운영사업도 포함된다.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운영프로그램은 크게 기본사업과 특성화사업으로 나뉘며 기본사업으로 한국어교육, 다문화가족통합교육, 다문화가족취업연계지원, 개인 및 가족상담 프로그램으로 이루어져있다. 특성화사업으로는 언어발달지원, 통번역서비스, 언어영재교실과 같은 언어관련 사업들이 있으며, 다문화가족자조모임,다문화가족나눔봉사단, 다문화인식개선, 지역사회네트워크강화, 육아정보나눔터 등과 같은 홍보 등 운영사업도 포함된다.
우선 기본사업을 살펴보면 평균 95.2%로 한국어교육(서울 100.0%, 인천 88.9%)과 평균 90.5%로 다문화가족통합교육(90.5%, 서울 83.3%, 인천 100.0%)이 가장 활발히 이루어지는 프로그램으로 조사되었다. 서울의 경우 한국어교육이 12곳 모든 센터에서 이루어지고 있었고 인천의 경우에는 다문화가족통합교육이 9곳 모든 센터에서 이루어지고 있었다. 그리고 서울소재 센터에서는 다문화가족취업연계지원(75.0%)이 인천소재 센터(66.7%)보다 더 많이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인천소재 센터에서는 개인가족상담(66.7%)이 서울소재 센터(58.3%)보다 더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성화사업 중에서 언어발달지원 프로그램과 다문화가족 자조모임(평균 76.2%) 관련 프로그램이 가장 많이 이루어지고 있었고, 그 다음으로는 서울에서는 다문화인식개선 프로그램(58.3%)이, 인천에서는 육아정보나눔터(77.8%) 프로그램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었다. 그리고 다문화인식개선 프로그램(평균 61.9%)과 방문교육 프로그램(평균 57.1%) 순으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었다. 그리고 지역사회협력네트워크 강화 프로그램이 평균 19.0%로 가장 낮았다.
특히 특성화 사업의 경우 인천소재 센터들이 대체적으로 서울 소재 센터에 비해 상대적으로 프로그램 운영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다문화가족 나눔봉사단과 육아정보나눔터 관련 사업이 서울에 비해 매우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음이 파악되었다.

2. 센터의 물리적 특성

1) 물리적 공간의 일반적인 사항

센터의 물리적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able 8). 우선 건물특성으로는 주로 독립건물이거나 공공건물 내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가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일반상가건물에 위치하고 있었다. 건물소유상태는 지자체 소유이거나 위탁법인소유가 많았으며 임대료의 경우 대부분이 무상이었으며 임대료를 부담하는 경우도 구청이나 법인이 부담해 주고 있었다. 건물의 총면적을 살펴보면 평균 281.2 m2 (약 85평) 정도의 규모를 가지고 있었으며 서울(224.7 m2)보다는 인천(312.5 m2)이 공간적 규모가 컸다.
센터 건물의 총면적 차이를 살펴보면 최대면적의 경우 서울 1,193 m2, 인천 946 m2인 반면 최소면적의 경우 서울 70.6 m2, 인천 84 m2로 센터마다 최대최소 공간의 면적 차이가 매우 심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별히 공간의 면적차이가 심한 이유는 독립공간에 모든 공간이 갖춰진 경우가 있었고 최소면적의 경우는 대부분 학교법인으로 사무실 정도만 센터로 사용하고 나머지 공간들은 빈 강의실을 이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최소면적이 매우 작게 나타났다. 센터의 운영형태나 운영주체에 따라 공간의 크기에도 차이가 크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2) 물리적 공간구성 및 면적 특성

