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Sitemap | Contact Us |  
top_img
Hum. Ecol. Res Search

CLOSE

Human Ecology Research > Volume 62(4); 2024 > Article
주거복지 전문인력의 지역사회자원 연계 과정과 업무 중요도 인식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erformance of housing welfare professionals in the process of community resource, the required competencies, and their perceptions of the community resource network tasks in permanent public rental housing. The research methods included conducting a focus group interview(FGI) with housing welfare professionals from six permanent public rental housing complexes and administering a survey research method to 71 housing welfare professionals nationwide.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Housing welfare professionals identified resources through information search, understanding institutions, and promotion in the community resource network process. They maintained and managed these resources through regular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linked appropriate resources within the network, and provided ongoing services through follow-up. They perceived that network linkage was crucial for delivering housing welfare services, with the highest recognition given to 'exploration and discovery' in the community resource network process.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지난 10년간 공공임대주택 수급자는 8.4% 증가하였으며 독거노인은 17.1%에서 37.3%로 118% 급증하였다(Korea Housing Management Co. Ltd., 2022a). 이와 함께 영구임대주택 입주자 중에는 조현병, 저장장애, 알콜중독 등 정신건강 문제를 가진 대상자가 많으며, 이들의 주거문제는 건강, 가족관계, 경제적 문제와 복합적으로 얽혀있는 경우가 빈번하다. 주거복지서비스의 근본적 목표인 대상자의 욕구 충족을 고려할 때, 단지 내 한정된 자원을 넘어 지역사회의 다양한 자원을 연계한 포괄적 서비스 제공이 필요하다.
지역사회자원 개발과 연계는 영구임대주택의 주거복지사들이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책무로(Chae & Jee, 2023), 그 역량은 주거복지업무 전달의 핵심 요소로 평가된다(Jee, 2023). 또한 주거복지 네트워크 구축 여부는 주거복지사의 업무 수행 역량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Lee, 2020). 지역사회자원 연계를 통해 지역 내 전문적인 자원 간 협력 관계망을 구축하고, 필요한 자원과 정보를 상호 교환함으로써 활용 가능한 자원의 최대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는 보다 효과적이고 지속 가능한 주거복지 실천을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영구임대주택 주거복지 전문인력들의 지역사회자원 연계 과정별 수행 방법과 필요 역량 그리고 업무 중요도에 대한 인식을 분석함으로써 포괄적 주거복지서비스 실천을 위한 지역사회자원과의 연계 활성화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 연구 내용

본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영구임대주택 주거복지 전문인력의 지역사회자원 연계 과정에서의 수행 방법이나 필요한 역량을 그룹 인터뷰를 통해 파악한다.
둘째, 영구임대주택 주거복지 전문인력의 지역사회자원 연계 과정별 업무에 대한 중요도 인식을 설문조사를 통해 양적으로 살펴본다.

이론적 배경

1. 주거복지 전문인력의 업무와 지역사회자원 연계 관련 선행 연구

영구임대주택 주거복지 전문인력의 업무에 관해서는 ‘찾아가는 마이홈센터’의 주거복지 전문인력의 직무나 역할 연구에서 다뤄졌다. Kwon 등(2020)은 주거복지 전문인력의 업무를 취약계층 주거실태조사, 주거취약계층 상담·발굴·연계·관리, 지역사회 주거복지 네트워크 구축, 정보제공, 주거위기세대 발굴, 주거생활서비스, 주거서비스 공간기획, 주거환경개선서비스, 주거약자주택개조지원, 주거복지교육, 주민역량강화, 홍보, 주거복지서비스 기획이라는 13개 유형으로 구분하였으며, Chae와 Jee (2023)는 주거복지사의 직무를 행정관리·문서관리, 상담 및 교육, 주거복지서비스 기획, 주거복지서비스 운영, 자원개발과 연계라는 4가지 책무로 구분하였다. 또한 업무의 가이드라인이자 교육자료로 활용되는 영구임대주택 주거복지 전문인력의 표준업무 매뉴얼(Korea Housing Management Co., Ltd., 2022b)에서는 주거복지 전문인력이 기본 업무로 입주자 주거복지 실태조사·분석·상담, 돌봄서비스를 수행하고, 협력·연계 업무로 지역 네트워크 구축 및 서비스 연계를 수행한다고 하였다.
이상에서 제시된 영구임대주택 주거복지 전문인력의 업무와 NCS의 주거서비스 지원 직무 13개 능력단위에서 공통 내용을 살펴보면 단지나 지역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주거복지 전문인력은 주거실태 조사, 상담, 주거복지서비스 제공 등의 주거복지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그리고 지역사회자원 연계 업무를 수행하며 주거복지서비스가 전달될 수 있도록 지역사회 안에서 자원을 조직·연계하여 전달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지역사회자원 연계는 지역사회 주거복지 네트워크 구축, 자원 개발과 연계, 협력·연계 업무 등으로 주거복지 관련 문헌에서 책무·업무 유형과 내용이 유사하지만 각 문헌마다 조금씩 다른 용어와 표현으로 기술되어 있다. 주거복지사의 지역사회자원 연계 업무에 관한 선행연구(Jee, 2023)에서 지역사회자원 연계는 지역사회의 공적자원과 민간자원 등을 협력·조정하는 것으로, 연계 자체가 서비스라기보다는 주거복지 서비스가 대상자에게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특징을 가진다. 그리고 주거복지 상담 및 지원, 특화사업 수행, 사례관리의 경우, 분야별 전문기관과 자원이나 서비스 연계로 사업을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현장에서도 주거복지 업무 수행 시 다양한 기관과 주거복지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지속적인 관계 유지를 중요시하며, 외부자원 발굴, 민관공 주거복지 네트워크 구축, 관리사무소와 협력체계 구축, 임차인대표회의 등과 정보 공유할 것을 교육하고 있다(Korea Housing Management Co., Ltd., 2022b). 이는 공공임대주택 주거복지 전문인력 재치 시범사업 연구(Kwon et al., 2020)에서도 제언하고 있는 연구결과이다.

