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일보육계획안에 따른 일과유형 분류 및 일과유형별 보육프로그램의 특성

Analysis on Daily Routine Types Based on Daily Care Plans of Child Care Centers and the Characteristics of Child Care Programs According to Daily Routine Types

Article information

Hum. Ecol. Res. 2013;51(1):45-57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13 February 28
doi : https://doi.org/10.6115/khea.2013.51.1.045
박찬화1, 나종혜,2, 권연희3, 최목화2
1Kids-Sure Puruni Child Care Center
2Department of Child Development & Guidance, Hannam University
3Department fo Early Childhood Education, Pukyong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 Jong Hay Rha   Department of Child Development & Guidance, Hannam University, 133 Ojeong-dong, Daedeok-gu, Daejeon, 306-791, Korea   Tel: +82-42-629-7893, Fax: +82-42-629-7437, E-mail: jhrha@hnu.ac.kr
이 논문은 2011년도 정부(교육과학기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o. 2011-0027564).
본 논문은 2012년 대한가정학회 제 65차 추계학술대회 포스터발표 논문임.
Received 2012 September 19; Revised 2012 November 9; Accepted 2012 December 6.

Trans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the types of daily routines in child care centers based on the time planned for indoor free choice activities, outdoor activities, group activities and nap/rest. The daily routine plans of 63 classes of 0 to 2-yearolds and 51 classes of 3 to 5-year-olds were cluster analyzed. Also, openness and closeness of child care programs as well as the most participated indoor/outdoor activities were examined using questionnaires developed for teacher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s planned the most time for free play choice activity and comparatively less time for outdoor play during the day. Time for rest and naps were planned more for 0-2 year-olds whereas group activities were planned more for the 3-5 year-olds. Second, 3 daily routine types were found in the daily plans of child care centers, such as “Low-Activity Oriented,” “Free Choice Activity Oriented” and “Group Activity Oriented” in 0 to 2-year-old classes and 3 to 5-year-old classes. Also, “Group Activity Oriented” type in 0 to 2-year-old classes showed more “closed” child care programs than the “Free Choice Activity Oriented” type. However, no difference was shown among the 3 types of daily routines in the openness and closeness of 3 to 5-year-old child care programs. Finally, all children, regardless of the types of daily routine, participated most in block activity and role play indoors and fixed-play equipment, sand play and free play outdoors.

Ⅰ. 서 론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영유아의 ‘일상’은 하루일과로 대변된다. ‘일상’이란 날마다 반복되는 생활, 일을 의미하는 것으로[23] 삶을 영위하는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형태이고 환경에 적응하여 영위하는 생활을 말한다(p. 11)[14]. 어린이집 재원 영유아의 하루일과는 여러 종류의 활동들로 구성되며 이러한 활동을 통해 기본생활 습관과 사회적 기술을 익히고 문제해결력을 기를 수 있다. Lee는 어린이집에서의 하루일과는 영유아의 발달특성을 고려하여 보육목표가 반영된 활동으로 구성된다고 하였다(pp. 12-14)[14]. 즉, 다양한 흥미영역에서 개별 및 집단활동을 통해 생활주제와 관련된 경험을 하는 하루일과를 통해 어린이집의 보육과정이 실현된다고 볼 수 있다.

현재 대부분의 국내 어린이집에서는 국가수준의 표준보육과정을 중심으로 보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표준보육과정은 어린이집에서 영유아가 경험해야 하는 지식, 기술, 태도, 가치 등의 수준별 내용을 제시할 뿐 이를 보육현장에서 풀어내는 구체적인 방법은 각 어린이집의 보육계획 및 운영을 통해 다양하게 구현된다. 따라서 각각의 어린이집은 표준보육과정에 기초하여 각 어린이집의 상황에 맞게 연간, 월간, 주간, 일일 보육계획을 세우고 이를 체계적이며 일관성 있게 진행함으로써 보육과정을 실현한다. 이 중 특히 일일보육계획에 따른 하루일과의 운영은 어린이집 생활의 핵심이며 일상적 경험을 바탕으로 자신과 주변세계를 이해하는 기본 틀을 형성하여 영유아에게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pp. 1-2)[14].

국가에서 제시하는 어린이집의 일반적 일일보육계획에는 등원, 실내자유선택활동, 정리정돈 및 전이활동, 대·소집단 활동, 실외활동, 점심 및 낮잠, 화장실 다녀오기, 오후 간식 및 실내외 자유활동, 귀가준비 및 순차귀가(통합보육) 등이 포함된다(p. 13)[17], (pp. 1-3)[18]. 이를 바탕으로 실제 보육현장에서는 영유아의 연령, 프로그램의 유형, 지역 및 설립 유형, 교사의 교수신념, 학부모의 요구 등에 따라 각 어린이집에 맞게 일일보육을 계획, 운영하고 있다. 특히 한 어린이집 내에서도 보육실 상황에 따라서 일일보육을 구성하는 활동들의 시간과 순서가 조금씩 다르게 진행될 수 있다. 즉, 일일보육계획은 어린이집에서 추구하는 보육과정을 현실적으로 실현하는 매개체인 동시에 연간이나 월간, 주간 보육계획에 비해 일과운영의 융통성을 가장 많이 내재하고 있어 이를 계획하고 운영하는 교사의 신념을 현실화한다고 볼 수 있다.

하루일과 계획은 영유아의 연령에 따라 다르게 계획되는데, 그 이유는 하루 일과 중 특히 대·소집단활동을 지도할 때 유아의 연령과 능력을 고려하여 활동수준, 교수매체 수준, 교구 및 교재 수준, 교사의 발문 수준이 달라져야 하기 때문이다(pp. 2-35)[9]. 그리고 연령에 따라 유아가 보이는 놀이유형, 유아간의 상호작용, 교사-유아 관계의 질과 흥미 영역의 선호도가 다르게 나타나므로[13], (pp. 77-84)[20]보육교사는 일과를 계획할 때 이러한 점들을 반영해야 한다.

보육교사가 계획하는 어린이집의 하루일과는 크게 개방적이거나 폐쇄적인 특성이 나타날 수 있는데“개방적”인 보육프로그램에서는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이 가능한 열린 교재와 교구가 있고 교사에 의해 계획되고 준비된 활동보다는 유아가 활동을 선택하도록 유도한다(p. 176 )[7]. 또한 개방성이 높은 일과는 영유아들이 자신이 선택한 놀이에 몰입하도록 충분한 시간을 허용하고 교사주도적 집단활동이나 지시사항은 짧게 진행하며 실내외에서 아동주도적 자유선택활동을 많이 하게 한다(p. 197)[7]. 반대로 “폐쇄적” 특성을 갖는 일과는 교사주도형 활동이 많았다[12].

지금까지 진행된 어린이집의 일과운영에 관한 연구들은 하루 일과 중 자유선택활동이나[22], 전이활동을 살펴본 것과[10] 유아가 경험한 하루일과를 유아교육기관의 특성에 따라 분석한 연구가 있다[14, 27]. 그리고 주간보육계획안과 일일 보육계획안을 바탕으로 영아반 보육프로그램의 유형을 ‘자유선택활동 위주 프로그램’과 ‘집단활동 위주 프로그램’으로 나눈 연구에서는 대상 어린이집이 D지역에 제한되고 영아반에 국한되어[3] 좀 더 포괄적인 사례를 대상으로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와 같이 선행연구들은 주로 물리적인 환경이나 설립유형에 따라 보육 프로그램의 특성을 살펴보았을 뿐 보육계획안과 같은 구체적인 보육의 과정을 분석하고자 시도한 연구는 드물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국범위로 어린이집에서 하루일과가 구체적으로 어떻게 운영되는지 일일보육계획안을 통해 분석하고 일과운영 유형에 따라 “개방성 대 폐쇄성”으로 표출되는 보육 프로그램의 특성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알아봄으로써 일과운영을 통한 보육철학의 실현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일과운영 유형에 따른 영유아의 실내자유선택활동과 실외활동 참여도의 차이를 알아봄으로써 일과 운영이 영유아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간접적으로 파악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 하에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어린이집 영아반과 유아반의 하루일과유형은 어떻게 분류되는가?

