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고등학교 가정과 교과서의 ‘가족’ 관련 내용 비교: 건강가정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Comparison of Family-Related Contents of High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s between Korea and the U.S.: Focusing on the Elements of a Healthy Family
Article information
Trans Abstract
This study makes suggestions on the contents of home economics to form adolescents’ values of a healthy marriage and family. For this objective, family-related contents of high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s between Korea and the U.S. were comparatively analyzed using a qualitative interpretation method, based on the elements of a healthy family. Obtaining nine types of high school technology & home economics textbooks (2009 revised curriculum), two types of high school home economics science textbooks (2009 revised curriculum), and five types of the U.S. home economics textbooks for grade 10 to 12, contents elements, described contents, pictures, illustration, and activity tasks of the contents were examined. This study discussed the implications of family-related content in home economics high school textbooks of Korea as well as presented suggestions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subject content.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family-related contents in home economics textbooks of both countries, Korean home economics textbooks emphasized the contents meeting a democratic and gender-equal family relationship, maintenance & creation of healthy family life culture, rational resource management, and support for children’s growth & development. However, U.S. home economics textbooks focused on elements such as economic stability of family, stable food, clothing, and shelter, open conversation, support of children’s growth & development, rational resource management, sharing family roles, healthy citizenship, and harmony between work and family.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교과서는 학교교육을 정상화하는 기능을 하며, 각 교과의 교수·학습 과정이 개선될 수 있도록 선도하는 역할을 한다[1]. 또한, 교과서는 공식적인 학습시간 동안 청소년들이 접할 수 있는 1차적인 교육 매체로서 교과서가 담고 있는 교육내용 자체는 교육적 영향력을 미치는 과정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데, 특별히 가정과 교과서는 ‘가족’ 관련 내용들을 통해 청소년의 결혼과 가족에 대한 가치관에 영향을 미치는 공식적 교육과정의 주요 매체이다. 그러므로 가정과 교과서에 대한 연구는, 청소년들에게 가족에 관한 균형 잡힌 가치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기 위한 교육적 역할을 수행하는 작업이며 동시에 가정과 교과내용 개발의 끊임없는 과제라고 보겠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가족의 변화와 다양성이 증가하는 맥락에서 가정과 교과서의 가족 관련 내용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먼저 가정과 교과서의 분석방법 중의 한 가지인 우리나라와 외국의 교과서를 국제적으로 비교분석하는 방법[18]을 연구방법으로 설정하고, 구체적인 분석내용의 범주로는 한국과 미국의 고등학교 가정교과서에 수록된 가족 관련의 내용을 비교분석 하였다. 또한, 분석관점으로 건강가정의 관점에서 가정과 교과 내용을 분석하였다.
Yoon과 Na [26]의 주장에 의하면, 한국의 가정과 교육과정에 지속적인 영향을 준 국가 중 한국과 사회·문화적 배경이 비슷한 국가 등을 기준으로 볼 때, 미국과 일본, 대만 등의 국가가 이에 해당 되는데, 본 연구에서는 가족유형과 삶의 양식이 다양해지는 한국 사회의 상황에서 다인종, 다문화, 남녀평등, 다국적 상황을 보이고 있는 미국을 비교 대상 국가로 선정하고, 미국의 고등학교 가정과 교과서와 한국의 가정과 교과서의 내용을 비교분석 하였다. 연구 과정을 통해 도출된 결과는 한국의 고등학교 가정교육에 고려해 볼만한 가치가 있기 때문이다.
건강가정 관점은 연구자들별로 여러 가지로 정의되고 있으나, Cho 등[5]은 “외부 자극과 변화에 잘 대처하고, 협동, 인내, 타협을 기반으로 공동의 유대를 이루며, 가족 간의 존중과 원만한 상호작용이 형성되는, 균형이 유지되는 가정”을 건강가정이라고 말한다. Kim과 Cho [11]는 현대 가족변화에 대하여 편견을 버리고 이해함과 동시에 다양성을 인정하고, 가족문제의 예방과 적극적인 해결을 통해 가족의 내적 기능 강화에 중요성을 부여하는 것을 건강가정의 기본 관점으로 설정한다. 이렇게 정의한 건강가정 관점은 가정교과가 추구하는 실천성의 강조와 응용 가능성, 문제 해결 능력의 함양과 같은 학문적 성격과 같은 맥락으로 간주할 수 있다. 건강가정의 관점은 가정이 실질적으로 갖추어야 할 바람직하고 이상적인 기본토대와 가족관계의 모습, 가정의 역할, 사회와의 관계, 가정문화의 성격을 담고 있는 것으로서, 가족에 관한 한·미 고등학교 교과서 내용의 비교·검토하려는 본 연구의 분석 방법론으로서 적절하다고 본다.
미국과의 교과서 비교 연구에서 건강가정 관점이 유용하다고 생각하는 또 다른 이유는 학문적 발달 맥락과 관계가 있다. 건강가정의 관점은 가정이라는 현상을 이해하기 위한 해석임과 동시에 가정의 병리적 현상과 연약한 부분을 적극적으로 개선하고 보완하려는 실천적 개입의도를 견지하고 있는데[22], 건강가정 관점의 시각으로 한·미 양국의 가정교과서의 비교 연구를 하는 것은 본래 건강가정의 연구의 목적을 실제 학교교육 내용 개발에 적용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게 한다는 차원에서 의미와 장점이 있다.
건강가정의 관점으로 한국과 미국의 가정교과서를 비교해 볼 때,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다. 가정을 바라보는 시선의 차이를 인정하고 이를 우열의 관계가 아닌 보완과 응용의 관계로 이해한다면, 한·미 가정과 교육내용의 비교분석은 청소년들이 보다 바람직한 가족의 청사진을 그려 나가는데 유용한 보충자료로 선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동안의 건강가정 관점에서 가정과교육을 연구한 선행연구들은 사회 변동에 따른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한 가족역량 강화 차원에서 가족의 병리적 측면을 어떻게 해소할 것인지에 대하여 대책과 실천 방법 관점에 입각해 있거나[7, 15, 16], 혹은 가족 건강성과 가정과 교과 내용에 관련된 청소년들의 요구도[4], 인식도와 흥미도 조사[21], 교육과정 중심의 비교 연구[13], 한국 가정과 교과서 간의 가족관련 단원 내용 비교분석[11]과 같은 내용을 잘 보여준 반면, 국가 간의 차이에 따라서 나타나는 건강가정 관점에서의 특성을 밝히고 드러내는 시도는 별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국 가정과 교과서를 한국 가정과 교과서와 비교 대상으로 선정하고, 가족에 관련된 내용 부분을 분석의 주제영역으로 설정한 뒤, 건강가정 관점으로 바라보았을 때 그 차이점과 강조점이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비교하는 과정을 통해 발견되는 특징적인 사항들을 서술해 보고, 한국의 상황에 적합하게 가정과 교육내용에서 개선적인 제안을 줄 수 있는 부분들을 제시하여 보았다.