2. 지역사회자원 연계의 개념과 과정

지역사회자원은 지역성을 바탕으로 인간의 다양한 생활적 욕구충족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활용되는 제도, 시설, 기관, 단체, 프로그램, 사람들의 지식, 기술, 정보 등을 포함하는 물적, 인적 그리고 정보의 제요소를 총칭하는 개념이다(Siporin, 1975). 연계는 개념은 사회복지 분야에서 네트워크(network), 협력(cooperation), 조정(coordination), 협동(collaboration)등 다양한 형태로 사용되며, 각기 다른 수준의 상호작용과 협력을 의미한다. 따라서 지역사회자원 연계란 주거복지서비스 대상자의 문제 해결을 목적으로 지역사회 내 유관 기관들과 공식적 및 비공식적 관계를 맺고 자원, 정보, 서비스 등을 공유하며, 프로그램을 기획하거나 실행하고, 사례관리를 진행하는 일련의 활동을 의미한다.
지역사회자원 간 연계의 단계적 접근은 ① 서로 친해지는 단계 ② 정보를 서로 주고받는 단계 ③ 협의가 발생하는 단계 ④ 의뢰가 발생하는 단계 ⑤ 협력을 통한 서비스의 계획과 조정이 발생하는 단계 ⑥ 동일기간에 협조적인 서비스가 발생하는 단계 ⑦ 책임을 조정하는 연결이 발생하는 단계로 본다(Lee, 2002).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자원 연계 과정을 주거복지 대상자의 문제 해결을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일련의 절차로, 다음 네 가지 단계로 구분하였다. 첫 번째 지역사회 내의 유관기관과 자원, 정보, 서비스 등을 ‘탐색·발굴’하여 두 번째, 이를 통합적으로 ‘활용·실행’해 나가며 세 번째, 지속적인 연계 구축을 위하여 ‘유지·관리’하며 네 번째, 연계한 지역사회서비스를 ‘평가 및 사후관리’하는 것이다. 이러한 지역사회자원 연계 과정은 포괄적이고 지속 가능한 주거복지 실천을 강화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로 작용한다.

연구방법

1. 조사대상 및 조사방법

본 연구는 영구임대주택의 주거복지 전문인력을 대상으로 두 가지 조사방법이 병행되었다. 지역사회자원 연계 과정별 주거복지사의 업무 중요도 인식을 살펴보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현장에서 얻을 수 있는 연계 과정별 수행 방법과 필요한 역량 등을 파악하기 위하여 전문가 그룹 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 : FGI)를 이용한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조사시기는 2024년 8월 한달 동안 이루어졌다.
첫째, 전문가 그룹 인터뷰(FGI)는 주거복지 전문인력 6명을 대상으로 지역사회자원 연계 과정에서의 수행 방법과 필요한 역량에 대하여 ZOOM으로 약 1시간 동안 진행되었다.
둘째, 설문조사를 통하여 71명의 주거복지 전문인력을 대상으로 지역사회자원 연계 과정별 업무 중요도 인식을 파악하였다. 설문조사는 주택관리공단 담당자의 협조를 받아 이메일로 배포되었으며 회신된 설문지를 바탕으로 IBM SPSS 22.0 (IBM Co., Armonk, NY)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2. 조사도구

인터뷰 조사의 도구는 문헌분석을 통해 구조화된 설문지로 진행하였으며 그 내용은 지역사회자원 연계 과정(탐색·발굴, 활용·실행, 유지·관리, 평가·사후관리)에서 수행방법과 요구되는 역량으로 구성되었다. 설문 조사지는 지역사회자원 연계 업무의 비중과, 중요성, 이에 대한 평가, 그리고 지역사회자원 연계 과정별 업무 중요도 인식으로 구성되었다. 특히 지역사회자원 연계 과정별 업무 중요도 인식은 Park 등(2012)의 연구와 Lee (2011)의 연구를 참고하여 주거복지 전문인력의 업무에 맞게 수정 및 보완하여 최종 19개의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각 문항은 5점 척도로 평가되었으며 설문지의 신뢰도는 신뢰도계수 0.93으로 높게 나타났다.