물리적 공간의 구성 및 유무를 살펴본 결과 Table 9와 같다. 센터 내에 존재하는 공간을 조사해 본 결과 Table 10과 같이 12개의 공간이 대부분 많이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평균적인 공간존재 비율 정도에 따라 살펴보면 사무실, 화장실, 주교육장, 개인상담실, 육아나눔터, 전화상담실, 집단 상담실, 센터장실, 수납공간, 언어치료실, 부교육장, 휴게공간 순으로 구성되어있었다.
센터 내 구성되어 있는 공간은 사무실(100.0%), 화장실(100.0%)의 경우 모두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육장1(90.5%)로 대부분의 경우 규모가 작더라도 교육장 한 개 정도는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센터 특성상 교육, 강의 및 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 특성상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며 교육프로그램의 비율이 높은 것과도 연관이 있다. 그 다음으로는 개인 상담실(평균 81.0%)로 가족상담, 부부상담, 자녀상담, 다문화 상담 등 가족과 다문화 가족 대상의 상담 프로그램이 활발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특별히 상담실의 경우 상담의 내용에 따라 진행과정이 달라 집단, 개별, 전화 상담으로 실을 나누어 구성하려는 특성을 보였다. 서울과 인천을 비교해 보면 가장 차이가 나는 부분이 육아정보나눔터 공간이다. 서울의 경우 25%정도가 있는 반면 인천은 작은 공간이라도 모든 센터에 100% 육아정보나눔터가 존재하고 있어 어린 자녀를 둔 가정과 부모를 대상으로 품앗이 하려는 강한 의지를 살펴볼 수 있으며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육아정보나눔터 프로그램이 잘 갖추어진 것과 연관이 있었다. 한편 육아정보나눔터의 경우 영유아 아이들과 부모가 동반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좌식 공간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 특징이었다. 반면 서울의 경우 육아정보센터나 보육에 관한 다른 시설과 프로그램들이 비교적 잘 갖추어있어서 센터 내 육아품앗이를 위한 육아정보나눔터의 보급이 인천보다는 더딘 것으로 나타났다. 센터장실, 수납공간, 휴게공간 등은 인천이 서울에 비해 비교적 많은 구성비율을 나타냈으며 서울의 경우는 전화상담실, 집단상담실, 교육장이 인천에 비해 더 많은 비율로 구성되어있음을 알 수 있다.
그밖에 공간의 면적이 넓거나 새로이 독립적으로 갖추어진 센터의 경우 아주 적은 경우이기는 하지만 기타 다른 공간들이 있었다. 기타 공간에는 요리실습실(주방), 카페, 음악실, 강당, 놀이치료실, 안내(홍보)공간, 동아리실, 취미실, 컴퓨터실, 테라스, 마당(텃밭), 놀이터, 옥외공간, 옥상공간 등이 있었다.
센터마다 공간적으로 여유가 있는 곳과 협소한 공간의 정도를 살펴보기 위해 최대공간과 최소공간을 비교하였다(Table 10). 조사대상 센터 중에서 공간크기가 제시되어있지 않은 공간을 제외하였다. 독립적으로 센터에서 사용하며 공간크기가 제시되어 있는 공간 중에서 가장 큰 공간과 가장 작은 공간만을 선택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 최소 1.8배(수납공간)에서 많게는 11배(전화상담실) 이상 공간규모의 차이가 나는 것으로 조사되어 공간규모의 차이가 센터마다 굉장히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센터의 각 공간별 규모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평균 크기를 살펴보았다. 여기서도 크기를 알 수 없는 센터의 경우를 제외하고 평균을 산정하였다. 서울과 인천 소재 센터의 공간규모의 차이를 살펴보면 가장 차이가 나는 부분이 육아정보나눔터인데 서울의 경우 62.5 m2인 반면 인천의 경우 10.8 m2로 육아정보나눔터가 비교적 많이 구비되어있지 않은 서울이지만 면적은 넓은 것으로 보아 좀 더 공간적으로 여유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인천의 경우는 모든 센터가 육아정보나눔터가 존재하는 반면 면적은 서울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작아 공간 존재 및 설치율은 높은 반면 공간규모에 있어 매우 열악함을 알 수 있다. 특별히 인천의 경우 개인상담실보다 집단상담실의 공간규모가 작은 것으로 나타난 것은 집단 상담실이 잘 갖추어져 있지 않은 경우가 많았고 있는 경우 매우 작은 규모였으며 크기를 알 수 없어 누락된 센터가 있었기 때문이었다.
각 공간의 규모를 전체 100%로 볼 때 면적 구성비를 그래프로 나타내면 Figure 1과 같다. 비교적 큰 규모를 차지하는 공간이 주교육장 23.4%이었으며 그 다음으로 사무실 17.4%, 육아정보나눔터가 10.7%, 소교육장이 10.6%의 비율을 가지고 있었다. 반면 상담실과 수납공간의 비율이 작게 나타났다. 공간존재비율과 비교하여 휴게공간이 가장 낮았던 반면 규모에서는 상담실, 수납공간보다 높은 면적비율을 보였다.
사무실 1인당 공간 면적비를 살펴보면 Table 11과 같다. 사무실의 평균면적에 센터 평균 인원에서 센터장을 제외한 명수로 환산하여보면 서울의 경우 1인당 6.1 m2, 인천의 경우 5.5 m2, 평균 5.8 m2의 면적이 할애되고 있음이 조사되었다. 서울이 인천에 비해 비교적 넓은 공간이 제공되고 있었다. 한편 센터 종사자 직원의 평균 명수를 10.3명으로 볼 때 사무실 최대면적인 140 m2으로 환산하면 1인당 13.7 m2 이며사무실 최소면적인 23 m2으로 환산하면1인당 2.2 m2 로 각 센터마다 사무실의 직원 1인당 면적의 차이가 매우 큼을 알 수 있다.

3. 센터 종사자의 공간 만족도 및 요구도

1) 조사대상자의 특징

2차 설문 조사를 통한 조사대상자의 소속센터 및 지역의 특징을 살펴보면 Table 12와 같다. 서울의 9개 센터에서 총 57명이 조사에 응하였으며 인천의 9개 센터에서 총 55명이 조사에 응답하였다. 총 응답자 112명 중 64명이 건강가정지원센터 소속 직원이었으며 48명이 다문화지원센터 소속 직원들이었다.
조사대상자들의 일반적인 특성을 살펴보면 Table 13과 같다. 성별은 여자가 94.4%로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었다. 연령은 평균 33.4세로 나타났으며 20대(39.4%)와 30대(36.5%)의 비중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은 대졸(72.9%)이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대학원 졸 이상(25.2%)이 많아 센터 직원의 경우 거의 대부분이 대졸이상의 학력을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비율을 살펴보면 복지관련학과(49.1%)의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가정관련학과(26.4%)의 비율이 높았다. 조사대상자들의 자격증보유 여부를 살펴본 결과 평균 186.6%로 조사대상자 1인당 대략 1개 이상 2개 미만의 자격증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는 자격증은 사회복지사(36.4%)이며 그 다음으로는 건강가정사(33.0%)로 나타났다. 이는 복지관련학과와 가정관련학과의 전공비중이 높은 것과 같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그 밖의 자격증으로는 교사관련 자격증(9.1%)과 상담관련 자격증(8.1%)의 비중이 높았으며 기타자격증으로는 미술심리치료사, 가정관리사, 청소년지도사, 가족생활교육사, 자기주도 학습지도사, 요양보호사, 평생교육사, 아동관련 자격증 등이 있었다.
조사대상자들의 센터 경력을 보면 Table 14와 같다. 1년 이하(44.1%)의 경력이 가장 높으며 그 다음으로는 1년 초과 2년 이하(22.5%)로 높은 비율을 나타내었다. 반면 3년 초과의 비율은 14.4%로 매우 낮으며 평균 센터 경력이 20.8개월로 대부분의 직원이 3년 이하의 짧은 경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들 중에서 품앗이 사업 경험자는 총 26명 이었으며 이들의 사업 경력을 살펴보면 6개월 이하가 40.0%로 가장 높고 1년 초과 2년 이하가 28.0%로 그 다음 순이었다. 대체적으로 2년을 넘은 경력자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물리적 공간의 사용현황