건강가정의 관점으로 미국과 한국의 가족 관련 부분의 내용을 비교·분석하는 작업은,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가정과교육의 과제에 있어서 건강한 가족을 이루는 바람직한 가치관 정립 능력과 적용 능력, 예비 능력을 배양하기 위해 시사점을 발견해 가는 과정으로서 매우 중요하다고 본다. 본 연구는 한국과 미국 각각의 문화에 독특한 차이가 있음으로 인하여 나타나는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한국 가정과 교과서의 내용에 보완할 가치가 있는 사항들을 발견하는 과정으로서 그 의미가 있다. 또한, 현재의 가정과 교육내용의 가족 관련 내용에서 존재하는 미흡한 점들을 발견하여 청소년들에게 적합한 새로운 내용들을 정립할 수 있도록 제안점을 찾는 연구 과정으로서도 그 의미가 있다. 본 연구는 청소년들이 건강한 가족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을 형성하는 것을 돕고, 지식적 수준의 차원에서 머무는 것이 아니라 실제적인 가족의 상황 안에서도 건강한 가족생활을 구현할 수 있도록 가정과 교과서의 내용을 개선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이론적 배경
1. 건강가정의 개념과 구성요소
건강가정에 대한 정의는 매우 다양하다. Cho 등[5]은 건강가정에 대하여 외부의 사회 경제적인 변화에 잘 적응하고, 어떠한 위기가 닥쳐와도 탄력적으로 대응하여 가정의 위기를 긍정적으로 극복할 수 있는 역량이 비축된 가정으로 정의하였다. 동시에 가족구성원들 간의 상호 연대성이 강하여 원활한 소통이 이루어지는 가족 공동체가 건강가정이라고 하였다. 이러한 가정 공동체는 상명하복의 위계질서보다는 인격적인 나와 너의 관계로 가족 상호간의 균형과 조화를 이룬 가정이다. 2004년 2월에 제정된 건강가정기본법 제1장 총칙 제3조에서의 용어정리를 살펴보면, “건강가정이라 함은 가족구성원의 요구가 충족되고 인간다운 삶이 보장되는 가정을 말한다.”고 명기하고 있다.
건강가정 관점이 우리나라에서는 건전가정, 건강가족으로 번역되어 소개되었는데, Eo와 Yoo [6]는 가족 간의 규칙적이며 다양한 상호작용을 통해 가족 공동체의 의미와 정서적 가치, 도덕적 가치의 증진을 추구하는 가족을 건강가족이라고 정의하였다. 또한 건강가족에 대하여 Ok [20]은 가족의 기능을 잘 수행하는 가족이라고 정의하였다.
건강가족과 건강가정의 개념의 사용에 있어서 가족과 가정이 서로 혼용되는 경우가 많은데, 가족이라는 개념은 가족 구성원 사이의 기능 중심의 가족체계로서의 의미가 좀 더 강하고, 가정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경우는 주로 일상생활 중심의 장소나 공동체로서의 의미가 더 강조된다[25]. 이 외에도 가족이라는 개념은 사회 제도적인 측면, 특히 구성원들의 관계적인 측면이나 이데올로기적 측면에서 해석될 경우가 많으며 가정의 개념은 가족 구성원의 삶의 토대가 되는 곳이라고 이해될 수 있다[22]. 건강가족의 구성요소는 학자들 간에 차이를 보인다. Stinnett와 Sauer (as cited in Kim 등[9])는 애정과 감사에 대한 표현 능력, 가족에 몰입하는 정도·책임감, 긍정적 의사소통 능력, 종교적 태도, 문제나 위기에 대처하는 능력과 같은 것들을 이야기 했으며, Yoo [24]는 가족원에 대한 존중, 가족원 간의 유대의식(우리의식), 감사와 애정·정서적 안식처, 가치관 목표 공유, 가족원의 역할 충실, 문제해결 능력과 같은 요소들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요소들이 보여주고 있듯이 건강가정의 개념은 다양한 의미를 내포하고 여러가지의 모습으로 설명될 수 있다.
Cho 등[5]은 여러 가지 학자들의 건강가정 개념을 구성하는 요소들을 요약하였는데 정리하면 Table 1과 같다. 본 연구에서는 교과서 내용의 분석을 위하여 Table 1에 제시된 건강가정 구성요소를 분석기준으로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기본 토대의 영역, 가족 관계의 영역, 가정 역할의 영역, 사회와의 관계 영역, 가정 문화 영역의 5대 영역으로 나누고 각각의 하위 구성요소를 정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Cho 등의 구성요소를 분석의 틀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 기준으로 사용하고 있는 건강가정 구성요소는 Cho 등[5]이 그동안 여러 학자들을 통하여 논의되어 온 건강가정 개념을 구성하는 요소들을 요약하여 정리한 것이다. 그 구체적인 구성요소들로서, 기본토대 영역에는 가정의 경제적 안정, 안정적인 의식주 생활, 가족 관계 영역에는 민주적이고 양성평등한 가족관계, 열린 대화, 휴식과 여가 공유, 가정 역할 영역에는 자녀의 성장 발달 지원, 합리적인 자원관리, 가족 역할 공유, 사회와의 관계 영역에는 일과 가정의 조화, 건강한 시민의식, 자원봉사활동 및 지역사회 활동 참여, 가정 문화 영역에는 건강한 가정생활 문화의 유지 및 창조와 같은 요소들이 구성되고 있다.
2. 가정과교육과 건강가정
청소년들이 가정이라는 주제에 대하여 윤리적으로, 철학적으로, 그리고 사회적으로 사유할 수 있는 주된 기회는 가정과 교과서를 사용한 가정과 수업시간이며, 가정과 교과서를 통해 소개되는 가정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는 청소년들의 가치관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고 말할 수 있다. 가정을 건강가정 관점에서 전망하는 것은 현재의 청소년들이 속하여 생활하고 있는 가정이 건강하도록 돕기 위함이며, 미래의 가정을 건강하게 형성하도록 돕기 위함이다.
Lee [17]는 가정과 교과가 현대 사회에서 일어나고 있는 가정생활의 급격한 변화에 대처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는 교과라고 언급하면서 가정은 개인과 사회의 사이에서 매개 역할을 수행하는 체계로서 개인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을 추구하고 사회에 관하여는 사회의 유지와 발전을 가능하게 하는 유능한 인적 자원의 제공 역할을 한다고 말하고 있다.
