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 예비교사 대상 한복 문화 체험 교육 운영 사례 및 에듀테크 활용 방안

Experiential Education Cases on Hanbok Culture and Strategies for EdTech Integration

Article information

Hum. Ecol. Res. 2025;63(1):121-135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25 February 26
doi : https://doi.org/10.6115/her.2025.010
1Jeonju University of Education, Professor
2Incheon Jangdo Elementary School, Teacher
최경은1orcid_icon, 길영재,2orcid_icon
1전주교육대학교 교수
2인천장도초등학교 교사
Corresponding Author: Yeong-Jae GIL Incheon Jangdo Elementary School, 112, Pogu-ro, Namdong-gu, Incheon, S. Korea Tel: +82-32-446-9781 E-mail: gil-yj@daum.net
This article was presented as a conference paper at the Conference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on October 19, 2024.
Received 2024 November 26; Revised 2025 January 13; Accepted 2025 February 10.

Trans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evelopment of Hanbok Culture Experiential Education for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with a focus on integrating Generative AI into EdTech-based instruction. As a traditional Korean garment, the Hanbok plays a crucial role in fostering national identity and cultural pride; however, its marginalization in the current curriculum necessitates new approaches to revitalizing Hanbok education. To address this issue, a hands-on Hanbok Cultural Experiential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and implemented, incorporating Generative AI-driven EdTech tools to investigate their educational potential.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program effectively encompassed activities such as wearing the Hanbok, practicing traditional etiquette, engaging in Hanbok fashion shows, and creating digital content using Generative AI. This integration of Hanbok Culture Experiential Education with EdTech not only broadened the scope of learning but also provided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with opportunities to visualize, share, and reflect upon their cultural experiences more creatively.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at such methods can be employed in both pre-service teacher training and elementary classrooms to enhance students’ cultural understanding and creative expression. Future research is recommend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is approach in real-world settings and explore the broader ethical considerations of utilizing Generative AI in traditional cultural education.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전통문화는 민족의 정체성과 자긍심을 형성하는 중요한 요소이며, 한복은 한국의 전통 의복으로 서 그 핵심을 이루고 있다. 한복은 단순한 의복을 넘어 역사적, 사회적, 문화적 맥락 속에서 다양한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우리 민족의 정체성과 민족주의의 중요한 상징으로 기능해 왔다(Lee, 2022).

인공지능 기술의 급격한 발전으로 인해 그 어느 때보다도 빠르게 큰 폭의 변화를 겪고 있는 현 시점에도 전통문화와 한복이 가진 가치는 여전히 유효하다. OECD의 DeSeCo(Definition and Selection of Competencies) 프로젝트에서는 21세기 핵심 역량 중 하나로 사회적 상호작용을 선정하였으며, 이는 개인과 공동체의 고유한 문화적 정체성을 인식하고 이를 보존하는 능력을 강조한다(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2005). 또한, 국제연합(UN)의 지속 가능 발전 교육에서는 학생들이 자신이 속한 공동체의 전통적 가치와 문화를 이해하고, 이를 세계화의 맥락에서 창의적으로 활용하는 역량을 중요하게 다루고 있다(UNESCO, 2015). 이는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인재상이 전통문화를 깊이 이해하고 이를 창의적으로 변용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춘 사람임을 의미하며, 미래세대를 위한 교육에서 전통문화 교육이 더욱 강조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점차 우리의 교육 현장에서 전통문화 교육은 소홀히 다루어지고 있으며, 한복 문화와 관련된 교육과정은 축소되고 있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학습 내용별 성취기준’에서 전통 옷차림의 우수성과 가치를 이해하고 한복 옷차림까지 다루도록 명시하였으나,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전통 옷차림 또는 한복에 관한 내용은 거의 다루어지지 않았다. 다만, 선택교과인 고등학교 기술·가정에서 한 개의 성취기준만 제시하였고, 이를 다룬 교과서의 내용도 양적, 질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Shim & Baek, 2021).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성취기준이 아닌, ‘성취기준 해설’과 ‘성취기준 적용 시 고려 사항’에서만 간략히 다루고 있어서 한복 문화에 관한 체계적 교육을 기대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교육 내용이 교육 현장에서 학생들에게 의미 있게 다루어지기 위해서는 교육과정을 실현해 내는 교사의 역할이 중요하며, 역량 있는 교사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교원 양성 과정에서 관련 내용이 비중 있게 다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교원 양성 과정에서 다루는 교육 내용은 국가교육과정에 근거하여 편성되므로 현행 교육과정에 근거한 교원 양성 과정에서는 전통문화 교육을 충실히 다룰 것을 기대하기 어렵다. 이는 결국 현장 교사들의 전통문화 교육역량의 부재로 연결되고 학교 교육에서의 전통 문화교육 약화로 귀결된다. 따라서 미래세대가 민족 정체성을 확립하고 전통문화를 계승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예비교사 교육과정에서 한복을 비롯한 전통문화에 대한 심도 있는 교육이 반드시 필요하다.

최근 우리가 경험한 코로나-19와 인구절벽 시대에 대한 우려는 교육 현장에도 변화를 촉발했다. 코로나-19는 교육 현장에서 에듀테크 등 첨단 기술의 활용을 촉진했으며(Kang, 2023), 인구 절벽에 대한 우려는 각 학생의 개성을 살리는 것이 미래 인적자원 확보에 매우 중요함을 일깨워주었다(Lee et al., 2018). 이러한 배경에서 전통문화 교육에서도 첨단 에듀테크를 활용하여 학생 개개인의 개성을 표현하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은 시의적절한 접근이다. 이러한 시도는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하고 교육 효과를 극대화하는 방법으로서 학생의 학습과 교사의 교수 방식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교육의 사회적 통합에까지 기여할 수 있다(Timotheou et al., 2023). 따라서 한복 교육에도 첨단 기술을 접목함으로써 전통문화 교육의 접근성을 높이고, 학생들이 더 직관적이고 체험적인 학습을 경험하도록 도울 수 있다.

에듀테크는 최근 인공지능(AI)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새로운 전환점을 맞이하고 있다. 특히,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의 등장으로 인해 인공지능의 활용 범위는 텍스트 분석을 넘어 이미지, 음악, 영상 등의 창작까지 확장되었다. 생성형 인공지능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새로운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로써 기존 인공지능 서비스가 제공하던 제한적 서비스를 넘어 다양한 목적과 교육적 요구에 부응할 수 있다. 또한 학습자가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새롭게 구성하거나 창작하는 데 도움을 주어 학습자의 역량을 강화하고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Kim et al., 2023). 이처럼 최근 인공지능 기술의 급격한 발달로 에듀테크는 전통적인 교수법을 보완하는 강력한 도구로 주목받고 있으며, 한복 교육에서도 생성형 인공지능을 접목한다면, 학생들은 더 체험적이고 직관적인 학습 경험을 할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하면 콘텐츠 제작에서 경험할 수 있는 기술적 어려움을 극복하고 학습자들이 자신만의 산출물을 더욱 효율적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이를 온라인 플랫폼에 공유함으로써 전통문화 교육의 효과를 널리 확산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한복 문화 체험 교육을 운영한 사례를 분석하고, 한복 문화 체험 교육에 생성형 인공지능 기반의 에듀테크를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함으로써 발달된 현대적인 교육 환경과 도구를 활용하여 전통문화 교육을 더욱 활성화하는 실천적 가능성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는 크게 두 가지로 구성된다. 첫째, 초등 예비교사 대상 한복 교육의 현황을 분석한다. 이를 위해 교대 교육과정에서의 한복 교육 실태와 관련 연구물을 검토하고, 한복 체험 교육의 사례를 분석한다. 둘째, 한복 문화 체험 교육에 생성형 인공지능 기반의 에듀테크를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하고 이를 수업 모듈로 개발한다.