설문 응답된 곳의 물리적 공간의 구성을 살펴보면(Table 15) 사무실(98.2%), 화장실(90.2%), 개별 상담실(86.6%), 언어발달실(82.1%), 소교육장(69.6%), 대교육장(67.9%)의 순으로 구성비율이 높음을 알 수 있다. 특별히 휴게실(28.6%), 회의실(30.4%), 안내공간(33.0%), 집단상담실(39.3%)의 순으로 구성비율이 낮음을 알 수 있다.
센터내에 공간이 마련되어있지 않거나 혹은 충분하지 않아 근처에서 다른 공간을 빌려서 사용하는 경우가 있었다. 조사결과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낸 것이 35.7%로 대교육장이었다. 그 다음으로는 소교육장(17.0%), 육아정보나눔터(10.7%) 순으로 나타났다. 가족과 단체를 대상으로 진행하는 프로그램이 많아 교육장이 반드시 필요하나 센터 내 공간이 좁다보니 충분한 교육 공간이 마련되기 힘들어 필요할 때는 다른 곳의 공간을 빌려서 사용하는 비율이 매우 높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가족 대상 프로그램을 진행하다보니 항상 유아나 어린이를 동반하는 경우가 많아 육아정보나눔터나 공동육아나눔터와 같은 공간도 빌려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센터 내에서 진행되는 프로그램과 이용자의 수에 비해 공간이 협소하거나 부족하다 보니 많은 경우 공간을 중복사용하고 있었다. 조사 결과 창고가 51.8%로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내어 독립된 창고공간이 없어 다른 실의 공간에 비치해두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는 소교육장(32.1%), 센터장실(31.3%), 개인상담실(31.3%), 안내공간(30.4%), 집단상담실(30.4%), 주교육장(27.7%)순으로 공간 중복사용비율이 높았다. 수납공간은 주로 센터장실에서 함께 쓰거나 소교육장이나 대교육장에 프로그램에 관련된 비품을 배치하는 경우가 주로 많았다.
현장조사와 인터뷰대상자들의 의견을 종합해 본 결과 공간중 복사용의 경우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센터장실의 경우에는 대부분 사무실과 겸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간혹 개인상담실이나 집단상담실로도 중복사용하고 있었다. 개인상담실의 경우에는 전화상담실이나 언어치료실로 대신하여 쓰이는 경우가 많았으며 안내공간은 주로 사무실이나 휴게공간, 언어치료실에서 병행하여 위치하는 경우가 많았다. 집단상담실은 소교육장이나 회의실, 육아정보나눔터로 주로 중복사용되고 있었고 창고, 센터장실, 휴게공간, 전화상담실, 개인상담실 등 다른 공간으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대교육장의 경우에는 창고(수납시설), 집단상담실, 소교육장으로 함께 사용되고 있었다. 대부분의 센터는 협소한 공간으로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었으며 실공간의 구성이 적은 센터일수록 시간대별로 다양한 여러 기능으로 공간을 변경하여 다목적으로 사용하여 임시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고 있었다.
그러나 육아정보나눔터가 있는 센터의 경우 부모와 아이들이 함께 하는 공간적 특성상 독립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며 영유아 아이들이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유일하게 좌식의 공간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 특징이었다. 그리고 특별히 상담실의 경우 상담의 내용에 따라 진행과정이 다르고 보안과 독립성이 요구되어 집단, 개별, 전화 상담으로 실을 나누어 구성하려는 특성을 보였다. 휴게공간(라운지)의 경우는 규모가 비교적 크고 여유있는 센터에 주로 배치 되어있었는데 이러한 공간은 내방자, 내담자, 자원활동가들, 그리고 직원들의 휴게공간으로도 이용될 수 있는 공간으로 사용되었다. 특히 센터의 이미지나 광고, 홍보매체, 정보전달 매체 등이 함께 배치된 경우 더욱더 공간의 효과가 커지는 공간이 되었다.
공간의 특성에 따라 분리 독립되어져야 하는 공간과 오히려 다목적실로 때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를 주어 사용할 수 있는 중립적이고 중복가능한 공간과 차별화할 필요가 있겠다.

3) 물리적 공간의 요구도 및 만족도

센터에 대한 물리적 공간의 요구도를 살펴본 결과는 Table 16과 같다. 센터 내에 공간이 구비되어있지만 협소해서 더 큰 공간이 요구되는 곳으로는 사무실이 49.1%로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내었다. 그 다음으로 회의실(33.9%), 대교육장(33.0%), 소교육장(27.2%)으로 나타나 주로 업무를 보는 공간과 센터이용자들을 위한 교육장에 대한 공간요구가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한편 센터 내에 없는 공간으로 새로이 요구되는 공간으로는 창고(수납공간)가 34.8%로 가장 높았다. 다양한 자료와 상담, 치료를 위한 물품, 육아나 교육, 문화 관련 물품 등 수납해야 할 물건과 자료가 많아 자료실 혹은 창고(수납공간)의 요구가 많았다. 다음으로 휴게공간과 회의실에 대한 요구(29.5%)가 높았다. 센터 이용자들을 위한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교육장이나 상담실에 많은 비중을 두다 보니 사무직원과 업무효율을 위한 공간이 상대적으로 많이 부족한 것을 알 수 있다.
가족친화적인 활동을 위해 센터에서 필요하다고 요구되는 공간으로는 역시 육아정보나눔터가 49.1%로 가장 높았고 소교육장이 29.5%로 나타났다. 가족친화적인 프로그램이나 활동이 주로 아이들을 둔 가정들의 소모임을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으므로 나타난 결과로 보인다.
조사 대상자들에게 각 센터의 공간에 대한 만족도를 알아보니 Table 17과 같았다. 가장 만족도가 높은 공간이 화장실(3.40)이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육아정보나눔터(3.30), 소교육장(3.16), 센터장실(3.14), 개인상담실(3.11), 언어치료실(3.06), 대교육장(3.04)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가장 만족도가 낮았던 공간은 2.25로 수납공간이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휴식공간(2.35), 회의실(2.61), 안내공간(2.68)순으로 나타났다. 다문화 가족과 일반 가족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지원활동과 프로그램을 운영하다 보니 센터이용 대상자들을 위한 공간위주로 공간이 운영되고 있어서 상대적으로 일을 진행하는 센터 종사자들을 위한 공간은 미흡한 경우가 더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는 각 센터의 물리적 공간환경에 대한 요구도를 살펴보았다(Table 18). 대체적으로 모든 환경문제에 대해 요구도가 높은 편으로 결과가 도출되었다. 그 중 가장 높은 요구도를 나타낸 것이 4.57로 공간의 규모였다. 그 다음으로는 안내휴게공간 확보(4.47), 공간중복사용문제(4.39), 수납문제(4.38), 품앗이공간(4.20), 각 실의 위치와 배치(4.09), 환경설비문제(4.01)순으로 높은 요구도를 보이고 있었다. 상대적으로 임대료문제(3.33), 센터의 접근성문제인 입지위치(3.42)가 낮은 요구도를 보이고 있었다.
설문응답자들의 의견을 종합,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내용이 도출되었다.
우선 공간 협소문제가 제일 많이 언급되었던 부분이었다. 그 중 사무실, 교육실에 대한 공간협소를 호소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수납(자료)실의 협소문제를 언급하였다. 그 외에 상담실, 회의실, 접견, 안내 등을 할 수 있는 대기공간에 대한 요구가 많았다. 그 다음으로는 공간의 중복사용문제이다. 공간이 협소한 반면 프로그램이 많아 공간을 중복사용 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런 경우 공간의 독립성이 매우 부족하다고 느끼고 있었다. 특히 상담실의 경우 공간의 중복사용으로 인한 독립성부족문제가 가장 많이 언급되었다. 그리고 이와 함께 동선도 복잡해지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고 언급하였다. 그리고 공간의 부재문제도 언급되었는데 가장 많이 언급된 공간이 육아정보나눔터(공동육아나눔터) 및 품앗이 공간이었다. 또한 안내 및 휴게공간을 원하였다. 안내 및 휴게공간이 없는 경우가 많았고 있어도 장소가 애매하거나 매우 협소한 곳이 많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그 다음으로 환경설비문제가 언급되었다. 가장 문제가 되는 부분은 소음, 방음에 대한 문제였으며 특히 상담공간의 경우 독립성과 함께 방음의 문제가 가장 많이 언급되었다. 그 외 환기, 공기정화와 냉난방문제 등이 언급되었으며 특히 육아정보나눔터나 품앗이공간의 경우 유아, 어린이와 함께하는 공간으로 좌식생활을 위한 바닥난방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그 외 언급된 문제들은 가파른 계단 문제, 엘리베이터 설치 요구가 있었으며 이는 유모차나 휠체어의 접근성 문제 때문으로 판단된다. 그 밖에 주차장문제, 화장실의 온수문제 등이 언급되었다.