한편, Lee와 Lee [14]가 제시하는 가정과교육의 목표를 살펴보면, 심신의 욕구와 집단·개인적 욕구를 포함하는 가족의 욕구를 적정하게 충족시켜 일상생활을 누릴 수 있고 원만한 가족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능력과 태도를 기른다고 언급하고 있는데, 이것은 건강가정기본법 제1장 총칙 제3조의 용어정리에 나와 있는 건강가정에 대한 정의에 가까운 가정과교육 목표의 서술이라 할 수 있다.
특별히 2009년 개정 교육과정에서 고등학교 기술·가정 과목의 가정생활 영역의 목표를 살펴보면, “가정생활 실천을 통한 생활 속의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본적인 지식과 기능을 익혀 건강한 개인 및 가정생활을 영위하고, 현재 및 미래 사회를 주도할 수 있는 자기관리능력, 실천적 문제해결능력, 창의력, 진로개발능력, 대인관계능력, 의사소통능력과 같은 핵심역량과 이에 대한 실천적 태도를 기른다[19].”라고 명시되어 있으며, 영역별 성취기준에 수록된 가정생활 영역의 두 번째 성취기준으로 “건강한 가정생활 문화가 사회에 기여하는 상호관계를 이해하여, 건강한 가족 문화, 지속가능한 소비생활문화, 타인과 이웃을 배려하고 돌보는 의식주 생활 문화를 가족이 주도할 수 있는 방안을 탐구하여, 가족이 주도하는 행복한 가정생활 문화를 사회에 실천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를 수 있다[19].”라고 기술되어 있는데, 이를 통해 건강가정의 개념을 강조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19]가 고시한 2009년 개정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가정 과학의 목표의 성격으로 “가정 과학은 건강가정기본법에서 출발한 건강가정과 웰빙, 가정생활복지,....(중략)....., 그리고 양성평등하며 세대 간 조화를 이루는 가족문화, 다문화 사회의 가속화에 따른 인권 차별 철폐 교육, 인성교육 등 다양한 국가·사회적 요구를 반영하고 있다.”라고 기술하고 있으며, “가정 과학의 학습을 통하여 가정생활에 대한 올바른 철학을 바탕으로 한 가정생활의 리더십을 길러 미래의 건강한 개인 및 가정생활 그리고 사회생활을 주도하는 역량 있는 생활인으로 성장하도록 하였다[19].”라고 서술하고 있다. 그리고 고등학교 가정 과학 과목의 목표 (1)의 (나)항을 살펴보면, “개인과 가정생활의 복지 증진을 위해 필요한 다양한 생활의 역량을 길러 행복하고 건강한 개인 및 가족의 생활을 이루며, 행복하고 건강한 사회 공동체를 주도할 수 있는 자질을 함양한다[19].”라고 제시되어 있어 건강가정의 개념을 충실히 반영하도록 목표를 설정하고 있으며, 교수·학습방법에 관한 부분의 (타)의 (1)항에서는 “결혼과 가족생활 영역에서는 사진....(중략)....웹자료, 멀티미디어자료 등 다양한 시청각 매체를 활용하고....(중략)....현대의 결혼과 가정생활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문제에 대해 그 원인과 해결방안을 모색하여 건강한 가정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도록 한다[19].”는 내용이 고시되어 가정 과학 교과내용을 통해 건강가정 개념을 충실하게 따르는 교수·학습 지침이 이루어지도록 강조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에 있어서 가정과교육과 건강가정의 관련성을 찾아본다면, 가정교육학자 Brown [2]이 “가정과교육은 가정생활을 연구대상으로 하는 학문으로서 가족의 안녕과 복지증진을 돕는 것을 사명으로 한다. 다시 말해 가족이 가정생활에서 인간의 행동체계를 스스로 이루고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며, 이러한 행동체계는 개인의 자아를 성숙시키고 나아가서 사회목표와 그것을 이룰 수 있는 수단을 형성하는데 협동적인 참여를 하게 한다.”고 정의하는 부분을 통해 그 관련성을 발견할 수 있다[4].
Chae 등[3]이 기술한 “미국 가정과교육의 역사” 부분을 보면, 미국의 가정과교육의 현재 모습에 대하여 “가정과교육은 책임 있는 시민으로서의 가족, 도덕성이 있는 가족, 건강한 생활을 관리할 수 있는 가족 그리고 가정과 지역사회, 국가, 세계와의 관계에 관심을 갖고 참여하는 민주 가정을 건설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라고 진술하고 있는데, 이 내용을 통해 미국의 가정과교육의 방향성은 앞에서 언급한 Cho 등[5]의 건강가정의 구성요소에 제시되어 있는 요소들과도 상응하고 있는 부분을 담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다.
한편, Kim [8]은 미국의 오레곤 주와 오하이오 주를 대상으로 실천적 문제 중심의 가정과 교육과정을 연구하였는데, 오하이오 주의 가정과 교육과정의 내용에서 오하이오 주는 사회가 건강한 가족에 달려있다고 보았기 때문에 건강한 가족은 개인을 성장시키고 교육하며, 가치관을 형성시키고 행동의 기준을 습득하여 사회의 노동인력 자원을 제공한다고 하는 건강가정 관점의 내용을 담고 있음을 설명하였다. 이러한 입장에서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내용의 가족관계에 해당하는 핵심코스 영역에서도 “건강한 가족관계를 만드는 것에 관해 나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라는 실천적 문제 항목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으며, 교육과정을 구성하는 내용의 모듈(module) 중 하나로서 건강한 가정을 포함하고 있음을 보고하였다[10, 12].
연구방법
1. 분석대상 및 분석단원
1) 분석대상
분석대상 교과서로 한국의 가정교과서는 2009년 개정 교육과정에 기초하여 집필된 선택 교과과정의 일반 교과인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와 선택 교과과정의 심화 교과에 해당하는 고등학교 가정 과학 교과서를 분석대상으로 선정하고 한국검인정교과서협회를 통하여 수집이 가능한 전종의 고등학교 기술·가정(고1) 9종과 전종의 고등학교 가정 과학(고2, 3) 교과서 2종을 입수하여 해당영역을 검토하였다. 미국 교과서는 교육과정이 개정될 때마다 수시로 바뀌지 않고, 큰 규제를 받지 않고 출판되고 있는 실정이며, 모든 종류의 교과서를 전집하기 어려운 면이 있다[23]. 이러한 한계점 아래, Family & Consumer Sciences 분야 중 한국과 유사하게 인간발달과 가족의 생활, 식생활, 주생활 등 가정학 전영역의 내용을 다루고 있는 교과서(comprehensive) 중에서 10-12학년을 교육대상으로 선정한 최신 가정과 교과서 5종의 교과목 명칭 검색과 함께 미국의 대표적인 도서주문검색 사이트를 통하여 입수가 가능한 가정과 교과서들을 임의로 선정하였다. 한국과 미국의 가정과 교과서 목록은 Table 2와 같다.