이론적 배경

1. 한복의 특성과 한복 교육 현황

한복은 우리 민족의 전통 의복으로서 그 기원과 발전 과정에서 다양한 사회적, 역사적 맥락을 반영한다(Seok, 1963). 한복은 삼국시대부터 시작된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음에도, 그 기본 구성이 변하지 않고 원형을 유지하고 있는 독특한 복식이다. 조선시대에 이르러 한복의 기본 형태가 확립되었으며, 이는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전통적인 한복의 모습으로 발전하였다. 한복은 일상복, 예복, 의례복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었으며, 그 각각의 기능에 따라 색상, 문양, 재질이 달라졌다. 결혼식과 같은 중요한 의례에서는 전통적인 예복으로서 한복이 중요한 역할을 했고, 일상생활에서는 이보다 간소한 형태의 한복을 착용하였다.

한복은 디자인이 아름다우면서도 과학적인 선조의 지혜를 담고 있다. 한복은 신체를 구속하지 않아 활동성이 뛰어나며, 착용 방법에 따라 다양한 모양을 연출할 수 있다. 또, 착용자의 체형을 보완하고 더 맵시 있게 표현할 수 있는 디자인 요소가 적용되어 있으며, 그 자체의 디자인이 온화함과 단아함을 자아내는 전통의 아름다움을 담고 있다(Choi, 2019).

한복은 전통적으로 중요 의례에서 착용되었으며, 이 관습은 오늘날에도 이어져 결혼식, 설날, 추석 등 주요 행사에서 한복을 입는 것이 일반적이다(Kwon et al., 1998). 현대 사회에서는 일상에서 한복을 착용하는 일이 드물어졌고, 이는 한복의 상징성과 문화적 의미를 경험하고 학습할 기회의 감소로 이어졌다(Cho & Kim, 2010). 이에 따라 젊은 세대일수록 한복을 낯설게 인식할 수 있는데, 이는 학교 교육에서 한복을 충분히 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개선할 수 있다.

Lee (2022)는 한복이 한국인의 정체성은 물론, 한국의 민족주의적 관점에서 중요한 상징이라고 분석하였다. 흰색의 한복은 한국민의 민족주의적 상징으로서 일종의 피부와도 같으며, 식민지 시대에도 일제의 억압에 대한 저항의 상징이 되었다. 현대에 이르러 실생활에서는 점차 사라졌음에도 1980년대 민주화 운동에서 민주주의를 상징하는 강력한 의미를 지니고 있었다.

우리나라 교육과정에서 한복 교육은 전통문화 교육의 일부로 다루어지는 경우가 많은데, 그 비중은 매우 제한적이다. 2015년 개정 교육과정 이후 중학교 과정에서 한복 교육이 축소되고, 선택 과목에서만 다루어지고 있다(Choi et al., 2017). 이는 전통문화교육의 약화를 초래하고, 학생들이 한복을 접할 기회를 현저하게 제한한다. 현재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는 전통문화를 다루는 내용을 찾기 어려우며, 특히 의생활을 다루는 실과 교과에서도 현행 2015 개정 교육과정은 물론,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도 전통문화에 관한 내용은 찾기 어렵다(Ministry of Education, 2015, 2022). 이렇듯 초등학교에서는 한복을 비롯한 전통문화 교육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이것은 초등교육 현장에서의 교육 역량을 기르는 과정에 있는 초등 예비교사 교육에서도 동일하다. 교사가 전통문화 및 한복 교육에 대한 충분한 소양을 갖추지 못한 채 교육 현장에 투입되고, 교육과정에서도 전통문화 및 한복교육을 다루지 않는다는 것은 우리의 문화적 정체성의 유지와 전승에도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정부와 일부 기관 및 단체에서는 한복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문제의 해소에 기여하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에서는 한복 패션 디자이너 육성 정책을 추진하고 한복진흥센터 등 유관 단체와 연합하여 해외 한복 패션쇼, 한복 페스티벌 등을 개최하고, 국가 유산청은 2013년부터 한복을 입고 4대 궁궐과 종묘, 조선왕릉을 방문하는 관람객들에게 무료 관람 기회를 제공했으며, 2022년에는 ‘한복생활’을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하여 한복 문화의 확대에 노력하고 있다(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24). 지방자치단체에서도 <Table 1>과 같이 다양한 축제와 행사 및 공모전 개최, 전시관 및 지원센터 운영, 전통의상 체험 행사 개최 등 한복문화 활성화에 노력하고 있다.

Hanbok-Related Events by Local Governments in South Korea

한복진흥센터에서는 한복의 날을 지정하여 다양한 행사를 개최하고 있는데, 다양한 문화 예술 분야의 행사에서 한복으로 협업하고 있으며, 한복 문화 공감지원사업, 한복 세계화 사업, 찾아가는 한복문화 교육, 한복 나눔 행복나눔 사업, 한복 개발 프로젝트, 입고 싶은 우리 옷 공모전, 지역 한복 축제 등을 개최하며 한복 문화의 확산과 세계화에 노력하고 있다(Korea Craft and Design Foundation, n.d.). 한국한복진흥원은 경상북도내 초·중고등학교와 연계하여 한복문화교육을 실시하고,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는 전시 및 교육 공간을 운영하고 있다(Korea Hanbok Promotion Institute, n.d.).

그러나 교육기관의 한복 체험 프로그램은 찾아보기 어렵고, 일회성 이벤트에 그치는 경우가 많아 실효성 있는 교육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특히,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한복 체험 교육은 더욱 찾기 어려워, 다음 세대에 전통문화를 전승하기 위해 전통문화 및 한복 교육에 더 큰 노력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2. 에듀테크의 개념과 교육적 활용

