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가정 중3 청소년의 성취동기가 학교학습활동적응에 미치는 영향: 진로태도 매개효과

Impact of the Achievement Motivation of Middle School Teenager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on their Adaptation to School Learning Activities: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Attitude

Article information

Hum. Ecol. Res. 2023;61(4):663-671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23 November 27
doi : https://doi.org/10.6115/her.2023.043
Department of Child Care Education, DongNam Health University, Professor
김혜금orcid_icon
동남보건대학교 보건보육상담과 교수
Corresponding Author: Hye Gum Kim Department of Child Care Education, DongNam Health University, 50, Cheoncheon-ro 74 beon-gil, Jangan-gu, Suwon-si, Gyeonggi-do 16328, Korea Tel: +82-31-249-6523 Fax: +82-31-249-6529 E-mail: childcare407@naver.com
This article was presented as a poster session at the Conference of the Korea Journal of Child Care and Education on June 6.15~6.17, 2023.
Received 2023 September 21; Revised 2023 November 4; Accepted 2023 November 8.

Trans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whether the achievement motivation of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their third year of middle school influenced their adaptation to school learning activities. It also explored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attitude on achievement motivation and adaptation to school learning activities. An analysis was performed on data obtained from students in the third grade of middle school who participated in the sixth wave of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MAPS).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ly, achievement motivation exhibit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both career attitude and adaptation to school learning activities. Secondly, the achievement motivation of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ir career attitude both exerted a positive effect on their adaptation to school learning activities. Thirdly,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attitud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aptation to school learning activities and achievement motivation of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as verified.

서론

한국사회에서 다문화가정의 비중은 인구절벽의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하나의 타개책이 될 수 있기에 사회적 관심이 쏠리고 있다. 심각한 저출생 상황에서 다문화가정의 출산율도 해마다 낮아지고 있으나 비다문화가정의 출산율보다는 높다. 다문화가정 자녀의 연령대를 살펴보면 여전히 6세 미만 아동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나 12-14세 청소년 시기의 비율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Statistics Korea, 2021). 앞으로는 미등록 외국인 가정의 자녀도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것으로 확인이 되면 초·중학교 입학이 가능하므로 향후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비중은 더욱 높아질 것으로 예측된다(Choi, 2022).

청소년 시기는 급격한 신체적, 정서적, 인지적 변화를 겪게 되고, 학교생활을 통해 자신의 정체감을 찾는 시기이다. 또한 이 시기는 대부분의 시간을 학교에서 생활하고 하교 이후에도 숙제 등 학교와 관련한 활동을 많이 하게 되며 학습활동에 적응하는 것이 정체감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Lee et al., 2018). 학습활동 적응은 학습 시간에 대한 느낌, 학교 숙제를 처리하는 태도, 수업시간에 배우는 내용에 대한 성취감, 학습 중 발생하는 모르는 문제에 대한 처리 방식 등을 포함한다(Lim, 2017). 학습활동에 잘 적응하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은 교사나 또래와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학교생활 만족도가 높아지며 이후 사회생활 적응도 잘하는 것으로 예측된다(Ding & Chin, 2019; Kim, 2017; Won & Kim, 2016).

한편 중학교 3학년 시기는 고등학교로 전환하는 과정의 과도기로서 공부에 대한 부담과 진로에 대한 고민이 많아지는 시기로 학교학습활동적응이 더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게 된다(Park, 2017). 그런데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대부분이 학교 학습활동에 잘 적응하지 못하고(Lee & Park, 2017) 시간이 갈수록 학교 학습활동에 더 많은 어려움을 갖는 것으로 보고된다(Lee et al., 2015).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학교 학습활동 적응의 어려움은 상위 학교급으로 진학할수록 더욱 커지게 되고 중학생 시기의 학업 중단률은 전체 중학생들보다 2배 가까이 높은 것으로 보고된다(Ministry of Education, 2019).