2) 분석 단원
한국의 가정·기술 교과서에서는, ‘저출산·고령 사회와 가족’ 장에서 사랑과 결혼, 그리고 부모됨과 자녀 돌봄 단원과, ‘가족이 여는 행복한 가정생활 문화’ 장에서 건강 가정과 지속 가능한 소비 생활 단원의 건강한 가족생활 문화 부분을 분석할 것이고, 가정 과학 교과서에서는 ‘결혼과 가족생활’ 장에서 생애주기와 가족발달 단원의 가족 발달 과업과 가족 발달 지원 프로그램 부분을, 배우자 선택과 결혼 생활, 가족 돌보기와 가족 복지 단원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미국의 가정과 교과서에서는 Family & Consumer Sciences분야 중 주로 10-12학년을 대상으로 한 최신 교과서 5종에서는 가족과 관련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이 단원에서 가정의 기초(family basics)를 중심으로 논의되고 있는 사회 안에서 가정들의 역할 점검, 가정에 영향을 주는 요인 분석, 문화와 전통의 역할 재고, 가정의 형태 파악, 결혼에 대한 사유, 부모됨에 대한 사유, 가정의 문제 해결 그리고 일과 가정의 조화에 관한 영역을 중심으로 비교 검토해 보았다. 분석단원은 Table 3과 같다.
2. 분석 방법
본 논문에서는 건강가정의 구성요소를 분석기준[5]로 하여 가족 관련의 내용 단원에 해당하는 영역을 질적인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그 특징을 구체적으로 파악해 보았다. 특히 청소년의 눈높이에서의 건강가정 만들기 교육 프로젝트라는 관점을 염두에 두고, 교과서의 내용구성과 내용요소, 서술내용, 사진과 삽화, 그리고 실천적인 활동과제 등에서 나타난 총체적인 특징의 분석결과를 통해 한국 가정과 교과서의 가족 관련 영역 중에 내용구성의 측면에서 발견된 문제점을 파악한 뒤, 이에 관한 개선점을 살펴보고 향후 발전 방향성을 모색해 보았다.
본 연구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먼저 본 논문의 연구자 2인은 건강가정의 구성요소[5]의 5개 하위 영역에 따른 12개의 하위 구성요소를 분석기준으로 설정하였고, 한국과 미국의 가정과 교과서의 가족관련 단원별 교육내용을 출판사별로 검토하여 대표적으로 나타나는 교육내용들을 제시한 뒤, 분류기준을 바탕으로 질적 분석방법으로 설명하고 분석하였으며, 하나의 측면으로 간주하기 어려운 부분은 복합적인 측면으로 설정하고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이후 분석 결과에 대하여 가족학 박사학위 소지자이며, 현직 교수인 전문가 2인과 가정교육 전공 담당 지도 교수 1인에게 논문의 내용을 검증 받았고, 분석 결과에 대하여 의견이 불일치되는 부분에 관하여는 자문과 토론을 수행하고 합의를 통해 수정한 뒤, 최종 분석 결과를 정리하였다.
1) 내용요소 분석방법 설정
한·미 가정교과서를 비교분석함에 있어서 건강가정의 관점의 시각에서 바라볼 때, 각국의 문화의 차이에 따라 그 차이점과 공통점이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내용 요소들을 살펴보기 위한 분석 방법으로 공통의 키워드와 색인을 검출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한국과 미국의 가정과 교육 내용에서 가족에 관련된 내용의 키워드(keyword)와 색인을 중심으로 가정과 교육의 내용요소를 모두 추출한 후 공통적으로 빈출하는 내용요소를 하나로 취합하였다. 이때 키워드는 단원을 구성하는 중요한 소재나 재료를 의미하며 색인은 교과서 마지막 장에 ㄱㄴㄷ(ABC) 순서로 표기되어 있다(Table 4). 위와 같은 작업을 통하여 한국과 미국의 가정과 교과에서의 가족 관련 내용이 어떠한 내용 요소들을 중심으로 구성하고 교육하고 있는지 구체적으로 알아볼 수 있다.
두 번째로는 건강가정의 구성요소를 분석기준[5]으로 사용하여 교과서에서 기술된 내용에 대하여 구체적인 특징을 진술해 보고 각국의 가정과 교과서에 제시된 내용에 대해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는 질적인 분석 방법을 동시에 사용하였다.
2) 사진·삽화, 활동과제에 대한 분석방법 설정
한·미 가정교과서는 건강가정의 관점에서 교과의 내용을 청소년들에게 어떻게 효과적인 방식으로 전달하고 있는지에 대해 분석해 보았다. 특히, 이 부분의 비교 분석에서는 각 교과서에서의 내용 서술에 따른 삽화와 사진 등의 보충자료와 학습 활동 과제를 비교 분석하였고, 비교를 통해 발견된 특이점과 강조 사항에 대한 진술 방식 등도 고찰해 보았다. 교육내용을 전달함에 있어 표현 방식에 대한 분석은, 건강가정 구성요소[5]를 분석기준으로 사용하고, 분석에 포함되는 내용은 한·미 가정과 교과서의 가족관련 내용에서 본문과 관련된 사진 및 삽화, 활동과제만을 포함시켰다. 이들을 분석함에 있어서는, 질적 분석의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저작권 문제로 실제의 사진이나 삽화는 제시하지 않았다.
최종적으로, 한·미 가정과 교과서의 상호 비교 분석을 통해 드러난 차이점 중에서 한국의 가정과 교과서가 보다 발전적인 방향에서 수용할 수 있는 내용과 표현방식이 있는지를 건강가정 관점에서 점검해 보고, 이에 적합한 개선점을 제시해 보았다.
연구결과
1. 한·미 고등학교 가정과 교과서 내용요소 비교분석
한·미 가정교과서의 전반적인 내용 요소를 살펴보기 위해 키워드와 색인으로부터 가정과 교육의 내용요소들을 모두 추출한 후, 공통적으로 빈출하는 내용요소들을 하나로 취합하여 교육주제별로 분류한 결과는 Table 4와 같다.