에듀테크(EdTech)는 교육(Education)과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로서,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다양한 교육 방법과 도구를 뜻한다. 에듀테크는 기존 교육 방식을 보완 및 대체하는 도구로 주목받고 있으며, 최근 AI, 빅데이터, 가상 및 증강 현실 등 첨단 기술의 발달과 함께 급속히 발전하면서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를 이끌고 있다(Kim, 2016; Shin, 2019; Nam, 2020). 에듀테크는 학습자의 참여도를 높이고, 학습의 접근성을 확장하는 데 유용하다. 전통적인 교육 방법은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만, 에듀테크를 활용한 수업에서는 온라인 학습 플랫폼과 디지털 콘텐츠를 활용함으로써 이러한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 에듀테크를 활용하면 학생들에게 각자의 상황과 특성에 따른 맞춤형 교육을 제공할 수 있어 학습자의 참여도를 제고할 수 있으며, 학습 효과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Kim, 2021; Hong, 2024). 기존의 전통문화 교육은 특정 장소나 환경에서만 가능한 경우가 많았지만, 에듀테크를 활용하면 언제 어디서나 학습할 수 있기 때문에 전통문화 교육에 있어서 접근성의 확장으로도 이어진다. 전통문화와 관련된 인적, 사회적 자원이 부족한 지역에서도 에듀테크를 통해 효과적인 전통문화 교육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에듀테크는 학습자가 학습한 내용을 창의적으로 표현하고, 산출물을 만들어 내는 과정에서 전통문화 교육에 기여할 수 있다. 학습 내용을 온라인에 게시하여 동료들과 공유하고 감상평을 남기거나 스스로 창작한 작품의 완성도를 높이는 데 에듀테크를 활용할 수 있다. 생성형 AI 기반의 창작 도구를 한복 교육에 활용하면 학생들은 한복 체험 교육에서 배운 전통문화 관련 내용을 손쉽게 영상이나 프레젠테이션 슬라이드, 포스터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하여 발표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학습자들은 학습한 내용을 정리하고, 이를 시각적인 산출물로 제작함으로써 학습한 내용을 내면화할 수 있다.

에듀테크를 활용하여 제작된 산출물은 전통문화 교육을 사회 저변에 확장하는 도구로도 활용될 수 있다. 학생들이 한복 제작 과정과 체험 장면을 담아 영상, 카드뉴스, 포스터 등의 형태로 제작한 뒤 이를 온라인에 공유하면 학습자의 한복 관련 경험을 불특정 다수의 시청자에게 손쉽게 확산할 수 있다(Lee & Jung, 2020). 이는 전통문화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교육의 범위를 확장하는 좋은 방법이 된다.

3. 생성형 인공지능 서비스의 교육적 활용

생성형 인공지능은 데이터를 학습하고 분석하여 학습자에게 텍스트, 이미지, 음악, 동영상 등 다양한 형태의 맞춤형 교육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Hao & Guo, 2023; Lee et al., 2024; Kasneci et al., 2023). 이러한 콘텐츠를 필요에 따라 융합하면 매우 다양한 학습자료를 빠르고 손쉽게 만들 수 있으므로 교육 현장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Barn-Nzekwe, 2024). 생성형 AI는 학생 개개인의 학습 수준과 스타일을 분석하여 맞춤형 교육 콘텐츠를 제공하고, 학습자가 이해하지 못한 내용이 있으면 그 내용과 원인을 분석하여 보충 설명이나 보충 자료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Lee et al., 2024).

생성형 인공지능은 학습자가 학습 경험을 바탕으로 창의적인 산출물을 제작하도록 도울 수 있다. 학습자가 학습한 내용을 정리한 뒤 인공지능 도구를 활용해 비디오나 프레젠테이션으로 손쉽게 변환하고, 학습 결과물을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학습자가 비디오나 프레젠테이션이라는 형식을 갖추는 데 수반되는 기술적 한계를 넘어 산출물의 내용에 초점을 두고 창의적인 결과물을 손쉽게 제작할 수 있게 함으로써, 학습 내용에의 몰입도와 학습 성취도를 제고한다. 생성된 콘텐츠는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쉽게 공유할 수 있으며, 전통문화 교육제 적용되면 전통문화와 관련된 정보와 가치의 확산에도 기여할 수 있다 (Hao & Guo, 2023).

학습자는 생성형 인공지능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자신의 산출물을 개선할 수 있다(Kasneci et al., 2023). 학습자가 자신의 산출물을 인공지능 서비스에 업로드한 뒤 피드백을 요청하면 실시간으로 피드백을 제공받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자신의 산출물을 수정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학습자는 자신의 학습 과정을 되돌아볼 수 있고, 더욱 개선된 결과물을 제작할 수 있다.

연구 방법

1. 연구 설계

이 연구는 한복 문화 체험 교육 사례를 기반으로, 한복 문화 체험 교육에 인공지능 기반의 에듀테크를 활용 수업 모듈을 설계하였다. 먼저 한복 문화 체험교육 프로그램의 주요 활동과 교육적 성과를 분석하여 한복 체험 교육이 예비 교사들에게 미치는 교육적 영향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한복 체험 교육에 활용 가능한 에듀테크 활용 방안을 탐색하고 생성형 AI 도구를 활용한 구체적인 실행 방안을 설계하였다.

2. 자료 수집 및 타당화

이 연구에서는 한복문화 체험교육 프로그램을 수행하면서 축적된 문서와 학생의 활동으로 산출된 산출물, 포트폴리오 등을 분석하였다. 프로젝트 기획서, 프로젝트 보고서, 교육과정 자료 등을 활용해 프로그램의 진행 과정과 주요 활동 내용, 프로그램의 의미와 성과 등을 파악하였다. 이후 한복 문화 체험교육 프로그램에 적용 가능한 AI 기반 영상 제작 도구를 활용한 수업 방안을 탐색하여 일련의 수업 모듈을 설계하였다. 설계된 내용은 현장 교사 2명과 대학교수 2명 등 미디어 교육 및 인공지능 교육 관련 전문가 4인의 검토를 거쳤다.

3. 자료 분석

이 연구에서는 한복 문화 체험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질적 분석 방법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먼저, 프로젝트 기획서와 보고서는 프로그램 설계의 적합성과 실행 과정에서 나타난 주요 특징을 파악하는 데 활용하였다. 기획서와 보고서의 내용을 비교하여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실행 내용을 확인하고, 프로그램의 개선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교육과정 자료는 설계된 한복 문화 체험 교육 프로그램의 학습 목표와 활동 계획이 학습자 요구를 충족하고 충분한 교육적 효과를 가지는지 분석하는 데 활용되었다. 학생의 산출물로는 한복 체험 학습을 통해 얻은 창의적 성과와 전통문화에 대한 이해도를 파악하였고, 포트폴리오를 통해 학생 개개인의 학습 과정과 에듀테크 도구 활용 경험을 도출하였다.

자료 분석의 신뢰도와 타당성을 높이기 위해 연구자가 데이터를 여러 번 검토하여 의미 단위를 재점검하고 수정하는 반복적 코드 검토법을 적용하였으며, 연구 자료와 해석 과정에서 동료 검토를 통해 연구자가 놓칠 수 있는 편향이나 오류를 최소화하고자 하였다.

4. 연구 절차

이 연구에서는 먼저 한복 문화 체험 교육 사례를 분석하고, 한복 문화 체험 교육에 적용 가능한 인공지능 에듀테크 도구를 활용한 시각적 산출물 제작 방안을 구안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절차는 다음과 같다.

Figure 1.

Flowchart of the Research Procedure

연구 결과

1. 한복 문화 체험 교육 운영 사례

한복 문화 체험교육 프로그램은 초등 예비 교사들을 대상으로 2019년부터 시행된 전통문화 체험교육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은 예비 교사들에게 한복을 제작하고 착용하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한국 전통문화를 직접 체험하고, 이를 교육 현장에서 전달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해당 지역의 한옥마을과 대학 캠퍼스에서 운영되었으며, 학생들이 지역사회와 연계하여 전통문화를 배우고 체험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한복 문화 체험교육 프로그램은 크게 한복 문화 체험과 산출물 제작의 두 영역으로 구분되고, 한복 문화 체험 활동은 세 가지 주요 활동으로 구성하였다. 한복 문화 체험 활동은 ‘1) 한복 체험(예절 교육 및 놀이 체험’, ‘2) 한복 패션쇼’, ‘3) 한복 제작 체험’, 등 3단계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였으며, 각각의 활동은 전통한복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체험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한복 문화 체험활동을 마친 후에는 체험의 과정과 결과, 소감, 홍보 메시지 등을 담아 PT 슬라이드, 인포그래픽 자료, 영상 자료 등의 교육활동 보고서를 작성, 제작하도록 하였다.