논의 및 결론

1.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센터의 개요를 살펴보면 대부분의 센터가 건강가정지원센터와 다문화가족지원센터가 함께 운영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다양한 차원에서 가족을 대상으로 사업이 진행되고 있었다. 서울센터는 대부분 2005-2006년 사이 초창기에 많이 설립되었으며 인천의 경우는 2007-2008년도에 가장 많이 설립되어 최근까지 4-8년 정도 운영이 되어오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대부분 대학교나 종교단체가 운영주체인 경우가 많았다. 운영 현황을 살펴보면 건강가정지원센터의 경우 5-6개의 팀이 조직되어 1명의 팀장이 2.8명 정도의 팀원과 일하고 있었으며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경우 3-4개의 팀이 구성되어있고 .4명의 팀장이 1.9명의 팀원과 일하고 있었다. 또한 협약기관을 통해 폭 넓은 구축망으로 사업의 다양성을 높이고 있었다. 프로그램 운영현황 조사결과 건강가정지원센터에는 가족교육, 가족상담, 가족친화문화조성, 가족 돌봄 등 다양한 가족지원 사업을 하고 있었으며,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는 한글교육과 방문교육 및 언어발달지원, 통번역서비스, 취업 창업 교육, 한국 사회적응교육 등 다문화 가족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었다. 건강가정지원센터에서는 주로 가족교육사업이 가장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경우 기본사업과 언어교육프로그램이 가장 활발하였다. 서울보다는 인천소재 센터들이 다문화가족나눔 봉사단과 육아정보나눔터 관련사업이 활발하였다.
두 센터 모두 지역거주자들의 가족친화적인 지역사회 환경을 만들어가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일반가족이냐 다문화가족이냐 하는 대상만 다를 뿐 가족을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는 기본적 성격이 같았다. 가족을 위한 프로그램은 서로 독립되어 진행되는 것보다 개인, 가족, 이웃, 사회와 연계되어지는 기본 구성으로서 진행하는 것이 시너지 효과를 볼 수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이제는 전반적으로 사업과 운영이 안정화될 수 있도록 충분한 인적, 시스템적, 물리적 환경구축이 절실하다고 판단된다.
둘째, 센터 내의 물리적 공간은 사무실, 화장실, 주교육장, 개인상담실, 육아정보나눔터(공동육아나눔터), 전화상담실, 집단상담실, 센터장실, 수납공간, 언어치료실, 부교육장, 휴게공간 순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공간 규모의 경우 총면적은 평균 281.2m2이었으며 전체면적을 100%로 볼 때 주교육장 (23.4%), 사무실(17.4%), 육아나눔터(10.7%), 부교육장(10.6%)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상담실과 수납공간의 면적비율이 낮게 나타났다. 상담실의 경우 독립적인 특성으로 작은 면적으로 조사되었으나(개인상담실 5.0%, 전화상담실 4.3%, 집단상담실 4.0%) 상담실을 모두 합칠 경우 13.3%로 사무실 다음으로 큰 규모를 나타내었다. 센터의 최대최소면적을 비교한 결과 최대 총면적 서울 1,193 m2, 인천 946 m2 최소 총면적 서울 70.6 m2 인천 84 m2으로 차이가 심하였다. 공간별 규모 차이도 최소 1.8배(수납공간)에서 최대 11배(전화상담실) 이상 공간규모의 차이가 나타나 센터마다 공간의 면적 차이가 심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센터의 종사자들이 근무하는 사무실의 1인당 사용면적도 평균 5.8 m2이었으나 최대 13.7 m2에서 최소 2.2 m2로 센터들의 사무 공간 환경도 차이가 나타났다.
센터마다 프로그램운영을 위한 기본적으로 필요한 공간으로 교육장, 사무실, 상담실, 육아정보나눔터가 중요한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이를 지원하는 공간으로 센터장실, 회의실, 수납공간, 휴게공간, 화장실 등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교육실의 경우 대규모와 소규모 그룹의 두 형태가 필요하였고 상담실의 경우 개인, 집단, 전화 상담실로 구분되어 독립성이 유지될 수 있는 공간이 요구되었다. 육아정보나눔터의 경우 아이와 함께 하는 공간으로 좌식, 놀이방의 특성이 요구되었다. 그러나 센터의 상황에 따라 옥외공간, 카페, 식당 및 주방, 동아리실 등 더욱더 다양한 공간이 제공되는 곳이 있는가 하면 협소하거나 공간이 제대로 갖춰져 있지 않은 경우도 있었다. 공간의 규모도 센터별로 차이가 매우 심하게 나타나 센터의 물리적 공간 환경에 대한 기본적이고 표준적인 기준이나 최소한의 규정이라도 반드시 필요한 상황이다.
셋째, 센터 종사자의 공간 만족도 및 요구도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센터 종사자의 특성은 젊고 전문적인 고학력의 여성인력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부분의 직원이 3년 이하의 짧은 경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가족친화환경 조성을 위한 사업인 품앗이 사업경험자는 대체적으로 6개월-1년 이하의 짧은 경력자가 많았다.
물리적 공간의 사용현황 및 요구도를 살펴본 결과 사업과 프로그램 진행을 위한 실질적인 공간인 사무실, 상담실, 교육장의 공간구성비율이 높았다. 그러나 이러한 공간은 협소한 문제가 지적되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른 곳에서 빌려 쓰는 빈도가 높은 공간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소교육장, 센터장실, 개인상담실, 안내공간, 집단상담실, 주교육장 등이 서로 중복 사용되고 있었다. 그리고 직원이나 이용자 및 방문자들의 처우개선을 위한 복지 및 부차적 서비스 시설인 휴게실, 회의실, 안내공간의 공간구성비율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창고(수납공간), 휴게공간, 회의실, 안내 공간 에 대한 공간 설치 요구도가 높았다. 가족친화활동으로 가장 요구되는 공간으로는 육아정보나눔터가 가장 높은 요구도를 나타내었으며 동아리활동과 같은 소모임을 위한 소교육장이 그 다음 순으로 높은 요구도를 나타내었다.
공간 만족도를 살펴본 결과 대부분 낮은 만족도를 나타내었으며 비교적 화장실과 육아정보나눔터의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높았고 휴식공간, 회의실, 안내공간에 대한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공간 환경에 대한 요구도를 살펴본 결과 대부분의 항목이 모두 4점대 이상의 높은 요구도를 나타내었다. 그 중에서 공간의 협소한 규모 문제가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되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안내 및 휴게공간의 확보, 공간중복사용문제, 수납공간문제, 품앗이 공간, 각 실의 배치와 위치문제, 환경설비문제에 대한 요구도가 높게 나타났다. 임대료문제, 센터의 접근성문제가 상대적으로 낮은 요구도를 보였다.
물리적인 공간의 협소문제는 특히 병합형, 다기능화 센터의 경우 한 공간에서 두 센터가 함께 사용하고 있어 공통사업을 포함한 다양한 프로그램 활동을 수행하는데 물리적공간의 한계가 있었다. 또한 대부분의 센터가 물리적인 공간과 환경이 작거나 부족하여 공간을 빌려서 사용하고 있었다. 그리고 각각의 공간이 기능에 따라 분리 사용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하나의 공간이 서로 다른 프로그램실과 겸용, 중복 사용하는 경우도 많았다. 이는 공간이 협소해지고 독립적 특성을 갖지 못하게 되어 종사자들의 근무 환경과 센터 사용자와 이용자들의 공간 환경에 문제가 되었다. 특히 가족친화적인 교육 문화 활동을 위한 공간구성 형성과 거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한 지속적인 활동을 위한 환경구축에는 무리가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각 센터들의 사업을 지원하는 자원봉사자와, 실습생들을 위한 공간이나 안내, 홍보 등을 위한 부가적 서비스 공간의 배려는 더욱 고려되지 못하고 있었다.
본 연구결과 각 건강가정지원센터와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물리적, 공간적 구성, 크기, 설비에 관한 계획과 요소에 관한 구체적이고 표준화된 지침이 설정되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개인, 가족, 이웃과 지역사회를 연계하여 지원하려는 통합적인 사업운영을 위해서는 보다 전략적인 물리적 공간구성과 설치 및 디자인 계획에 대한 전략적 대안이 필요하다. 이는 센터의 다양한 지원 사업과 지원프로그램의 활성화와 센터 이용자 및 방문자인 다양한 가족구성원들의 이용편의증진, 그리고 센터의 전문 인력 종사자와 봉사자들이 건강하게 사업수행을 하기 위한 기본적인 뒷받침이 될 것이다.