연구결과

1. 주거복지 전문인력의 지역사회자원 연계 과정과 방법

지역사회자원 연계 과정을 탐색·발굴, 활용·실행, 유지·관리, 평가·사후관리로 구분하고 각 과정에서의 수행 방법이나 필요한 역량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단지 특성

본 연구의 조사대상 영구임대주택 단지와 주거복지 전문인력의 특성은 Table 1과 같다. 영구임대주택 단지의 세대수는 1,191~2,357세대로 대단지이며 관리소의 주거복지팀장인 주거복지사 6인이 배치된 시기는 2019년 3명, 2022년 1명, 2023년 3명이다. 연령은 만 49∼58세로 평균 만 54세이며 40대 1명을 제외하고 대부분 50대이다. 성별은 남성 3명, 여성 3명이며, 월평균 소득은 330만원이다. 주거복지 관련 업무 경력은 2년 6개월∼5년 6개월으로 5년이상이 3명, 3∼4년이 2명, 3년이하가 1명이며 주거복지팀장을 맡기 이전 직책은 찾아가는마이홈센터장, 관리과장, 기술과장, 행정대리, 이주지원센터과장 등 다양하였다. 그리고 조사대상자는 주거복지사 자격증 외에 사회복지사, 요양보호사, 방화관리자, 가족상담사 등의 자격증을 보유하고 있다.

나. 탐색 및 발굴

주거복지 전문인력은 지역사회자원 연계 구축 초기 과정에 정보 탐색, 연계 가능 기관 파악, 홍보, 지역행사 참여, 정보 공유 등을 통해 연계 가능 자원과 기관을 파악하고 접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2참조). 대부분의 단지에서는 정보탐색을 하고 있으며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기관 홈페이지의 사업 정보, 사업 관련 기사, 소셜미디어와 온라인 플랫폼 정보를 검색하거나(B, D), 수요자원 파악 설문조사나 인터뷰 실시(D), 기관 실무자와의 만남이나 지역행사의 참여를 통해 정보를 탐색하였다(B, C, D, E, F). 홍보는 임대단지, 주거복지 전문인력 배치와 주거복지서비스에 대해 알리며 기관과 정보를 교환하고 연계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기도 하였다(A, C, E). 또한 기관 담당자와 만나거나(A, B, C,) 회의, 지역 모임, 소그룹 활동, 행사, 봉사에 참여하였으며(B, C, D, E, F). 주거복지 인력이 먼저 찾아가 홍보하고 인맥을 활용하는 방법을 사용하기도 하였다(E).

다. 활용 및 실행

주거복지 전문인력의 지역사회자원 연계 구축 단계 중 ‘활용 및 실행단계’에서 실행 방법과 필요한 역량은 Table 3과 같다. 지역사회자원 연계 실행 과정에서 주거복지 전문인력은 전문지식과 경험을 활용하며(A, B, F) 대상자, 그리고 기관·단체·개인 간에 필요자원을 판단하여 연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D, F). 이 과정에서 조사대상자는 필요한 자원을 판단하는 능력, 주거복지 정보 수집이나 관리 능력, 상담능력, 의사소통 능력, 문제나 갈등이 발생했을 때 해결할 수 있는 위기대처능력, 적극적 태도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아울러 주거복지 대상자의 지역사회자원 연계에 대한 반응을 조사한 결과, 입주민마다 성향 차이가 있지만 대체적으로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부기관의 방문에 적극적으로 반응하고(A, C) 홍보물품이나 작은 선물이 동반 지원될 경우 더욱 적극적으로 협조하는 경향을 보였으며(B, F), 자원연계로 위기 상황을 극복하고 스스로 변화하고자 하는 자립심이 생기는 것을 알 수 있다(C, D). 그러나 자원연계에 불만족한 경우에 관계가 틀어지거나 이후 외부기관 방문을 기피하는 반응도 나타났다(C, D).
지역사회의 기관 및 단체 등에서 협력 요청이 올 경우, 모든 조사대상 단지는 몇 가지 사항들을 검토한 후 적극적으로 협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A, B, C, D, E, F). 단지와 외부 기관과 연계할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무엇인지, 협력 내용이 입주민에게 적용 가능한 사업인지, 단지 내 복지관과 중복사업인지 등을 신중히 검토하고 확인한 후 문제되는 사항이 없을 경우 적극 협력하고 있다. 다양한 복지정보 교류와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는 좋은 기회로 생각하여 미리 만들어 놓은 기관소개서, 리플렛 등으로 홍보하며 적극 협력한다(A). 외부에서 요청하는 협력 사항이 단지 스스로 협력하기 힘든 경우는 관리소 혹은 권역팀 주거복지 전문 인력과 협력 가능성을 검토하기도 한다(D).