다문화가정은 한국인과 외국인의 결혼으로 구성된 가정으로 부모 중 어머니가 외국인인 경우가 많은데 한국어가 미숙한 어머니와 많은 시간을 보내는 다문화가정의 자녀 또한 한국어로 말하고 듣고 읽고 쓰는 능력이 비다문화가정 자녀에 비해 저조한 경향이 있다. 낮은 한국어 문해능력으로 인해 다문화가정 자녀는 학교 생활에 잘 적응하지 못하고 자신감이 없고 부정적인 자아개념을 갖기 쉽다(Lee & Park, 2017). 특히 다문화가정 청소년은 비다문화가정 청소년에 비하여 학교 교육에 잘 따라가지 못하고 학교학습활동에 잘 적응하지 못한다(Ding & Chin, 2019; No et al., 2019). 학교학습활동적응에 어려움을 갖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은 등교거부(Park & Kim, 2023), 비행(Choe & Han, 2021; Park, 2022a; Yun & Yang, 2015), 가출(Park, 2014), 무단결석(Kim, 2023), 학업중단(Oh & Byoun, 2020; Park, 2022b), 학교폭력(Kim & Moon, 2022), 위축(Lee & Noh, 2023), 우울(Lee et al., 2021) 등의 다양한 형태의 부적응 행동을 보인다.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이 한국 사회에 잘 적응하고 건강한 심신을 가진 사회구성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학교학습활동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에 대한 연구들이 수행되어 왔다.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이 학교생활에 잘 적응하지 못하는 이유로는 학교 공부가 어렵다(63.6%)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그다음이 친구들과 잘 어울리지 못한다(53.5%)로 나타났다(Choi et al., 2019). 특히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은 국어, 영어, 사회 등의 과목에서 학습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학습 결손과 학교생활 부적응을 경험하고 기초학력 미달 비율이 높다(Oh et al., 2013).

특히 성취동기가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학교학습활동적응과 높은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Choi et al., 2015),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경우 성취동기가 낮아서 학교에서의 학습활동에도 열의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Park, 2022b; Park et al., 2020; Shen, 2020; Yeon & Choi, 2020). 다문화가정 청소년이 성적을 올리고자 하는 성취동기가 높은 경우 학교학습활동 적응에 보다 관심을 보이고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높은 학교학습활동적응을 보인다. 성취동기는 학습에 대한 내적 동기를 갖게 하므로 학교 학습활동에 잘 적응하게 한다. 따라서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학교학습활동적응을 높이기 위해 성취동기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성취동기는 태어난 이후 환경 내에서 학습되고 성취하는 것으로 자신의 노력으로 중요하게 여기거나 의미 있는 과업을 수행하려는 욕구와 그 과업을 수행할 때 높은 수준에 다다르고자 하는 동기이다(Hyde & Kling, 2001). 성취동기는 다양한 사회적 환경에서의 결실과 목적 달성에 있어서 사람마다의 차이를 기술하는 주요 인식으로(Yeon & Choi, 2020) 어떤 목적을 이루겠다는 결심과 관련이 있으며 자신의 능력을 바탕으로 도전할 만한 가치가 있다고 여겨지는 일을 성취해 낼 수 있다는 자신감을 의미한다(Kim, 2020).

성취동기가 높은 사람은 중요하고 의미 있는 과업을 잘 해내고, 외적 보상보다는 성취과정 자체에 관심을 가지고 자신의 일에 열중하며 성취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한다(Kim & Hong, 2017). 다문화가정 청소년이 스스로 학습목표를 세우고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자 하는 성취동기가 높은 경우 학교에서의 학습활동에 더 잘 적응한다.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학습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가치와 목표 실현에 도전하도록 안내하는 성취동기를 자극해야 한다(Han et al., 2020), 우수한 능력을 보유한 다문화가정 청소년일지라도 성취동기가 낮다면 보유한 능력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할 수 있지만, 보유한 능력이나 자원이 다소 부족하더라도 성취동기가 높은 다문화가정 청소년이라면 인내심과 지속적인 노력으로 장애를 극복해 내고 능력을 발휘하여 과업을 달성해 낼 수 있다(Hong & Doh, 2002).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성취동기는 진로태도와 정적 관계를 갖는다(Kyeong & Park, 2021; Lee, 2018). 성취동기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학습을 촉진하여 학업성취를 돕고 진학과 직업의 성취에 이르는 과업 달성을 위한 주요 자원이다. 성취동기가 높은 청소년일수록 직업 가치에 대한 이해와 인식 수준이 높고 구체적인 목적을 가지고 진로 결정을 하게 된다. 성취동기는 진로 결정 및 포부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Yu & Cho, 2012).