2. 어린이집 영아반과 유아반의 일과유형에 따라 보육프로그램의 특성은 차이가 있는가?

3. 어린이집의 영아반과 유아반의 일과유형에 따라 영유아가 많이 하는 실내활동과 실외활동은 차이가 있는가?

Ⅱ. 이론적 배경

1. 어린이집 하루일과 중 주요 활동

어린이집의 하루일과 중 장시간에 걸쳐 지속되는 주요 활동으로는 실내자유선택활동, 실외활동, 대·소집단활동, 낮잠 및 휴식시간 등을 들 수 있다. 먼저 실내자유선택활동은 일반적으로 유아가 개별적 흥미, 욕구 및 발달 수준에 따라 스스로 선택한 놀이활동에 자유롭게 참여하는 시간을 의미하며(p. 124)[16], 영아반 일과운영에서는 실내놀이로(p. 19)[17], 유아반 일과운영에서는 실내자유선택활동으로 불리어져(p. 16)[18], 실내놀이와 실내자유선택활동은 같은 의미로 쓰이고 있다. 자유선택활동시간은 교사와 유아가 상호작용할 수 있는 맥락과 상황을 제공하는 하나의 장이다[6]. 그래서 하루일과 중 유아들이 가장 자기주도적으로 활동을 이끌어가면서 또래 간에 활발히 상호작용을 하고 동시에 교사와의 상호작용에도 적극적으로 몰입하는 시간이다[11]. 이에 평가인증지표의 보육과정 영역에서 자유선택활동시간을 매일 2시간 30분 이상 실시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p. 133)[19].

실내에서 진행되는 집단 활동은 모두가 동시에 참여하는 이야기 나누기, 동화 들려주기, 노래 부르기, 신체표현 등이 있다. 집단 활동은 교사가 중심이 되어 동일한 활동이 동일한 속도로 진행되기 때문에 교사중심의 활동이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대·소집단의 인원구성, 하루에 모이는 횟수, 진행시간 등은 유아의 흥미, 발달 및 특성, 시기, 활동실의 상황을 고려하여 융통성 있게 진행된다(p. 19)[18].

한편, 실외활동은 실외에서 경험할 수 있는 놀이활동으로[14] 실외자유선택활동으로 불려 지기도 한다. 실외활동은 공간적 제약이 적어서 마음껏 뛰어놀 수 있으며(p. 57)[13] 새로운 개념과 기술을 습득하기 위한 학습의 장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실외활동은 실내자유선택활동과 동일한 교육적 의미가 있으며 오전과 오후에 실내자유선택활동과 교차로 배치되며 가능한 매일 실외활동을 해야 한다(p. 37)[27]. 평가인증지표에 의하면, 영유아의 심신의 건강을 위해 어린이집에서 장시간 생활하는 영아는 실외활동 시간을 매일 30분 이상, 유아는 1시간 이상씩 운영하도록 권장하고 있다(pp. 135-136)[19].

나아가 영유아의 생리적 요구를 반영하는 일상적 활동인 낮잠 및 휴식시간은 오전 활동으로 인해 쌓인 피로를 풀게하고 오후 보육활동에 활기차게 참여하게 하여 면역력을 높여주기 때문에 하루 일과 중에 꼭 필요한 시간으로 배정되어야 한다(p. 39)[26]. 특히 영아에게 낮잠은 휴식을 위한 시간으로 하루생활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므로 낮잠시간을 하나의 활동으로 계획해야 하며 낮잠 이외에도 영아의 발달과 상황에 맞게 개별적인 휴식 시간을 갖도록 배려해야 한다.

유아들은 일과 중 여러 활동에 참여하는데 Lee에 의하면 3~5세 유아들은 하루 일과 중 실내자유선택활동에 가장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다음으로 집단활동에 참여하며 실외활동과 특별활동에는 소극적으로 참여한다고 하였다 즉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 유아들은 실내자유선택활동에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있으며 흥미영역별로는 쌓기, 조형, 역할놀이 영역에서 많은 시간을 보낸 반면, 과학, 음률 영역에서는 거의 시간을 보내지 않았다. 실내자유선택활동에 비해 실외활동에 보내는 시간은 상대적으로 적으며 물·모래놀이와 종합놀이 기구에서 가장 많이 놀았다(pp. 53-58)[14].

2. 보육프로그램의 특성: 개방성과 폐쇄성

하루 일과의 주요활동이 영유아의 발달에 적합하게 운영되어야 하는 것처럼 교실의 보육환경 또한 유아의 발달적 특성을 고려하여 조성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개방적” 학습 환경에서는 개별화된 목표를 가진 활동에 학습자가 적극적 참여하도록 격려하고, 다양한 자료와 활동을 제공한다. 그리고 자기-조절과 자발적 의사결정, 개별 또는 소집단 작업이 이루어지며, 다양한 평가방법이 사용된다. 이러한 학습환경은 학습자의 개별화된 학습과정을 강조하며 학습자의 독립성, 자율성, 책임감을 발달시키고, 흥미를 촉진시키며 개인의 개별적, 사회적 성장에 필요한 중요한 태도를 발달시킨다. 이때 교사는 매우 적극적인 안내자의 역할 뿐 아니라 촉진자, 상담자, 자원, 충고자, 제공자, 협조자, 자극자의 역할을 하게 된다[25]. Horwitz는 교육프로그램에서 ‘개방성’을 융통적인 공간사용, 학습자 위주의 활동선택, 풍부한 학습자료, 교육과정 영역들의 통합과 대집단 위주의 강의보다는 개별적이거나 소집단 활동을 포함하는 교수양식으로 보았다[8]. Horwitz, Rentoul 외의 개방적 학습환경은 아동중심의 보육프로그램에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8, 25].

영유아를 위한 교재 및 교구에서 고려해야 할 점으로 Prescott는 개방적이고 폐쇄적인 교구와 경험들이 모두 유익한 점이 있다할지라도 유아들에게 성취감과 주도성을 길러주기 위해서는 개방적 교구와의 경험이 특히 중요하다고 하였다(p. 176)[24, quoted in 7]. Kown 외는 보육프로그램의 개방적 특성과 폐쇄적 특성을 보육교사의 교수신념유형과 연결하여 살펴보았다[12]. 교수신념을 아동주도형, 교사주도형, 혼합형과 방임형으로 나누고 교수신념 유형에 따른 보육프로그램의 특성이 차이 나는지 살펴본 결과, 교사주도형 보육교사 집단에서 보육프로그램의 개방성이 가장 낮았고 폐쇄성은 가장 높았으며 아동주도형 보육교사 집단에서는 개방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아동중심 교수에 더 높은 신념을 가진 교사는 유아가 자유롭게 흥미있는 활동을 선택하고 교사가 지원자의 역할을 하는 개방적 보육프로그램을 운영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보육교사는 일과계획 뿐 아니라 학습환경을 조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어린이집 영아반과 유아반의 일과유형을 분석하기 위해 임의로 선정된 33곳의 어린이집에서 연구의뢰에 동의한 영아반 63학급, 유아반 51학급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우선 일과유형 분류를 위해 각 어린이집에서 연령별로 한 학급씩 선정하여 해당 학급의 보육계획안을 분석하였다. 그런 다음 영아반 91개 학급과 유아반 57개 학급을 대상으로 일과유형에 따른 보육프로그램의 특성과 선호하는 실내·외 보육활동을 살펴보았다. 이 때 보육프로그램의 특성과 선호하는 실내·외 보육활동을 살펴본 학급 수가 일과유형 분석 대상 학급 수보다 증가한 이유는 일과유형 분석에 투입된 학급 외에 동일한 일일보육계획안을 사용하는 학급이 추가되었기 때문이다.

