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Sitemap | Contact Us |  
top_img
Hum. Ecol. Res Search

CLOSE

Human Ecology Research > Volume 62(4); 2024 > Article
Habermas의 세 행동체계 관점에서 본 캐나다 온타리오주 가정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분석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achievement standards presented in the Home Economics (HE) curriculum in Ontario, Canada, from the perspective of Habermas's three systems of action (technical, communicative, and emancipative action) to determine how these three systems are reflected in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curriculum. The study analyzed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HE curriculum (grades 9-12) in Ontario, Canada, using content analysis techniques and calculated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The Canadian HE curriculum in Ontario consists of Fashion, Housing, Food and Nutrition, General Family Studies, and Raising and Caring for Children, with a total of 1,035 achievement standards in technical (47.6%), communicative (35.5%), and emancipative action (16.9%).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main action of each unit, but most units reflected the three systems of action to present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HE curriculum in Ontario, Canada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realize the mission of HE Education by presenting achievement standards according to Habermas' three systems of action.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교육과정은 ‘무엇을, 왜, 가르쳐야 하는가’에 대한 답을 찾아가는 과정(Schubert, 1986)으로 교육 이론과 실천에 관련된 모든 활동의 바탕이 되므로 그 중요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Brown (1980)은 독일의 철학자인 하버마스의 비판사상에 근거하여 기술적 행동, 의사소통적 행동, 해방적 행동의 세 행동체계를 구축하고 유지하는 것을 가정학의 사명으로 제시하였다. 하버마스의 비판 사상은 인간이 사회의 지배적인 고정관념과 그릇된 선입견에 물들어서 자신이나 집단의 정체성이 무엇인지 모르고 살아가는 인간소외 현상을 극복하는 것에 관심을 갖는다. 따라서 개인 및 집단의 필요와 인간 본성을 탐구하고 사회구조와 권력관계를 깨어있는 의식으로 비판하여 자유롭고 자율적인 개인과 사회를 만들기 위하여 세 행동체계(기술적 행동, 의사소통적 행동, 해방적 행동)를 강조한다. 기술적 행동은 노동, 생산적인 활동, 정확하게 구체화된 방법을 통하여 예상할 수 있고 통제할 수 있는 행동으로 자연과학적 방법과 관련이 있다. 의사소통적 행동은 인간 간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숨어 있는 가치와 생각과 아이디어를 이해하는 행동이다. 해방적 행동은 자아를 성찰하고 사회의 보이지 않는 힘과 규범이 개인과 사회의 자율, 자유, 정의를 어떻게 억압하는 지를 비판하고 더 나은 사회를 만들고자 참여하는 행동으로, 의사소통적 행동과 해방적 행동은 인문·사회과학과 관련이 있다(Chae et al., 2024). 가정과 교육의 사명은 가족의 일원인 청소년에게 세 행동체계를 강화하도록 교육하는 것이다(Chae et al., 2024; Brown, 1980). 세 행동체계는 가족의 일원인 개인의 자아형성을 성숙하게 하고 사회적 목표와 그것을 성취하기 위한 수단을 비판하고 형성하는 데 깨어서 협동적으로 참여하도록 이끌기 때문에(Brown & Paolucci, 1979) 가정과교육의 사명을 달성할 수 있는 핵심 요소로 매우 중요하다(Chae et al., 2024; Choi, 2023).
비판과학 교육과정 관점은 Habermas의 비판 사상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사회는 개인과 가정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사회에 관심을 갖고 가정생활과 관련된 지식과 행동에 대해서 비판적으로 사고하고 문제해결력을 길러 주체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이 관점의 교육과정은 해방적 행동을 강조하되 자연과학적 방법과 관련된 기술적 행동과 인간과 세계를 이해하는 인문·사회과학적 방법과 관련된 의사소통적 행동의 장점을 취하고 있다. 또한 기술적 행동과 의사소통적 행동의 단점을 비판하여, 학습자들이 자연과학적 사고와 인문·사회과학적 소양을 갖추게 한다. 이에 더해 가정생활과 관련된 지식, 이데올로기, 권력관계 등에 대한 상호 관련을 분석하고 비판하여 가정 생활의 복잡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장 정당한 가정과 교육과정 관점으로 인정받고 있다(Chae et al., 2024).
비판과학 관점의 가정과 교육과정은 1980년대 이후 미국의 국가 가정과 교육과정은 물론 우리나라에서도 2007 개정 교육과정부터 2022 개정 교육과정이 개발되기까지 지속적으로 가정과 교육과정 문서에 적용되어 왔다. 특히 2022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 설계의 개요에 학생들이 자신의 일상생활을 성찰하고 주도적 삶을 위한 행동체계를 구축해 나갈 수 있도록 설계하였기 때문에(Ministry of Education, 2022), 2022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은 비판과학 교육과정 관점을 지지하여 세 행동체계를 구축하고 유지해 나가는 것을 표방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최근에 개정된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에 세 행동체계를 명확하게 제시하지 않아서 가정과교사들이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여 수업하는 데 어려움이 초래될 것으로 예상된다. 캐나다 온타리오주는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교육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교육의 방향을 설정하는 데 본보기로써 많이 언급되는 나라 중 하나이다. 최근에는 교육 개혁을 통해 미래 사회를 대비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르고 학생이 배운 것을 삶의 맥락에 적용할 수 있도록 교과 교육과정을 설계하였다(Paik & Ohn, 2021). 캐나다는 다양성이 국가적 정체성이기에 교육에 있어서도 각 주에서 학생 간의 다양한 차이와 특성을 고려하여 개별화 교육을 실행하고 있다. 온타리오주에서는 우리나라의 중학교 3학년에 해당하는 고등학교(secondary school) 9학년부터 12학년까지 자신의 진로에 따라 교과목을 선택하도록 운영하고 있다. 온타리오주에서 9학년에서 12학년의 고등학교에 편제된 교과 영역은 총 18개이다. 가정교과는 가정학(Family Studies)의 이름으로 「사회과학과 인문학(Social Sciences and Humanities)」의 교과영역에 속한다(Ontario Ministry of Education, 2018). 인간과 세계에 대해 탐구하는 「사회과학과 인문학」 교과영역은 총 5개로 평등학, 가정학, 일반사회과학, 철학, 세계종교학이 해당한다. 「사회과학과 인문학」 교과영역에서 강조하는 핵심 역량은 훈련된 조사, 문제 해결, 자신과 다른 사람의 이해, 지역 및 글로벌 정신이다.
온타리오주의 고등학교 가정과 교육과정에서는 가족의 맥락에서 기본적인 욕구를 충족하는 방법, 다른 사람들과 관계를 맺는 방법, 자원 관리 방법, 책임감 있는 사회 구성원이 되는 방법 등 사람들이 직면하는 근본적인 과제를 탐구한다. 학생들은 청소년 발달을 탐구하고, 일상생활과 관련된 대인관계와 의사결정 및 실천적인 기술을 개발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된다. 또한, 캐나다에서 가족이 활동하는 다양한 방식에 대해 배우고 개인 및 가족의 필요와 자원과 관련된 주제를 탐구하면서 연구 기술을 배우고 활용한다. 가정교과는 패션과 주거(Fashion and Housing), 식품과 영양(Food and Nutrition), 가족생활(General Family Studies와 Raising and Caring for Children)의 대단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패션과 주거(Fashion and Housing)에는 의복, 패션 이해, 패션의 세계, 주택 및 홈 디자인의 4개 중단원이 있다. 식품과 영양(Food and Nutrition)에는 식품과 영양, 식품과 문화, 영양과 건강, 식품과 건강한 생활의 4개 중단원이, 가족생활(General Family Studies와 Raising and Caring for Children)에서 General Family Studies에는 인간관계의 역학, 캐나다의 가족, 전 생애에 걸친 인간발달, 개인 생활 관리의 4개 중단원, Raising and Caring for Children에는 영유아 및 아동과 함께 일하기, 건강한 자녀 양육, 학령기 아동 및 청소년과 일하기의 3개 중단원을 학생들이 진로에 따라 이수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캐나다 온타리오 주의 고등학교에서 ‘가정학(Family Studies)’으로 개설된 가정교과 영역의 주요한 목표는 연구 및 조사 기술, 자신과 타인의 이해, 일상생활 기술, 책임감 향상이다. 온타리오주의 가정과 교육과정은 가정과교육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르도록 학습자 중심의 성취기준을 설정하고 있다. 성취 기준은 학습한 결과 학생이 궁극적으로 할 수 있거나 할 수 있기를 기대하는 도달점으로, 학생들이 가정뿐만 아니라 사회 전반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역할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기준이다. 캐나다 온타리오주의 경우 역량 중심의 교육과정으로 학생의 성취 달성을 위한 성취기준에 초점을 두기에 가정 교과 영역별로 전반적인 성취기준(Overall expectation)과 이에 따른 구체적인 성취기준(Specific expectation)을 제시하고 있다(Ontario Ministry of Education, 2013).
캐나다 온타리오주의 고등학교(9학년부터 12학년) 가정과 교육과정이 속한 「사회과학과 인문학」교과군은 개인 및 집단적 인간 행동과 필요, 사회의 패턴과 추세에 대하여 분석하며, 다양한 사회구조, 제도, 권력관계를 비판하고, 인간 본성과 인간 조건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과 아이디어를 탐구한다. 이런 점으로 비추어 보았을 때, 캐나다 온타리오주의 가정과 교육과정은 비판과학 관점을 취하고 있다(Ontario Ministry of Education, 2013). 가정과 교육과정의 비판과학 관점은 하버마스의 세 행동체계를 강조하기 때문에(Chae et al., 2024), 온타리오주 가정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에 세 행동체계가 어떠한 비율로 서술되었는지를 분석하고 제시하는 연구는 의미가 있다.
가정교과에서 성취기준과 관련된 연구들은 주로 성취기준을 분석한 연구와 성취기준을 개발한 연구들로 이루어졌다. 그중에서 성취기준을 분석한 연구로는 우리나라와 미국의 가정과 교육과정을 비교한 연구(Kwon et al., 2013; Kim et al., 2015; Kim & Yoo, 2007; Kim, 2021a),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을 준거로 하여 성취기준을 분석한 연구(Kim, 2021; Lee & Yoo, 2011; Yang & Lee, 2018), 호주 빅토리아주의 고등학교 가정과 교육과정을 분석한 연구(Yu, 2020) 등이 있다. 특히 캐나다 온타리오주의 가정과 교육과정을 비교·분석한 연구(Lee & Choi, 2021)는 ‘인간발달과 가족’ 영역에서 핵심역량, 교육목표, 교육내용, 교수·학습 방법과 평가의 방향을 호주 뉴사우스웨일스의 가정과 교육과정과 비교·분석하였으나, 하버마스의 세 행동체계의 관점에서 본 분석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와 같이 선행연구에서 세 행동체계가 가정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에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 분석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비판과학의 교육과정 관점에서 하버마스의 세 행동체계를 성취기준에 적용한 캐나다 온타리오주의 교육과정을 분석하는 연구를 하는 것은 세 행동체계를 적용한 외국의 성취기준을 소개하여 그 이해를 넓힐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가정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의 개발에 시사점을 줄 것이다. 나아가 가정과교사들이 세 행동체계에 따라서 가정과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여 세 행동체계가 구축될 수 있도록 학습 목표를 정하고 학습내용과 학습활동을 디자인하여 마침내 가정과교육의 사명을 달성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캐나다 온타리오주의 고등학교 가정과 교육과정 문서에 제시된 성취기준을 Habermas의 세 행동체계에 근거하여 분석하는 데 있다.