성취동기가 높은 다문화가정 청소년은 진로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탐색하며 자신에게 맞는 진로를 찾아가는 노력을 시도한다(Kyeong & Park, 2021; Lee, 2018). 이러한 진로탐색을 통해 다문화가정 청소년은 진로를 결정하게 되며 대학에 진학하고 사회에 진입하는 데 필요로 하는 지식과 기술을 익히게 된다. 미래 직업 선택을 위해 다양한 분야에 관심을 갖고 정보를 수집하는 등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는 진로태도는 청소년기의 발달과업으로(Oh et al., 2021) 진로태도는 진로결정에 대해서 이해하고 관련 정보를 수집하는 능력, 진로 방향에 대한 확신 등을 의미하며 자신과 직업 현장에 대해서 잘 알고 정보를 수집하며 처리하는 능력과 미래 진로에 관한 계획을 세우고 결정하는 준비성(Lee & Han, 1997; Super et al., 1996)을 의미한다.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진로태도는 학교학습활동적응에 관심을 가지고 참여하게 하는 중요한 요인으로(Kim & Kim, 2013) 중학생의 진로성숙도는 학교생활적응에 정적 영향을 주는 요인이다(Lee, 2017). 반면 다문화 청소년의 진로장벽은 학교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Kim, 2020).

종합하면 다문화청소년의 성취동기는 학교학습활동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진로태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그리고 진로태도는 학교학습활동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중학교 3학년 시기는 고등학교에 진입하는 과도기로서 진로를 결정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통해 진로를 계획하고 준비해야 하는 시기이다(Ryu, 2021). 따라서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중학교 3학년 시기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다문화가정 중3 청소년의 학교학습활동적응에 성취동기가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동시에 성취동기가 학교학습활동적응에 영향을 미칠 때 진로태도의 매개효과를 탐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결과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학교학습활동적응을 증진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Figure 1에 연구모델을 제시하였으며 본 연구목적과 관련하여 수립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Figure 1.

Research model.

첫째,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성취동기, 진로태도, 그리고 학교학습활동적응 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둘째,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진로태도는 성취동기와 학교학습활동적응 간의 관계에서 매개적인 역할을 하는가?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성취동기가 학교학습활동적응에 미치는 영향과 진로탐색의 매개효과 분석을 위해 Korea Youth Policy Institute (2019)에서 실시한 다문화가정 청소년 패널조사(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MAPS) 6차년도 중학교 3학년 1,329명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연구참여자의 인구학적 배경은 Table 1에 제시하였다.

Demographic Details of the Participants

Table 1에 의하면, 다문화가정 중3 청소년은 남아 654명(49.2%), 여아 675명(50.8%)으로 나타났고, 연령은 15세가 1,177명(88.6%)으로 가장 많았으며, 거주지역은 경인 345명(26.0%), 경상권 304명(22.9%), 전라 및 제주권 280명(21.1%), 충청 및 강원권 260명(19.6%), 서울 140명(10.5%) 순으로 나타났다. 다문화가정 청소년 중3 어머니는 40-49세 903명(68.2%), 50세이상 287명(21.7%), 30-39세 122명(9.2%), 20-29세 12명(0.9%)이었고, 고졸 622명(46.8%), 대학(2-3년제) 340명(25.6%), 대학교(4년제이상) 211명(15.9%), 중졸이하 148명(11.1%), 대학원졸업 8명(0.6%)이었으며, 출신국가는 일본 456명(34.3%), 필리핀 343명(25.8%), 중국(조선족) 244명(18.4%), 중국(한족, 기타민족) 92명(6.9%), 기타 67명(5.0%) 순으로 나타났다.

2. 연구도구

1) 성취동기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성취동기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다문화가정 청소년 패널조사 6차년도의 8문항을 사용하였다(Korea Youth Policy Institute, 2020). 성취동기 척도는 Yu과 Yang (1994)에서 발췌 및 수정, 보완한 것으로 이 척도는 개인이 스스로 설정한 목표 성취를 위해 노력하는 정도를 측정하는 자기 지향적인 성취동기만이 포함되어 있다. 각 문항은 4점 Likert 척도로 되어 있으며 본 연구에서 성취동기의 신뢰도 Cronbach α= .89로 나타났다.

2) 진로태도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진로태도는 Lee와 Han (1997)이 개발한 진로태도 문항을 수정, 보완한 한국청소년패널자료를 사용하였다(Korea Youth Policy Institute, 2020). 진로에 대한 생각 및 태도 관련 10문항(예; 나의 진로에 대해 확실한 결정을 해 놓았다)을 사용하였다. 각 문항은 4점 Likert 척도로 되어 있으며 문항 2, 4, 5, 6, 9, 10의 6개 문항은 역채점하였다. 본 연구에서 진로태도의 신뢰도 Cronbach α= .89로 나타났다.