1) 조사대상 보육시설의 일반적 특성

본 연구는 2000년 이후 개원한 전국 어린이집 중 연구의뢰에 동의한 0~2세 영아반과 3~5세 유아반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 학급의 일반적 특징은 Table 1과 같다.

Characteristics of classes 0 to 2 years old and classes of 3 to 5 years old

조사대상 학급의 분포는 영아반의 경우 2세가 가장 많았으며(47.6%), 유아반의 경우는 비교적 고르게 분포되었다. 설립유형은 민간이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 직장, 국·공립 순서로 분포되었다. 조사대상 지역은 대전·충청지역이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은 부산·경상도, 서울·경기지역 순서로 나타났다.

2) 보육교사의 일반적 특성

1차적으로 일일보육계획안을 기초로 분류된 각 일과유형에 속하는 학급의 담당교사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조사내용은 교사의 인적 사항, 담당 학급의 보육프로그램과 실내·외 보육활동의 특성에 관한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보육교사들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Table 2와 같다.

Characteristics of childcare teachers

보육교사의 연령대는 26∼35세가 가장 많았으며 전문대와 4년제 대학 졸업이 비슷한 분포를 보였고, 교사경력은 1~5년 사이가 가장 많았다.

2. 연구도구

일과운영유형을 분석하기위하여 조사대상 어린이집에서 연령별 일일보육계획안을 입수하고 보육프로그램의 특성과 영유아가 많이 하는 활동을 알아보기 위하여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1) 연령별 일일보육계획안

대상 어린이집에서 수집한 일일 보육계획안에 제시되어있는 운영시간, 실제활동시간, 실내자유선택활동시간, 실외 활동시간, 대·소집단활동시간과 낮잠 및 휴식시간을 파악하였다. 운영시간은 등원에서부터 귀가까지의 시간을 말하여, 실제활동시간은 등원 이후 실내자유선택활동이 시작된 시간부터 귀가 준비 이전까지 시간을 의미한다. 실내자유선택활동시간은 오전과 오후에 실내에서 실시되는 자유선택활동시간을 합한 시간이며, 실외활동시간은 하루 중 실외에서 경험하는 놀이활동 시간을 말한다. 집단활동시간은 이야기 나누기, 음악활동, 율동 및 신체활동, 문학활동, 조형활동, 게임과 같은 활동을 학급 전체 유아들이 함께 하거나 소집단으로 하는 교사중심활동을 의미한다. 낮잠 및 휴식시간은 점심 식사 후에 일정시간 동안 계획된 시간으로 낮잠 및 휴식시간으로 표기된 시간을 말한다.

영아반과 유아반의 일과유형을 나누기 위해 실내자유선택활동, 실외활동, 대·소집단활동과 낮잠 및 휴식에 배정된 시간을 실제활동 시간으로 나누어 실제활동 시간 대비 실내자유선택활동, 실외활동, 대·소집단활동과 낮잠 및 휴식 시간의 비율을 계산하여 군집분석에 투입하였다. 실내자유선택활동, 실외활동, 대·소집단활동과 낮잠 및 휴식의 4가지 활동은 일과운영에서 주된 활동으로 볼 수 있는데 이는 일과 운영에서 영유아가 직접 활동에 참여하는 실내·외 자유선택활동과 같이 영유아 주도적 활동과 집단활동과 같이 교사 주도적 활동이 균형을 이루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이다(p. 197)[7]. 또한 낮잠과 휴식 시간은 보육시설에서 오랜 시간을 지내야 하는 유아들이 심리적 안정감을 느끼고 건강을 유지해야 하는 측면에서 하루 일과 중 필요한 보육활동으로 볼 수 있다(p. 39)[26].

2) 교사용 질문지

교사용 질문지는 보육교사에게 담당 학급의 보육프로그램의 특성과 영유아들이 많이 하는 실내·외 활동의 종류에 대한 질문으로 구성되었다.

(1) 보육프로그램의 특성

보육프로그램의 특성은 Moore의 ‘유아교육 차원 평정 척도(Early Childhood Dimension of Education Rating Scale)’를 Kwon 외가 번안하여 사용한 것을 확인적 요인분석을 하여 사용하였다. Kwon 외의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보육프로그램의 ‘개방성’ 7문항, ‘폐쇄성’ 6문항, 2가지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었으나[12, 21] 본 연구에서 확인적 요인분석을 한 결과, ‘개방성’ 1문항의 요인 부하량이 .40 미만이어서 제외시키고 ‘개방성’ 6문항과 ‘폐쇄성’ 6문항, 총 12문항이 측정되었다. 각 문항은 전혀 아님(1점)에서 매우 그러함(5점)까지 5점 Likert 척도로 이루어졌다. ‘개방성’ 요인으로는 ‘아동은 언제나 원하는 자료를 사용할 수 있다’, ‘교사의 역할은 리더가 아니라 지원자이다’, ‘보육실 내에서 아동은 자유롭게 이야기하고 이동할 수 있다’등과 같은 7문항, ‘폐쇄성’ 요인으로는 ‘교사는 대집단을 대상으로 앞에서 가르친다’, ‘동일한 연령의 아동은 동일한 방법으로 배운다’, ‘교사가 아동을 통제하기 위해 규칙을 만들어야 한다’ 등과 같은 6문항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 프로그램의 특성에 대한 신뢰도 계수(Cronbach α)는 ‘개방성’의 경우 영아반이 .72, 유아반이 .75였으며 ‘폐쇄성’은 영아반이 .62, 유아반이 .60이었다.

(2) 영유아가 많이 하는 실내활동과 실외활동

일과유형에 따라 영유아가 가장 많이 하는 실내활동의 종류를 살펴보기 위해 보육교사에게 13개의 실내활동(언어, 미술(조형), 과학, 역할놀이, 쌓기, 물놀이, 모래놀이, 목공놀이, 요리, 수·조작(탐색), 컴퓨터, 음률, 대근육활동)을 제시하고 그 중에서 영유아들이 가장 많이 하는 활동 3가지를 선택하도록 하였다.

일과유형에 따라 영유아가 가장 많이 하는 실외활동의 종류를 살펴보기 위해 보육교사에게 11개의 실외활동 중 가장 많이 하고 있는 실외활동 3가지를 선택하게 하였다. 제시된 실외활동은 고정된 놀이기구 및 시설물을 이용한 놀이, 이동 놀이기구를 이용한 놀이, 자유놀이(자유롭게 뛰어다니기 등), 모래놀이, 물놀이, 극놀이(시장놀이, 기차놀이, 소꿉놀이 등), 규칙이 있는 게임(술래잡기, 사방치기 등), 자연관찰 및 탐색, 정적활동, 체육활동(공놀이, 줄넘기, 달리기 등), 전통놀이(널뛰기, 재기차기 등) 등이었다.

3. 자료분석

수집된 자료는 SPSS 15.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측정변인별 가능한 점수의 범위와 평균 및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둘째, 위계적 군집분석을 통해 영아반과 유아반의 일과유형을 분석하였다. 셋째, 군집분석으로 도출된 일과유형에 따른 보육프로그램의 개방성과 폐쇄성의 차이를 보기 위해 일원변량분석과 사후검증으로 Scheffé 검증을 하였다. 넷째, 일과유형에 따라 영유아들이 가장 많이 하는 실내활동과 실외활동이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해 다중응답 분석을 하였다.

Ⅳ. 연구결과

1. 일일보육계획안에 나타난 주요활동의 시간 분포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대한 분석결과를 제시하기 전에 일과운영 상에 나타나는 주요활동 시간분포는 Table 3과 같다.