라. 유지 및 관리

주거복지 전문인력의 지역사회자원 연계를 ‘유지 및 관리단계’에서 그 방법에 대한 내용은 Table 4와 같다. 지역사회자원 연계를 유지·관리하는 과정에서 모든 단지는 유관기관과의 정기적인 만남이나 연락을 유지하고, 사례회의·간담회·회의 참여, 기관과 협업·공동 사업을 추진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A, B, C, D, E, F). 협력 기관과 MOU 체결을 통해 정기적인 협력관계를 구축하였다(A, D, E). 또한 A단지는 유관기관과 특화사업을 진행하는 데 입주민이 흥미를 갖고 참여하게 함으로써 연계 사업을 지속시키며. E단지의 경우 지역사회 위원으로 활동하고 마을행사, 회의, 봉사 등에 참여한다고 하였다. D단지에서는 연계 기관 간에 공동 목표와 역할 등을 설정하고 약속을 이행하는 것이 유지관리에 중요하다고 하였다.

마. 평가 및 사후관리

주거복지 전문인력의 지역사회자원 연계에 대한 ‘평가 및 사후 관리 방법’에 대한 내용은 Table 5와 같다. 단지 현황 조사에 의하면 사후관리는 모든 단지에서 저장강박세대 주거환경 개선 사업 후 시행되었다. 주거복지 전문인력은 대상자가 개선된 주거환경을 유지하고 정신적 어려움을 겪는 경우 필요한 도움을 제공하기 위해 주로 정신건강복지센터, LH, 행복지원센터, 복지관 등과 연계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A, B, C, D, E).
주거복지 전문인력은 대상자가 지역사회자원 연계를 통해 기존보다 나은 상황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공동체 모임이나 특화프로그램에 연계시키거나 다른 기관과 연계하며, 대상자의 현재 상태를 파악하고 추가 자원을 확인하거나 문제가 발생할 경우 다른 연계방법을 모색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대상자를 모니터링하고, 필요시 지역사회자원 연계를 안내·교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주거복지 전문인력의 지역사회자원 연계의 중요성과 연계 과정별 업무 중요도 인식

가.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본 조사대상의 일반적 특성은 Table 6과 같으며 전국 영구임대주택 단지에서 근무하는 주거복지 전문인력 71명으로 남자 38명, 여자 33명이다. 현재 직책은 주거복지를 담당하는 대리급 3명 외 대부분 주거복지팀장들이다. 연령은 40대(39.4%)와 50대(43.7%)가 대부분이며 학력은 대졸이 61.4%로 가장 많았다. 현 주거복지 전문인력으로 배치된 시점은 국토교통부와 LH의 공공 임대주택 주거복지 전문인력 배치사업으로 ‘찾아가는 마이홈센터’를 개소한 2019년(5명)과 이후 주택관리공단에서 전담하기 시작한 2020년(1명)과 2021년(1명), 2022년(3명)까지 순차적으로 배치된 15개소 중 10명이다. 나머지 61명은 2023년 전국의 111곳 영구임대주택에 주거복지 전문인력을 확대 배치하기 시작한 이후에 배치되었다. 조사대상자의 주거복지 관련 업무경력은 최소 7개월에서 최대 26년으로 편차가 큰 편이며 1년이하 29.6%, 2년 이하 32.4%이며 5년 이상은 11.5%으로 평균 4년정도이다. 이들의 평균 월소득 평균은 312만원이다.

나. 주거복지 전문인력의 지역사회자원 연계 업무 중요도

조사대상 주거복지 전문인력은 주거복지 업무에서 지역사회자원 연계 업무가 차지하는 비중은 5점 척도로 보았을 때 4.06으로 매우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사회자원 연계 업무의 중요성(4.92) 역시 매우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현재 단지에서 실행하고 있는 지역사회자원 연계 업무에 대한 스스로의 평가는 3.56으로 보통 이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Table 7참조).