3) 학교학습활동적응

학교학습활동적응은 Min (1991)의 연구도구를 Jeong (2009)이 활용한 것을 수정·보완한 Kim 등(2010)의 학교적응 중 학습활동 5문항을 사용하였다. ‘학교 수업 시간이 재미있다.’ 등 5문항이며, 각 문항은 4점 Likert 척도로 되어 있으며 값이 클수록 학습활동이 우수함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문항 5(나는 공부시간에 딴 짓을 한다)를 제외한 4문항을 사용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학교학습활동 적응의 신뢰도 Cronbach α= .79로 나타났다.

3. 자료분석

본 연구는 자료분석을 위해 PASW Statistics 18.0을 사용하였다.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여 각 변수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계산하였고, 주요변수 간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단순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성취동기와 진로태도가 학교학습활동적응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력을 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성취동기가 진로태도를 매개로 학교학습활동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Baron과 Kenny (1986)가 제시한 일련의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1. 주요 변인의 특성

주요 변인들의 최솟값과 최댓값, 평균, 왜도, 첨도를 살펴본 결과는 Table 2와 같다.

Characteristics of Main Variables

Table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성취동기는 평균 3.06 (SD=.46)으로 중간보다 높은 정도였고, 진로태도는 평균 2.59 (SD=.57)로 중간보다 조금 높게 나타났다. 학교학습활동적응은 평균 2.90 (SD =.53)으로 중간보다 조금 높게 나타났다.

2. 학교학습활동적응, 성취동기, 진로태도 간의 관련성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학교학습활동적응, 성취동기, 진로태도 간의 관련성 파악을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3과 같다.

Correlations among Achievement Motivation, Career Attitude, and Adaptation to School Learning Activities

Table 3에 의하면, 성취동기는 진로태도와 정적 상관관계(r=.294, p<.01)를 나타냈고, 학교학습활동응과도 정적 상관관계(r=.572, p<.01)를 나타냈다. 매개변인인 진로태도는 학교학습활동적응과 정적 상관관계(r=.224, p<.01)를 나타났다.

3. 성취동기가 학교학습활동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진로태도의 매개 역할

학교학습활동적응에 대한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성취동기의 영향에서 진로태도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일련의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표준화된 회귀계수를 살펴보는 Baron과 Kenny (1986)의 단계를 적용한 결과는 Table 4Figure 2에 제시하였다.

Regression of Achievement Motivation and Career Attitude on Adaptation to School Learning Activities

Figure 2.

Relationship among achievement motivation, career attitude, and adaptation to school learning activities.

Table 4Figure 2에 제시한 것처럼 학교 학습활동 적응에 대한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성취동기의 영향에서 진로태도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세 가지 단계의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여 학교 학습활동 적응과 성취동기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독립변인인 성취동기는 매개변인인 진로태도로 상정한 회귀계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β=.294, p<.001). 둘째는 단순회귀분석을 통해 성취동기와 학교 학습활동 적응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독립변인인 성취동기가 종속변인인 학교 학습활동 적응에 미치는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β=.572, p<.001). 마지막으로는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학교 학습활동 적응에 영향을 주는 성취동기와 진로태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매개변인인 진로태도는 학교 학습활동 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은 유의미하였으며(β=.061, p<.001), 독립변인인 성취동기가 종속변인인 학교 학습활동 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이 매개변인 진로태도를 추가한 후 작아졌기 때문에(β=.554, p<.001) 진로태도는 매개적 역할을 한 한다고 볼 수 있으나 진로태도의 영향력은 그리 크지 않았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중3 청소년의 성취동기와 진로태도, 학교학습활동적응간의 관계를 검증하고, 성취동기가 학교 학습활동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진로태도의 매개적 영향을 분석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성취동기, 진로태도, 학교학습활동적응간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그리고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학교 학습활동 적응에 성취동기, 진로태도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진로태도가 성취동기와 학교 학습활동 적응에 어떠한 매개 역할을 하게 되었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토대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취동기는 진로태도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학교 학습활동 적응과도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매개변인인 진로태도는 학교 학습활동 적응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났다. 이 결과를 토대로 유추해 보면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성취동기가 높을수록 학교 학습활동 적응이 높아지며, 반대로 성취동기가 낮을수록 학교 학습활동 적응이 낮아진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결과는 성취동기와 학교 학습활동 적응이 정적 상관관계가 있다고 밝힌 Kim (2020)의 주장과 일치한다. 그리고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성취동기가 높을수록 진로태도가 높아지며, 반대로 성취동기가 낮을수록 진로태도가 낮아진다고 볼 수 있다. 이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성취동기가 진로장벽에 부적 영향을 준다는 Bae와 Son (2022), Kim과 Kim (2022), Park 등(2020)의 연구결과를 지지하는 것이다. 또한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진로태도가 높을수록 학교 학습활동 적응이 높아지며, 반대로 진로태도가 낮을수록 학교 학습활동 적응이 낮아진다고 볼 수 있다. 이는 진로태도가 학교 학습활동적응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Kim (2017), Kwon과 Chun (2023), Do (2008), Yeon과 Choi (2020)의 연구결과와 맥락을 같이 하고 있다.