Score ranges,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of activity time in daily routine

학급별 실제활동 시간은 영아반이 459.73분이며 유아반이 446.47분으로 나타났다. 실내자유선택활동시간은 영아반 107.62분, 유아반 112.45분으로 유아반이 약간 많았으나, 오전과 오후를 합쳐서 하루 실내자유선택활동시간이 약 1시간 50분 전후임을 알 수 있다. 이는 평가인증지표에서(p. 133)[19] 권장하는 2시간 30분에는 훨씬 못 미친다. 더욱이 자유선택활동시간의 범위(영아반 0~240분: 유아반: 0~280분)에서 알 수 있듯이 실내자유선택활동이 전혀 계획되어 있지 않은 학급부터 4시간이 넘는 학급 등 차이가 매우 큰 것을 알 수 있다. 실외활동 시간은 유아반 48.73분, 영아반 36.51분으로 유아반은 평가인증지표에서(p. 135)[19] 권장하는 1시간보다는 적었으나 영아반은 평가인증지표의 권장시간인 30분 이상을(p. 136)[19] 충족시켰다. 실외활동 시간의 범위(0~120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전혀 계획하지 않는 학급부터 2시간정도를 계획하는 학급에 이르기 까지 학급에 따른 차이가 큰 것을 알 수 있다. 대·소집단활동시간은 유아반이 평균 75.00분, 영아반이 평균 30.95분으로 유아반이 영아반보다 약 2.4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낮잠 및 휴식시간은 영아반이 119.76분, 유아반이 46.18분으로 영아반이 유아반보다 약 2.6배 길게 계획되어 있었다.

2. 일과유형

1) 영아반의 일과유형

영아반의 일과 유형을 알아보고자 실제활동 시간 대비 자유선택활동시간, 실외활동시간과 대·소집단활동시간과 낮잠 및 휴식시간의 비율을 적용하여 위계적 군집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3가지 군집유형으로 분류되었다. 그리고 실내자유선택활동시간, 실외활동시간, 대소집단활동시간과 낮잠 및 휴식시간 비율을 평균이 0이고 표준편차가 1인 표준점수(Z점수)로 환산한 후 각 군집의 표준점수를 바탕으로 군집의 특성에 따라 군집 명을 부여하였다. 각 군집별 활동시간은 Table 4에, 활동시간 비율의 표준점수는 Table 5에 군집 프로파일은 Figure 1과 같다.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of main activity time according to clusters in 0 to 2-year-old classes (N = 63)

Standard scores of main activity time ratio according to clusters in 0 to 2-year-old classes (N = 63)

Figure 1.

Clusters of daily routine in 0 to 2-year-old classes.

먼저 실내자유선택활동은 군집 2에서 약 2시간 25분정도 실시되고 있어 평가인증지표에서(p. 133)[19] 권장하는 2시간 30분 이상에 근접하나 군집 1은 1/2에도 미치지 못하였고, 군집 3은 자유선택활동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실외활동은 군집 1과 군집 2 모두에서 30분 이상으로 평가인증지표(p. 136)[19]의 권장시간을 만족시키나 군집 3에서는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 대·소집단활동은 군집 3에서 과도하게 많이 이루어졌고 낮잠 및 휴식은 모든 군집에서 1시간 30분 이상이며 특히 군집 1에서 2시간 이상 실시되었다.

Table 5에 제시된 바와 같이 영아반의 군집별 특성을 표준점수로 비교하면 군집 1은 낮잠 및 휴식시간의 비율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은 실외활동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실내자유선택활동과 대·소집단활동은 평균보다 낮아 영유아의 심신의 안정에 중점을 두고 일과를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므로 ‘저활동형’으로 명명할 수 있다. 군집 2는 실내자유선택활동과 실외활동 시간 비율이 높은 반면 대·소집단 활동과 낮잠 및 휴식시간이 낮은 것으로 나타나 ‘자유선택활동 중심형’으로 명명할 수 있다. 군집 3은 집단활동 시간의 비율이 현저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실내자유선택활 동과 실외활동시간 비율이 현저하게 낮게 나타나 ‘집단활동 중심형’으로 명명할 수 있다.

영아반의 경우 세 가지 군집 유형 가운데 실내·외 개별활동 비율이 높은 ‘자유선택활동 중심형’(60.3%)이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은 낮잠 및 휴식과 같은 일상생활 중심의 보호와 양육에 비중을 두는 ‘저활동형’(28.6%)이 많았다. 그리고 집단 형태의 보육활동 비율이 높은 ‘집단활동 중심형’(11.1%)이 가장 적었다.

2) 유아반 일과유형

영아반과 같은 방법으로 유아반을 분석한 결과 영아반과 같이 3가지 군집유형으로 분류되었다. 각 군집별 활동의 평균시간과 표준점수는 Table 6Table 7에 제시되었고 군집 프로파일은 Figure 2와 같다.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of main activity time according to clusters in 3 to 5-year-old classes (N = 51)

Standard scores of main activity time ratio according to clusters in 3 to 5-year-old classes (N = 51)

Figure 2.

Clusters of daily routine in 3 to 5-year-old classes.

실내자유선택활동을 살펴보면 군집 2에서 약 3시간 이상 실시되고 있어 평가인증지표에서(p. 133)[19] 권장하는 시간보다 많았고, 군집 3은 군집 2의 1/2에도 미치지 못하였다. 실외활동은 모든 군집이 1시간 미만으로 평가인증지표에서(p. 135)[19] 권장하는 1시간 이상에 못 미쳤다. 대·소집단활동은 군집 3에서 과도하게 많이 이루어져 군집 1의 3배 이상, 군집 2의 2배 정도 많았다. 낮잠 및 휴식은 군집 1에서 약 1시간 28분으로 가장 많이 실시된 반면 군집 2에서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4세 이하 유아들에게 반드시 낮잠 시간을 마련해주어야 한다는 평가인증지표의 권장 사항과는 동떨어진 현상을 보였다.

유아반의 군집별 특성을 살펴보면 군집1은 낮잠 및 휴식 시간 비율이 현저하게 높았고, 그 다음 실외활동도 평균보다 높고 실내자유선택활동은 평균에 근접한 반면 집단활동은 평균보다 현저히 낮아 ‘저활동형’으로 명명할 수 있다. 군집 2는 실내자유선택활동시간 비율이 현저하게 높으며 실외활동은 평균보다 약간 높은 반면 낮잠 및 휴식시간과 집단활동은 평균보다 낮아 ‘자유선택활동 중심형’으로 명명할 수 있다. 군집 3은 실내자유선택활동, 실외활동과 낮잠 및 휴식시간 비율이 낮은 반면 집단활동 시간 비율은 현저하게 높아 ‘집단활동 중심형’으로 명명할 수 있다.

유아반의 경우 각 유형별 차이가 크지 않았으나 대·소집단활동을 위한 시간을 상대적으로 길게 계획하는 ‘집단활동 중심형’(41.2%)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저활동형’(31.4%)이, 낮잠이나 집단활동을 상대적으로 짧게 계획하고 실내자유선택 활동시간을 길게 계획하는 ‘자유선택활동 중심형’(27.4%)이 가장 적었다.

2. 일과유형에 따른 보육프로그램의 특성

1) 영아반 보육프로그램의 특성

영아반의 일과유형에 따라 보육프로그램의 특성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일원변량분석을 한 결과는 Table 8과 같다.

Characteristics of childcare program according to type of daily routine in 0 to 2-year-old classes

Table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보육프로그램의 개방성의 평균점수가 5점 척도 중 3.72점으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고 폐쇄성의 평균점수는 3.02점으로 개방성의 평균점수보다 낮았다. 일과유형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개방성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폐쇄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구체적으로 어떤 유형 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Scheffé 사후검증을 실시한 결과 ‘자유선택활동 중심형’보다 ‘집단활동 중심형’이 좀 더 폐쇄적인 특성을 보여주었다(F = 3.40, p < .05).

2) 유아반 보육프로그램의 특성

유아반의 일과유형에 따라 보육프로그램의 특성에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일원변량분석을 한 결과는 Table 9와 같다.