다. 주거복지 전문인력의 지역사회자원 연계 과정별 업무 중요도 인식

지역사회자원 연계는 매우 복잡한 업무이면서 과정별로 진행되는 경향이 높은 업무이다. 이에 본 연구는 지역사회자원 연계 과정별로 구분하여 연계 업무의 중요도 인식을 5점척도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Table 8과 같다.
주거복지 전문인력은 지역사회자원 연계 과정 중 ‘탐색 및 발굴’(4.15)에 대한 인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활용 및 실행‘(3.96), ‘유지 및 관리’(3.96), 그리고 ‘평가 및 사후관리’(3.81) 순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지역사회자원 연계의 각 과정별 업무에 대한 중요도 인식은 각 3.47~4.51 수준으로 나타났다.
지역사회자원 연계 과정 중 가장 인식 수준이 높았던 ‘탐색 및 발굴’ 과정에서 내용별 순위를 살펴보면, ‘지역사회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단지·주거복지서비스에 대한 홍보’(4.35)에 대한 중요도 인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선행연구에서(Jee, 2023) 유관 기관 중 여러 복지기관의 사회복지사들이 주거복지사와 그 업무에 대한 이해도가 낮고 그 이유는 협업의 범위가 모호하다는 것과 프로그램이나 서비스가 중복되는 경우가 빈번하여 업무협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하였다. 홍보 다음으로 ‘대상자의 욕구 해결을 위해 다양한 자원연계를 시도’(4.25)하는 것을 매우 중요하게 인식하였으며 ‘지역사회자원의 새로운 프로그램과 활동에 관심’(4.18)과 ‘단지 내 자원 부족 시 새로운 지역사회자원 탐색 및 수집(4.11)도 매우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지역사회자원에 대한 서비스 내용 파악‘(3.87)도 중요한 업무로 인식하고 있었다.
지역사회자원 연계의 ‘활용 및 실행‘ 과정에서 주거복지 전문인력은 ‘지역사회 타 기관의 자원연계 요청에 대한 협조’(4.51)가 가장 중요한 업무로 나타났다. 이는 전체 업무 내용 중에서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업무이다. 다음으로 ‘대상자의 욕구를 해결할 수 없을 때 지역사회의 여러 기관 등에 협력을 요청’하여(4.32) 실행하는 것과 ‘주거복지 대상자의 문제 해결을 위해 외부전문가 집단, 네트워크 유관기관 등 지역사회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4.04)하는 것을 매우 중요한 업무로 인식하고 있었었다. 다음은 ‘지역사회자원 연계의 진행 절차 파악하는 것’(3.73)이 중요할뿐만 아니라 ‘대상자에 따라 지역사회자원 자원에 대한 전문적 판단이 가능’(3.65)하고 ‘지역사회지원 연계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예측’(3.49)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사회자원 연계의 ‘유지 및 관리’ 과정에서 주거복지 전문인력은 ‘지역사회자원 연계를 통해 프로그램 및 사례관리 등 지속적으로 진행’(4.14)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유관기관 담당자와 연락하며 비공식적 협력체계 구축’(4.03)하는 것과 ‘지역사회의 주거복지 관련 기관 모임(간담회, 사례 회의)에 참여’(4.01)하는 것 역시 매우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주거복지 대상자에게 그리고 ‘유관기관에 등록, 공모 신청, 협약 등 공식적 협력체계 구축’(3.86)하거나 ‘지역사회자원 연계 시 발생할 수 있는 어려움을 점검’(3.75)하는 것도 중요한 연계 업무로 인식하고 있었다.
지역사회자원 연계의 ‘평가 및 사후관리’ 과정에서 주거복지 전문인력은 ‘사례관리 후 대상자에게 후속 서비스와 관련된 지역사회자원을 연계’(3.62)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영구임대주택 주거복지 대상자 특성 상 주거환경 문제뿐만 아니라 건강·가족·경제적 문제로 복합적인 경우가 많아 사례관리를 통한 지속적인 상담, 교육, 돌봄 등의 후속 지원이 요구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앞서 인터뷰 조사에서 저장강박 주거환경 개선사업 이후에는 반드시 사후관리가 뒤따라야 문제가 반복되지 않는다고 하였다. 다음으로 ‘지역사회자원 연계를 통한 서비스에 대한 평가(3.59)와 연계 시 발생한 문제점에 대한 평가(3.47)도 보통이상으로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영구임대주택 단지에서 주거복지 전문인력의 지역사회자원 연계 구축 과정별 업무에 대한 중요도 인식을 설문조사하는 동시에 현장에서 연계 구축 과정과 방법에 대한 내용을 파악하고자 인터뷰 조사를 진행하여 향후 주거복지 전문인력의 지역사회자원 연계를 위한 시사점과 발전적인 방안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에 따른 지역사회자원 연계 과정별로 결론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사회자원 연계 과정에서 주거복지 전문인력은 탐색·발굴을 위해 정보 탐색, 기관 파악, 홍보, 조사, 지역행사 참여 등을 하였으며, 유지·관리하기 위하여 정기적인 만남, 소통, 회의 참여, 공동사업을 추진하고, 실행 과정에서 주거복지 전문지식과 경험을 활용하여 대상자에게 적합한 자원을 연계하며, 사후 관리로 정기적인 모니터링, 기관 연계, 대상자의 자조모임 참여 유도, 필요 시 추가 자원 연계나 새로운 방안을 모색하는 등 지역 및 단지 여건에 따라 다양한 자원 발굴과 접근 방법을 시도하였다. 