2. 제언

본 연구의 물리적 공간에 대한 결과를 바탕으로 공간에 대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우선 다양한 이용자와 방문자, 봉사자들과 다양한 프로그램에 비해 운영장소 및 공간의 협소문제가 가장 시급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이용자와 방문자, 봉사자와 직원의 규모를 파악, 예상하고, 이용형태(상주, 매일, 주간사용, 이용하는 시간대별, 이용하는 시간의 양 등등)에 따라 적절한 규모에 대한 대안마련이 필요하다. 둘째, 공간의 중복사용문제로 인한 독립성부족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독립, 중복, 개방공간의 차원을 나누어 계획할 필요가 있다. 상담공간과 회의실 같이 완전히 분리되어 독립되어야 하는 공간과 사무실이나 육아정보나눔터처럼 각 공간을 매개해줄 역할을 할 공간 및 교육실처럼 중복 사용해도 되는 공간, 그리고 안내공간이나 휴게실 공간처럼 오픈 개방되어 여러 사용자와 이용자 및 직원들이 소통할 수 있는 공간 등으로 차원을 나누어 계획해야할 필요가 있다. 셋째, 최소한 센터 내에 반드시 설치해야 할 공간으로 센터 종사자와 봉사자를 위한 사무실, 센터장실, 회의실, 등이 필요하며 상담을 위한 집단, 개인, 전화상담실 및 언어치료실이 필요하다. 또한 프로그램 진행을 위한 대형 교육실, 소형 교육실이 반드시 필요하며 서비스 공간으로 안내공간과 휴게공간, 수납공간, 화장실 및 탕비실이 필요하다. 특별히 지역공동체 활성화와 가족친화사업을 위해 육아정보나눔터와 동아리실이 필요하다. 넷째, 환경설비문제에서는 방음문제를 위해 품앗이나 아이들과 함께하는 소리가 나는 공간과 상담과 같이 철저한 방음이 필요한 공간처럼 소리분리가 필요하다. 특히 아이들과 함께 하는 공간이나 육아정보나눔터나 품앗이 공간의 경우 환기문제와 좌식활동을 위한 바닥난방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그러나 정확한 평면이나 도면이 있는 경우가 매우 적고 정확한 공간의 물리적인 데이터수집이 어려워 본 연구에서는 부분적으로 누락된 곳이 있었다. 그리고 모든 센터가 설문에 응한 것이 아니었으므로 전체를 대표하는 결과로 일반화하기는 힘든 부분이 있다. 또한 앞으로 신설되는 센터도 있을 것이며 조사 중에 이미 이전계획이나 리모델링 계획 중인 센터들도 있었으므로 추가적인 추적 조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현재 서울과 인천소재 센터들의 단순 공간구성의 실태를 비교하였으며 조사대상도 전체를 대상으로 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차후 연구를 위한 제안을 하자면 다음과 같다. 가능하다면 앞으로 모든 센터의 물리적 공간을 조사하여 공간별 특성화와 기본적인 물리적 환경의 기준조건을 마련하는 것이 시급하다. 그리고 센터 자체의 물리적 공간뿐 아니라 센터의 시설, 배치 특성 및 주변 환경까지 조사 할 필요가 있다. 센터의 시설위치, 주변 환경, 주차장 공간 확보 여부, 정원, 놀이터 유무 등 야외공간의 확보여부, 시설 유형 및 특·장점, 공간배치 특성 등 추가적으로 세밀한 내용 분석이 필요하며 접근성의 문제에서도 살펴볼 필요가 있다. 또한 공간과 프로그램의 상관관계를 반드시 살펴보아야 하겠다. 특히 차후 사업의 방향에 따라 필요공간이나 요구도에 대한 철저한 조사와 준비 작업이 필요하다. 그리고 센터 종사자 뿐 아니라 센터 이용자와 봉사자와의 상관관계 및 만족도, 요구도 조사도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향후 이와 같은 심층적인 조사를 통해 보다 구체적인 물리적 공간의 기준이 마련된다면 차후 센터의 신설, 공간이동, 리모델링 시 모범답안처럼 제시 될 수 있을 것이다.