Characteristics of childcare program according to type of daily routine in 3 to 5-year-old classes

Table 9에 제시된 바와 같이 보육프로그램의 개방성의 평균점수가 5점 척도 중 3.66점으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고 폐쇄성의 평균점수는 3.19점으로 개방성의 평균점수보다 낮았으나 그 차이가 크지 않았다. 일과유형에 따른 차이는 개방성과 폐쇄성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3. 일과유형에 따른 실내·외활동

일과유형에 따라 가장 많이 실시되는 실내·외활동의 종류를 파악하기 위해 보육실과 실외 놀이터에서 가장 많이 하는 활동 3가지에 대해서 다중응답분석을 실시하였다.

1) 영아반의 실내·외 활동

영아반의 실내활동 중 가장 많이 실시하고 있는 활동은 Table 10에 제시된 바와 같이 쌓기, 역할놀이, 미술(조형), 수·조작(탐색), 언어, 요리, 과학과 음률활동 순으로 나타났다. 물놀이, 모래놀이, 목공놀이, 컴퓨터, 대근육활동은 빈도가 낮거나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Frequency (percentage) of the most participation in indoor activity areas according to type of daily routine in 0 to 2-year-old classes

일과유형에 따라 가장 많이 하는 실내활동은 세 유형 모두 쌓기와 역할놀이로 나타났다. 그러나 ‘저활동형’과 ‘자유선택활동 중심형’에서는 모든 영역에서 활동이 나타나고 있지만, ‘집단활동 중심형’에서는 요리, 과학, 음률 활동이 전혀 나타나지 않아 이런 영역이 활동영역으로 구분되어 있지 않거나 실내활동이 몇 개의 한정된 영역에서만 일어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한편 다른 유형과 비교하여 볼 때 미술(조형)과 언어활동은 ‘집단활동 중심형’에서 상대적으로 많이 일어나고 있었다.

한편, 영아반의 실외활동 중 가장 많이 하는 활동은 Table 11과 같이 고정된 놀이기구 및 시설물을 이용한 놀이, 자유놀이(자유롭게 뛰어 다니기), 모래놀이 및 이동놀이기구를 이용한 놀이, 정적활동(휴식, 산책, 이야기 나누기 등) 및 자연관찰 및 탐색, 극놀이, 체육활동 순으로 나타났다. 규칙이 있는 게임, 물놀이, 전통놀이는 빈도가 매우 낮거나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Frequency (percentage) of the most participation in outdoor activity areas according to type of daily routine in 0 to 2-year-old classes

일과유형에 따라 가장 많이 하는 실외활동은 세 유형 모두 고정된 놀이기구 및 시설물을 이용한 놀이와 자유놀이로 나타났다. 유형별로 살펴보면 ‘저활동형’의 영아들은 자연관찰 및 탐색을 다른 집단의 영아들보다 상대적으로 많이 하는 반면, 극놀이와 체육활동은 거의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활동중심형’ 영아들은 고정된 놀이기구 및 시설물을 이용한 놀이와 이동놀이기구를 이용한 활동, 체육활동을 다른 유형보다 상대적으로 많이 하였다. 그러나 자연관찰 및 탐색, 모래놀이는 상대적으로 적게 하였다. 한편 ‘자유선택 활동 중심형’ 영아들은 실외활동을 다른 유형에 비하여 다양하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유아반의 실내·외 활동

유아반의 실내활동 중 가장 많이 하는 활동은 Table 12에 제시된 바와 같이 역할놀이, 쌓기, 미술(조형), 언어, 수·조작, 모래놀이, 요리 및 음률 순으로 나타났다. 과학, 물놀이, 목공놀이, 컴퓨터, 대근육활동은 빈도가 낮거나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세 가지 유형 모두에서 쌓기와 역할놀이, 미술(조형)활동을 가장 많이 하였다. 한편, 세 유형 모두 모래놀이, 요리, 음률 활동은 매우 저조하였다. 이와 같이 많이 하는 실내활동은 세 유형에서 유사한 패턴을 보였으나 ‘저활동형’ 유아들은 수·조작 활동을 전혀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Frequency (percentage) of the most participation in indoor activity areas according to type of daily routine in 3 to 5-year-old classes

한편, 유아들이 많이 하는 실외활동을 살펴보면 Table 13에 제시된 바와 같이 고정된 놀이기구 및 시설물을 이용한 놀이, 자유놀이, 모래놀이, 이동놀이 기구를 이용한 활동, 정적활동, 자연관찰 및 탐색, 게임, 체육활동, 극놀이 순으로 나타났다.

Frequency (percentage) of the most participation in outdoor activity areas according to type of daily routine in 3 to 5-year-old classes

일과유형별로 유아들의 실외활동을 살펴보면 세 유형 모두 고정된 놀이기구 및 시설물을 이용한 놀이를 가장 많이 한 것으로 나타났다. ‘저활동형’은 다른 유형보다 이동놀이기구나 정적 활동을 상대적으로 많이 한 반면, ‘자유선택활동 중심형’은 자연관찰 및 탐색 활동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그리고 ‘집단활동 중심형’은 고정된 놀이기구 및 시설물을 이용한 놀이, 자유놀이(자유롭게 뛰어 다니기), 게임을 상대적으로 많이 하였고, 다른 유형과 다르게 극놀이는 전혀 하지 않았다.

Ⅴ.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어린이집의 하루일과가 구체적으로 어떻게 운영되는지 일일보육계획안을 통해 분석하고 이렇게 분석된 일과운영 유형에 따라 보육 프로그램의 특성과 영유아의 활동이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를 논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반과 유아반의 일일보육계획안을 각각 분석한 결과, 영아반과 유아반 모두 실제활동 시간의 23-25%를 실내자유선택활동시간에 할애하는 것으로 나타나 영아반과 유아반 모두 하루일과 중 자유선택활동을 가장 많이 계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소집단 활동 시간은 유아반이 실제활동 시간의 17%, 영아반이 7%로 유아반이 영아반보다 2배 이상 많았는데 이는 유아의 주의집중 시간이 길어지면서 대집단 활동에 참여할 수 있게 되는 발달적 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낮잠 및 휴식 시간은 영아반이 26%, 유아반이 10%로 영아반이 유아반보다 2배 이상 많았다. 이는 영유아기 발달적 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영아에게는 일상적 양육활동이 더 필요함을 시사한다. 그리고 실외활동으로 계획한 시간은 영아반 8%, 유아반은 11%로 다른 모든 활동에 비해 적었다. 이는 3세와 5세 유아들이 하루 중 34% 정도는 실내자유선택활동에 보내고 실외활동은 3.7%에 불과했다는 Lee의 연구와 비슷한 결과이다(p. 53)[14]. 어린이집의 실내자유선택활동은 영유아의 놀이욕구를 학습 및 발달과 연결시키는 활동이라는[16] 점에서 일일보육계획에서 실내자유선택활동 시간의 비율이 높은 것은 고무적이라 볼 수 있다. 반면 실외활동 시간의 비율이 낮은 것은 보육현장에서 실외놀이 경험을 충분히 제공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실외환경은 실내보다 자유롭고 복합적이며 창의적 놀이가 이루어 질 수 있고 실내에서 집중으로 생긴 긴장을 해소시켜 정서적 안정감을 준다는[4, 5] 측면에서 실외활동이 보다 강화된다면 바람직할 것이다.