지역사회자원 연계는 주거복지 전문인력의 주요 업무로 수행되며 영구임대주택에 주거복지 전문인력 배치가 6년이 경과한 시점에서 그동안 주거복지 전문인력의 축적된 경험과 역량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선행연구(Jee, 2023)에서 찾아가는 마이홈센터 주거복지사의 업무 중 지역사회자원 연계가 1순위로 중요하다고 응답하거나 대부분 3순위 내의 중요한 업무라고 응답한 것과 마찬가지 결과이다.
둘째, 지역사회자원 연계가 우수하게 실행되는 단지에서는 유관기관과의 업무 공유와 지역사회와의 관계가 적극적으로 유지되며, 연계 과정에서 주거복지 전문인력이 체계적인 관리 및 자원활용 능력을 발휘하고, 문제 발생 등의 상황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하는 능력을 공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선행연구(Jee, 2023)에 의하면 주거복지 전문인력이 배치되고 4년여의 시간이 지난 시점에는 기관에서 먼저 협업을 요청하고 사업을 진행하기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역사회자원 연계에서 주거복지 전문인력의 다양한 시도와 체계적인 접근, 협력 의지, 적극적 태도가 지역사회자원 연계를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데 중요한 요소임을 시사한다.
셋째, 지역사회자원 연계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전문지식이나 경험이 필요하며, 이러한 지식과 경험은 주거복지 전문인력 간의 정기적인 모임, 협력, 정보 공유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지역 단위의 주거복지 전문인력 모임이나 권역사업 등은 주거복지 전문인력의 역량을 강화하고, 정보 공유와 협력 문화를 조성하는 데 기여할 수 있으므로 주택관리공단 차원이나 지역 차원에서 교류의 장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넷째, 현재 영구임대주택에서 주거복지서비스와 지역사회자원 연계를 담당하는 부서는 주거복지팀이다. 그 구성원은 팀장 1인으로 주거복지 모든 업무를 담당하고 있어 주거복지 업무에 비해 인력이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현장 조사에서도 업무 부담 문제와 적정 업무 인원수로 2∼3명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되었다. 정책적으로 맞춤형 주거복지를 강화하는 상황에서 영구임대주택의 주거복지 전문인력은 일선에서 밀착형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볼 때 업무량, 사무실 상주 전담 및 주거환경조사 및 세대방문 상담 전담의 업무, 안전 등을 고려한 적정 인력 확보가 필요하다. 2020년 15곳의 공공임대주택에 주거복지 전문인력을 배치한 시범사업 이후, 2024년 현재 전국적으로 영구임대주택에 주거복지사가 111곳으로 확대 배치된 것은 고무적이다. 그러나 한 단지 내에서 업무를 담당하는 주거복지사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으로 인력 부족이 선결되지 않고는 지역사회자원 연계를 비롯한 주거복지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기대하기는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다섯째, 주거복지 전문인력은 연계 업무가 주거복지서비스 전달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이는 선행연구들의 결과를 뒷받침하고 있다. 지역사회자원 연계를 통한 대상자 중심의 통합적이고 지속적인 서비스 제공은 대상자의 만족도를 높이는 동시에 전달자인 주거복지 전문인력은 업무성취로 이어질 수 있다.
여섯째, 주거복지 전문인력은 지역사회 자원 연계 과정에서 ‘탐색 및 발굴’에 대한 인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는데 평소 지역사회의 유관 기관 및 프로그램에 대한 관심과 더불어, 연계를 위해 우선적으로 지역사회에 주거복지의 중요성을 홍보하는 것이 필수적임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계 업무 전반에서 '지역사회 타 기관의 자원 연계 요청에 대한 협조'에 대한 인식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실행 과정에서 타 기관과의 정보 및 프로그램 공유, 그리고 대상자에 대한 적극적인 관계 유지와 협조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이에 따라 주거복지 전문인력은 이러한 관계를 주도적으로 조정하고 유지할 수 있는 태도를 모색할 필요가 있다.