한·미 가정교과서에서 해당 단원에 제시된 키워드와 색인 중심의 주요 빈출 단어들은 한국과 미국 양국 간의 가정과 교육에 있어서 핵심이 되는 내용요소들을 집약해 주고 있다.
한국 가정과 교과서의 내용요소들은 교과서 전 11종 중 4종 이상에서 빈출하는 내용요소들을 제시하였고, 그 중에서 6종 이상의 교과서에서 빈출하고 있는 공통 내용요소들은 진하게 처리하여 표시하였으며, 미국 가정과 교과서에서는 교과서 전 5종 중 3종 이상에서 빈출하고 있는 공통 내용요소들로만 제시하였다.
한국 가정과 교과서의 경우 가족 관련 내용에서 6종 이상 공통적으로 빈출하는 내용요소에는, 양성평등, 건강가정, 임신, 태반, 탯줄, 태교, 산후 조리, 피임 방법, 신생아기 황달, 이유식, 옹알이, 물활론적 사고 등이 있었으며, 미국의 경우는 3종 이상의 공통 내용요소로서, 십대 임신, 십대 부모됨, 성병(sexually transmitted infections), 위탁 가정, 계부모, 입양 가족, 학대, 중독, 폭력, 사망, 실직, 이혼, 파산, 자연 재해, 아동 유기, 미숙아, 일과 가정의 조화와 같은 내용요소들이 검출되었다.
한·미 가정과 교과서의 내용요소를 종합하여 분석하여 본 결과, 한국의 가정과 교과서에서는 민주적이고 양성평등한 가족관계, 건강한 가정생활 문화의 유지 및 창조, 합리적인 자원관리, 자녀의 성장발달 지원의 요소를 만족시켜 주는 내용요소들이 특징적으로 강조되고 있고, 미국의 가정과 교과서는 건강가정 구성요소의 가정의 경제적 안정, 안정적인 의식주 생활, 열린 대화, 자녀의 성장발달 지원, 합리적인 자원관리, 가족 역할 공유, 건강한 시민의식, 일과 가정의 조화와 같은 요소들이 중심을 이루고 있었다. Table 5는 한·미 가정과 교과서의 가족관련 공통 내용 요소들이 분류기준을 반영한 교육내용에 따라서 어떻게 제시되고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양국의 특징적인 내용 요소들을 Table 4로부터 검출하여 재구성한 것이다.
2. 건강가정 관점에서의 가족 관련 단원의 사진, 삽화 내용
한 장면의 사진과 삽화는 복합적이고 추상적인 의미를 담고 있는데, 그 구체적인 사진과 삽화의 주제는 수록된 단원에서의 소주제, 또는 소개 타이틀로 사용되고 있다. 사진 및 삽화의 배열은 가정과 교육 내용의 가족 관련 내용에서 사랑과 성, 배우자의 선택, 결혼, 가족, 부모됨과 자녀 양육, 일과 가정의 조화에 해당하는 내용 주제로 단원을 분류하고, 각국의 가정과 교과서에서 언급되고 있는 서술내용과 함께 대표적으로 제시되고 있는 사진, 삽화들의 특징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저작권 문제로 실제의 사진, 삽화는 제시하지 않았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미 고등학교 가정과 교과서에서 가족 관련 내용에 해당하는 영역의 사진과 삽화 분석을 통해서 볼 때, 한국 가정과 교과서에 공통적으로 제시되고 있는 사진, 삽화로서, 스턴버그의 사랑의 삼각형은 6종 이상의 한국 가정과 교과서에서 공통적으로 제시되고 있는 그림이며, 배우자 선택의 여과망에 관한 삽화는 5종 이상 제시되어 있고, 세대 간의 단란한 모습의 사진, 한국의 전통 가족 문화 사진이 있으며, 다문화 가족을 소개하는 사진들은 대체적으로 교과서의 한 부분에 작은 사이즈로 할당되어 제시되고 있다.
‘건강한 가족생활 문화’ 단원 안에서 ‘건강 가정’에 대한 설명과 함께 수록되는 대표적인 가족사진으로는 ‘건강한 가정’의 사진이 있는데, 이 사진들의 주제는 보통 ‘건강 가족의 특징,’ ‘건강 가족 형성의 중요성’이며, 대가족의 구성원들 밖으로는 ‘건강가정 구성요소’의 개념들이 둘러싸고 있는 형태를 보이기도 한다. 사진 속의 가족들은 주로 조부모부터 손자녀에 이르기까지의 대가족 유형을 보이고 있고, 주제의 내용에 맞게 바람직하고 행복한 얼굴의 표정들을 하고 있다. ‘건강한 가정’의 사진은 건강 가정의 모든 구성요소들과 함께 온전하고 이상적인 가족의 모습을 보여주고자 하고 있다. 그러나 우려되는 점은 우리 사회에서 볼 수 있는 가정의 모습들과 청소년들의 실제 가정의 상황은 ‘건강가정 구성요소’의 모든 부분들을 다 충족하지 못하고 있는 가족들이 많이 존재하는데, ‘건강가정 구성요소’의 많은 요소들이 결여되어 있거나 부족한 수준에 있는 가정에 속한 청소년들에게는 이러한 종류의 사진이 오히려 ‘소외감’을 유발시킬 수 있고, ‘가족의 문제’ 상황을 부끄럽게 은폐할 수밖에 없는 심리적인 작용을 유도할 가능성도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이 외의 사진, 삽화에는 아버지를 포함한 가족 구성원 전체가 가사 노동을 협력하여 분담하고 있는 그림이나, 남편이 아내와 함께 집안일을 하고 있는 양성평등한 부부의 모습과 아빠가 아이를 안고 있거나 함께 시간을 보내면서 자녀를 양육하는 일에 참여하는 모습을 담은 양성평등한 가족의 모습 사진이 있으며, 피임방법과 특징에 관한 사진이 있다. 피임방법과 특징에 관한 사진은 거의 모든 한국 ‘기술·가정’ 교과서의 가정과 교육 내용에 수록된 공통적인 자료였으며, 임신의 성립과 태아발달에 관한 삽화들이 대표적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이 삽화들은 미국 가정과 교과서 내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한국 가정과 교과서만의 특징적인 자료에 해당한다.
한국 가정과 교과서에 제시된 사진, 삽화들은 대부분 정보제시의 기능을 잘 수행하고 있었고, 양성평등과 역할 분담, 세대간의 조화와 같은 계몽적인 분위기를 잘 전달하고 있으며, 주로 바람직한 가족 구성원들의 모습들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가족의 다양성을 인정하는 측면에 있어서는 조금 빈약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미국의 가정과 교과서에서는 ‘십대 임신’에 관련한 사진이 등장하고 있는데, ‘십대 부모됨’으로 인한 십대의 ‘삶의 변화’가 얼마나 큰 것인지 생각해 보는 것은 매우 중요한 것이라고 하면서 그림의 내용 주제에 대한 문제 제기를 하면서 제시되어 있다. 이는 한국가정과 교과서에서는 거의 수록되지 않은 사진에 해당한다.