1) 한복문화체험

한복문화체험은 한복체험, 예절교육, 전통놀이체험으로 구성하여 진행하였다. 한복체험에서는 한복의 역사, 특징, 구성, 종류에 대한 이론적 소개와 함께 한복을 입는 순서와 방법을 배우고 이를 직접 실습하는 과정으로 구성된다. 이 단계에서 학생들은 한복의 각 부분, 즉 저고리, 치마, 바지 등에서 찾을 수 있는 다양한 디자인 요소의 의미와 기능을 배우고, 한복을 입는 순서, 고름 매는 방법, 매무시를 바르게 하는 방법을 익히고 직접 체험한다. 그리고 이어서 예절 교육을 통해 공수 자세, 큰절·반절하기 등의 전통 의례를 직접 실습하며, 절을 할 때의 몸가짐과 태도, 그리고 한복을 입은 상태에서의 움직임에 대해 익히는 한편, 윷놀이, 제기차기, 투호 등 각종 전통놀이를 즐기는 활동을 제공하였다. 마지막으로 궁중의상 체험을 통해 화려하고 다채로운 한민족 고유의 복식문화를 체험해 보도록 하였으며 한복 체험을 마치고 한복을 개어보고 정리해 보는 활동으로 마무리하였다. 이러한 일련의 한복 체험은 예비 교사들에게 우리 전통 고유의 한복을 매체로 전통문화를 누릴 기회를 제공하여 한복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긍정적 인식과 관심을 바탕으로 전통 한복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한복 교육의 필요성과 관심을 제고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Activities at Each Stage of the Hanbok Culture Experience Education Program

2) 한복 패션쇼

한복 패션쇼는 전주 한옥마을 경기전(2022), 향교·동헌(2023) 등 전통문화유적지를 배경으로 전통한복, 궁중한복 패션쇼 및 화보를 촬영하였다. 한복패션쇼 및 화보 촬영은 1일 한복 모델과 연출, 기획자가 되어 장소 선정, 한복 스테이지 구성과 시나리오 작성, 워킹 연습, 음악 선정 등에 함께 참여하여 패션쇼 및 화보 촬영 전반을 경험하도록 하였다. 패션쇼 영상은 온라인콘텐츠를 발행하여 공유하였으며, 촬영된 사진을 이용하여 한복 리플릿, 한복 엽서를 제작·개인 소장·홍보용으로 활용하고 있어 예비교사들에게 상당한 호응도 높은 프로그램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한복 패션쇼는 <Table 3>과 같이 패션쇼 준비, 무대 연출 기획, 리허설, 패션쇼 실시, 사진 및 영상 기록, 피드백 및 성찰 등 6가지 절차에 따라 이루어졌다. 패션쇼가 끝난 후, 학생들은 자신들의 경험을 돌아보고, 피드백을 주고받는 시간을 갖는다. 이 과정을 통해 패션쇼 준비, 기획, 촬영 등 전 과정에서 경험과 교육적 시사점을 공유한다.

Procedures for Executing the Hanbok Fashion Show

3) 한복 제작 체험

‘한복 제작 체험’은 프로그램의 핵심 활동 중 하나로 전통 한복과 신한복의 제작 과정을 직접 경험할 수 있도록 전통한복을 적용한 ‘곰인형 우리 옷 만들기’, 신한복을 적용한 ‘배자만들기’ 등 두 가지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였다.

‘곰인형 우리 옷 만들기’에서는 초등 예비교사 교육과정과 대학생들의 실기 능력과 흥미를 고려하여, 실물 대비 저고리는 약1/5, 치마 및 바지는 약 1/10 수준의 작은 크기로 남자 또는 여자 한복을 제작하도록 하였으며, 전통 한복의 구성과 제작 원리 전반에 대한 이해를 돕는 간단한 제작 활동으로 구성하였다. 한복 제작 활동 체험을 통해 학생들은 남녀 한복의 기본 구성인 저고리+바지(남자), 저고리+치마(여자) 등을 직접 제작해 보면서 입체 패턴 재단 방식의 서양복에 비해 평면 패턴 재단 방식의 한복이 상대적으로 제작이 용이하고, 바깥쪽에 바늘땀이 보이지 않도록 겉감과 안감을 연결하는 방식 또한 쉬운 바느질 방법의 장점으로 꼽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도록 하였다. 마지막 단계의 활동에서는 제작한 한복을 곰인형에 직접 입혀보는 일련의 활동을 통해 한복이 여유 있는 크기와 디자인, 풍성한 주름으로 활동성을 확보하여 한옥의 좌식 생활에 적합한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오방색을 이용한 화려한 배색, 단추나 지퍼 대신 긴 고름으로 여미는 방식, V 네크의 깃, 짧은 저고리의 높은 허리선 등의 디자인이 키가 커 보이는 착시현상의 우수한 디자인임을 찾아보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한복이 건축, 사회, 생활문화 등이 반영된 문화적 산물임을 알고 조상들의 생활 속 지혜를 엿볼 수 있도록 하였다.

‘신한복 만들기’는 최근 전통한복을 생활화, 산업화, 세계화 추세에 따라 실제 자신이 입을 수 있는 크기의 배자를 제작해 보는 활동으로서 이 프로그램에서도 제작의 난이도, 티셔츠, 바지 또는 스커트 등과 조합하여 입을 수 있는 아이템으로 양면 배자를 선정하였으며 2가지 색을 여러 가지 방법으로 조합하여 디자인 및 활용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한복 제작 체험 활동의 대표적인 사례로 ‘곰인형 우리 옷(여자 한복, 치마 저고리)만들기’의 단계별 교수·학습활동을 <Table 4>에 제시하였다.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for Crafting Traditional Clothing (Women's Hanbok with Skirt and Jeogori) for Teddy Bears

4) 교육활동보고서 작성

한복 패션쇼 실시 후, 한복 문화 교육 및 홍보자료를 제작하였다. 일련의 활동을 진행하며 촬영한 사진과 영상 자료를 활용하여 한복 문화를 교육하거나 널리 알리기 위한 PT 슬라이드, 인포그래픽 자료, 영상 자료 등을 제작하였다. 이렇게 제작된 홍보자료는 인터넷 플랫폼 등에 탑재하여 한복 문화를 홍보하는 데 실제로 활용되었다.