2. 연구 내용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정한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캐나다 온타리오주의 고등학교 가정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성취기준에 Habermas의 세 행동체계(기술적 행동, 의사소통적 행동, 해방적 행동)가 의생활, 주생활, 식생활, 가족생활 영역별로 어떠한 비율로 제시되어 있는지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한다.
둘째, 캐나다 온타리오주의 고등학교 가정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성취기준에 Habermas의 기술적 행동, 의사소통적 행동, 해방적 행동의 내용이 의생활, 주생활, 식생활, 가족생활 영역별로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를 알아본다.

문헌고찰

1. 가정교과에서의 세 행동체계 관련 선행연구

독일의 철학자이자 사회학자인 위르겐 하버마스(Jürgen Habermas)는 인간은 기술적, 의사소통적, 해방적 행동을 한다고 하여 이 세 행동체계를 구분하여 발표하였다. 그는 세 행동체계 중 해방적 행동이 가장 중요하며 이 행동에 의해 비판과학이 탐구된다고 보았다. 하버마스에 따르면 우리의 행동은 기술적(도구적) 행동, 의사소통적(실천적, 해석적) 행동, 해방적 행동(비판적, 자아반성적)으로 이루어졌고 이 세 행동체계는 인간 활동을 성공으로 이끄는 데 필수적이다.
기술적 행동은 예상할 수 있고 통제할 수 있는 행동이다. 기술적 행동의 궁극적인 목적은 정확하게 구체화된 방법을 통하여 어떠한 행동을 유발하게 하는 것이다. 의사소통적 행동은 목적을 위한 수단이 아니라 상호작용을 통하여 숨어 있는 가치와 생각과 아이디어를 이해하는 행동으로 활동의 의미와 방향을 제시한다. 해방적 행동은 자아를 성찰하는 행동이자 사회적 권력과 사회규범의 형성이 개인과 사회의 자율, 자유, 정의를 어떻게 억압하였는 지를 비판하여 자율적이고 자유로운 개인과 사회를 만들고자 하는 행동이다. 해방적 행동을 통해서 깨어있는 의식으로 자율적인 자아를 형성하고 평등하고 자유로운 가정과 사회를 만들어 나갈 수 있다. 해방적 행동은 학생들로 하여금 능동적이고 깨어있는 행동을 하며 잠재해 있는 능력을 발휘할 수 있게 한다(Arie, 2000).
가정교과에서의 세 행동체계 관련 선행연구는 Habermas의 세 행동체계에 따른 교육과정 분석 및 개발 연구가 주로 이루어졌다. 가정교과 전 영역을 대상으로 세 행동체계 관점에서 2009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 및 내용체계 개발(Ju & Yoo, 2016)과 중·고등학생용 가정교과 세 행동체계 척도 개발(Choi, 2023)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의생활 영역에서는 세 행동체계를 기반으로 한 자유학기 프로그램 및 수행평가 개발 사례 연구(Jung & Yu, 2021)가 있으며, 주생활에서는 중학교 가정과 교사를 대상으로 주생활 영역에서의 세 행동체계별 목표 중요도 분석(Lee & Cho, 2005)이 수행되었다. 식생활 영역에서는 한국과 미국의 고등학교 가정교과서의 학습 목표와 활동 과제를 비교 분석하여 세 행동체계의 반영 여부를 확인한 연구(Choi & Chae, 2020a)가 있다. 또한, 식생활 영역에서 세 행동체계를 융합한 식생활 교육과정 성취 기준을 개발하고, 이를 바탕으로 중학교 가정교과 식생활 수업을 실행하고 평가한 사례 연구(Choi, 2020; Choi & Chae, 2020b)가 있다. 가족생활 영역에서는 가정과 교사를 대상으로 가족 가치관과 세 행동체계별 가족생활 영역 목표 요구도를 파악하고 분석한 연구(Oh & Chae, 2005)가 이루어졌다(Table 1 참조).

2. 가정교과에서의 성취기준 관련 선행연구

성취기준은 “교수·학습의 실질적인 기준으로서 각 교과목에서 가르치고 배워야 할 내용(지식, 기능, 태도)과 그러한 내용 학습을 통해 학생들이 성취해야 할(또는 보여주어야 할) 능력과 특성을 명료하게 진술한 것”을 말한다. 교과교육의 차원에서 성취기준은 학습 결과 및 평가 기준이 되어 교육과정과 평가의 질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한다. 성취기준은 1996년 한국교육개발원에서 발간된 ‘국가 공통 절대평가 기준 일반모형 개발 연구’에 처음 제시되었다. 그 이후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별 성취기준 및 평가 기준이 개발되었고, 성취기준이라는 용어가 공식 용어가 되었다(Kim, 2009).
가정과에서의 성취기준 관련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성취기준 분석 및 개발 방향 탐색, 성취기준 및 평가기준 개발 연구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가정교과 전 영역을 대상으로 한 성취기준 분석 연구로는 우리나라와 미국의 가정과 교육과정 비교연구(Kim et al., 2015; Kim & Yoo, 2007; Kim, 2021a), Bloom의 신교육목표 분류체계를 활용한 2007 개정,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가정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분석연구(Kim, 2021; Lee & Yoo, 2011; Yang & Lee, 2018), 2015 개정 중학교 가정과 교육과정 기능과 성취기준 비교분석 연구(Kim et al., 2021)가 있다. 이 연구들은 미국의 세 행동체계 기반 실천적 문제중심 교육과정 사례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으며, Bloom의 신교육목표 분류체계를 활용한 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학교급에 맞는 다양하고 고차원적인 인지과정을 균형 있게 다룬 활동 중심 수업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또 전 영역에 걸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평가기준 및 평가문항 개발 연구(Ryu, 2017; Yang & Lee, 2020)를 통해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효과적인 현장 적용을 돕고자 하였다.
식생활 영역에서는 고등학교 직업탐구영역 성취기준 및 평가 기준 개발 연구(Jang et al., 2005)를 통해 식품과 영양 과목의 평가기반을 구축하였으며, 그 외 주·가족·소비생활 영역에 관해 일본, 미국의 가정과 교육과정을 분석한 연구(Jang, 2010; Kwon et al., 2013; Kim, 2021b)를 통해 각 영역별 교육내용 요소를 분석하였다. 핀란드 중학교 교육과정 사례분석 연구(Yang, 2019)에서는 식·주·소비생활 영역의 역량 기반 교육과정 사례를 분석하였으며, 학교급에 따른 학습의 연계성, 제도의 유연성과 교사 재량권이 보장되는 교육환경이 주요 시사점이었다. 그 외 식·가족생활 영역을 통합적으로 다룬 연구로 호주 빅토리아주 고등학교 교육과정 사례 분석 연구(Yu, 2020)와 가사·실업계 고등학교 전문교과 성취기준 및 평가기준 개발 연구(Wang, 2004)가 있다(Table 2 참조).

연구 방법

1. 분석 대상과 연구 절차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은 2013년에 개발된 캐나다 온타리오주의 가정과 교육과정 문서이다. 본 연구는 문헌 고찰, 분석 기준 개발과 타당도 검토, 내용 분석과 내용 예시 제시, 분석 결과 타당도 검토의 단계로 이루어졌다(Figure 1 참조).