둘째,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학교학습활동적응과 성취동기의 관계에서 진로태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진로태도는 매개적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진로태도의 영향력은 그리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성취동기가 학교학습활동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침과 성취동기가 진로태도 매개변인을 통해 학교학습활동적응에 간접적인 효과를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성취동기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학업성취뿐만 아니라 향후 인생에 큰 부분을 좌우하게 된다(Park & Lee, 2016). 다문화 청소년의 성취동기는 주변 사람들의 심리적 지지를 통해 강화를 받게 되므로 주변 사람들의 관심과 이해, 지지를 끌어올릴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 부모 및 교사교육에 다문화가정 청소년에게 관심을 가지고 심리적으로 지지하는 내용이 포함되어야 하고 사회적 지지체계가 구축되어야 한다(Shen, 2020; Yu, 2020).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학습의 어려움을 줄여주기 위해 무엇보다 강한 성취동기를 가질 수 있도록 부모와 교사를 비롯한 주변 사람들의 격려와 지지가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한편 진로태도는 성취동기를 거쳐서 학교학습활동적응에 매개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학교학습활동적응에 미치는 진로태도의 영향력은 성취동기의 영향력보다 적은 편으로 높은 성취동기를 지닌 다문화가정 청소년은 진로태도를 매개로 하여 학교 학습활동에 더 잘 적응한다고 볼 수 있다. 진로태도는 한 개인이 진로를 선택함에 있어서 가지는 태도로(Ha, 2022) 진로를 탐색하고, 준비하고, 직업에 종사 후 퇴직까지의 일련의 발달과정에서 대처해 나가는 인지적인 준비태도이다(Super, 1980). 진로태도는 진로준비성과 진로결정성으로 나누어지는데(Jung & Kim, 2020), 진로준비는 진로결정을 내리기 위한 실천적 행동으로서의 가치를 가지며(Lee, 2020) 진로결정성은 자신이 원하는 진로의 방향 및 직업의 결정정도를 말하며 미래의 삶을 예측하는 지표로서의 중요성을 가진다(Lee, 2021).

본 연구결과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이 높은 성취동기를 가지고 있을 때 진로교육을 제공하면 학교학습활동적응을 보다 잘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성취동기를 고양하는 데 역점을 주면서 진로에 관한 고민을 줄여 주기 위한 상담 지원 프로그램이 제공될 때 학교학습활동적응이 보다 증진된다고 볼 수 있다. 인천시는 다문화청소년 자녀성장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성취동기를 고양하고 진로 탐색을 위한 교육을 지원하고 있다(Choi, 2022).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학교학습활동적응을 높이기 위하여 성취동기를 고양할 수 있는 다양한 자극을 제공하고 이들의 성취동기가 향상되었을 때 진로교육을 제공하면 학교학습활동적응이 보다 제고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은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성취동기와 학교학습활동적응 및 진로태도의 변인을 중심으로 변인 간 직·간접적인 영향력을 알아보았다. 추후 연구에서는 어머니 변인을 포함한 가정의 사회경제적 수준 등의 다양한 사회환경적 변인을 포함하여 차이를 살펴보거나 종단적 분석을 통해 시간에 따른 변화를 살펴보는 것도 필요하다고 본다.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결과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학교학습활동적응을 높이는데 성취동기가 학교학습활동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진로태도 매개변인을 통해 간접적인 영향도 미친다는 것을 밝혔다는 점에서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학교 학습활동 적응에 도움이 되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기여하였다고 본다.