Declaration of Conflicting Interests

The authors declared that they had no conflicts of interest with respect to their authorship or the publication of this article.

Acknowledgments

This work was supported by Incheon National University of Studies Research Fund of 2011.

Figure 1.
Space composition ratio of all centers.
fer-52-5-457f1.gif
Table 1.
Survey Contents
Classification Content
Outline General characteristics Operation mode, operation entity, foundation year and grant programs of each center
Operation status Organization and number of employees, institution of agreement, number of web-operation cafes, status of operation program
Physical characteristics General characteristics Building characterization, building ownership, rent, total surface area
Space organization and area characterization Kind of space and its existence, space area, area component ratio and overlapping-use space rate, space area per person
Spatial needs of center employees Characteristics of survey target Belonging center and team, general characteristics (gender, age, level of education, major, and certificate), center career, experience of exchange labor business
Opinion of physical space Space use conditions, space formation ratio, satisfaction and demand of physical space, additional suggestions
Table 2.
Regional Distribution of Survey Subjects
Region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1st survey
2nd survey
Location Response (%) Location (people) Response (%)
Seoul 25 (23) 12 48 9 (57) 57.6
Incheon 9 (8) 9 100 9 (55) 55.6
Total 34 (31) 21 61.8 18 (112) 56.7
Table 3.
General Factors for Each Center
Item Seoul Incheon Total
Operation type Combined type 10 (83.3) 3 (33.3) 13 (61.9)
Multifunctional - 2 (22.2) 2 (9.5)
Standalone (1) - 2 (22.2) 2 (9.5)
Standalone (2) 2 (16.7) 2 (22.2) 4 (19.1)
Operation body Non-profit organization 3 (25.0) 2 (22.2) 5 (23.8)
Incorporated 1 (8.3) 1 (11.1) 2 (9.5)
Educational 6 (50.0) 2 (22.2) 8 (38.1)
Social welfare 2 (16.7) - 2 (9.5)
Religious - 3 (33.3) 3 (14.3)
Other - 1 (11.1) 1 (4.7)
Foundation year 2005-2006 7 (58.3) 1 (11.1) 8 (38.1)
2007-2008 3 (25.0) 5 (55.6) 8 (38.1)
2009-2010 2 (16.7) 3 (33.3) 5 (23.8)
Grant program Full local support 10 (83.3) 1 (11.1) 11 (52.4)
National support + local support 2 (16.7) 8 (88.9) 10 (47.6)
Total 12 (100.0) 9 (100.0) 21 (100.0)

Values are presented as n (%).

Table 4.
Operation Organization and Mean Number of Employees in Center
Center director Secretary general Team leader (H/M) Team member (H/M) Total
Seoul 1 .6 2.3 (1.9/.4) 7.2 (5.4/1.6) 11.1
Incheon 1 .3 3.0 (2.6/.4) 7.2 (5.2/2.0) 11.5
Average 1 .5 2.6 (2.2/.4) 7.2 (5.5/1.9) 11.3

H,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M,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Table 5.
Number of Convention Organizations and Operating Cafes
Convention organization Seoul Incheon Total
Welfare party 59 (4.9) 12 (1.3) 61 (3.1)
Child care party 31 (3.8) 10 (1.1) 41 (2.5)
Educational Party 54 (4.5) 32 (3.6) 86 (4.1)
Public institution 58 (4.8) 21 (2.3) 79 (3.6)
Civic group 4 (.3) 1 (.1) 5 (.7)
Private company and hospital 24 (3.4) 13 (1.4) 37 (2.4)
Others 11 (1.6) 48 (5.3) 59 (3.5)
Total number (average) 241 (20.1) 137 (15.2) 378 (18.0)
Total number of cafes (average) 29 (2.4) 14 (1.6) 43 (2.0)

Values are presented as n (%).

Table 6.
Program Operation Status of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Program Seoul Incheon Total
Family education business Marriage expectant couple and newly married couple 11 (91.7) 3 (42.9) 14 (73.7)
Targeted men 9 (75.0) 6 (85.7) 15 (78.9)
Targeted parents 11 (91.7) 4 (57.1) 15 (78.9)
Academy 7 (58.3) 5 (71.4) 12 (63.2)
Family care business Care for adaptation of elementary school life 1 (8.3) - 1 (5.3)
Care for playground 5 (41.7) 2 (28.6) 7 (36.8)
Care for temporary vacation 3 (25.0) - 3 (15.8)
Nanny service 6 (50.0) 5 (71.4) 11 (57.9)
Care service for disabled child - 3 (42.9) 3 (15.8)
Care service for afterschool hours 2 (16.7) - 2 (10.5)
Family counseling business Outside institution - 1 (14.3) 1 (5.3)
Internet-addiction prevention - 1 (14.3) 1 (5.3)
Couples group program 2 (16.7) 1 (14.3) 3 (15.8)
Personal counseling 6 (50.0) 5 (71.4) 11 (57.9)
Group counseling 8 (66.7) 5 (71.4) 13 (68.4)
Telephone counseling 3 (25.0) 2 (28.6) 5 (26.3)
Interview counseling 1 (8.3) 1 (14.3) 2 (10.5)
Counseling before and after divorce 7 (58.3) 3 (42.9) 10 (52.6)
Sand play therapy 3 (25.0) 3 (42.9) 6 (31.6)
Art therapy 5 (41.7) - 5 (26.3)
Family-friendly culture support business Family voluntary service 12 (100.0) 7 (100.0) 19 (100.0)
Exchange labor of family 11 (91.7) 6 (85.7) 17 (89.5)
Family day 3 (25.0) - 3 (15.8)
Family love day 6 (50.0) 4 (57.1) 10 (52.6)
Program with multicultural family 1 (8.3) - 1 (5.3)
Family constitution - 3 (42.9) 3 (15.8)
Good neighbors - 3 (42.9) 3 (15.8)
Family love campaign 6 (50.0) 3 (42.9) 9 (47.4)
The day of family and neighbor love 1 (8.3) 2 (28.6) 3 (15.8)
Total number 12 (100.0) 7 (100.0) 19 (100.0)