2. 분석 방법과 타당도 검토

문헌 고찰 단계에서는 세 행동체계와 관련된 문헌과 선행연구를 고찰하였다. 분석 기준 개발과 타당도 검토 단계에서는 세 행동체계에 대한 문헌을 고찰한 후에 하버마스의 세 행동체계로 미국과 우리나라의 가정과 교과서의 목표를 분석한 연구인 Choi와 Chae (2020a)의 분석 도구를 재구성한 다음 연구자 회의를 통하여 타당도 검토를 한 후 최종 분석 기준으로 확정하였다.
Table 3에서 보듯이, 분석 도구의 기준 중 기술적 행동은 학습 내용이 노동 행위와 관련되어 있어 생산적인 활동을 하는 과제를 수행하거나, 자연과학적 방법을 동원하여 가설을 세우고 이를 연역적으로 학습하는 활동을 하거나, 이미 정해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이나 방법에 중점을 두고 있는 경우이다. 또한, 지식, 사실, 조작적 기능에 중점을 두거나, 시범을 보이고 실험을 한 내용이나, 이미 밝혀진 정보 텍스트를 조사하거나 단순히 문서화하는 것, 자연과학적 원리나 개념을 숙지하거나 암기하는 경우, 또는 주어진 지식을 습득하거나 학습하는 경우 기술적 행동으로 분석하였다.
의사소통적 행동은 상호작용과 이해와 관련되어 있어 학습자 사이 또는 학습자와 교사 간의 상호 이해를 하는 과제를 수행하거나, 인문·사회과학적 개념이나 의미를 이해하여 설명 또는 발표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역사, 문화, 가치, 의미나 개념을 이해하고 해석하는 활동을 하거나, 의사소통의 깊이와 폭을 증대시키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는 경우, 상호 이해의 가능성을 확장하는 학습 내용, 토론, 역할극, 인터뷰, 사례 연구를 통한 학습을 하는 경우 의사소통적 행동으로 분석하였다.
해방적 행동은 학습 내용이 노동과 상호행위와 관련되어 현대 사회의 이데올로기를 비판하고 시정하는 과제를 수행하는 경우, 비판과학적 방법을 동원하여 사회구조와 지배적인 관점에 대해 비판하는 활동을 하거나, 왜곡된 자신에 대해 성찰하고 반성하는 활동을 하는 경우, 사실에 대해 비판적으로 조사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는 경우, 환경에 대해 책임 있는 자세나 행동을 취하는 경우이다. 또한, 사회 비판과 사회참여 활동을 하거나, 사실에 대한 이유나 전제 조건에 대한 질문을 하거나, 목표를 설정하고 적용하여 평가하는 활동, 결과를 종합하고 결론을 내리는 활동, 실천적 추론을 통해 최선의 해결 방안을 탐색하거나 실천적인 계획을 세우는 활동을 하는 경우 해방적 행동으로 분석하였다.
각 영역(의생활, 주생활, 식생활, 가족생활)에 따른 세 행동체계별 내용 분석과 내용 제시를 위해서 가정과교사로 구성된 연구자 5인이 각 영역{의생활(1인), 주생활(1인), 식생활(1인), 가족생활(2인)}을 분담하여 해당 영역의 성취기준을 번역한 후, 세 행동체계 분석 기준에 따라서 빈도와 퍼센트를 산출하고, 각 영역별로 세 행동체계의 분석 기준을 구체적으로 명확하게 표현한 성취기준의 내용을 선별하여 제시하였다. 이때 모든 영역의 도입부에서 공통적으로 제시하고 있는 ‘연구 및 조사 기술’ 내용은 분석에서 제외하고 순수하게 가정교과의 성취기준에 해당하는 내용에 집중하여 분석하였다.
각 영역별 세 행동체계에 따른 내용 분석 결과와 제시한 내용이 세 행동체계의 분석 기준에 따라서 적합하게 제시하였는지에 대한 타당도 검토는 세 차례로 이루어졌다. 1차로 연구자 간 교차분석을 통한 타당도 검토를 하였다. 2차로 ‘가정교육학철학’ 수업을 수강한 대학원 2년생인 가정과교사 5인이 내용 분석한 결과와 제시한 내용이 타당한지를 검토하였다. 3차로 2차 타당도 검토한 타당도 결과에서 타당도 검토자가 이견을 낸 부분을 연구자 회의를 통해 의견이 일치할 때까지 토의하여 최종적으로 확정하였다.

연구 결과

1. 각 과목의 세 행동체계에 따른 성취기준의 비율

캐나다 온타리오주 가정과 교육과정 문서에 제시된 성취기준을 Habermas의 세 행동체계에 따라 분석하고 각 영역의 중단원별로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총 1,035개의 성취기준을 제시하고 있으며(Table 4 참조), 기술적(47.6%), 의사소통적(35.5%), 해방적(16.9%) 행동 순으로 구성되어 있다(Figure 2 참조).
Table 4에서 보듯이, 의생활 영역인 Fashion의 경우 3개의 중단원(Clothing, Understanding Fashion, The World of Fashion)으로 구성되어 있고, 성취기준 수는 124개로 기술적(68.5%), 의사소통적(24.2%), 해방적(7.3%) 행동 순으로 구성되었다. Fashion에 속한 3개의 중단원을 비교한 결과 12학년의 ‘The World of Fashion’에서 가장 많은 기술적 행동과 가장 적은 해방적 행동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생활 영역인 Housing은 1개의 중단원(Housing and Home Design)으로 구성되며, 성취기준 수는 51개로 기술적(58.8%), 의사소통적(41.2%) 행동 순으로 해방적 행동이 제시되지 않았다. 즉, 교사의 질문을 통해서만 해방적 행동이 일부 제시되고 있었고 성취기준에는 제시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식생활 영역인 Food and Nutrition은 6개의 중단원(Food and Nutrition-교양, Food and Culture-전문대와 대학준비, 직업 준비, Nutrition and Health-전문대, 대학준비, Food and Healthy Living-직업준비)으로 같은 단원명이더라도 진로에 따라 내용을 달리 구성하여 제시하고 있다. 성취기준 수는 411개로 가족생활 영역 다음으로 많은 성취기준을 제시하고 있으며, 기술적(47.2%), 의사소통적(34.6%), 해방적(18.2%) 행동 순으로 나타났다. Figure 3에서 보듯이, 의·주·식생활 영역은 개념과 지식 학습이 많은 내용의 특성상 기술적 행동이 주를 이루었다. 예외적으로 식생활 중단원 일부에서 영양 문제 해결과 건강을 고려한 조리법 등 실천적 문제를 다루는 해방적 행동이 포함되어 있어 다른 영역에 비해 해방적 행동의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가족생활 영역은 General Family Studies, Raising and Caring for Children으로 구성되며 성취기준 수는 총 449개로 캐나다 온타리오주 가정과 교육과정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General Family Studies는 5개의 중단원(Dynamic of Human Relationships, Families in Canada-전문대와 대학준비, Human Development throughout the Lifespan, Personal Life Management)으로 구성되어 있고, 성취기준 수는 총 246개로 기술적(43.9%), 의사소통적(43.1%), 해방적(13%) 행동 순으로 구성되었다. Raising and Caring for Children은 3개의 중단원(Working with Infants and Young Children, Raising Healthy Children, Working with School-Age Children and Adolescents)으로 구성되어 있고, 성취기준 수는 총 203개로 그 중 기술적(37.4%), 의사소통적(33.5%), 해방적(29.1%) 행동으로 세 행동체계가 비교적 고르게 나타났다. Figure 3에서 보듯이, 가족생활 영역은 의·주·식생활 영역에 비해 기술적 행동의 비중이 적고 의사소통적, 해방적 행동의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가정생활 영역의 이론적 지식을 바탕으로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문제를 이해하고, 비판적 분석을 통해 해결방안을 찾는 내용이 담겨있기 때문이다.

2. 각 영역의 세 행동체계에 따른 성취기준 내용

가. Fashion(의생활) 영역의 세 행동체계 성취기준 내용

Table 5에서 보듯이, Fashion(의생활)의 ‘Clothing’은 의류의 기능과 영향력, 장단점 등 의생활의 기초적인 개념 습득 내용이 담겨있으며 의류 분야의 대표적인 소재, 마케팅, 디자인 요소의 기본지식을 이해하고 환경과 관련된 세탁법, 재활용 의류 제작으로 구성된다. ‘Understanding Fashion’은 지속적인 변화와 외부 영향을 많이 받는 패션의 특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트렌드와 관련된 의생활 관련 지식으로 구성된다. 문화, 미디어의 영향을 통해 패션의 요인을 파악하고 유행 주기에 대한 개념 학습으로 소비자 행동과 마케팅 전략의 이해도를 높인다. 패션의 환경적 책임을 섬유 생산 및 소재 사용의 영향으로 제시하고 있으며 매 학년 마지막에 해당하는 디자인 및 의류 제작 기술에서는 구체화된 디자인 기술을 습득한다. ‘The World of Fashion’은 패션의 역사를 통해 기술 발전과 사회적 이슈에 대한 연관성을 이해하고 디자인 분야에서의 패션디자인과 세계화의 기본지식을 제시한다. 패션 분야의 전문적인 시장(임산부, 노인 등)을 파악하여 특수 제작 기능 및 혁신 기술을 습득하고 패션산업이 세계적으로 부정적 영향을 주는 환경 관련 특징을 분석한 후 해결 전략 구상이 진행된다.

나. Housing(주생활) 영역의 세 행동체계 성취기준 내용

Table 6에서 보듯이, Housing(주생활)의 ‘Housing and Home Design’은 주택 및 홈 디자인과 관련된 다양한 문제를 소개하고, 주거에 관한 요건을 충족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주택 유지 관리 및 안전, 주택과 관련된 환경적, 경제적, 법적, 사회적 고려 사항, 디자인 요소와 원리를 사용하여 디자인과 장식 결정을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은 주택 및 홈 디자인과 관련된 문제를 조사하면서 연구 기술을 개발하게 된다.