2. 한복 문화 체험 교육에서의 인공지능 기반 에듀테크 활용 방안 탐색

가. 인공지능 기반 에듀테크 도구를 활용한 영상 제작 방안 탐색

에듀테크 도구를 활용한 영상 제작 과정의 설계는 학생들이 한복 체험에서 얻은 지식을 정리하고, 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고 공유하여 한복 문화 확산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학생들이 한복 체험 후 자신의 학습 내용을 영상 콘텐츠로 제작하고 이를 공유하도록 하였으며, 효율적인 영상 제작을 위해 다양한 생성형 인공지능 도구를 활용하도록 하였다. 2023년에는 한복의 이해와 소품 제작부터 한복 패션쇼에 이르는 일련의 한복 체험교육에 생성형 인공지능 도구를 활용한 산출물 제작 과정을 적용한 바 있으며, 이 연구에서는 2023년의 사례를 발전시켜 일정한 체계를 갖춘 생성형 인공지능 기반 에듀테크 도구를 활용한 영상 산출물 제작 수업 모듈을 설계하여 향후 한복 문화 체험 교육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이 과정에서 예비 교사들이 한복 체험 후 자신이 학습한 내용과 소감을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일반적으로 영상 제작은 시간이 많이 들고 어려운 일로 인식된다. 영상 편집용 프로그램의 기본 기능 학습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들고, 텍스트 편집과 달리 편집자가 영상을 시청하며 확인하는 물리적인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이다. 편집자는 영상 전체를 반복해서 확인하면서 잘라내고, 붙이고, 순서를 조절하며, 각종 효과를 적용해야 한다. 또, 영상과 음성, 음향의 조화를 위해 미세한 조정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이 과정을 매끄럽게 수행하기 위해서는 컴퓨터 시스템의 성능도 뒷받침되어야 할 뿐 아니라 편집자가 영상 문법도 알고 있어야 한다. 또한 내레이션은 전문가의 도움을 받지 않으면 자칫 초라해지기 쉽다. 이러한 다양한 문제로 인해 영상 자료가 가지는 우수한 시각적 효과에도 불구하고 교육 현장에서 적용하는 것이 쉽지 않은 경우가 많다.

그러나 생성형 인공지능 도구를 활용하면, 더욱 쉽게 학습 내용을 정리하고, 영상 콘텐츠로 제작할 수 있다. 인공지능 도구는 사용자가 각 장면을 일일이 확인하며 자르고 붙이는 지난한 과정을 대신 처리하고, 인터넷에 공개된 영상 자료 중에서 적합한 것을 찾아주기도 한다. 또, 일관된 분위기의 영상 효과를 입히거나, 장면 전환 효과를 스스로 적용한다. 이를 통해 단순한 기능을 실행하는 데 드는 시간과 노력을 줄이고, 영상 자료에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담는 데 집중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인공지능 영상 편집 도구를 활용한 수업 모듈의 주요 목적은 학생들이 창의적으로 학습 내용을 시각화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학생들은 인공지능 기반 영상 제작 도구를 활용하여 자신이 체험한 한복 제작 과정, 전통 예절 교육, 한복 패션쇼의 경험 등을 영상 콘텐츠로 제작하였다. 이 과정에서 학생들은 인공지능을 활용한 영상 편집 기술을 익히고, 이를 통해 자신의 학습 경험을 보다 창의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영상 제작 과정은 사전 작업(pre-production), 촬영(production), 후반 작업(post-production)으로 나눌 수 있다. 사전 작업은 기획 단계로서 아이디어 구상, 시나리오 작성, 출연자 섭외, 장소 선정, 예산 결정 등이 이루어지며, 촬영 단계에서는 실제로 영상을 촬영한다. 후반 작업에서는 촬영한 영상을 편집하고, 영상에 효과를 추가하거나 음악 및 음향 효과를 적용한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영상 제작 과정에 인공지능 에듀테크 도구를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영상 제작의 각 과정에서 활용 가능한 인공지능 기반 에듀테크 도구의 예시는 <Table 5>와 같다.

AI Tools Applicable in the Video Production Process

제시된 예시 외에도 최근 다양한 인공지능 기반 도구의 출시가 이어져 실제로 활용할 수 있는 도구는 더욱 많다. 따라서 실제 수업에서는 해당 시점에 효용성이 높은 도구를 선정해서 구체적인 수업 방안을 설계할 필요가 있다.

나. 인공지능 에듀테크 도구를 활용한 영상 제작 수업 모듈 설계

영상 제작에 활용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반 도구는 종류가 매우 많고, 지속적으로 새로운 프로그램이 출시되고 있다. 따라서 인공지능 기반 영상 편집 도구를 활용하여 영상 제작 수업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한복 문화 체험교육 운영이라는 목적에 부합하는 영상 제작에 알맞도록 영상 제작 과정을 적정화하고 이에 적합한 핵심적인 인공지능 도구를 선정하여 인공지능을 활용한 영상 제작 수업 모듈을 설계해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핵심적인 영상 제작 단계를 추출하고 각 단계에 활용할 수 있는 효용성이 높은 인공지능 기반 도구를 <Table 6>과 같이 선정하였다.

Program for Creating Videos on Hanbok Cultural Experience Education Using AI Tools

1) 기획 및 스크립트 작성

이 단계에서는 영상의 전반적인 구조를 설계한다. 영상의 주제와 핵심적인 장면 등을 구상하며, 전체 줄거리를 작성한다. 이 때 ChatGPT와 같은 생성형 인공지능 도구를 활용할 수 있다. ChatGPT는 대화형 인공지능으로서, 사용자가 제공한 정보를 바탕으로 다양한 아이디어를 제시하며, 이야기의 흐름을 논리적으로 구성할 수 있도록 돕는다. ChatGPT를 활용하여 사용자가 제시하는 주제와 주요 이야깃거리 요소, 아이디어를 중심으로 스크립트의 초안을 쉽고 빠르게 생성해 낼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아이디어를 구체화하고, 전체적인 줄거리 흐름을 작성할 수 있다.

2) 스토리보드 작성

주요 장면을 어떻게 구성할 것인지를 구체적으로 시각화하는 단계이다. 스토리보드에는 장면 구성과 자막, 화면효과, 해설, 음향 효과 등을 작성하는데, 이를 통해 무엇을 촬영하고 어떻게 편집하여 어떠한 영상을 만들어 낼 것인지를 일목요연하게 정리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자막, 해설 등의 스크립트 작성에 ChatGPT를 활용할 수 있고, 각 장면을 설명하는 스케치는 AiSAC와 같은 인공지능 도구를 활용하여 손쉽게 시각화할 수 있다. AiSAC는 한국방송광고공사에서 제공하는 인공지능 스토리보드 제작 도구로서 화면 구성이나 장면 전환의 시각적 요소를 고려하여 주요 장면을 구체적으로 구상하고, 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데 도움을 준다. AiSAC에서는 사용자가 직접 화면 구성을 스케치할 수도 있고,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프롬프트를 제시하면 맥락에 맞는 일관된 톤의 이미지를 생성하여 스토리보드를 작성할 수 있다. 이러한 인공지능 도구를 통해 장면의 흐름을 명확히 하고, 영상의 시각적 구성을 효율적으로 계획하여 영상 제작의 기초작업을 완성한다. AiSAC를 활용하여 한복 패션쇼의 과정을 담은 스토리보드의 예시는 [Figure 2]와 같다.

Figure 2.

Example of a Hanbok fashion show storyboard created using AiSAC

Note. This figure was created using a generative AI tool (AiSAC). Please be aware that some elements may differ from those of a traditional Hanbok.