둘째, 영아반과 유아반의 하루일과를 보육계획안에 나타난 주요활동 시간을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모두 3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즉 다른 활동에 비해 낮잠 및 휴식이 많이 이루어지는 ‘저활동형’, 실내자유선택활동과 실외활동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자유선택활동 중심형’과 집단활동 시간이 현저히 많은 ‘집단활동 중심형’의 3개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영아반의 일과유형은 ‘자유선택활동 중심형’이 가장많았고, 그다음이 ‘저활동형’, ‘집단활동중심형’의 순으로 나타났다. 유아반의 일과 유형은 ‘집단활동 중심형’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저활동형’, ‘자유선택활동 중심형’순으로 나타났다. 이렇듯 영아반과 유아반에서 일과유형이 다르게 나타난 것은 하루 일과에서 각각 연령별 발달적 특성이 반영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셋째, 일과유형에 따른 보육 프로그램의 개방성과 폐쇄성을 알아본 결과, 영아반의 경우 일과유형의 따른 보육 프로그램의 개방성은 차이가 없었으나 ‘집단활동 중심형’일과를 계획하는 교사가 ‘자유선택활동 중심형’일과를 계획하는 교사보다 폐쇄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집단활동을 많이 계획하는 교사들이 자유선택활동을 많이 계획하는 교사들보다 영아를 통제하기 위해 규칙을 만들거나, 정해진 공간에서만 활동을 하도록 하려는 경향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어린이집 보육교사들을 대상으로 교수신념을 조사한 Kown 외의 연구에서 기본학습/집단중심 교수양식 신념이 높은 교사주도형 보육신념을 가진 교사집단이 혼합형, 아동 주도형, 방임형 집단에 비해 보육프로그램의 개방성이 가장 낮고 폐쇄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12] 이는 본 연구의 결과와 부분적으로 맥을 같이 한다. 영아기의 특성은 신체 움직임에 대한 요구, 끝없는 호기심, 짧은 주의집중 시간, 자율성과 강한 개인의지로 대변되므로(p. 143)[7] 영아반의 보육프로그램은 이러한 특성이 충분히 반영되어 일과순서가 예측가능하고 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과 움직임이 허용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폐쇄성이 낮고 개방성이 높은 보육프로그램이 필요하며 이러한 보육환경에서 영아는 독립성, 자율성과 책임감을 발달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영아반의 ‘집단활동 중심형’ 학급은 교사중심의 집단활동을 줄여 보육프로그램의 폐쇄성을 줄여 나가야 할 것이다. 유아반의 경우 일과유형에 따라 보육프로그램의 개방성과 폐쇄성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는 일과유형이 유아반 보육프로그램의 특성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의미한다.

넷째, 영유아가 많이 하는 실내·외활동을 알아본 결과, 영아와 유아 모두 실내에서는 쌓기활동과 역할놀이를 가장 많이 하였다. 영아는 쌓기, 역할놀이, 미술(조형), 수·조작, 언어활동 순으로 많이 참여하였는데 이는 어린이집 1세 영아들이 많이 활동하는 영역이 역할, 쌓기, 조형, 조작영역 순이었다는 Yu, 외의 연구결과와(p. 148)[27] 비슷한 양상을 보인다. 유아는 역할놀이, 쌓기, 미술(조형), 언어, 수·조작(탐색) 활동 순으로 참여가 많았는데 이는 유아들이 선호 활동의 종류가 쌓기, 역할놀이, 조형, 수·조작활동이라는 점에서는 Lee와 Moon의 연구결과와 일치한다(p. 56)[14], (p. 77)[20].

일과유형에 따라 많이 하는 실내활동을 보면 영아의 경우 세 가지 유형 모두 쌓기활동과 역할놀이에 가장 많이 하는 것은 유사하였으나 ‘집단활동 중심형’은 다른 유형들에 비해 미술(조형)과 언어활동을 많이 하고, 요리나 과학, 음률활동을 전혀 하지 않았다. 이는 그리기, 만들기와 같은 미술(조형)활동과 교사가 책을 읽어 주는 것과 같은 언어활동이 주로 집단으로 이루어지므로 나타난 결과로 해석된다. 영아기는 감각이 발달하고 탐색활동이 중요한 시기이므로 실내 모든 영역에서의 고른 활동을 통하여 균형적 발달이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영아의 특성을 고려하여 집단활동보다는 개별적인 활동이 선택적으로 자유롭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유아의 경우 세 가지 일과유형 모두 쌓기활동과 역할놀이를 가장 많이 하고 그 다음으로 미술(조형)활동을 많이 하는 유사한 패턴을 보였으나 ‘저활동형’ 일과를 운영하는 반의 유아들은 수·조작, 요리, 음악, 컴퓨터, 과학활동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이처럼 영유아의 놀이선택은 일과유형에 따라 다른 패턴을 보여 주었다.

실외활동에서는 영아반과 유아반 모두 고정식 놀이기구나 시설을 이용한 놀이에 가장 많이 참여하였으며 자유놀이, 모래놀이, 이동식 놀이기구를 이용한 놀이, 정적활동, 자연 관찰 및 탐색 순으로 참여하였다. 이것은 보육시설 실외놀이 환경 실태에서 나타났듯이 우리나라 어린이집의 실외놀이 기구로 고정식 놀이기구인 종합놀이기구가 가장 많이 설치되어 있어 고정식 놀이기구 시설 이용 놀이가 가장 많은 것으로 해석된다[2].

일과유형에 따른 실외활동의 차이를 살펴보면 영아반과 유아반의 모든 유형에서 고정식 놀이기구나 시설을 이용한 놀이에 가장 많이 참여하였다. 영아반의 경우, ‘저활동형’ 영아들은 자연관찰 및 탐색을 상대적으로 많이 하였으며, ‘집단활동 중심형’ 영아들은 자연관찰과 탐색을 가장 적게하고 체육활동을 상대적으로 많이 하는 상반된 모습을 보였다. 유아반의 경우 ‘저활동형’ 일과의 유아들이 체육활동을 상대적으로 많이 하였다. ‘자유선택활동 중심형’ 유아들은 자연관찰 및 탐색을 상대적으로 많이 하였지만 이동놀이기구를 이용한 놀이는 타 유형 유아들에 비해 적게 하였다. 그리고 ‘집단활동 중심형’에서는 극놀이를 전혀 하지 않았다.

모든 일과 유형에서 영유아의 실외활동이 고정된 놀이기구 및 시설 이용 놀이에 집중되어 나타나는 것은 실외에서 다양한 놀이행동이 나타나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외놀이환경과 놀이행동과의 관계를 연구한 결과 Choi 외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구조화된 고정식 놀이기구에서는 단순기능놀이 행동이 관찰되었으며, 물·모래놀이와 극놀이 시설에서는 구성놀이와 상징놀이 행동이 관찰되어졌다[2]. 따라서 다양한 놀이행동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실외놀이환경에 신체활동을 위한 놀이기구뿐 아니라 물·모래놀이시설, 극놀이, 자연, 모험놀이시설 등이 다양하게 제공되어져야 할 것이다.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고 결론을 내리면 어린이집의 하루 일과는 “저활동형”. “자유선택활동 중심형” “집단활동 중심형”으로 분류될 수 있는데 이 중 영아반의 경우 ‘집단활동 중심형’ 일과유형이 보육프로그램의 폐쇄성이 높아 개별화된 접근을 필요로 하는 영아의 발달특성이 반영되지 못한 보육환경일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보완책이 필요하다. 영유아가 많이 하는 실내활동은 영아반과 유아반의 세가지 일과유형 모두 쌓기활동과 역할놀이에 집중되어 있고 실외활동은 고정식 놀이기구나 시설을 가장 많이 이용하여 전반적으로 유사한 패턴을 보였다. 영유아들은 다양한 학습경험이 필요하기 때문에 영유아의 활동을 계획할 때는 아동주도적 시간과 교사주도적 시간이 균형을 이루고 정적활동과 동적활동, 실내놀이와 실외놀이의 균형을 고려해야 한다. NAEYC와 우리나라의 평가인증지표 모두 보육활동의 균형적 계획을 언급하고 있다[1, 19]. 일상적 양육과 자유놀이 활동, 정적 및 동적활동, 활동과 전이시간 등이 균형 있게 계획되어야 하고 실외활동도 영유아의 연령에 따라 충분히 이루어져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다. 그러므로 영유아를 위한 일과를 계획할 때, 각 활동의 실시 여부 외에 그 내용과 시간배정도 고려해 보아야 할 것이다. 특히 운영의 편의를 위해 실외자유놀이가 배제되고 특별활동을 위해 생리적 수면시간을 줄이는 역기능적 면은 개선되어야 할 점이다. 국가적으로 평가인증제가 실시되고 있어도 어린이집과 학급에 따라 일과운영이 다르게 진행되는 것은 교사의 철학과 교수신념이 일과운영에 반영된 결과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영유아의 활동에서도 차이가 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영유아의 발달에 적합한 교육을 할 수 있도록 교사의 유능성과 전문성을 길러주는 교육과 지원체계,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첫째, 각 어린이집의 문서화된 일일보육계획안을 분석하였으므로 일일보육계획안의 실현과정에서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추후 연구에서는 각 어린이집에서 일일보육계획안에 의한 보육활동이 이루어지는지 실제 참여관찰에 의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둘째, 보육프로그램의 특성의 하위영역인 폐쇄성과 개방성에서 폐쇄성의 신뢰도 계수가 .60을 약간 웃도는 점을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회과학에서 신뢰도 계수가 .60 이상이면 무난한 수준으로 보고 있으나(p. 106)[26] 만족할 만한 수준은 되지 못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외국의 도구를 번안하여 사용하였기 때문에 우리나라 현장에서 교사들이 느끼는 보육프록그램의 특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했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 우리나라 현실에 맞는 보육프로그램의 특성을 구체적으로 밝혀낼 수 있는 보다 신뢰로운 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일과유형별 특징을 살펴보기 위해 각 유형에 속하는 교사가 영유아가 많이 하는 실내, 실외활동의 종류를 명시하였으므로 교사의 주관적 견해가 개입될 가능성을 배제 할 수 없다. 따라서 각 유형에 속하는 교실에서 영유아의 활동을 직접 관찰하여 분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후속 연구에서는 실제 영유아의 활동이 프로그램보다 환경적인 측면, 즉 흥미영역의 크기 등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해 고려할 것을 제언한다.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전국 수준에서 영아반과 유아반의 하루일과를 분석하여 일과유형을 분류하고 보육 프로그램의 특성을 파악하였으며, 영유아들이 선호하는 실내·외 활동을 살펴봄으로써 영유아의 발달에 적합한 이상적 일과운영을 위해 앞으로 나가야 할 방향을 숙고하는 기회가 되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References