다. Food and Nutrition(식생활) 영역의 세 행동체계 성취기준 내용

Table 7에서 보듯이, 캐나다 온타리오주 가정과 교육과정의 학습 목표에는 특정 대상을 고려하여 다양한 환경에 적합한 요리법을 연구하도록 되어 있다. 발문기법을 통해 캐나다의 식품 가이드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가족 구성원의 기호 및 영양 상태를 고려한 식사 구성을 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Food and Nutrition(open)’에서는 영양가 있는 음식 선택을 위한 지침에 중점을 두고 학생들은 신념, 태도, 현재 경향, 전통적인 식습관 패턴, 식품 마케팅 전략 및 개인의 요구를 포함하여 음식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조사한다. 학생들은 또한 지역 및 세계 수준에서 다양한 음식 선택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한다. ‘Food and Culture(Univ./Coll. prep.)’에서는 세계 요리의 맛, 향, 요리 기술, 음식 및 문화적 전통에 중점을 두고 다양한 음식 전통의 기원과 발전을 탐구한다. 학생들은 문화에 따라 다양한 재료와 도구를 사용하여 요리하는 능력을 보여주고, 많은 국가와 문화의 음식과 관련된 예절을 비교하며, 캐나다 음식 선택과 전통이 다른 문화에 어떻게 영향을 받았는지 설명한다. ‘Food and Culture(Workplace prep.)’에서는 전 세계의 식품과 식품 관행을 조사하면서 실용적인 기술을 개발하고 연구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된다. ‘Nutrition and Health(Coll. prep.)’에는 식품 가이드 속 영양소의 개념, 특정 질병에 따라 다른 영양소 섭취 등 영양소에 대한 개괄적인 내용이 담겨있으며, 식품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에 대해 제시한다. ‘Nutrition and Health(Univ. prep.)’에서는 영양소 개념과 식품 선택 요인뿐만 아니라 농업기술이 식품 생산에 미치는 영향과 영양 결핍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연구한다. ‘Food and Healthy Living’은 영양과 건강을 고려한 식사를 올바른 조리법에 맞게 만들어 보고, 식품 마케팅을 현명하게 판단하는 책임 있는 소비자 교육 및 식품 관련 직업 교육을 제시한다.

라. Genernal Family Studies, Raising and Caring for Children(가족생활) 영역의 세 행동체계 성취기준 내용

Table 8에서 보듯이, Genernal Family Studies(가족생활) 단원의 ‘Dynamics of Human Relationships’에서는 행복, 자아개념, 대인관계와 의사소통 및 갈등관리에 대한 지식을 학습하고 타인과 건강한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기 위해 개인적·사회적으로 할 수 있는 방법을 분석하고 적용하도록 안내한다. ‘Families in Canada’에서는 전 생애 발달에 관한 다양한 이론을 학습하고 개인의 삶과 친밀한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이슈를 분석하고 평가한다. ‘Human Development throughout the Lifespan’에서는 인간 발달에 대한 지식을 학습하고 사회와 환경이 한 인간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Personal Life Management’는 개인 생활 관리 방법과 의사소통 기술, 직업탐색 및 노동환경에 관한 기술적 지식이 담겨있으며, 적절한 생활 관리 방법과 영향, 상황에 맞는 효과적인 의사결정 방법과 직업생활의 다양한 요소를 이해하고 영향을 분석하는 활동으로 구성된다.
Raising and Caring for Children(가족생활) 단원의 ‘Working with Infants and Young Children’은 출생부터 6세까지 아이의 발달 과정과 특성, 양육자 및 관련 직업인이 알아야 할 교육 기술과 법적 사항을 기반으로 그러한 양육 환경의 영향을 분석하고 적용하며 영유아 발달의 이해를 높인다. 영유아 성장 및 돌봄과 관련된 사회적 문제와 편견을 비판하고 바람직한 방향을 탐구한다. ‘Raising Healthy Children’은 임신부터 출산까지 아기와 부모의 건강한 탄생과 양육을 위한 기술적 내용을 학습하고, 양육 전략의 영향과 중요성을 이해하며 해당 시기 아동과 가족을 지원하는 사회적 제도와 전략을 제시하고 평가한다. ‘Working with School-Age Children and Adolescents’는 학령기 아동·청소년 발달 과정에 대한 기술적 지식과 각종 규정을 제시하고, 건강한 성장 발달을 위한 전략과 중요성을 이해하며 가족, 관련 직업인, 사회의 역할과 영향력에 관해 비판적 질문을 제시한다. 출생부터 청소년기까지 아동 돌봄과 관련하여 방임, 학대 요인, 예방에 관한 내용을 공통적으로 다룬다.