Declaration of Conflicting Interests

The author declares no conflict of interest with respect to the authorship or publication of this article.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and the Permanent Rental Apartment Complexes
단지 A B C D E F
단지 세대수 1,998 1,654 1,191 1,460 2,359 1,983
지역 서울 인천 경기 부산 대전 군산
배치 년도 2019 2023 2022 2023 2019 2019
주거복지 전문인력 나이 55 49 55 53 58 55
성별
복지관련 경력 5년 6개월 3년 3개월 2년 6개월 4년 5년 6개월 5년 6개월
자격증 주거복지사, 회복지사, 가족상담사 주거복지사 주거복지사, 사회복지사, 요양보호사 주거복지사, 사회복지사 주거복지사, 방화관리자 주거복지사
Table 2.
Finding and Netwarking Community Resources
단지 발굴 방법
A • 주거복지 전문인력과 임대단지 홍보
• 복지관의 사례관리팀, 지역사회서비스 팀과 접촉
• 주민센터의 동별 담당자 만남
• 공모 등을 확인 및 신청
B • 기관 홈페이지 사업 정보와 사업 관련 신문 기사 검색
• 지역사회보장협의체 가입 등 지역기관 위원 활동
• 기관 실무자들과 소통하며 지역자원 정보 공유
C • 지역사회의 네트워크 기관 및 연계 프로그램 조사
• 민간자원 발굴을 위해 네트워크 참여
• 지역 내 모임, 조직, 소그룹 활동 참여로 주거복지 전문인력과 업무 홍보
D • 수요자원 파악 설문조사와 인터뷰로 정보 탐색
• 복지 관련 박람회, 행사 등에 참여로 정보 습득
• 소셜미디어, 온라인 플랫폼 등에서 자원·정보 수집 및 공유
• 권역 주거복지사, 사례관리 기관과 소통하여 자원과 정보 공유
E • 먼저 다가가기, 주거복지 전문인력 홍보
• 지역 내 자원 확인
• 관련 단체 가입, 지역회의 참여, 지역행사 및 봉사 참여
F • 유관기관 회의와 행사 참여로 자원 발굴
• 온라인 플랫홈과 미디어로 자원과 연계 가능 기관 조사
• 기관과 관계 구축 후 연계하여 정보 공유
Table 3.
Application and Implementation
단지 실행 방법과 필요한 역량
A • 주거복지 전문인력의 상담 능력과 지역사회자원 연계 전문지식 활용
• 주거복지 정보 수집 및 관리 능력
• 기관 담당자와 관계 유지할 수 있는 의사소통 능력
B • 지역사회자원 연계에 대한 전문지식과 경험
• 주거복지사 개인의 역량 강화 노력
C • 지역사회 네트워크에 적극 참여하고 협력
• 정보 부족으로 인한 문제 발생 시 해결하려는 적극적인 태도
D • 필요 자원과 지역사회 자원을 분석하고 연계 전략을 세움
• 기관. 단체, 개인들과의 네트워크에서 필요한 자원을 연결
• 자원과 활동을 관리·조직할 수 있는 능력
• 위기대처 능력, 원활하게 협력할 수 있도록 의사소통 능력
E • 나부터 희생한다는 생각을 가짐
• 지역· 기관 행사에 인적 물적 자원을 지원하고 필요할 때 도움을 받음
F • 대상자 요구에 필요한 자원 연계를 판단
• 대상자에게 해당 자원이 도움이 되는지 확인
• 대상자의 욕구를 판단할 수 있는 상담 역량
Table 4.
Maintenance and Management
단지 유지관리 방법
A • MOU 체결
• 기관 간담회, 사례관리 회의 등 정기적인 만남 유지
• 입주민 요구에 맞는 기관 연계 특화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운영
B • 기관 실무자들과의 소통
• 주민들이 프로그램과 기관 지원 자원에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유도
C • 결속력을 가질 수 있도록 기관과 자원공유
• 기관과 서비스 연결
D • 기관과 정기적인 회의, 전화, 메일 등으로 지속적 소통
• 투명한 정보 공유, 약속이행, 공통 목표를 설정하고 달성 계획을 수립
• MOU 체결, 각 기관의 역할과 책임을 설정
E • 수시로 유선 업무 공유, MOU 체결,
• 주민자치위원회 및 지역사회보장협의체 가입
• 마을행사, 회의, 봉사에 참여 및 홍보
F • 기관과 정기적인 간담회 및 사업내용 공유, 사례관리 검토
• 입주민 특성에 맞는 프로그램 연계와 지속화 추진
• 기관 담당자와 유기적인 관계 유지
• 유관기관·단체와 협약 체결
Table 5.
Follow-up Management
단지 사후관리 방법
A • 저장강박세대 주거환경개선 후 정신건강복지센터 연계와 약 복용 및 정신건강 모니터링
• 자조모임, 입주민활동가 접촉을 통한 모니터링(주민이 주민을 케어)
• 특화프로그램 참여를 유도하고 정기적인 모니터링
B • 저장강박세대 주거환경개선 후 정기적인 모니터링
• 입주민 서로 모니터링하는 프로그램이 필요
• 지역 유관기관과 통합사례관리 진행
C • 저장강박의심세대 사례관리 종결 후 병원동행서비스, 노인복지센터 등에 연계
D • 대상자의 현재 상태를 파악하고 필요한 추가 자원(의료, 교육, 고용 등)을 확인
• 사후관리 과정을 정기적으로 평가하고 서비스의 질을 개선
• 대상자에게 필요한 정보과 교육, 사회적 연계를 강화
• 온라인플랫폼이나 소셜미디어 등을 활용하여 대상자와 소통 및 자원연계 효율화
E • 저장강박세대 주거환경개선 후 LH에 이주지원, 행정복지센터 사례관리비용 요청하여 가전제품 지원, 정신건강복지센터에 약물관리, 주기적 방문 지원, 증세가 심할 경우 파출소에 긴급입원 및 행정입원 지원, 복지관에 우울증 및 자살예방 프로그램 지원 요청
F • 복지관과 협업하여 대상자에 대한 주기적인 모니터링 실시
• 대상자의 상황 변화에 대응하고 연계 기관과 상호 공유가 필요함.
• 문제 발생 시 내용 파악과 다른 연계 방법 모색
Table 6.
Characteristic of Survey Subjects (N =71)
내용 빈도
성별 38 (53.5)
33 (46.5)
학력 고졸 20 (28.6)
대졸 43 (61.4)
대학원졸 5 (7.1)
기타 2 (2.9)
연령 30대 11 (15.5)
40대 28 (39.4)
50대 31 (43.7)
60대 1 (1.4)
배치 연도 2019년 5 (7.0)
2020년 1 (1.4)
2021년 1 (1.4)
2022년 3 (4.2)
2023년 54 (76.1)
2024년 7 (9.9)
복지 관련 업무 경력 1년이하 21 (29.6)
2년이하 23 (32.4)
5년이하 11 (15.5)
5.1년이상 16 (22.5)
Table 7.
Importance of Community Resource Network Tasks
교과서 평균 표준편차
업무 중 지역사회자원 연계 비중 4.06 .93
지역사회자원 연계의 중요성 4.92 .28
지역사회자원 연계에 대한 평가 3.56 86