1. Bang S., Pu S.. 2010;Research on accreditation index of “area of curriculum of facilities”: Kindergarten, child care centers, NAEYC, QIAS. Theory and practice of Education 15(3):75–105.
2. Choi M. W., Byun H. R.. 2006;A cas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play behaviors and outdoor play environments of child care center in daejeon.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15(6):919–935.
3. Choi M. W., Lee M. Y., Rha J. H.. 2011;The type of infant care curricula based on analysis of infant care plans.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20(5):897–915.
4. Cullen J.. 1994;Preschool children's use and perceptions of outdoor play areas.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89:45–56.
5. Davies M.. 1997;The teacher's role in outdoor play: Preschool teacher's beliefs and practices. Journal of Australian Research in Childhood Education 1:10–20.
6. Dewey J.. 1988. Experience and education. In : Boydston J. A, ed. John Dewey: The later work, 1925- 1953 (Vol. 13, Chap. 7) Carbondale, IL: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7. Gestwicki C.. 2008.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 Curriculum and development in early education. (B. Y. Lim, Y. S. Jang, M. S. Choi, Y. J. Choi, Y. S. Choi, & Y. S. Hwang, Trans.) Seoul: Jungmin Publishers. (Original work published 2007).
8. Horwitz R. A.. 1979;Psychological effects of the “Open Classroom”.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49:71–86.
9. Kim H. J.. 2007. Study on accepting plans for developmental and individual differences of young children in learning-teaching. Papers presented at 2007 Research Presentation of Korea Association for Childhood Education International. Seoul. Korea.
10. Kim H., Kim Y.. 2010;Contents and meaning of transition within daily manage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s.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30(6):25–50.
11. Kwak H.. 2009;Children's socio-moral abilities for conflict resolution in the constructivist community.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and Review 13(6):277–302.
12. Kwon Y. H., Choi M. W., Rha J. H.. 2011;Child care curricula according to teacher's teaching method types.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20(2):353–364.
13. Lee E., Kim O., Lee M., Lee J.. 1996. Operating practices of child care center infant classes Seoul: Kyoyookbook.
14. Lee K. M.. 2009. A study on the daily routine experienced by young children at child care and education institutions. Unpublished doctori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15. Lee M.. 1998. Study of different types of children's interaction according to age and gend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Taejon, Korea.
16. Lee S. J.. 2009. Theory and practice of early childhood play Seoul: Changji Co., Publishers.
17.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 2008. Standard child care curriculum: Child care program for two years old children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18.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 2008. Standard child care curriculum: Child care program for three years old children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1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 2011. Accreditation guidebook for child care centers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 Moon. 2002. A Study on children's play preference in their interest cent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21. Moore G. T.. 1994;Early childhood physical environment observation schedules and rating scales Center for Architecture and Urban Planning Research, University of Wisconsin-Milwaukee.
22. Na E., Yang O.. 2007;The interest of young children in free choice activities.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27(1):281–304.
23. Naver. 2012. Korean dictionary Retrieved March 29, 2012 from http://krdic. naver.com/.
24. Prescott E.. 1994;The Physical environment-a powerful regulator of experience. Child Information Exchange 100:9–15.
25. Rentoul A. J., Fraser B. J.. 1979;Conceptualization of enquiry-based or open classroom learning environments.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11(3):233–245.
26. Song J.. 2009. SPSS/AMOS statistics analysis Paju: 21 Century Book.
27. Yu H., Kim H., Kim M., Cho H.. 2007. Analysis of educational and child care activities of child support centers Seoul: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Figure 1.

Clusters of daily routine in 0 to 2-year-old classes.

Figure 2.

Clusters of daily routine in 3 to 5-year-old classes.

Table 1.

Characteristics of classes 0 to 2 years old and classes of 3 to 5 years old

Class of 0 to 2 years old (n = 63) Class of 3 to 5 years old (n = 51)

Frequency (%) Frequency (%)
Age of class Under 1 year 9(14.3) 3 years 20(39.2)
1 year 24(38.1) 4 years 12(23.5)
2 years 30(47.6) 5 years 19(37.3)
Sum 63(100.00) Sum 51(100.0)

Type of childcare center National·Public 15(23.8) National·Public 10(19.6)
Foundation 9(14.3) Foundation 3(5.9)
Private 25(39.7) Private 27(52.9)
Employer supported 14(22.2) Employer supported 11(21.6)
Sum 63(100.0) Sum 51(100.0)

District Seoul, Kyunggi-do 14(22.2) Seoul, Kyunggi-do 8(15.7)
Busan, Kyungsang-do 19(30.1) Busan, Kyungsang-do 19(37.2)
Dajeon, Chungcheong-do 25(39.7) Dajeon, Chungcheong-do 20(39.2)
Jeolla-do 2(3.3) Jeolla-do 3(5.9)
Gangwon-do 3(4.7) Gangwon-do 1(2.0)
Sum 63(100.0) Sum 51(100.0)

Table 2.

Characteristics of childcare teachers

Variables Class of 0 to 2 years old (n = 91) Frequency (%) Class of 3 to 5 years old (n = 57) Frequency (%)
Age 25 years or under 30(33.0) 11(19.3)
26-35 years 32(35.2) 30(52.6)
36-45 years 18(19.8) 7(12.3)
46 years and over 19(1.1) 1(1.8)
No-response 10(11.0) 8(14.0)
Sum 91(100.0) 57(100.0)

Education High school or childcare teacher training center 9(9.9) 3(5.3)
Junior college 42(46.1) 24(42.1)
College 38(41.8) 28(49.1)
Graduate school 2(2.2) 1(1.8)
No-response 0(.0) 1(1.8)
Sum 91(100.0) 57(100.0)

Work experience 1 year under 6(6.6) 0(0.0)
1-5 years 55(60.4) 37(64.9)
6-10 years 18(19.8) 18(31.6)
10 years or over 7(7.7) 1(1.8)
No-response 5(5.5) 1(1.8)
Sum 91(100.0) 57(100.0)

Table 3.