결론 및 제언

본 연구의 목적은 캐나다 온타리오주의 가정과 교육과정 문서에 제시된 성취기준을 Habermas의 세 행동체계(기술적, 의사소통적, 해방적 행동)의 관점에서 분석하여 세 행동체계가 가정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에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 알아보고, 현장에서 가정과 학습목표와 활동과제 실행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데 있다. 이 연구 결과에 따른 결론과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캐나다 온타리오주 가정과 교육과정은 Fashion(의생활), Housing(주생활), Food and Nutrition(식생활), General Family Studies와 Raising and Caring for Children(가족생활)로 구성되어 있으며, 성취기준은 총 1,035개로 기술적(47.6%), 의사소통적(35.5%), 해방적(16.9%) 행동 순으로 세 행동체계가 모두 나타났다. 세 행동체계를 반영한 성취기준을 통해 가정교육학의 사명을 수행하고자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캐나다 온타리오주의 가정과 교육과정에 Brown의 가정과 교육과정 관점 중 비판적 사고와 문제해결력을 길러 주체적으로 실천할 수 있게 하는 비판과학 관점의 교육과정이 반영되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각 영역별로 세 행동체계를 반영한 학습 과정은 다음과 같이 설계되어 있다. Fashion(의생활) 영역은 의류의 기능과 영향력, 장단점 등 의생활의 기초적인 개념 습득을 학습목표로 하고 있다. 의류 분야의 대표 3가지인 소재, 마케팅, 디자인 요소의 기본지식을 학습하는 기술적 행동을 기반으로 의생활 계획 등 개인의 태도와 가치관을 포함하는 의사소통적 행동을 통하여 개념의 이해도를 높였다. 환경 및 개성을 고려한 의생활 계획 및 실천 학습으로써 해방적 행동과 실천적인 의생활 학습과정을 유기적으로 통합하였다. 의류 및 액세서리 제작 기술은 난이도를 조절하며 점진적으로 기술력을 습득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Housing(주생활) 영역에서는 주택이 개인과 가족의 기본적인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방법, 주택 취득 및 유지 방법과 주거 디자인, 정비, 안전 예방 조치 등에 대한 지식 습득이 기술적 행동으로 제시되어 있다. 또한 주거의 과거와 현재 생활공간을 비교하여 인간의 요구를 어떻게 충족시키면서 진화했으며 캐나다에서뿐만 아니라 전 세계의 주택 수요와 선호도에 대한 비교 그리고 사회적 요인과 주택 관련 기술이 미래의 주택에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 설명하는 의사소통적 행동이 나타나 있다. Food and Nutrition(식생활) 영역에서는 영양소 지식 습득, 글로벌 음식문화의 이해, 조리법 시연과 같은 기술적 행동뿐만 아니라 영양 불균형과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을 분석하고 해석하는 의사소통적 행동을 통해 상호 이해 가능성과 고등사고 능력이 향상된다. 개인과 가족의 범위를 넘어 전 세계 수준에서 일어나는 식량부족, 환경, 영양 불균형의 문제 원인과 해결 방안을 제시하는 해방적 행동은 실천적 추론 능력과 비판 과학적 사고를 습득하여 사회참여를 가능하게 한다. General Family Studies, Raising and Caring for Children(가족생활) 영역에서는 인간 발달과 양육, 자립생활, 관계와 소통에 대한 이론적 지식을 학습하는 기술적 행동을 기반으로, 사회문화적 맥락에서의 영향을 분석하는 의사소통적 행동을 통해 가족과 관련된 실천적 문제를 해결하거나 사회문화적 구조 및 제도를 비판적으로 평가하는 등의 해방적 행동을 촉진하는 학습활동이 성취기준에 제시되어 있다. 기술적 행동을 기반으로 의사소통적, 해방적 행동을 통해 학습자들이 행복한 가족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유기적으로 학습과정이 설계되어 있다. 세 행동체계가 유기적으로 설계되어 있다는 것은 가정교과가 사회에서 요구하는 단순한 지식과 기술 습득을 넘어 자신과 가족을 변화시키고, 사회에 참여하여 사회를 주도적으로 이끌어갈 수 있는 임파워먼트(Empowerment)를 길러줄 수 있는 교과로의 가능성을 보여준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셋째, 중단원의 성격에 따라 각 단원의 학습에서 사용되는 주된 행동에는 차이가 있었다. Fashion(의생활)은 기술적 행동(68.5%)이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이어 의사소통적(24.2%), 해방적(7.3%) 행동 순으로 사용되었다. Housing(주 생활)은 기술적 행동(58.8%)이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이어 의사소통적(41.2%) 행동 순으로 사용되었다. Food and Nutrition(식생활)은 기술적 행동(47.2%)이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이어 의사소통적(34.6%), 해방적(18.2%) 행동 순으로 사용되었다. 의·식·주 단원은 개념과 지식 학습이 많은 내용 특성상 기술적 행동이 주를 이루었으며 예외적으로 식생활 중단원 ‘Food and Nutrition’과 ‘Nutrition and Health’는 각각 의사소통적 행동과 해방적 행동의 비중이 가장 높았다. 영양 문제 해결과 건강을 고려한 조리법 등 실천적 문제를 다루는 내용이 담겨있기 때문이다. General Family Studies, Raising and Caring for Children(가족생활)은 기술적(41%), 의사소통적(38.8%), 해방적(20.2%) 행동 순으로 사용되었다. 가족생활 영역에서는 의·주·식생활 영역에 비해 기술적 행동의 비중이 적고 의사소통적, 해방적 행동의 비중이 높게 나타났으나, 예외적으로 가족생활 중단원 ‘Human Development Throughout the Lifespan’, ‘Working with Infants and Young Children’, ‘Working with School-Age Children and Adolescents’ 단원에서는 발달 및 양육 이론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 기술적 행동의 비중이 가장 높았다. 전반적으로 이 단원에서 기술적 행동이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난 것은 미국의 교과서를 분석한 연구(Choi & Chae, 2020a)와 일치하는 결과이다. 이는 미국이나 우리나라에서 가정과교육의 시초가 재봉, 수예 등에서 시작하였고, 가정교과는 가정생활을 다루고 있는 교과로써 노동에 대한 관심에 상응하는 기술적 행동이 필수적인 것에서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Chae et al., 2024). 따라서 캐나다의 가정과교육도 이와 유사하게 기술적 행동이 많이 나타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교과서와 교육과정에 차이는 있겠지만 우리나라의 가정 교과서에는 해방적 행동과 관련된 활동이 별로 없다는 것, 미국의 가정 교과서보다 캐나다의 가정과 교육과정에서 해방적 행동의 비율이 2∼3배가량 더 많다는 것(Choi & Chae, 2020a)은 우리나라에서 비판과학 관점의 가정과 교육과정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현재보다 해방적 행동의 비중이 좀 더 많아야 한다는 시사점을 주고 있다.
넷째, 캐나다 온타리오주의 가정교과 성취기준은 9학년부터 12학년까지 각 영역별로 위계적인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의생활, 주생활, 식생활, 가족생활 각 영역에 속하는 단원에서 각 성취기준이 9~10학년의 실생활과 관련된 기초적인 내용에서부터 11~12학년에는 보다 심화된 내용으로 대학을 준비하거나 독립된 성인으로 사회에 나가기 위한 준비를 하기 위한 수준으로 제시되어 있다. 이로써 학습자의 수준과 특성을 고려한 성취기준을 선택하여 알맞은 기술적, 의사소통적, 해방적 행동을 기르고, 창의적이고 비판적인 사고 능력을 개발하여 높은 수준의 전공 프로그램을 준비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찾을 수 있다.
다섯째, 캐나다 온타리오주의 가정교과 성취기준이 매우 구체적으로 제시되어 있음을 볼 수 있었다. 연구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각 영역의 단원마다 성취기준이 적게는 30개에서부터 많게는 138개에 이르기까지 상세하게 제시되어 있다. 따라서 교사는 학습자의 상황과 수준, 학교와 지역사회의 자원 및 환경 등을 고려한 성취기준을 선택하여 학생들에게 목표로 하는 세 행동체계를 기르기 위한 교육을 할 수 있다. 앞에서 밝혔듯이, 성취기준은 교육의 목표와 방향을 안내하며 평가의 기준이 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이고 명확하며, 다양한 성취기준이 마련되었을 때 교사는 획일화되고 일방적인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을 벗어나 학습자의 요구와 교육상황에 맞추어 자유롭게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여 운영할 수 있을 것이다.
여섯째, 캐나다 온타리오주 가정교과 성취기준은 각 영역마다 개인의 생활과 밀접한 내용에서부터 지역사회와 국가, 그리고 전세계에 이르기까지의 사회적, 문화적, 경제적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의, 주, 식, 가족생활의 각 영역과 관련된 법과 정책, 사회 제도를 평가하는 내용을 다루고 있다. 그 예로써 식생활과 관련된 내용에서는 올바른 식품 준비 기술, 개인에 따른 최적의 건강을 달성하고 유지하기 위한 방법에서부터 캐나다를 넘어서 글로벌 수준에서의 빈곤과 식량 불안에 대처할 수 있는 행동이 무엇인지 생각하고 실천하게 하는 내용, 최적의 건강을 위한 식사 권장 프로그램과 정책을 평가하는 등의 내용을 기술적, 의사소통적, 해방적 행동을 기를 수 있도록 제시하였다. 이로써 캐나다 온타리오주에 가정과교육을 받은 학습자는 민주시민으로서의 역량을 길러 세계를 변화시킬 수 있는 주도적인 민주시민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될 것이다.
이 연구는 세 행동체계를 포함하고 있는 캐나다 온타리오주의 가정과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분석해 봄으로써 현장에서 가정과 학습목표와 활동과제 실행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는 우리나라 가정과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분석하여 비교하지 못한 제한점이 있다. 이에 후속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가정과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대한 세 행동체계 분석을 통해 현재 가정과 교육과정이 가정과교육의 사명을 수행하기에 충분한지, 각 단원의 성격 및 학습목표에 적합한 행동이 사용되고 있는지 분석해 볼 것을 제언한다. 또한, 캐나다 온타리오주 가정과 교육과정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 세 행동체계를 유기적으로 반영한 학습활동을 개발하는 교육과정 재구성 및 후속 연구로 이어지길 제언한다. 또 캐나다 온타리오주 가정과 교사를 면담하여 이성취기준이 교실현장에서 어떻게 실행되고 있는 지 교사의 경험에 대해 알아보는 현상학적 연구를 실행할 것을 제언한다.

Declaration of Conflicting Interests

The authors declare no conflict of interest with respect to the authorship or publication of this article.

Figure 1.
Research procedure.
her-62-4-731f1.jpg
Figure 2.
Classification of three systems of action in all areas of the family studies curriculum in Ontario.
her-62-4-731f2.jpg
Figure 3.
Classification of three systems of action by area of the family studies curriculum in Ontario.
her-62-4-731f3.jpg
Table 1.
Previous Studies on the Three Systems of Action in Home Economics Education
Area Research field Research object Contents of the research Research method Researcher (Year)
전 영역 개발 교육과정 및 내용체계 2009 개정 현행 가정과 교육과정의 소단원 수준에서 세 행동체계를 접목하여 내용체계 개발 내용분석 Ju와 Yoo (2016)
세 행동체계 척도 중·고등학생용 가정교과 세 행동체계 척도 개발 및 타당도 검증 문헌고찰, 설문지 분석 Choi (2023)
의생활 개발 프로그램 세 행동체계 기반 가정교과·의생활 자유학기제 프로그램과 수행 평가 개발 사례 연구 Jung과 Yu (2021)
주생활 분석 중학교 가정과 교사 중학교 가정과 교사가 인식하는 주생활 영역의 세 행동체계별 목 표 중요도 분석 설문지 분석 Lee와 Cho (2005)
식생활 분석 한국과 미국의 교과서 학습 목표와 활동 과제 우리나라와 미국의 고등학교 가정교과 식생활 단원을 세 행동체계를 기준으로 교과서의 학습 목표와 활동 과제를 비교 분석 내용분석 Choi와 Chae (2020a)
개발 교육과정 세 행동체계를 융합한 초·중·고등학교 가정교과 식생활 교육과정 성취기준 개발 Choi와 Chae (2020b)
실행 평가 중학생 세 행동체계를 융합한 중학교 가정교과 식생활 수업 실행 및 평가 사례 연구 Choi (2020)
가족생활 분석 중학교 가정과 교사 중학교 가정과 교사의 가족 가치관과 세 행동체계별 가족생활 영역 목표 요구도 파악 및 분석 설문지 분석 Oh와 Chae (2005)
Table 2.
Previous Studies on the Achievement Standards
Area Research field Research object Contents of the research Research method Researcher (Year)
전 영역 분석 한국, 미국 교육과정 미국 오레곤주, 오하이오주 중·고등학교 가정과 교육과정 비교 내용분석 Kim과 Yoo (2007)
한국, 미국 교육과정 실행 과정 중등학교 가정과 교육과정의 국제적 사례 비교 Kim 등 (2015)
미국 고등학교 교육과정 미국 미네소타 주 고등학교 가정과 선택 교육과정 사례 분석 Kim (2021a)
고등학교 학습목표 및 성취기준 Bloom의 신교육목표 분류체계 준거 2007 개정 10학년 교과서 6권, 성취기준 이차원적 분석(지식, 인지과정 차원) 문헌고찰 내용분석 Lee와 Yoo (2011)
중·고등학교 교육과정 성취기준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 준거 2015 개정 중·고등학교 가정 과 성취기준 분석 및 시사점 도출 Yang과 Lee (2018)
초·중·고 교육과정 성취기준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 준거 2015 개정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 초·중·고 성취기준 분석 Kim (2021)
중학교 교육과정 2015 개정 중학교 공통 교육과정에 제시된 기능, 성취기준을 가정과 교육과정과 비교분석 내용분석 Kim 등 (2021)
개발 초등 성취기준 및 평가기준 2015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 가정생활 분야 평가준거 성취기 준, 평가기준 개발 사례연구 Ryu (2017)
성취기준 중심 서술형 평가 문항 2015 개정 고등학교 가정과 교육과정 수업-평가 연계 서술형 평가 문항 개발 Yang과 Lee (2020)
식생활 개발 직업탐구영역 성취기준, 평가기준 고등학교 식품과 영양 과목 성취기준 및 평가기준, 활용가능한 예시 평가 도구 개발, 교육과정 운영의 내실화, 평가 기반 구축 사례연구 Jang 등 (2005)
주생활 분석 일본 중등학교 교과서 교육내용 일본 중·고등학교 가정 교과서 주생활영역 교육내용 분석 내용분석 Jang (2010)
가족생활 분석 한국, 미국 교육과정, 성취기준 미국 초·중·고 성취기준과 비교 내용분석 Kwon 등 (2013)
소비생활 분석 미국 중학교 내용요소 오하이오주, 미네소타주, 위스콘신주 중학교 가정과 교육과정 소비생활 영역 성취기준 수집, 소비자역량 내용분석 내용분석 Kim (2021b)
식·주·소비생활 분석 핀란드 역량 기반 교육과정 핀란드 역량 기반 중학교 교육과정 사례 분석 내용분석 Yang (2019)
식·가족생활 분석 호주 빅토리아주 교육과정 호주 빅토리아주 고등학교 가정과 교육과정 분석 내용분석 Yu (2020)
인터뷰
개발 가사·실업계 고등학교 전문교과 성취기준 및 평가기준 200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신설 직업탐구영역 가사실업계 고등학교 전문교과(인간발달, 식품과 영양) 절대평가 기준 개발 사례연구 Wang (2004)
Table 3.
Analysis Criteria for Three Systems of Action
Technical action Communicative action Emancipative action
• 노동 행위 • 학습자 사이 또는 학습자와 교사 간의 상호작용 행위 • 사회에 만연하는 이데올로기 비판과 시정
• 생산적인 활동 • 인문·사회과학적인 개념이나 의미를 이해하여 설명 또는 발표 • 사회구조와 지배적인 관점에 대한 비판
• 자연과학적 방법 • 역사, 문화, 가치, 의미나 개념을 이해하고 해석 • 왜곡된 자기에 대한 성찰과 반성
• 목적을 위한 수단이나 방법 • 의사소통의 깊이와 폭 증대에 중점 • 비판적 조사
• 지식, 사실, 조작적 기능에 중점 • 상호 이해의 가능성을 확장하는 내용 • 사회 비판과 사회참여 활동
• 시범을 보이거나 실험을 한 내용 • 토론, 역할극, 인터뷰, 사례 연구를 통한 학습 • 환경에 대한 책임
• 이미 밝혀진 정보 텍스트를 조사하거나(정보 찾기) 단순히 문서화하는 것 • 사실에 대한 이유나 전제 조건에 대한 질문
• 자연과학적 원리나 개념 숙지 또는 암기나 지식 습득과 학습 • 목표를 설정하고 적용하여 평가하는 활동
• 결과 종합하고 결론을 내림
• 실천적 추론을 통해 최선의 해결 방안 탐색이나 전략 세움