3) 영상 촬영

촬영은 영상 제작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작업으로서, 기획 단계에서 설정된 스토리보드와 스크립트에 맞춰 주요 장면을 기록한다. 촬영 과정에서는 한복 체험 장면의 촬영과 인터뷰 촬영이 이루어진다. 한복 체험 활동의 촬영에서는, 한복의 착용 방법, 체험 활동의 흐름, 학생들의 반응 등을 영상으로 기록한다. 인터뷰는 교육에 참여한 학생들의 체험 소감을 담거나, 교육자 또는 전문가의 의견을 촬영한다. 인터뷰 촬영에서는 인물의 표정과 목소리를 정확하게 담는 것이 중요하므로 인물의 표정을 포착할 수 있도록 카메라 앵글을 조정하고 인물의 음성이 최대한 깨끗하게 녹음될 수 있도록 한다.

4) 영상 소스 생성

촬영이 어려운 장면이 있거나 실제 촬영한 영상만으로 해당 장면의 설명에 한계가 있는 경우에는 별도의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영상 또는 이미지 소스를 활용하게 된다. 이때 기존의 소스는 제작하고자 하는 영상의 톤이나 맥락과 어울리지 않는 경우가 많다. 혹은 직접 촬영하는 데 많은 시간과 노력, 비용이 요구되기도 한다. 영상을 제작할 때는 제작하고자 하는 영상의 특성이나 톤과 어울리는 인공지능 서비스를 활용하여 영상 소스를 생성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다.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이 연구에서는 생성형 인공지능 서비스의 편의성과 비용 등을 고려하여 VREW를 활용하는 방안을 탐색하였다. VREW는 ‘text to video’기능을 제공하는데, 제작하고자 하는 영상의 스크립트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장면을 나누고 각 장면에 어울리는 공개 소스를 자동으로 찾거나 인공지능을 활용해 새로운 소스를 만들어 낸다. VREW를 통해 구성된 영상은 직접 촬영한 영상과 함께 다시 편집함으로써 완성도 높은 영상을 제작할 수 있다. [Figure 3]은 VREW의 생성형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구성한 이미지의 예시이다.

Figure 3.

Images created using generative AI features of VREW

Note. This figure was created using a generative AI tool (VREW). Please be aware that some elements may differ from those of a traditional Hanbok.

5) 내레이션 생성

내레이션은 각 장면에서 시청자에게 전달하려는 구체적인 내용을 음성을 통해 직접적으로 전달할 수 있어, 영상제작에서 널리 사용되는 중요한 요소이다. 교육적인 내용을 다루는 영상에서 내레이션으로 구체적인 설명을 추가하면 학습 내용을 더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고 학습자의 이해를 높일 수 있다. 한복 문화 체험을 다루는 영상에서도 내레이션을 활용하여 한복에 내재된 의미를 설명하고 여러 가지 활동의 의도와 효과를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어 교육적인 효과를 제고할 수 있다. 영상에 활용하는 내레이션은 명확한 내용을 담고 있으면서 음성의 분위기나 속도가 영상의 주제에 부합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VREW를 통해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내레이션을 생성하는 사례를 다루었다. VREW는 입력된 스크립트를 기반으로 자연스러운 내레이션을 생성해 주며, 이를 통해 촬영된 영상과 어울리면서 영상의 내용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내레이션을 추가할 수 있다.

6) 영상 클립 편집

촬영된 영상과 AI로 생성한 영상, 내레이션 등을 결합하여 영상을 편집하는 단계이다. 이 연구에서는 VREW를 통해 편집하는 과정을 제시하였다. VREW에서는 인공지능을 활용해 스크립트나 내레이션을 기반으로 장면을 추출해 준다. 특히, VREW는 일반적인 영상 편집 도구와는 달리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인식된 음성을 텍스트로 제시하고 텍스트를 편집하는 것으로써 영상을 편집하도록 하여 따로 영상 편집 도구의 사용법을 익히지 않아도 손쉽게 영상을 편집할 수 있도록 한다.

7) 자막 및 그래픽 추가

이 단계에서는 편집된 영상에 자막과 그래픽을 추가하여 시청자의 이해를 돕도록 하는 과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자막 및 그래픽 추가 과정에 VREW를 활용하였다. VREW에서는 자막 및 그래픽을 추가하는 작업이 앞서 제시한 영상 클립 편집 단계와 통합되어 이루어진다. VREW를 활용하여 내레이션에 맞춘 자막을 자동 생성하고, AI 도구를 통해 필요한 그래픽 요소를 추가할 수 있다. 특히 VREW는 영상의 분위기에 맞춰 자막 스타일을 제안하거나, 자막 생성 과정을 자동화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편집할 수 있도록 돕는다. [Figure 4]는 자막 삽입, 텍스트 기반 편집 등 VREW를 활용한 편집 과정의 예시이다.

Figure 4.

Screenshot of video editing using VREW

Note. This figure was created using a generative AI tool (VREW). Please be aware that some elements may differ from those of a traditional Hanbok.

8) 음악 및 효과음 추가

영상의 분위기를 한층 강화하기 위해 배경 음악과 효과음을 추가하는 단계이다. VREW를 활용하여 VREW에서 제공하는 배경 음악을 활용할 수도 있으나 이 연구에서는 인공지능 작곡 도구인 AIVA를 사용하여 영상에 적합한 배경 음악을 자동으로 생성하도록 하였다. AIVA는 인공지능 기반의 음악 생성 도구로서,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사용자가 지정하는 길이, 분위기, 리듬 등에 맞게 자동으로 생성해 준다. AIVA는 영상의 분위기와 감정에 맞는 배경 음악을 자동으로 생성하여, 영상을 제작할 때 배경 음악을 찾고 적용하는 과정을 크게 단축할 수 있다. [Figure 5]는 AIVA를 활용해 장르를 기반으로 배경 음악을 생성하는 과정의 예시이다.

Figure 5.

Screen of background music generation using AIVA

9) 최종 검토 및 마무리

최종적으로 영상을 검토하고 필요한 부분을 수정하는 단계로, 필요에 따라 이전 과정에서 활용한 AI 도구를 활용하여 영상을 수정 및 보완한다. 검토가 완료된 영상은 온라인 영상 공유 플랫폼에 게시하고 다른 학습자들과 함께 감상하고 소감을 나누도록 한다.