‘사랑과 성’의 내용 단원 안에서 자연스럽게 볼 수 있는 사진들은 이성 간의 ‘데이팅(dating)’의 모습이 있는 사진들이 있는데, ‘그룹 데이팅’을 하는 사진, ‘서로 호감을 보이고 있는 남녀’의 모습에 대한 사진들은 ‘사랑과 반함’에 대한 차이를 서술하거나 ‘사랑의 책임성’에 관한 서술을 전개할 때 흔히 볼 수 있는 사진들이 등장하고 있다.
이 외에도 미국 가정과 교과서에서는 인종과 문화 차이를 넘어서는 모습으로 나타나는 다양한 부부들의 사진들이 있으며, ‘형제자매 관계(sibling relationships)’와 ‘형제자매 간 경쟁(sibling rivalry)’의 주제에 관한 이야기도 미국 가정과 교과서에서 사진과 병행하여 그 내용이 공통적으로 수록되어 있다. ‘형제자매 관계’에 관한 주제는 종종 새로 구성된 ‘위탁 가정(foster family),’ ‘의붓 가족(step family),’ ‘입양 가족(adoptive family)’의 형성에 있어서 자녀의 입장에서 적응이 필요한 중요한 문제이므로 이 소재를 다루고 있는데, 대체적으로 제시된 사진들의 모습에서는 우애가 좋은 ‘형제자매’ 관계의 모습이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가족관계 안에서의 가족 구성원 간의 관계는 가족의 개인과 개인이 교류하면서 이루어지는 애정과 헌신, 감사의 측면에 대한 이야기를 다루거나 대화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자연스러운 관계 등을 언급하고 있다.
‘가족 구성원 간의 관계’를 다루는 내용을 보충하는 사진의 제시는 건강가정 구성요소에서의 ‘가정문화’ 영역 중 ‘건강한 가정생활 문화의 유지 및 창조’의 요소를 부각시켜 주는 좋은 자료라고 평가할 수 있다. 가족 구성원 간의 관계를 나타내주는 사진들은 ‘가족 관계’ 영역 중에서 ‘열린 대화,’ ‘휴식과 여가 공유,’ 그리고 ‘가정 역할’ 영역 중에서 ‘자녀의 성장발달 지원,’ ‘가족 역할 공유’와 같은 요소에 관하여 중요성을 실어주는 효과적인 자료가 될 수 있으므로, 한국 가정과 교과서에서도 ‘아버지와 청소년기 딸과의 관계,’ ‘시어머니와 며느리 관계,’ ‘다문화 며느리와 시부모님과의 관계,’ ‘재혼부모와 청소년기 자녀와의 관계’ 등과 같은 독창적인 소재를 ‘가족’ 관련 교육내용에서 응용할 수 있고 이에 관한 서술 내용 개발과 병행하여 풍부하고 다양하게 제시될 수 있는 가능성을 고려해 볼 수 있다.
미국 가정과 교과서에 제시된 다양한 가족들의 모습의 사진들에서 나타나는 가족 유형에는 ‘1인 가구,’ 부모와 자녀들로 구성된 ‘핵가족,’ 조부모부터 손자녀에 이르기까지 함께하는 ‘확대 가족,’ 엄마와 아기로 구성된 ‘한부모 가족’들의 모습이 제시되고 있는데, 이들은 다양한 인종으로 이루어진 가족 구성원들의 모습으로서 자연스럽게 등장하고 있는 것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교과 내용의 사진 구성을 통하여 볼 때, 미국의 가정과 교과서에서는 무엇보다도 ‘가족의 다양성’을 먼저 인정하면서 내용을 전개 하려고 하는 교육적 의도가 잘 드러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다양한 ‘가족의 유형’을 보여주는 보충 자료로서 건강가정 구성요소의 ‘사회와의 관계’ 영역에서 ‘다양성의 수용’에 관한 의미를 포함하고 있는 개념인 ‘건강한 시민의식’의 중요성을 부각시켜 주고 있다. 한국의 기술·가정과 교과서의 가정과 교육 내용 영역에서나 ‘가정 과학’ 교과서에서도 ‘한부모 가족,’ ‘무자녀 가족,’ ‘다문화 가족’의 사진들이 간혹 등장하기도 하는데, 대부분의 경우 사진 제시가 없이 해당 내용을 서술하고 있거나 교과서의 중앙에서 큰 사이즈로 제시되어 있는 사진들이 아니었다. 이것은 직접적으로 표현하고 있지는 않지만 자칫하면 어떠한 ‘가족의 유형’에 대하여서는 드러내어 언급하는 것을 꺼리거나 사양하고 있는 분위기를 만들 수 있다. 한국 청소년들이 가정과 교과서의 내용을 통하여서 ‘가족의 다양성’을 인정하고 이에 대한 자연스러운 관점을 가질 수 있도록 현재의 수준보다 ‘가족의 유형’에 해당하는 사진 제시의 빈도수를 더욱 늘리고 ‘가족’에 관한 다양한 형태의 내용을 효과적으로 보충할 수 있도록 한국 가정과 교과서에서도 사진 수록에 관한 세심한 연구가 필요하다.
한편, 미국 가정과 교과서에서는 실직, 이혼, 재난, 사망, 각종 가족문제를 고민하는 가족원의 모습들이 자연스럽게 잘 제시되고 있었는데, 주로 가족이 당면할 수 있는 다양한 환경 변화를 보여주고, 가족 문제의 심각성을 느끼고 이를 걱정하는 가족원의 모습들이 담긴 사진들이 있으며, 질병에 걸린 태아의 사진을 수록하여 십대 임신에 관한 경고를 전달하는 등이 중심을 이루고 있었다. 그러나 임신과 출산에 관한 정보제시의 기능 측면에 있어서는 한국의 사진·삽화들에 비하여 부족한 면을 보이고 있었다.