Notes

The author declares no conflict of interest with respect to the authorship or publication of this article.

Acknowledgements

This work was supported by research funds from DongNam Health University.

References

1. Bae S. H., Son E. Y.. 2022;An analysis of the influence factors on career barriers perceived by multicultural adolescents.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60(6):31–58.
2. Baron R. M., Kenny D. A.. 1986;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1173–1182.
3. Choe J. W., Han Y. S.. 2021;The effect of strain from host language on delinquency and school maladjustment among immigrant background youths in south Korea: The moderating role of competence in a heritage language, self-esteem, and parental support. Korean Journal of Youth Welfare 23(3):1–28.
4. Choi J. H.. 2022. Survey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and mid-to long-term development plan Incheon Women and Family Foundation.
5. Choi J. H., Ko E. K., Lee S. L.. 2015;Influence of achievement motivation and self concept on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in the dental hygiene stud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15(2):287–293.
6. Choi Y. J., Kim I. S., Seon B. Y., Dong J. Y., Jung H. S., Yang G. M.. 2019. 2018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fact-finding research Sejong: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7. Ding J. Y., Chin M. J.. 2019;The effect of foreign mothers’ acculturation on multicultural family adolescents’ adaptation to learning activities. Korean Association Of Family Relations 24(2):65–84. https://doi.org/10.21321/jfr.24.2.65.
8. Do K. H.. 2008;Relation among father’s child-rearing involvement, father-child communication style, children’s achievement motivation and school adjustment.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0(4):139–155.
9. Ha Y. J.. 2022;Classifying latent profiles of career barriers perceived by multicultural youths and verifying differences in career attitude: Focused on high school students. Multicultural Education Studies 15(3):1–23. https://doi.org/10.14328/MES.2022.9.30.1.
10. Han S. Y., Yang M. S., Park Y. H.. 2020;Exploring the longitudinal changes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achievement motivation by the developmental patterns of their bicultural acceptance.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26(3):663–689.
11. Hong S. H., Doh H. S.. 2002;Mother-adolescent relationships and adolescents` self-esteem as related to their achievement motivation. Human Ecology Research 40(12):145–157.
12. Hyde J. S., Kling H. K.. 2001;Women, motivation, and achievement. 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25:364–378.
13. Jeong H. S.. 2009. The impac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ttachment to their mother and school life adjustment on their optimism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Cheonan, Korea:
14. Jung N. E., Kim W. Y.. 2020;Analysis of structure relationship on career preparation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Focusing on acculturative stress, social atrophy. Journal of Wellness 15(4):59–69.
15. Kim D. W., Moon I. S.. 2022;A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s of school violece in muticultraul youth. Korean Criminal Psychology Review 18(3):37–48.
16. Kim H. C.. 2023;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uancy and delinquency experience in multicultural adolescent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30(3):319–341.
17. Kim J. E.. 2017;The effect of career exploration program on school adaptation of maladjusted middle school students.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21 8(6):171–183. https://doi.org/10.22143/HSS21.8.6.12.
18. Kim J. E.. 2020;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rriers and school adaptation in multicultural adolescents: Mediating effects of social withdrawal and social support. Journal of Social Science 31(3):21–37. https://doi.org/10.16881/jss.2020.07.31.3.21.
19. Kim J. K., Baek H. J., Lim H. J., Lee G. O.. 2010.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0 Seoul: Korea Youth Policy Institute.
20. Kim J. Y., Hong J. S.. 2017;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achievement motivation in outofschool youths. The Korea Journal of Youth Counseling 25(2):393–412.
21. Kim K. S., Kim M. K.. 2013;Effects of career search group counseling on the career attitude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ies 15(1):175–194.
22. Kim M. R., Kim Y. M.. 2022;Multi-cultural adolescents' achievement motivation and perceived career barriers: The mediating effects of parental support and social withdrawal.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2(20):57–69. https://doi.org/10.22251/jicci.2022.22.20.57.
23. Korea Youth Policy Institute. 2019. Multicultural youth longitudinal study 2019: Executive report
24. Korea Youth Policy Institute. 2020;2020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5. Kwon S. Y., Chun J. E.. 2023;The effects of achievement motivation, parental career support on career barriers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academic adaptation and career decision. Journal of Youth Studies 30(8):349–371. https://doi.org/10.21509/KJYS.2023.08.30.8.349.
26. Kyeong Y. N., Park S. Y.. 2021;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of immigrant mothers and their children’s career attitudes: The mediating role of parenting efficacy and achievement motivation. Asian Journal of Education 22(2):375–402. https://doi.org/10.15753/aje.2021.06.22.2.375.
27. Lee C. H.. 2021;The dual mediating effect of achievement motivation and social withdrawa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support and career decision in multicultural adolescents. Journal of Social Science 32(2):271–289.
28. Lee H. H.. 2020;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career and care support for multicultural youth and teacher relations, career preparation and career determination.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25(5):199–208.
29. Lee H. J., Son S. K., Hong S. H.. 2018;Testing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effects between adolescents’ life satisfaction, school learning activities and friendship: Multigroup analysis across gender. Studies on Korean Youth 29(1):209–238. https://doi.org/10.14816/sky.2018.29.1.209.
30. Lee H. S., Park M. H.. 2017. The educational support for multicultural adolescents in Seoul Seoul Research Institute.