결론

이 연구는 초등 예비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한복 문화 체험 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한복 교육에서 생성형 인공지능 기반 에듀테크의 활용 방안을 모색하였다. 우선 한복 문화 체험 교육 운영 사례는 한복 체험 활동(예절교육 및 놀이 체험), 한복 패션쇼, 한복 제작 체험으로 이루어졌으며, 한복의 유래와 역사, 전통 예절, 공동체 문화, 한복에 관한 긍정적 인식 함양, 한복 문화의 정착과 확산, 한복의 종류와 구성 요소 및 특징, 한복의 제작 순서와 방법 등을 다루었다. 또한, 한복 문화 홍보자료를 제작함으로써 학생들이 학습 내용을 내면화하고 한복 문화 확산에 참여하는 경험을 하였다. 다음으로 인공지능 기반 에듀테크 수업 모듈을 설계하였다. 영상 제작에 활용할 수 있는 인공지능 도구를 탐색하고 Pre-Production, Production, Post-Production 등 영상 제작의 각 과정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인공지능 도구와 활용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전통문화 교육에 인공지능 기반 에듀테크를 활용함으로써 학습자에게 새로운 교육적 경험을 제공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문화 교육에서 인공지능 기반 에듀테크를 활용함으로써 예비 교사의 전통문화 교수역량 함양에 기여할 수 있다. 예비 교사들은 인공지능 기반 에듀테크를 활용하여 전통문화에 관한 학습 내용을 다양한 방식으로 재구성함으로써 전통문화를 더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21세기 학습자의 핵심 역량이라 할 수 있는 사회적 상호작용, 문화적 정체성, 창의성 등의 함양에도 기여할 수 있다. 학습자가 실제로 한복을 입고 체험한 경험을 디지털 콘텐츠로 재가공하며, 이를 타인과 공유하는 과정에서 문화적 소통과 창의적 사고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OECD, 2005; Timotheou et al., 2023).

둘째, 이 연구에서 제안한 에듀테크 활용 수업 모듈(Pre-Production, Production, Post-Production)은 실제 교육 현장에의 적용 가능성이 높다. ChatGPT, VREW, AIVA 등 다양한 생성형 인공지능 도구를 활용하여 영상의 기획, 스토리보드 작성, 영상·내레이션 생성, 후반 편집에 이르는 전 과정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는 한복 교육뿐 아니라, 다른 전통문화 교육(예: 전통음악, 전통 공예, 한옥 건축 등)에도 충분히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 전통문화 교육 확산 및 미래 사회 역량 함양을 동시에 달성하는 융합적 접근이 필요하다. 생성형 AI를 통해 예비교사들이 창작·편집한 영상이나 디지털 산출물이 온라인에 공유됨으로써, 전통문화가 갖는 사회적·문화적 가치에 대한 인식이 높아질 수 있다. 학생들은 한복 문화를 학습하는 과정에서 디지털 리터러시, 창의적 문제해결력, 문화적 정체성 등을 함양할 수 있으며, 이는 OECD가 강조하는 21세기 핵심 역량, UNESCO의 지속 가능 발전 교육(ESD) 등과도 직결된다. 이처럼 최근 교육계에서 주목받는 인공지능, 에듀테크 등의 변혁적 시도와 전통문화 계승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동시에 충족할 수 있는 전략을 구체화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 연구에 이어 다음과 같은 후속 연구를 제안한다. 첫째, 이 연구에서 개발한 인공지능 기반 에듀테크 활용 방안 및 수업 모듈이 실제로 교육 현장에 적용된 이후의 효과에 대한 실질적인 검증이 필요하다. 둘째, 이 연구는 한복 교육에 국한되었으나, 생성형 인공지능 기반 에듀테크는 다른 전통문화 교육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한복 외의 다양한 전통문화 콘텐츠와 에듀테크 도구의 결합 가능성을 탐구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학습 자료 제작에 수반되는 윤리적 문제에 관한 추가적인 연구도 요구된다.

Notes

The authors declare no conflict of interest with respect to the authorship or publication of this article.

References

1. Barn-Nzekwe C. L.. 2024;A systematic review of generative AI in education. Journal of Computer Sciences and Applications 12(1):25–30. http://doi.org/10.12691/jcsa-12-1-4.
2. Cho W. H., Kim M. Y.. 2010;Research on consumer recognition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Hanbok.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0(2):130–143.
3. Choi K. E.. 2019;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Hanbok Culture Week regional program: Focused on Jeonju City.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Research 31(2):293–315.
4. Choi K. E., Kwon H. J., Na K. J., Lee K. Y.. 2017. A report on the development plan for the Hanbok cultural industry in Jeonju Jeon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Jeonju, Korea:
5.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24, June 17).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Retrieved September 1, 2024, from http://www.khs.go.kr/newsBbz/selectNewsBbzView.do?newsItemId=155704848&sectionId=b_sec_1&pageIndex=10&strWhere=&strValue=&mn=NS_01_02.
6. Hao Y., Guo Y.. 2023;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empowers educational reform: Current status, issues, and prospects. Frontiers in Education 8:Article 1183162. https://doi.org/10.3389/feduc.2023.1183162.
7. Hong Y. J.. 2024.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EdTech-based project-type middle school music creation clas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eongju, Korea:
8. Kang J. W.. 2023. Analyzing domestic EduTech trends using the keyword network analysi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9. Kasneci E., Sessler K., Küchemann S., Bannert M., Dementieva D., Fischer F., et al. 2023;ChatGPT for good? On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of large language models for education. Learning and Individual Differences 103:102274. https://doi.org/10.1016/j.lindif.2023.102274.
10. Kim J. A., Kang D. S., Ko Y. C.. 2023;A study on the educational application of generative AI: Focusing on ChatGPT utiliz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27(6):691–704.
11. Kim J. H.. 2021;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analysis on the types and effectiveness of Edu-Tech based smart learning for students subject to learning support: focusing on experimental research. Global Studies Education 13(4):33–64.
12. Kim Y. S.. 2016.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and utilization of EdTech in domestic school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South:
13. Korea Craft and Design Foundation. (n.d.). Korea Craft and Design Foundation. Retrieved September 1, 2024, from https://blog.naver.com/hanbokcenter.
14. Korea Hanbok Promotion Institute. (n.d.). Korea Hanbok Promotion Institute . Retrieved September 1, 2024, from http://hankukhanbok.or.kr.
15. Kwon S. A., Choi J. M., Lee E. K.. 1998;A study on the actual state of wearing korean traditional clothes and purchasing factor.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7(1):129–138.
16. Lee D., Arnold M., Srivastava A., Plastow K., Strelan P., Ploeckl F., et al. 2024. The impact of generative AI on higher education learning and teaching: A study of educators’ perspectives. Computers and Education: Artificial Intelligence 6p. 100221. https://doi.org/10.1016/j.caeai.2024.100221.
17. Lee M. S., Jung K. H.. 2020;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online platform for mass customization of Hanbok design using QFD method (II).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70(3):109–131. https://doi.org/10.7233/jksc.2019.69.6.052.
18. Lee Y. S.. 2022;The white-clad people: The white Hanbok and Korean nationalism. Cultural Dynamics 34(4):271–296. https://doi.org/10.1177/09213740221117811.
19. Lee Y. J., Kim Y. H., Yoon O. K., Lim H. R.. 2018. The demographic cliff and youth policy initiatives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20. Ministry of Education. 2015. Practical Arts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 Information Curriculum (Notification No. 2015-74 [Supplement 10]) Ministry of Education; http://ncic.re.kr.
21. Ministry of Education. 2022. Practical Arts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 Information Curriculum (Notification No. 2022-33 [Supplement 10]) Ministry of Education; http://ncic.re.kr.
22. Nam S. W.. 2020;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dutech Based Flipped Learning.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11(3):1677–1691.
23.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2005. The 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ies: Executive summary. DeSeCo Project. https://www.deseco.ch/bfs/deseco/en/index/02.parsys.43469.downloadList.2296.DownloadFile.tmp/2005.dskcexecutivesummary.en.pdf.
24. Seok J. S.. 1963;A historical study of Hanbok. Human Ecology Research 4:584–588.
25. Shim J, Y., Baek M. K.. 2021;Analysis of the contents of Hanbok in the 「Home Life and Safety」 section of the high school technical family textbook: Content analysis and text mining techniques are utilized. Human Ecology Research 59(2):261–273. http://dx.doi.org/10.6115/fer.2021.019.
26. Shin I. S.. 2019. A case study on the demand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infant-centered Edu-Tech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Graduate School; Seoul, Korea:
27. Timotheou S., Miliou O., Dimitriadis Y., Sobrino S. V., Giannoutsou N., Cachia R., et al. 2023;Impacts of digital technologies on education and factors influencing schools’ digital capacity and transformation: A literature review. Education and Information Technologies 28(6):6695–6726. https://doi.org/10.1007/s10639-022-11431-8.
28. UNESCO. 2015.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Learning objectives. UNESCO. https://unesdoc.unesco.org/ark:/48223/pf0000247444.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Figure 1.