3. 건강가정 관점에서의 가족 관련 단원의 활동과제 분석
교육내용 전달에 있어서 활동과제 내용 분석에 대한 분석은 건강가정의 구성요소[5]를 분석기준으로서 사용하고, 분석에 포함되는 활동과제의 내용은 건강가정 관점에서, 가족 관련의 내용에 제시된 활동과제만을 포함시키도록 하였다. 활동과제의 문항 추출의 과정에서 개인의 생애 주기에서의 발달 과업 즉, 아동기, 태아기의 신체 발달을 서술한 부분, 노년기에 해당하는 단원은 미국 가정과 교과서에서는 별도의 분리된 단원으로 다루므로 이를 제외하였다. 그리고 임신과 출산의 과정에서 신체적 변화 과정과 피임 방법 등의 주제를 다루는 영역도 미국 가정과 교과에서 자세하게 다루는 영역이 아니므로 제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주로 가족계획 시 고려 사항, 부모됨의 의의, 부모 역할 등의 내용이 서술된 부분에 대하여 초점을 두고 분석하였다. 또한 중단원과 대단원을 끝내면서 개념의 정리와 확인 차원의 문제들을 제시하고 있는 ‘스스로 정리하기,’ ‘대단원 마무리’와 같은 부분들은 제외하였다.
한·미 고등학교 가정과 교과서에서 가족 관련 내용에 해당하는 활동과제의 분석에 있어서 먼저 한국의 사례를 살펴보면, 사랑의 삼각형 검사, 작은 결혼식 계획하기, 또는 건강한 명절 문화 만들기, 가족의 건강성 평가, 양성평등한 가족 문화 형성 방안과 저출산 극복하기 위한 활동 등이 있었으며, 미국의 가정과 교과서에서는 가족 문제와 가족 변화의 상황에서 적합한 처신과 대안 모색하기, 데이팅 비용 계산, 자녀 양육비용 계산, 자녀에 관한 경제적인 지원 안내, 경제적으로 준비되지 않은 부모됨에 대한 사회적인 예방책 생각하기, 십대 임신으로 인한 태아의 질병 조사, 십대 부모됨 방지에 관한 활동, 아동학대와 아동 유해물 방지에 관한 조사, 일과 가정의 조화를 위한 역할분담 생각하기 등과 같은 다양한 활동과제들이 제시되고 있었다.
양국의 활동과제를 살펴본 결과, 한국은 양성평등과 건강가정문화를 구현하고자 유도하는 문제가 잘 제시되고 있으나, 이미 설정해진 바람직한 답안을 다시 한 번 상기해 보는 느낌을 줄 수도 있는 문제들도 많았다. 미국의 경우는, 경제적인 측면을 강조하여 실제 가족생활에서 당면하는 비용을 계산하는 문제, 재정난과 같은 가족 위기를 극복하는 방안 모색하기와 같은 활동과제들을 자주 찾아 볼 수 있었고, 일과 가정의 조화와 관련된 역할분담의 문제들, 가족 관계에서의 처신과 역할 생각하기, 준비되지 않은 임신과 부모됨을 예방하려는 활동과 같이, 실용성을 중요시하고 가족의 다양한 문제와 상황에 적합한 대안을 모색해 보는 과정을 중시하는 활동과제들이 빈번히 등장하고 있었다.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청소년들에게 미래와 현재에 있어서 건강한 결혼과 가족에 대한 가치관 형성을 할 수 있도록 돕는 교육적 역할을 하고자 한국과 미국의 가정과 교과서의 결혼과 가족에 해당하는 영역을 비교 분석하고 개선점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의 분석기준으로서 Cho 등[5]이 제시한 건강가정 관점의 구성요소들을 분석 기준으로 선정하여 전체 내용을 해석하고 비교하였다.
양국의 가정과 교과서를 분석하여 본 결과, 한국의 가정과 교과서는 특별히 민주적이고 양성평등한 가족관계, 건강한 가정생활 문화의 유지 및 창조, 합리적인 자원관리, 자녀의 성장발달 지원의 요소를 만족시켜 주는 내용을 강조하고 있고, 미국의 가정과 교과서는 건강가정 구성요소의 가정의 경제적 안정, 안정적인 의식주 생활, 열린 대화, 자녀의 성장발달 지원, 합리적인 자원관리, 가족 역할 공유, 건강한 시민의식, 일과 가정의 조화와 같은 요소들이 중심을 이루고 있었다.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청소년들에게 건강가정 관점에서의 가족에 관한 가치관의 형성을 돕기 위한 가정과 교육 내용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첫째, 결혼과 가족이라는 가정과 교육내용의 주제가 한국 청소년들에게 현재적인 생활면에 있어서 활용할 수 있는 실용적인 지침서 역할을 해야 하고, 미래의 가치관 형성에 있어서도 중요한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자료로서 교육적 필요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가정과 교과서에서는 이 주제와 관련하여 이론이나 원리를 중심으로 내용을 이해시키고 학습시키고자 하는 경향성이 있었으며, 특히 사랑과 성의 영역과 부모됨과 자녀양육 영역에 해당하는 부분들의 내용 구성은 청소년들보다는, 오히려 앞으로 결혼을 앞두거나 부모됨의 준비가 되어 있는 부부들에게 더 유용한 정보와 내용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 부분에 대하여서는 십대 임신 또는 십대 부모됨과 같은 예처럼 청소년이라는 대상에 초점을 맞추고, 청소년이 노출되어 있는 문제와 관련된 주제를 선정하여 내용을 구성할 것을 제안한다.
둘째, 오늘날 우리나라의 가족들은 다양한 유형과 함께 다양한 문제들을 접하며 생활하고 있다. 이혼으로 인한 한부모 가족 또는 재혼 가족, 다문화 가족, 1인 가구, 장애인 가족 등의 가족의 유형들을 흔히 볼 수 있고, 파산이나 실직, 재정난, 재난, 사망 등의 위기들은 원하지 않는 상황들이지만 어느 가족에게나 일어날 수 있는 비상상황들이다. 또한 가정이 직면한 이러한 어려움 가운데 많은 청소년들이 살고 있을 수 있을 가능성을 늘 염두에 두어야 한다. 그러므로 가족의 다양성을 수용하는 보다 적극적인 관점을 가지고, 청소년이 가족생활에서 당면하는 문제들에 대하여 궁극적인 해결을 돕고자 하는 견지에서 교과서 집필의 방향성을 철저하게 잡아야 한다.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가족의 다양성과 문제에 해당하는 내용의 서술 분량을 현재의 수준보다 더 늘려 주고, 사례를 활용하여 자세하게 다루어 주어야 하며, 청소년에게 유익한 정보들을 소개해 주고 활동하는 과정을 통해 실질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 가정과 교육 내용이 되도록 개선이 필요하다.