31. Lee J. S., Kang Y. S., Oh J. C.. 2021;The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multicultural policy program: The life satisfaction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by experience group supported by multicultural policy. Korean Journal of Local Government & Administration Studies 35(4):1–23.
32. Lee J. W., Noh G. H.. 2023;The effect of multicultural acceptance on depression in multicultural adolescents: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family support and social withdrawal.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21 14(3):1429–1444.
33. Lee K. H., Han J. C.. 1997;Tool for validating career attitude measurement tools.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8(1):219–255.
34. Lee S. H.. 2018;A test of the mediating effects of achievement motiv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irrational belief, emotion and school adaptation. Journal of Youth Welfare 20(2):21–44. https://doi.org/10.19034/KAYW.2018.20.2.02.
35. Lee S. H., Kim D. G., Park G. Y.. 2015;A study on the cultivation of social adaptability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Journal of Ethics Education Studies 36:239–258.
36. Lee S. Y.. 2017;The effects of career maturity on school adjustment in the middle school student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nse of community. The Journal of Korean Contents Association 17(6):622–631.
37. Lim H. J.. 2017;The effects of after-school self-care by lower elementary students on children’s adaptation in learning. Korean Journal of Child Care and Education Policy 11(3):65–86.
38. Min B. S.. 1991. The impact of school life adaptation and self-concept on academic performa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39. Ministry of Education. 2019. Multicultural education support plan
40. No B. R., Jung J. H., Choi N. Y., Lee K. G.. 2019;The longitudinal effects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appearance satisfaction and korean language skills on school adjustment an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Human Ecology Research 57(3):407–417.
41. Oh J. A., Byoun S. J.. 2020;The experience of school dropout among multicultural adolescen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1(7):125–136.
42. Oh J. A., Lee Y. J., Kim P. H.. 2021;Exploring the career attitude prediction model Of multicultural youth using decision tree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2(6):99–105. https://doi.org/10.15207/JKCS.2021.12.6.099.
43. Oh S. C., Yi H. J., Chang K. S., Goo Y. S., Ki E. J.. 2013. A study on educational support for low-performing student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Seoul: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44. Park D. J., Kim S. M., Lee J. Y.. 2020;The effect of achievement motivation on career barriers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chool adjustment. The Journal of Korea Youth Activity 6(4):195–217. https://doi.org/10.36697/skya.2020.6.4.195.
45. Park J. H.. 2017;The mediating effects of life satisfaction on experiential activities and school adaptation. The Journal of Youth Activity 3(1):29–50.
46. Park J. I.. 2014;A study on the traits of the multicultural families delinquent juveniles under the protective disposition: Focusing on the comparation of environmental system factors between multicultural families delinquent juveniles and homogeneous. Korean Journal of Probation 14(1):209–270.
47. Park M. Y., Lee Y.. 2016;Relationship among motivation for accomplishment, pursuit of career values, and work attitude: The mediating role of academic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Therapist 8(3):385–402.
48. Park S. S.. 2022;Effect of parenting attitudes on delinquency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Focusing on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maladjustment. Journal of Welfare for the Correction 79:1–31.
49. Park S. S.. 2022;A study on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various types of risk for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academic suspension. Journal of Future Society 13(1):20–39.
50. Park W. K., Kim S. B.. 2023;The impact of school adjustment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on school dropout intention: The serial multiple mediation effect of depression and delinquency. Korean Journal of Youth Welfare 25(3):59–84.
51. Ryu D. H.. 2021;Structural analysis of family support, motivation for achievement, self-esteem and career decision among youths from multicultural family.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Psychology 28(4):87–104. https://doi.org/10.35734/karp.2021.28.4.005.
52. Shen L.. 2020;A longitudinal study on multi-cultural adolescents’ achievement motivation and related predicting and outcome variables using latent growth modeling. Multicultural Education Studies 13(3):55–84.
53. Statistics Korea. 2021. Population census: Multicultural households and household members
54. Super D. E.. 1980;A life-span, life-space approach to career developmen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16(3):282–298.
55. Super D. E., Savickas M. L., Super C. M.. 1996;The life-span, life-space approach to careers. Career Choice and Development 3:121–178.
56. Won J. S., Kim J. S.. 2016;A meta-analysis on the correlation between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Korea Youth Research Association 23(9):177–205.
57. Yeon E. M., Choi H. S.. 2020;A longitudinal analysis of adolescents’ achievement motivation profiles and their relationship to academic achievement in multicultural family.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1(2):404–414. https://doi.org/10.5762/KAIS.2020.21.2.404.
58. Yu A. B., Yang K. S.. 1994. The nature of achievement motivation in collectivistic societies. In : Kim U., Triandis H. C., Kagicibasi C., Choi S. C., Yoon G., eds.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Theory, method, and applications, 18. Cross-Cultural Research and Methodology Series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 p. 239–250.
59. Yu C. E., Cho G. P.. 2012;The effect of adult attachment, career barriers, and achievement motivation of university students on their career decision levels and career aspiration.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2(4):143–166.
60. Yu S. H.. 2020;A study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arent-related factors, achievement motivation, and learning adaptation of high school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Cultural Exchange and Multicultural Education 9(5):229–254.
61. Yun G. H., Yang M. S.. 2015;A study on influencing to prediction risk factors of the delinquency experience on juvenile of multicultural. Korean Police Studies Review 14(2):313–338.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Figure 1.