Score ranges,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of activity time in daily routine

Contents (minutes) Class of 0 to 2 years old (n = 63) Class of 3 to 5 years old (n = 51)

Score ranges M (ratio*) SD Score ranges M (ratio)* SD
Operation time 480-750 668.89 65.58 480-740 672.75 70.60

Actual activity time 290-610 459.73(1.00) 71.74 310-600 446.47(1.00) 76.34

Free choice activity 0-240 107.62(.23) 59.88 0-280 112.45(.25) 63.04

Outdoor activity 0-120 36.51(.08) 25.73 0-120 48.73(.11) 28.23

Group activity 10-170 30.95(.07) 38.87 0-180 75.00(.17) 46.52

Nap and rest 40-180 119.76(.26) 37.30 0-140 46.18(.10) 43.74
*

The ratio refers to the time of each free choice activity, outdoore activity, group activity, nap and rest over the actual activity time.

Table 4.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of main activity time according to clusters in 0 to 2-year-old classes (N = 63)

Frequency (%) Free choice activity M (SD) (minutes) Outdoor activity M (SD) (minutes) Group activity M (SD) (minutes) Nap & rest M (SD)(minutes)
Cluster 1 18(28.6) 67.50 (26.42) 35.00 (15.05) 19.17 (16.29) 138.33 (31.15)

Cluster 2 38(60.3) 145.39 (38.14) 43.95 (26.36) 23.42 (32.49) 116.45 (37.32)

Cluster 3 7(11.1) 5.71 (11.34) 0.00 (.00) 102.14 (40.81) 90.00 (30.00)

Table 5.

Standard scores of main activity time ratio according to clusters in 0 to 2-year-old classes (N = 63)

Frequency (%) Free choice activity M Outdoor activity M Group activity M Nap & rest M
Cluster 1 18(28.6) –.65 .04 –.28 .72

Cluster 2 38(60.3) .67 .25 –.26 –.27

Cluster 3 7(11.1) –1.94 –1.46 2.13 –.39

Table 6.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of main activity time according to clusters in 3 to 5-year-old classes (N = 51)

Frequency (%) Free choice activity M (SD) (minutes) Outdoor activity M (SD) (minutes) Group activity M (SD) (minutes) Nap & rest M (SD)(minutes)
Cluster 1 16(31.4) 109.38(39.58) 58.75 (13.60) 33.13 (11.38) 87.50 (22.95)

Cluster 2 14(27.4) 184.64 (49.01) 48.57 (30.09) 66.43 (30.09) 7.85 (20.7)

Cluster 3 21(41.2) 66.67 (36.65) 41.19 (33.54) 112.62 (42.24) 40.24 (41.18)

Table 7.

Standard scores of main activity time ratio according to clusters in 3 to 5-year-old classes (N = 51)

Frequency (%) Free choice activity M Outdoor activity M Group activity M Nap & rest M
Cluster 1 16(31.4) –.05 .37 –.88 .92

Cluster 2 14(27.4) 1.17 .11 –.28 –.89

Cluster 3 21(41.2) –.74 –.36 .86 –.11

Table 8.

Characteristics of childcare program according to type of daily routine in 0 to 2-year-old classes

Variables Low-activity oriented (n = 32) Free choice activity oriented (n = 47) Group activity oriented (n = 12) Total (N = 91) F
Openness 3.89 (.44) 3.76 (.54) 3.92 (.56) 3.83 (.51) .78

Closure 3.08 (.33)ab 2.94 (.52)a 3.33 (.56)b 3.02 (.47) 3.40*
*

p < .05.

Table 9.

Characteristics of childcare program according to type of daily routine in 3 to 5-year-old classes

Variables Low-activity oriented (n = 19) Free choice activity oriented (n = 14) Group activity oriented (n = 24) Total (N = 57) F
Openness 3.81(.47) 4.01(.55) 3.76(.59) 3.84(.54) 1.08

Closure 3.19(.41) 3.04(.45) 3.28(.61) 3.19(.52) 0.97

Table 10.

Frequency (percentage) of the most participation in indoor activity areas according to type of daily routine in 0 to 2-year-old classes

Variables N Block Role play Art Number & manipulation Language Cooking Science Music
Frequency (%)*

Low-activity oriented 32 28(87.5) 28(87.5) 10(31.3) 9(28.1) 4(12.5) 5(15.6) 2(6.3) 1(3.1)

Free choice activity oriented 47 42(89.4) 41(87.2) 13(27.7) 13(27.7) 14(29.8) 3( 6.4) 1(2.1) 2(4.3)

Group activity oriented 12 11(91.7) 11(91.7) 6(50.0) 2(16.7) 5(41.7) 0(.0) .0(.0) 0(.0)

Sum 91 81(89.0) 82(87.9) 29(31.9) 24(26.4) 23(25.3) 8(8.8) 3(3.3) 3(3.3)
*

% refers to the ratio within cluster.

Table 11.

Frequency (percentage) of the most participation in outdoor activity areas according to type of daily routine in 0 to 2-year-old classes

Variables N Fixed-play quipment Free play Sand Mobile-play equipment Quiet activity Observation & exploration for nature Dramatic play Physical movement
Frequency (%)*

Low-activity oriented 32 27(84.4) 21(65.6) 10(31.3) 15(46.9) 7(21.9) 13(40.6) 1(3.1) 0(.0)

Free choice activity oriented 47 34(72.3) 29(61.7) 24(51.1) 15(31.9) 14(29.8) 10(21.3) 8(17.0) 4(8.5)

Group activity oriented 12 11(91.7) 6(50.0) 2(16.7) 6(50.0) 3(25.0) 1(8.3) 2(16.7) 3(25.0)

Sum 91 72(79.1) 56(61.5) 36(39.6) 36(39.6) 24(26.4) 24(26.4) 11(12.1) 7(7.7)
*

% refers to the ratio within cluster.

Table 12.

Frequency (percentage) of the most participation in indoor activity areas according to type of daily routine in 3 to 5-year-old classes

Variables N Block Role play Art Number & manipulation Language Sand Cooking Music
Frequency (%)*

Low-activity oriented 19 19(100) 18(94.7) 16(84.2) 0(.0) 2(10.5) 0(.0) 0(.0) 0(.0)

Free choice activity oriented 14 11(78.6) 12(85.7) 10(71.4) 3(21.4) 3(21.4) 1(7.1) 0(.0) 0(.0)

Group activity oriented 24 20(83.3) 21(87.5 19(79.2) 4(16.7) 3(12.5) 1(4.2) 1(4.2) 1(4.2)

Sum 57 50(87.7) 51(89.5) 45(78.9) 7(12.3) 8(14.0) 2(3.5) 1(1.8) 1(1.8)
*

% refers to the ratio within cluster.

Table 13.

Frequency (percentage) of the most participation in outdoor activity areas according to type of daily routine in 3 to 5-year-old classes

Variables N Fixed- play equipment Free play Sand Mobile- play equipment Quiet activity Observation & exploration for nature Game Physical movement
Frequency (%)*

Low-activity oriented 19 14(73.7) 9(47.4) 9(47.4) 6(31.6) 6(31.6) 2(10.5) 3(15.8) 4(21.1) 3(15.8)

Free choice activity oriented 14 10(71.4) 9(64.3) 7(50.0) 2(14.3) 3(21.4) 6(42.9) 2(14.3) 1(7.1) 2(14.3)

Group activity oriented 24 22(91.7) 17(70.8) 11(45.8) 7(29.2) 5(20.8) 3(12.5) 5(20.8) 2(8.3) 0(.0)

Sum 57 46(80.7) 35(61.4) 27(47.4) 15(26.3) 14(24.6) 11(19.3) 10(17.5) 7(12.3) 5(8.8)
*

% refers to the ratio within clus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