Values are presented as n (%).

Table 7.
Operating Conditions of Support Center for Multicultural Families
Program Seoul Incheon Total
Basic business Korean language 12 (100.0) 8 (88.9) 20 (95.2)
Adaptation program for multicultural family 10 (83.3) 9 (100.0) 19 (90.5)
Job finding support 9 (75.0) 6 (66.7) 15 (71.4)
Personal and family counseling 7 (58.3) 6 (66.7) 13 (61.9)
Specific business Language program 11 (91.7) 5 (55.6) 16 (76.2)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service 2 (16.7) 4 (44.4) 6 (28.6)
Language course for gifted persons 2 (16.7) 4 (44.4) 6 (28.6)
Operation business Meeting of multicultural family 9 (75.0) 7 (77.8) 16 (76.2)
Multicultural family donation corps 1 (8.3) 6 (66.7) 7 (33.3)
Improvement awareness 7 (58.3) 6 (66.7) 13 (61.9)
Consolidation of network with local community 1 (8.3) 3 (33.3) 4 (19.0)
Visiting education 6 (50.0) 6 (66.7) 12 (57.1)
Child care information center 3 (25.0) 7 (77.8) 10 (47.6)
Total number 12 (100.0) 9 (100.0) 21 (100.0)

Values are presented as n (%).

Table 8.
General Information of Physical Space in Center
Classification Item Seoul Incheon Total
Building type Whole building 4 (33.3) 2 (22.2) 6 (28.6)
In public building 3 (24.9) 2 (22.2) 5 (25.8)
In university building 2 (16.7) 1 (11.2) 3 (14.3)
In trust foundation building 2 (16.7) - 2 (9.5)
In shopping center 1 (8.3) 2 (22.2) 3 (14.3)
In foundation-owned building - 2 (22.2) 2 (9.5)
Building owner Local government 6 (50.0) 2 (22.2) 8 (30.1)
Local government lease 2 (16.7) - 2 (9.5)
Trust corporate 4 (33.3) 5 (55.6) 9 (42.9)
Trust corporate lease - 2 (22.2) 2 (9.5)
Rent Free 11 (91.7) 8 (88.9) 19 (90.5)
Paid 1 (8.3) 1 (11.1) 2 (9.5)
Building area (m2) Maximum area 1,193.0 946.0 1,069.5
Minimum area 70.6 84.0 77.3
Total area 244.7 312.5 281.2

Values are presented as n (%).

Table 9.
Space Organization and its Presence or Absence in Center
Space Existence
Seoul Incheon Total
Office 12 (100.0) 9 (100.0) 21 (100.0)
Center leader 4 (33.3) 5 (55.6) 9 (42.9)
Storage space 3 (25.0) 6 (66.7) 9 (42.9)
Resting place 2 (16.7) 3 (33.3) 5 (23.8)
Restroom (toilet) 12 (100.0) 9 (100.0) 21 (100.0)
Infant care center 3 (25.0) 9 (100.0) 12 (57.1)
Private counseling room 9 (75.0) 8 (88.9) 17 (81.0)
Telephone counseling room 6 (50.0) 4 (44.4) 10 (47.6)
Group counseling room 7 (58.3) 3 (33.3) 10 (47.6)
Speech therapy room 4 (33.3) 3 (33.3) 7 (33.3)
Main education room 11 (91.7) 8 (88.9) 19 (90.5)
Sub education room 5 (41.7) 1 (11.1) 6 (28.6)

Values are presented as n (%).