Source: Choi & Chae (2020a). 113쪽 재구성

Table 4.
The Ratio of Learning Goals and Activity Tasks According to the Three Systems of Action N (%)
Area Great unit Intermediate unit Grade [Course] Technical action Communicative action Emancipative action Total
의생활 Fashion Clothing 10 [Open] 23 (60.5) 12 (31.6) 3 (7.9) 38 (100)
Understanding Fashion 11 [Coll. prep.] 28 (65.1) 11 (25.6) 4 (9.3) 43 (100)
The World of Fashion 12 [Univ./Coll. prep.] 34 (79.1) 7 (16.3) 2 (4.6) 43 (100)
소계 85 (68.5) 30 (24.2) 9 (7.3) 124 (100)
주생활 Housing Housing and Home Design 12 [Univ./Coll. prep.] 30 (58.8) 21 (41.2) 0 (0) 51 (100)
소계 30 (58.8) 21 (41.2) 0 (0) 51 (100)
식생활 Food and Nutrition Food and Nutrition 9,10 [Open] 48 (66.7) 21 (29.2) 3 (4.1) 72 (100)
Food and Culture 11 [Univ./Coll. prep.] 31 (53.4) 27 (46.6) 0 (0) 58 (100)
11 [Workplace prep.] 41 (68.3) 19 (31.7) 0 (0) 60 (100)
Nutrition and Health 12 [Coll. prep.] 45 (32.6) 48 (34.8) 45 (32.6) 138 (100)
12 [Univ. prep.] 18 (34) 15 (28.3) 20 (37.7) 53 (100)
Food and Healthy Living 12 [Workplace prep.] 11 (36.7) 12 (40) 7 (23.3) 30 (100)
소계 194 (47.2) 142 (34.6) 75 (18.2) 411 (100)
가족 생활 General Family Studies Dynamic of Human Relationships 11 [Open] 26 (34.2) 36 (47.3) 14 (18.4) 76 (100)
Families in Canada 12 [Univ./Coll. prep.] 14 (29.7) 25 (53.1) 8 (17.0) 47 (100)
Human Development throughout the Lifespan 12 [Open] 39 (7.5) 12 (22.6) 2 (3.7) 53 (100)
Personal Life Management 12 [Open] 29 (41.4) 33 (47.1) 8 (11.5) 70 (100)
소계 108 (43.9) 106 (43.1) 32 (13.0) 246 (100)
Raising and Caring for Children Working with Infants and Young Children 11 [Coll. prep.] 33 (49.2) 17 (25.4) 17 (25.4) 67 (100)
Raising Healthy Children 11 [Open] 20 (27.4) 28 (38.4) 25 (34.2) 73 (100)
Working with School-Age Children and Adolescents 12 [Coll. prep.] 23(36.5) 23 (36.5) 17 (27.0) 63 (100)
소계 76 (37.4) 68 (33.5) 59 (29.1) 203 (100)
합 계 493 (47.6) 367 (35.5) 175 (16.9) 1,035 (100)

Note. Open은 교양, Coll. prep.은 전문대 준비, Univ. prep.은 대학 준비, Workplace prep.은 직업 준비를 의미함.