셋째, 청소년들은 가족의 유형이나 가족 내의 환경 변화에 따라서 또는 다른 가족 구성원의 신체적, 문화적, 연령적 차이 등에서 오는 영향에 의해서 특별한 고민을 하게 되는 상황에 놓일 수 있다. 예를 들자면, 각종 학대나 폭력, 관계의 어려움, 장애, 단절 등의 경험을 일시적이거나 지속적으로 또는 순환적으로 경험할 수 있다. 이러한 가족 내에서 벌어지는 고민스러운 상황들은 때로는 외부적으로 표출시키기 어려운 여지가 있을 수 있다. 한국 가정과 교과서에서는 세대 간의 조화와 같은 말에서도 알 수 있듯이, 가족 공동체의 질서를 중시하는 우리나라 고유의 가족 전통을 유지하고자 하는 바람직한 의도가 엿보인다. 그러나 이러한 의도와는 다르게 자칫하면 개개인의 가족 구성원들이 각자의 입장에서 겪고 있는 어려운 상황에 대하여 비교적 소홀하게 다루어질 수 있는 여지가 있다. 청소년을 교육 대상으로 하는 가정과 교육의 내용은, 청소년을 가족에 속한 한 개인의 입장에서 바라보면서 가족 내에서 느끼는 다양한 고민들에 대하여 깊은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적합한 정보 제공을 위해 열린 대화의 창구를 찾고, 궁극적으로는 고민하는 문제의 해결과 극복을 경험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어야 한다. 이러한 이유에서 한국 가정과 교과서에서 흔히 발견할 수 있는 경향성인, 바람직하고 이상적인 정답을 미리 제시해 주고 유도하는 서술 방식을 사용하기 보다는, 사진이나 사례와 같은 보충자료의 효과를 통해서 수업 후에라도 가족 안에서 겪는 불편한 이야기들을 자연스럽게 꺼내어 놓고 함께 의논하며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줄 수 있도록 보충자료의 표현방법에 개선이 필요함을 제언한다.
아울러, 현대 사회의 가족은 맞벌이 부부와 같은 경제 활동의 주체들을 꾸준히 양산해 내고 있으므로, 가족원의 역할 갈등의 문제들을 해결하고 역할 공유를 사고할 수 있도록, 한국 고등학교 가정과 교육 내용에서도 이에 관한 내용을 비중 있게 구성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한다.
넷째, 미국 가정과 교과서에서는 데이팅 비용에 관한 계획, 자녀 양육비용 등에 관한 계산, 실직이나 재정난과 같은 위기 극복의 전략을 논의하는 경제적 측면의 중요성을 강조한 활동과제들이 빈번하게 제시되고 있었다. 이러한 활동은 건강가정 구성요소에서 기본 토대의 영역인 가정의 경제적 안정과 안정적인 의식주생활의 구성요소, 가정 역할의 합리적인 자원관리의 요소를 매우 중요시하여 의도적으로 다루는 독특한 활동에 해당한다.
가정에 속한 구성원인 청소년은 이와 같은 활동을 통해 가정의 경제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가족 구성원에 대하여 감사한 마음과 함께 가족의 모든 변화와 운영에는 경제적인 부분이 중요한 기본 토대이며, 많은 경우 결혼과 가족에 관한 계획과 활동에 있어서 경제적인 면의 책임성이 수반됨을 간접적으로 느낄 수 있을 것이다. 한국의 가정과 교과서의 결혼과 가족에 관한 내용에서도 경제적인 측면의 중요성을 부각하여 이와 같이 비용의 문제와 연계된 학습활동과 관련된 내용을 더 첨가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현대의 가족은 맞벌이 부부와 같은 경제 활동의 주체들을 꾸준히 양산해 내고 있는데, 경제활동을 하고 있는 가족원은 역할 갈등의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도록 역할 공유가 매우 필요하다. 이러한 사회적인 흐름과도 부합되도록 청소년의 고등학교 가정과 교육내용에서도 일과 가정의 조화에 대한 내용을 비중 있게 구성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한다.
다섯째, 한국의 가정과 교육을 위한 교과서에는 선택 교육과정의 일반 교과인 기술·가정 교과서와 선택 교육과정의 심화 교과인 가정 과학 교과서가 있다. 그러나 가족과 관련된 교육내용은 청소년이 속한 가정과 관련하여 현재뿐만이 아니라 미래에도 관련이 되는 사안을 다루는 실천적인 내용이므로, 기술·가정 교과서에서 전개되는 가족에 관련된 내용과 가정 과학 교과서에 수록된 가정 문제나 가정 복지와 같은 주제의 내용들은 일반과정이 되거나 심화과정으로 따로 분리될 만한 성격의 내용이 아님을 제언한다. 수업 시수에 관한 문제들을 해결할 수 없다면, 가정 과학에서 다루고 있는 가정 문제나 가정 복지에 관한 내용들은 일반 교과인 기술·가정 교과에서도 반드시 다루어 주어야할 필요가 있다. 그 내용면에 있어서는 위에서 논의한 개선 사항들을 토대로, 현재의 가정 과학의 구성에서 보여지는 것보다 사진과 사례와 같은 보충 자료들이 더 첨가되고, 보완되어 수업 시간을 통해 청소년들의 흥미를 이끌고 도움을 줄 수 있는 교육매체로 거듭나도록 과감한 교과서의 개선 작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Cho 등[5]의 건강가정 관점의 구성요소를 활용하여 교과서 내용분석을 하였다. 그러나 학자별로, 나라별로 각각의 건강 가정에 대한 구성요소의 개념들은 유사하기도 하지만, 조금씩 다르고, 또한 전혀 다른 요소들을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에서 활용한 분석틀이 유일한 기준이라고 보기는 어려우며, 다른 분석틀을 사용하였을 때 다른 결과가 나올 수도 있다. 또한 분석 영역의 범위에는 의생활 영역, 식생활 영역, 주생활 영역, 아동학 영역, 소비자 영역에 관한 부분이 포함되지 않았으므로 본 연구에서 사용한 건강가정 관점의 요소를 분석기준으로 살펴보았을 때, 어떠한 부분이 미흡하다고 단언하여 해석할 수 없는 한계점을 가진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가족에 관한 한·미 가정과 교과의 내용을 건강가정 관점에서 질적인 분석 방법으로 그 해석과 비교를 수행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후속연구로는 분석 과정에 있어서 좀 더 세분화된 분석 기준과 분석 영역의 분류와 함께 양적인 분석도 요구된다. 또한 위와 같은 제안 사항으로 개선하여 만든 수업 모형을 샘플로 개발하고, 실질적으로 학습 과정을 모니터링을 하여 관찰함과 동시에 개별적인 학생 면접을 실시하여 학습 효과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고, 수업의 효과를 실질적으로 검증해 보는 작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Notes
The authors declared that they had no conflicts of interest with respect to their authorship or the publication of this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