Research model.

Figure 2.

Relationship among achievement motivation, career attitude, and adaptation to school learning activities.

Table 1.

Demographic Details of the Participants

범위 빈도(%) N
청소년 성별 남아 654 (49.2) 1,329
여아 675 (50.8)
연령 14세 101 (7.6) 1.329
15세 1,177 (88.6)
16세 45 (3.4)
17세 5 (0.4)
18세 1 (0.1)
거주지역 서울권 140 (10.5) 1,329
경기권 및 인천권 345 (26.0)
충청권 및 강원권 260 (19.6)
경상권 304 (22.9)
전라권 및 제주권 280 (21.1)
어머니 연령 20-29세 12 (0.9) 1,324
30-39세 122 (9.2)
40-49세 903 (68.2)
50세이상 287 (21.7)
학력 중졸이하 148 (11.1) 1,329
고졸 622 (46.8)
대학(2-3년제) 340 (25.6)
대학교(4년제이상) 211 (15.9)
대학원졸업(석박사포함) 8 (0.6)
출신국가 한국 42 (3.2) 1,329
중국 한족과 기타 민족 92 (6.9)
중국 조선족 244 (18.4)
베트남 34 (2.6)
필리핀 343 (25.8)
일본 456 (34.3)
태국 51 (3.8)
기타 67 (5.0)

Table 2.

Characteristics of Main Variables

변인 최솟값 최댓값 평균 (SD) 왜도 첨도
성취동기 1 4 3.06 (.46) -.03 .63
진로태도 1 4 2.59 (.57) .46 .06
학교학습활동적응 1 4 2.90 (.53) -.18 .69

Table 3.

Correlations among Achievement Motivation, Career Attitude, and Adaptation to School Learning Activities

변인 성취동기 진로태도 학교학습활동적응
성취동기 1
진로태도 .294** 1
학교학습활동적응 .572** .224** 1
**

p <.01

Table 4.

Regression of Achievement Motivation and Career Attitude on Adaptation to School Learning Activities

단계 변인 β t R2 F
1단계 독립변인 → 매개변인 성취동기 → 진로태도 .294 11.188*** .086 125.178***
2단계 독립변인 → 종속변인 성취동기 → 학교학습활동적응 .572 25.423*** .328 646.331***
3단계 독립변인, 매개변인 → 종속변인 성취동기 → 학교학습활동적응 .554 23.589*** .331 327.997***
진로태도→ 학교학습활동적응 .061 2.613**
**

p <.01,

***

p <.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