Flowchart of the Research Procedure

Figure 2.

Example of a Hanbok fashion show storyboard created using AiSAC

Note. This figure was created using a generative AI tool (AiSAC). Please be aware that some elements may differ from those of a traditional Hanbok.

Figure 3.

Images created using generative AI features of VREW

Note. This figure was created using a generative AI tool (VREW). Please be aware that some elements may differ from those of a traditional Hanbok.

Figure 4.

Screenshot of video editing using VREW

Note. This figure was created using a generative AI tool (VREW). Please be aware that some elements may differ from those of a traditional Hanbok.

Figure 5.

Screen of background music generation using AIVA

Table 1.

Hanbok-Related Events by Local Governments in South Korea

지자체 행사명
서울 한복이 나빌레라, 한복착용 공연관람 지원, 한복입고 한옥마을
부산 한복데이, 한복 페스티벌, 대한민국전통의상 공모대제전, '한복체험전시관 운영
대구 한복 패션쇼, 모자세대 한복 돕기, 우리 옷 알리기
인천 한복축제 ‘청년만화’, 아시아 한류한복대전
대전 ‘한복거리’ 지정
광주 한복 소공인특화 지원센터 운영
울산 대한민국 한복페스티벌 in 울산, 드라마속 한복, 울산을 거닐다
강원도 강릉 국제청소년예술축전, 한복입고 골목여행
경상남도 창원 한복입고 골목여행
제주도 동거부부 합동결혼식, 골목상권 살리기 현장체험아카데미, 한복착용 민속촌 관람 지원, 외국인 관광객 어촌체험프로그램

Table 2.

Activities at Each Stage of the Hanbok Culture Experience Education Program

구분 단계 활동 내용 차시 인원(명) 학습 요소
한복 문화 체험 한복 체험(예절교육 및 놀이체험) - 한복 체험, 개기·정리하기 2 20 - 한복의 역사, 유래
- 예절교육, 전통 놀이 체험, 2 20 - 전통 의례와 예절의 중요성 및 전통적인 공동체 문화 인식
- 궁중의상 체험
한복 패션쇼 - 전통한복 패션쇼 기획 2 20 - 한복 문화 향유 기회 제공을 통해 한복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긍정적 인식 향상
- 전통한복 패션쇼 영상, 화보 촬영 4 20
- 온라인콘텐츠 발행 - 한복 문화의 정착 및 확산
한복 제작 체험 - 한복의 종류, 구성 알아보기 1 10 - 한복의 종류, 구성 요소, 특징
- 전통한복 만들기[곰인형 우리 옷 만들기] 6 - 한복 제작의 순서와 방법
- 신한복 만들기[양면 배자 만들기] 6 10
활동 결과 보고 한복문화 교육·홍보 자료 제작 - PT 슬라이드, 인포그래픽 자료 제작 4 10 - 한복, 전통문화 체험 사례 공유 및 확산
- 영상 제작 방법 안내 - 에듀테크 기반 교수학습자료개발 역량함양
- 한복문화 교육·홍보 영상 제작

Table 3.

Procedures for Executing the Hanbok Fashion Show

순서 단계 내용 비고
1 준비 참가자 모집, 장소 선정, 일정 수립
2 기획 의상별 스테이지 구성, 시나리오 작성
3 워킹 연습 워킹, 시선처리, 자세 연습 등
4 패션쇼 및 화보 촬영 헤어/메이크업, 한복 착용
촬영 장소로 이동, 리허설, 촬영
5 사진 및 영상 기록 화보 촬영 및 영상 제작
6 피드백 및 성찰 패션쇼 성찰 및 피드백 공유 이후 영상 제작과 연계

Table 4.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for Crafting Traditional Clothing (Women's Hanbok with Skirt and Jeogori) for Teddy Bears

Table 5.

AI Tools Applicable in the Video Production Process

영상 제작 과정 세부 활동 활용 가능한 AI 도구 예시
기획 및 스크립트 작성 - 영상의 전체적인 구조 설계 ChatGPT, 뤼튼
- 스크립트 초안 작성
스토리보드 작성 - 각 장면의 시각적 이미지 생성 Storyboard That, Canva AI
- 주요 장면 구상 및 시각화
영상 소스 생성 - 텍스트 기반 영상 클립 생성 Pictory AI, Synthesia, VEED.io, VideoStew
- 가상 인물의 말하는 영상 제작
내레이션 생성 - 스크립트 기반 AI 내레이션 제작 Resemble AI, CLOVA Dubbing
- 다양한 음색 및 톤 선택
장면 편집 - 실제 촬영 영상과 AI 생성 영상 조합 Adobe Premiere Pro, CapCut, VREW, FLIKI, PICTORY, Filmora
- 장면 전환 효과 적용
- 스크립트 기반 자동 편집
- 내레이션에 맞는 자막 자동 생성
- 그래픽 요소 추가
음악 및 효과음 삽입 - 영상 분위기에 맞는 배경 음악 생성 AIVA
- 효과음 선택 및 삽입

Table 6.

Program for Creating Videos on Hanbok Cultural Experience Education Using AI Tools

단계 순서 영상 제작 과정 세부 활동 내용 활용하는 AI 도구
사전 작업 1 기획 및 스크립트 작성 - 영상의 전체적인 구조 설계 ChatGPT
- 스크립트 초안 작성
2 스토리보드 작성 - 주요 장면 구상 및 시각화 ChatGPT, AiSAC
촬영 3 영상 촬영 - 한복 체험 과정 촬영 -
- 인터뷰 촬영
후반 작업 4 영상 소스 생성 - 텍스트 기반 영상 클립 생성 VREW
5 내레이션 생성 - 스크립트 기반 AI 내레이션 제작 VREW
- 다양한 음색 및 톤 선택
6 영상 클립 편집 - 실제 촬영 영상과 AI 생성 영상 조합 VREW
- 장면 전환 효과 적용
- 스크립트 기반 자동 편집
7 자막 및 그래픽 추가 - 내레이션에 맞는 자막 자동 생성 VREW
- 그래픽 요소 추가
8 음악 및 효과음 삽입 - 영상 분위기에 맞는 배경 음악 생성 AIVA
- 효과음 선택 및 삽입
9 최종 편집 및 마무리 - 영상 최종 확인 및 보완 편집 -
- 동영상 플랫폼에 게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