Table 10.
Min-Max Area and Average Scale of All Centers (m2)
Space Area
Average size
Max Min Seoul Incheon Total (average %)
Office 140 23 61.8 57.3 59.6 (17.4)
Center leader room 40 13 28 - 28 (8.2)
Storage 18 10 12 18 15 (4.4)
Resting room 31 17 17 31 24 (7.0)
Child care information room 65 10 62.5 10.8 36.7 (10.7)
Private counseling room 41 5 14.1 20.1 17.1 (5.0)
Telephone counseling room 34 3 10.8 18.3 14.6 (4.3)
Group counseling room 33 4 23.3 4 13.7 (4.0)
Speech therapy room 34 6 10.3 24.5 17.4 (5.1)
Main education room 200 34 84.5 75.7 80.1 (23.4)
Sub education room 52 24 36.2 - 36.2 (10.6)
Table 11.
Space Information
Variable Seoul Incheon Total
Average area of office (m2) 61.8 57.3 59.6
Average total number (person) 10.1 10.5 10.3
Space ratio (m2) 6.1 5.5 5.8
Table 12.
Belonging and Area of Each Survey Center
Item n (%)
Seoul Gwanak-gu 10 (17.5)
Gangnam-gu 8 (14.0)
Dongdaemun-gu 13 (22.8)
Gangseo-gu 7 (12.3)
Nowon-gu 1 (1.8)
Mapo-gu 9 (15.8)
Jung-gu 1 (1.8)
Seongdong-gu 2 (3.5)
Gangdong-gu 6 (10.5)
Total 57 (100)
Incheon Seo-gu 14 (25.5)
Yeonsu-gu 13 (23.6)
Nam-gu 8 (14.5)
Geyang-gu 4 (7.3)
Ganghwa-gun 7 (12.7)
Bupyeong-gu 5 (9.1)
Namdong-gu 1 (1.8)
Dong-gu 1 (1.8)
Jung-gu 2 (3.6)
Total 55 (100)
Table 13.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rvey Target
Item n (%)
Sex Female 102 (94.4)
Male 6 (5.6)
Total 108 (100)
Age (M=33.4) The twenties 41 (39.4)
The thirties 38 (36.5)
Forties and over 25 (24.0)
Total 104 (100)
Education level Up to high school 2 (1.9)
College graduates 78 (72.9)
Graduate school and beyond 27 (25.2)
Total 107 (100)
Major Home management 28 (26.4)
Welfare 52 (49.1)
Counseling psychology 9 (8.5)
Language 7 (6.6)
Joint honors 3 (2.8)
Other 7 (6.6)
Total 106 (100)
Certificate Healthy family 69 (33.0)
Social welfare 76 (36.4)
Family welfare 10 (4.8)
Child care teacher 19 (9.1)
Counseling 17 (8.1)
Language 6 (2.9)
Other 12 (5.7)
Total 209 (100)
Table 14.
Center Work Career and Exchange Work Experience of Survey Target
Item n (%)
Center career (M, 20.8 mo)
 <1 yr 49 (44.1)
 ≥1 yr & <2 yr 25 (22.5)
 ≥2 yr & <3 yr 21 (18.9)
 ≥3 yr 16 (14.4)
 Total 111 (100)
Exchange work (M, 12.2 mo)
 <6 mo 10 (40.0)
 ≥6 mo & <12 mo 5 (20.0)
 ≥1 yr & <2 yr 7 (28.0)
 ≥2 yr 3 (12.0)
 Total 25 (100)
Exchange work experience
 Yes 26 (26.0)
 No 74 (74.0)
 Total 100 (100)
Table 15.
Space Organization and Utilizing Conditions in Center
Space Existence Rental Duplication
Office 110 (98.2) - 27 (24.1)
Center leader room 65 (58.0) - 35 (31.3)
Meeting room 34 (30.4) 2 (1.8) 18 (16.1)
Storage 70 (62.5) 6 (5.4) 58 (51.8)
Information 37 (33.0) 2 (1.8) 34 (30.4)
Resting place 32 (28.6) 5 (4.5) 21 (18.8)
Toilet 101 (90.2) 6 (5.4) -
Child care information room 74 (66.1) 12 (10.7) 10 (8.9)
Private counseling room 97 (86.6) 2 (1.8) 35 (31.3)
Telephone counseling room 50 (44.6) - 18 (16.1)
Group counseling room 44 (39.3) 4 (3.6) 34 (30.4)
Speech therapy room 92 (82.1) 1 (.9) 19 (17.0)
Main education room 76 (67.9) 40 (35.7) 31 (27.7)
Sub education room 78 (69.6) 19 (17.0) 36 (32.1)

Values are presented as n (%).

Table 16.
Space Needs
Space More New For family-friendly activity
Office 55 (49.1) 14 (12.5) 8 (7.1)
Center leader room 9 (8.0) 24 (21.4) -
Meeting room 38 (33.9) 33 (29.5) -
Storage 18 (16.1) 39 (34.8) -
Information - 26 (23.2) 10 (8.9)
Resting place 24 (21.4) 33 (29.5) 17 (15.2)
Toilet 5 (4.5) 4 (3.6) 2 (1.8)
Child care information room 13 (11.6) 8 (7.1) 55 (49.1)
Private counseling room 23 (20.5) 5 (4.5) 4 (3.6)
Telephone counseling room - 16 (14.3) -
Group counseling room 14 (12.5) 12 (10.7) 4 (3.6)
Speech therapy room 15 (13.4) - -
Main education room 37 (33.0) 23 (20.5) 14 (12.5)
Sub education room 31 (27.2) 18 (16.1) 33 (29.5)

Values are presented as n (%).

Table 17.
Space Satisfaction in Center
Variable n M (SD)
Office 111 3.01 (1.15)
Center leader room 79 3.14 (1.32)
Meeting room 88 2.61 (1.00)
Storage 106 2.25 (1.05)
Information 78 2.68 (2.74)
Rest place 77 2.35 (1.09)
Rest room 107 3.40 (1.00)
Infant care center 87 3.30 (1.04)
Private counseling room 106 3.11 (1.11)
Telephone counseling room 79 2.77 (1.01)
Group counseling room 72 2.79 (1.17)
Speech therapy room 95 3.06 (1.00)
Main education room 89 3.04 (1.21)
Sub education room 89 3.16 (1.23)
Table 18.
Average Needs of Physical Environment
Variable n M (SD)
Center location 109 3.42 (1.25)
Space scale 110 4.57 (.63)
Position arrangement 110 4.09 (.95)
Facility installation 111 3.94 (.87)
Interior 109 3.89 (.92)
Environment equipment 110 4.01 (.98)
Storage issue 110 4.38 (.77)
Guide and rest place 111 4.47 (.63)
Rental 95 3.33 (1.21)
Space overlapping usage 109 4.39 (.83)
Labor exchange space 105 4.20 (.87)

References

Chang, J. K., Oh, J. E., Han, E. J., Ryu, J. A., & Won, S. Y. (2006). A study on PR and facilities for the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Journal of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10(2), 127-149.

Choi, J. S. (2013). Family friendly community environment for child and family care. Architecture, 57(9), 18-24.

Headquarters for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s. (2011).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manage guidebook. Seoul: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Hong, S. A., Kim, H. Y., & Yoo, Y. G. (2007). Development of family-friendly community model. Seoul: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 (2010).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manage guidebook. Seoul: 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

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 (2011).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business guidance. Seoul: 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

Park, J. A., Choi, M. W., & Kim, Y. A. (2011).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area and spatial elements based on the building size of childcare center. Journal of the Korea Housing Association, 22(1), 65-73.
crossref
Park, J. Y., & Kang, K. J. (2011). The basic study of development on standard model in family support center.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9(4), 147-160.

TOOLS
PDF Links  PDF Links
PubReader  PubReader
ePub Link  ePub Link
Full text via DOI  Full text via DOI
Download Citation  Download Citation
Supplement  Supplement
  Print
Share:      
METRICS
1
Crossref
6,876
View
57
Download
Editorial Office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TEL : +82-2-561-6416, +82-2-561-6446    FAX : +82-2-562-2999    
E-mail : khea6416@daum.net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2014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Developed in M2P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