Table 5.
Contents of Fashion Units According to the Three Systems of Action
중단원명 행동체계 성취기준 내용
의복 기술적 행동 의류의 섬유 종류와 디자인 요소 종류의 특징을 학습하고 기능, 영향력을 파악하여 품질 및 적합성 평가를 위한 기준을 설계한다.
의사소통적 행동 개인의 의복 결정 변화에 대한 다양한 기준을 제시하고 그 기준이 개인의 의류 및 액세서리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여 설명한다.
해방적 행동 의류의 외관을 유지하고 수명을 연장하기 위해 환경적으로 책임 있는 관리 방법을 제시한다.
패션 이해(Understanding Fashion) 기술적 행동 다양한 의복, 스타일의 문화적 정체성을 표현하는 방법과 미디어가 패션산업과 개인의 패션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방식을 알고 패션 제품에 적용되는 디자인의 요소와 원리를 식별하는 기술을 사용한다.
의사소통적 행동 사회적 요인이 패션 트렌드 및 주기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 소비자가 정보에 입각한 책임감 있는 패션 구매를 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이해하여 설명한다.
해방적 행동 사회 문제 인식을 높이는 패션 프로모션 및 제품 분석 후 다양한 섬유 및 직물의 기본 특성과 다양한 패션 제품의 적절한 직물 선택 시 환경에 도움이 되도록 책임 있는 행동을 한다.
패션의 세계(The World of Fashion) 기술적 행동 주요 기술 개발이 패션산업에 미치는 중요성을 분석하고 패션산업의 세계화와 관련된 개념을 학습한다.
의사소통적 행동 주요 기술 개발이 패션산업에 미치는 중요성을 분석하여 소비자가 사회적으로 책임감 있는 패션 선택을 하기 위해 채택할 수 있는 방법을 이해하여 설명한다.
해방적 행동 패션산업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기 위한 실천 사항을 계획한다.
Table 6.
Contents of Housing Units According to the Three Systems of Action
중단원명 행동체계 성취기준 내용
주택 및 홈 디자인 (Housing and Home Design) 기술적 행동 주택은 기본 욕구를 충족시키며, 주거 불안정은 개인의 건강과 사회적 유대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학습한다. 생애주기와 사회적 요인에 따라 주거 환경과 설계가 달라지며, 자원을 보존하는 인식이 주택 결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학습한다.
의사소통적 행동 역사적 생활공간은 기능성과 가족 중심, 현대적 생활공간은 기술적 혁신과 친환경성을 중시하며 개인의 가치와 라이프 스타일에 따라 주거 욕구가 달라지고, 캐나다와 세계 각지에서 주택 수요는 지역적 요인에 의해 다르게 나타나는 사실을 이해하여 설명한다.
Table 7.
Contents of Food and Nutrition Units According to the Three Systems of Action
중단원명 행동체계 성취기준 내용
식품과 영양(Food and Nutrition) {9,10(open)} 기술적 행동 캐나다 식품 가이드를 통해 균형 잡힌 식단, 다양한 식품 섭취, 식물성 식품 섭취 강조, 물을 주요 음료로 섭취해야 함을 학습한다. 식품 그룹에 따라 1인분 양이 다르게 권장됨을 파악한다.
의사소통적 행동 식품과 영양에 관한 연구와 정책 평가를 통해 건강과 환경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방법을 이해하여 설명한다.
해방적 행동 자신의 식사 패턴을 평가하고 개인별 식사 계획을 수립하여 최적의 신체 건강을 달성하는 실천 방안을 계획한다. 음식 이 긍정적인 신체 이미지와 건강한 태도를 어떻게 형성하는지를 평가하고 실천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식품과 문화(Food and Culture) {11(Univ./Coll. prep.)} 기술적 행동 안전하게 식사를 준비하는 능력을 갖춘 요리 전문가의 역량과 지식을 학습한다.
의사소통적 행동 다양한 문화적, 사회적 요인이 음식 선택과 관련된다는 점을 이해한다. 글로벌 음식 문화와 안전한 식품 준비의 복잡성 을 이해하는 능력을 설명한다.
식품과 문화(Food and Culture) {11(Workplace prep.)} 기술적 행동 문화적 다양성을 존중하고, 다양한 국가의 음식을 안전하고 전문적인 방법으로 계획하고, 준비, 관리하는 요리 기술을 제시한다.
의사소통적 행동 다양한 국가와 문화의 식품 가이드, 지리적 영향, 식습관의 차이를 비교하고 설명한다.
영양과 건강(Nutrition and Health) {12 (Univ. prep.)} 기술적 행동 영양소 기능과 에너지 균형 및 소화 과정의 개념과 원리를 이해한다. 캐나다 식품 가이드를 참조하여 일반적인 사람들 의 영양과 기호에 맞는 음식을 계획하며 안전하고 위생적인 재료 준비와 정확하고 올바른 조리법을 시연한다.
의사소통적 행동 다양한 식습관이 형성되는 문화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해석한다. 새롭게 떠오르는 식품과 영양 관련 제품 및 서비스 를 분석한다. 지역의 다양한 경제적, 사회적, 정치적, 법률적 요인과 식량 공급 및 생산 사이의 관계를 비교 분석한다. 지역사회 내 주민들에게 다양한 사회적, 문화적, 경제적 요인이 영양 불평등에 어떻게 그리고 왜 기여하는지 파악한다.
해방적 행동 소비자의 식품 선택이 환경, 지역 및 세계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며 지역 및 글로벌 수준에서 식량 불안에 대처할 수 있는 행동을 제시한다.
영양과 건강(Nutrition and Health) {11 (Coll. prep.)} 기술적 행동 시간 변화에 따른 캐나다 식품 가이드의 발전을 학습한다. 특정 질병을 앓고 있는 사람들의 영양과 필요한 식이요법 요 구사항을 학습한다. 사회적, 정서적 특정 조건과 질병을 유발할 수 있는 해로운 식습관 사이의 관계를 학습한다.
의사소통적 행동 다양한 농업 동향과 식품 생산기술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해석한다. 특정 질병이나 상황에 적합한 식이요법을 조율하 여 반영하는 방법을 이해하여 설명한다.
해방적 행동 지역사회를 넘어서 캐나다 및 전 세계 사람들의 열악한 영양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요인을 발견하고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식품과 건강한 생활(Food and Healthy Living) 기술적 행동 영양과 건강을 고려한 조리법을 계획한 후 캐나다 식품 가이드의 주요 권장 사항과 제공량을 바탕으로 안전하고 올바르 게 조리하는 능력을 기른다. 식품산업과 관련된 직업 종류와 지식 및 기술에 대해 학습한다.
의사소통적 행동 대량 구입 재료와 남은 음식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을 이해하여 설명한다. 가정에서 음식물 쓰레기와 과잉 포장을 줄이는 방법 등 식품 구매 시 효율성과 경제성을 고려하는 방법을 이해하여 제시한다. 식품산업에서 고용 확보와 유지 에 기여하는 장단기 방법을 조사하여 제시하고, 경력 향상을 위해 주도성, 끈기, 동기가 중요한 이유를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해방적 행동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오늘날의 문제와 추세를 분석하고 평가한다. 구매를 장려하는 마케팅과 홍보물 속 영양 강조 표 시에 대한 신뢰성을 평가한다. 식품선택 시 환경적으로 책임있는 자세와 실천 방안을 제시한다.
Table 8.
Contents of the General Family Studies and the Raising and Caring for Children Units According to the Three Systems of Action
중단원명 행동체계 성취기준 내용
인간관계의 역학(Dynamic of Human Relationships) 기술적 행동 의사소통과 의사결정 관련 이론을 학습하고 대인관계에서 갈등을 유발하는 요소와 갈등이 발생하는 과정, 갈등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다양한 접근법을 학습하고 건강한 관계를 구축하고 유지하는 전략 및 기술을 학습한다.
의사소통적 행동 자아 개념과 자아존중감이 정신건강과 건강한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여 설명하고 자아존중감을 향상하기 위한 방법을 탐구함으로써 인간 상호작용의 질을 향상시키는 가치과 태도를 분석하고 설명한다.
해방적 행동 평생 동안 개인의 행복을 유지하기 위해 다양한 관계에서 의사결정 과정을 효과적으로 적용하고 권리 침해에 근거하거 나 권력 불균형을 수반하는 갈등 상황을 비판한다. 건강한 관계를 촉진하기 위한 사회적 행동 계획의 효과를 평가하고 정책을 설계하고 실행한다.
캐나다의 가족(Families in Canada) 기술적 행동 전 생애 발달에 대한 다양한 이론을 학습한다.
친밀한 관계의 발달과 친밀한 관계에서 폭력과 학대를 피하는 방법, 다양한 문화에서의 배우자 선택과 결혼 관습, 임신 및 출산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정보를 찾는다.
의사소통적 행동 사회적 규범과 기대가 친밀한 관계를 맺고 유지하는 데 미치는 영향, 친밀한 관계에서 역할을 협상하는 방법과 역할 간 차이를 다양한 사회적·역사적·민족문화적 맥락에서 분석한다. 친밀한 관계에 대한 현재의 사회적 추세, 이슈 및 앞으로의 연구 과제를 분석하여 해석한다.
가족 내에서 돌봄 책임이 수행되는 방식을 분석하고 해석한다.
가족의 기능과 관련된 현재의 사회적 추세, 이슈 및 앞으로의 연구 과제를 분석하여 해석한다.
해방적 행동 가족을 지원하고 보호하기 위한 정부 정책 및 법률을 평가한다.
사회적 제도가 전 생애에 걸쳐 개인의 사회화와 친밀한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평가한다.
전 생애에 걸친 인간발달(Human Development throughout the Lifespan) 기술적 행동 구조주의, 정보 처리·학습, 체계적·인문학적 관점에 따른 인간 발달 이론을 학습한다. 다양한 삶의 단계에서 건강한 발달에 대한 위협에 대해 학습한다.
신체 발달, 인지 발달, 도덕성 발달, 애착에 관한 이론 및 전 생애에 걸친 언어 습득과 발달, 정서 발달, 정체성 형성 과정을 학습한다.
의사소통적 행동 사회적 상호작용 및 환경이 지능, 성격, 정서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해석한다.
개인 생활 관리(Personal Life Management) 기술적 행동 청소년기 이후 자립생활에 필요한 관계 맺기와 생활 관리 내용을 주제로 의사소통 구성요소와 기술, 장벽이 되는 요소를 학습한다. 금융관리 전략과 식사, 의복 관리 기술 시범을 보이며, 개인 기술과 관심을 활용한 직업탐색 및 직장생활 관련 사항을 서술한다.
의사소통적 행동 갈등 해결에 효과적인 의사소통 방식을 적용하고, 책임 있는 자립생활 방법과 인적 자원 네트워크 구축의 중요성을 설명한다. 개인 목표 달성을 위한 노력과 직장 내 여러 가지 윤리 사항의 중요성을 설명한다.
해방적 행동 소통 시 문화적 인식과 이해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적절한 의사소통 효과를 평가하며, 개인의 재정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내·외부적 요인을 분석하고 평가한다.
영유아 및 아동과 함께 일하기(Working with Infants and Young Children) 기술적 행동 출생부터 6세 사이 아동의 발달 사항 및 주요 이론을 설명하고, 캐나다 보건부에서 제시한 해당 시기 아동의 영양 및 신체활동, 안전 사항에 관한 법적 요구사항을 인식한다. 영유아의 건강한 발달을 위한 보육 방법과 의사소통 기술, 아동 방임 및 학대 지표, 영유아 관련 직업 기술 및 법적 요구사항을 서술한다.
의사소통적 행동 다양한 아동 발달 이론의 적용 방법을 이해하고, 어린 시절 환경 요인이 생애 후기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한다. 다양한 지역 및 국제규정에 제시된 유아교육자의 책임과 전문성 개발의 중요성, 방임 및 학대 요인과 관련 종사자들의 개 입의무 및 절차를 설명한다.
영유아 발달과 가족, 지역사회, 문화의 연관성을 이해하여 설명한다.
해방적 행동 영유아와 가족에 대한 관점 분석 및 사회편견을 서술한다. 영유아를 위한 건강한 돌봄, 방임과 학대 예측·예방 전략, 안전하고 편견 없는 환경조성과 활동 전략을 사용하고 아이들과 함께 일한 경험을 평가한다.
건강한 자녀양육(Raising Healthy Children) 기술적 행동 임신 및 태아 발달, 출산을 생물학적으로 설명하고, 다양한 피임 및 성병 예방 방법의 효과를 학습한다. 영유아의 발달 향상과 건강을 위한 부모의 전략과 능력을 서술하고 생활방식과 관계 변화를 학습한다. 지역사회의 산전·산후 관리 및 지원 프로그램과 시설을 정의한다.
의사소통적 행동 임신에서 6세까지의 발달이 생애 후기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고, 다양한 양육 방식과 영향을 평가하여 긍정적인 양육 전략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실제 환경에서 다양한 연령대 아이들이 가능한 기능과 행동을 설명하며, 방임 또는 학대 징후, 관련 법률을 이해한다.
부모가 되는 이유를 서술하고, 자녀양육 시 건강하고 지지적 관계 형성의 중요성을 설명하며 문화와 가족 전통이 자녀 에게 전달되고 양육에 영향을 미치는 방식을 설명한다.
부모됨의 결정 요소, 유엔 아동권리협약에 명시된 부모의 책임을 이해하여 설명한다.
해방적 행동 지역사회 산전 및 산후 관리, 지원 프로그램과 시설, 어린이와 가족 지원 프로그램, 지역사회 지원 접근 장벽을 평가한 다. 10대 부모 문제와 특별한 어려움에 직면하는 가족 상황을 서술하고, 가족과 부모, 영유아에 대한 개인의 이해와 편견, 경험 평가 및 개선점을 제시한다.
학령기 아동 및 청소년과 함께 일하기(Working with School-Age Children and Adolescents) 기술적 행동 학령기 아동·청소년의 발달 사항 및 주요 이론, 성장 발달을 촉진하는 보육환경의 조건, 신체적 안전 환경의 법적 사항 및 아동 방임과 학대 지표를 정의하고, 관련 직업에 관한 교육과 윤리 강령을 학습하고, 관찰 연구 기술을 서술하고 사 용한다.
의사소통적 행동 아동·청소년 발달 이론의 실제상황 적용 방법을 이해하고, 건강한 사회·정서적 발달에 긍정적인 관계 경험이 미치는 영향을 설명한다. 다양한 지역, 국제규정에 설명된 관련 직업인의 책임과 필수기술, 전문성 개발의 중요성 이해, 방임 및 학대 요인, 관련 직업인들의 개입의무 및 절차를 이해하여 설명한다.
해방적 행동 학령기 아동·청소년의 건강한 식습관, 가치관 및 인성 함양 전략, 발달을 촉진하는 다양한 활동을 계획한다. 관련 업무 경험을 평가하고 개선점을 제시하며 관련 직업인의 구체적 문제와 해결 전략을 설명한다. 가족 지원을 제공하는 지역사회의 다양한 조직을 서술하고, 다양한 글로벌 과제가 아동·청소년의 삶에 미치는 영향, 편견 없고 다양성을 존중하는 환경조성 전략을 제시한다.

References

Arie Brand. (2000). The force of reason. DKS.

Brown, M. M. (1980). What is home economics education? University of Minnesota.

Brown, M. M., & Paolucci, B. (1979). Home economics: A definition. Washington D. C.: Americ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Chae, J. H., Park, M. J., Kim, S. K., & Han, J. (2024). Theory of home economics education. Kyomunsa.

Choi, S. Y. (2020). Evaluation of dietary life instruction in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by converging Habermas’s three systems of action.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58(4), 561-583. http://doi.org/10.6115/fer.2020.038
crossref
Choi, S. Y. (2023).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ree systems of action scale in home economics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5(3), 67-96. https://doi.org/10.19031/jkheea.2023.9.35.3.67
crossref
Choi, S. Y., & Chae, J. H. (2020a). A comparative study on Korean and American high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s based on Habermas's three systems of action: Focusing on the learning objectives and activities.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32(1), 107-125. http://doi.org/10.19031/jkheea.2020.03.32.1.107
crossref
Choi, S. Y., & Chae, J. H. (2020b). Development of dietary life curriculum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home economics that integrated Habermas’s three systems of action. Journal of Home Economics Education Research, 32(2), 117-139. http://doi.org/2020.06.32.2.117
crossref
Jang, M. H., Na, H. J., Min, K. H., Lee, H. Y., Pyo, J. S., & Ha, M. O. (2005). A study on development of achievement standards and assessment standards of vocational inquiry section for 2005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 Focus on food and nutrition subject in the field of home economics order.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7(2), 197-219.

Jang, S. O. (2010). Content analyses of housing unit of secondary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s in Japan.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2(4), 155-183.

Ju, S. E., & Yoo, T. M. (2016). Development of content structure focusing on three systems of action for the 2009 revised current home economics curriculum. Journal of Home Economics Education Research, 28(2), 1-19. http://doi.org/10.19031/jkheea.2016.06.28.2.1
crossref
Jung, H. J., & Yu, N. S. (2021). Development of a program and assessment in clothing section applying three systems of action in home economics education. Journal of New Horizons of Educational Research, 43(2), 43-68. https://doi.org/10.35510/JER.2021.43.2.43
crossref
Kim, E. J., Kwon, Y. J., & Lee, Y. J. (2015). A case study of the implementation mechanism of home economics curriculum in South Korea and the U.S.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7(3), 79-97.

Kim, E. K., Lee, Y. S., Gham, K, W., Cha, J. H., & Park, M. J. (2021). A comparative analysis of ‘function’ and ‘achievement standard’ presented in the 2015 revised middle school common curriculum and home economics curriculum.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33(1), 17-35. http://doi.org/10.19031/jkheea.2021.3.33.1.17
crossref
Kim, H. S., & Yoo, T. M. (2007). A comparative study of Korean home economic curriculum and American practical problem focused family & consumer sciences curricula.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9(4), 91-117.

Kim, K. H. (2009). The conceptual confusion of achievement standards and direction for developing achievement standards and evaluation standard in moral education. The Journal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12(3), 125-151. https://doi.org/10.29221/jce.2009.12.3.125
crossref
Kim, S. B. (2021a). A case study on high school family and consumer sciences curriculum in Minnesota, USA for the development of high school home economics electives.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39(1), 35-64. https://doi.org/10.15708/kscs.39.1.2
crossref
Kim, S. B. (2021b). Analysis of the content components of ‘consumer life’ area of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curriculum of the U.S.: Focusing on the states of Ohio, Minnesota, and Wisconsin. Journal of Home Economics Education Research, 33(4), 139-157. http://doi.org/10.19031/jkheea.2021.12.33.4.139
crossref
Kim, S. H. (2021). Analysis of the achievement standards on Bloom’s new taxonomy: Focusing on the 2015 revised practical arts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curriculum.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1(15), 837-849. https://doi.org/10.22251/jlcci.2021.21.15.837
crossref
Kwon, Y. J., Kim, E. J., & Lee, Y. J. (2013). A comparative analysis of South Korean and the U.S. home economics curricula and achievement standards.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5(4), 29-46.

Lee, G. S., & Yoo, T. M. (2011). Analysis of cognitive learning objectives in the 2007 home economics high school textbooks and achievement standards by the Anderson's 'revision of Bloom'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3(3), 53-68.

Lee, H. J., & Cho, J. S. (2005). Importance of objectives of housing unit in home economics by three systems of action of home economics teachers in middle school. Journal of Home Economics Education Research, 17(4), 117-131.

Lee, J. S., & Choi, S. E. (2021). An exploratory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in human development and family science for elective high school credit system. The Journal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24(4), 105-127. https://doi.org/10.29221/jce.2021.24.4.105
crossref
Ministry of Education. (2022). National curriculum for practical arts (technology·home economics)/informatics curriculum (2022-33).

Oh, Y. H., & Chae, J. H. (2005).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achers family value and needs on leaning objectives of family life area according to the three systems of action. Journal of Home Economics Education Research, 17(2), 239-255.

Ontario Ministry of Education. (2013). The Ontario curriculum grades 9 to 12: Social sciences and humanities. Retrieved March 3, 2024, from http://www.edu.gov.on.ca/eng/curriculum/secondary/ssciences.html

Ontario Ministry of Education. (2018). The Ontario curriculum grades 9 to 12: Course descriptions and prerequisites. Retrieved March 3, 2024, from http://www.edu.gov.on.ca/eng/document/curricul/secondary/descript/descri9e.pdf

Paik, N. J., & Ohn, J. D. (2021). Exploration of the ways to improve alignment between content and standards in the big idea-based curriculum: Focusing on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BC and Ontario.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39(1), 93-122. https://doi.org/10.15708/kscs.39.1.4
crossref
Ryu, S. H. (2017). Developing achievement standards of assessment criteria and assessment standards for family life classes in practical arts education.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30(2), 111-125. http://doi.org/10.24062/kpae.2017.30.2.111
crossref
Schubert, W. H. (1986). Curriculum: Perspective, paradigm and possibility. Macmillan.

Wang, S. S. (2004). A study on the method of developing achievement and assessment standards for the subject of 「Human development」, 「Food and nutrition」.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6(3), 81-98.

Yang, J. S. (2019). A case study on competence-based curriculum in finish secondary home economics curriculum.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31(4), 19-39. http://doi.org/10.19031/jkheea.2019.12.31.4.19
crossref
Yang, J. S., & Lee, G. S. (2018). Analysis of knowledge and competency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based on Anderson's revision of Bloom's taxonomy: Focused on achievement standard in the 2015 revised practical arts(technology·home economics).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30(3), 129-149. http://doi.org/10.19031/jkheea.2018.09.30.3.129
crossref
Yang, J. S., & Lee, G. S. (2020). Strengthening the instruction-assessment alignment: Development of items for essay-type assessment based on the achievement standards.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32(3), 135-159. http://doi.org/10.19031/jkheea.2020.09.32.3.135
crossref
Yu, N. S. (2020). Case study of home economics curriculum in Victoria Australia.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32(2), 19-42. http://doi.org/2020.06.32.2.19
crossref
Editorial Office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TEL : +82-2-561-6416, +82-2-561-6446    FAX : +82-2-562-2999    
E-mail : khea6416@daum.net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2014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Developed in M2P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