Note. 5점 척도

Table 8.
Perceptions of Tasks in the Community Resource Network Process
연계 과정 내용 평균 표준편차 전체 평균
탐색 및 발굴 지역사회자원에 대한 서비스 내용 파악 3.87 .76 4.15
자원 부족 시 새로운 지역사회자원 탐색 및 수집 4.11 .75
대상자의 욕구 해결을 위해 다양한 자원연계 시도 4.25 .55
지역사회자원의 새로운 프로그램과 활동에 관심 4.18 .76
지역사회 네트워크 구축하기 위해 우리 단지와 주거복지서비스 홍보 4.35 .72
활용 및 실행 대상자의 욕구를 해결할 수 없을 때 지역사회의 여러 기관 등에 협력 요청 4.32 .63 3.96
대상자에 따라 지역사회자원 자원에 대한 전문적 판단 가능 3.65 .80
대상자의 문제해결을 위해 지역사회자원 연계의 진행 절차 파악 3.73 .72
지역사회지원 연계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 예측 3.49 .77
대상자의 문제 해결을 위한 외부전문가집단, 네트워크 유관기관 등 지역사회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 4.04 .78
지역사회 타 기관의 자원연계 요청에 대한 협조 4.51 .65
유지 및 관리 지역사회의 주거복지 관련 기관 모임(간담회, 사례 회의) 참여 4.01 1.02 3.96
유관기관에 등록, 공모 신청, 협약 등 공식적 협력체계 구축 3.86 .92
유관기관 담당자와 연락하며 비공식적 협력체계 구축 4.03 .83
지역사회자원 연계를 통해 프로그램 및 사례관리 등 지속적으로 진행 4.14 .68
지역사회자원 연계 시 발생할 수 있는 어려움 점검 3.75 .82
평가 및 사후관리 지역사회자원 연계를 통한 서비스에 대한 평가 3.59 .77 3.62
자원 연계 시에 발생한 문제점 평가 3.47 .81
사례관리 후 대상자에게 후속 서비스와 관련된 지역사회자원 연계 3.81 .79

Note. 5점 척도

References

Chae, H. W., & Jee, E. Y. (2023). A Study on Development of the Job Components and the Competency Indicators for housing Welfare Professional in On-site Myhome Center. Journal of the Korea Housing Association, 34(1), 45-54. http://doi.org/10.6107/JKHA.2023.34.1.045
crossref
Jee, E. Y. (2023). Revitalization Plan and Actual Condition of Community Resources Network in ‘On-site Myhome Center’. Journal of the Human Ecology, 27(3), 157-166. http://doi.org/10.6107/JKHA.2024.35.1.037
crossref
Korea Housing Management. (2022a). Internal data. Introduction Training for Housing Welfare Professionals.

Korea Housing Management. (2022b). The Standard Operating Manual for Permanent Rental Housing Welfare Professional. Jinju: Korea Housing Management Co., Ltd.

Kwon, O. J., Choi, B. S., Chae, H. W., & Jee, E. Y. (2020). A study on evaluation of pilot project of housing welfare professional placement in public rental housing. Korean Housing Association.

Lee, M. S. (2002). A study on the utilization and coordination of the elderly welfare service-focused on the welfare facilities in communit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angji University, Won-ju, Korea.

Lee, W. J. (2011). The effect of community welfare network-related characteristics on social worker’s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 network (Unpublished master). Chungju University, Chungcheongbukdo, Korea.

Lee, Y. J. (2020). Analysis of work characteristics of a housing welfare professional in permanent rental housing complex - Focused on J complex in Seoul -. Journal of the Korea Housing Association, 31(3), 89-97. http://doi.org/10.6107/JKHA.2020.31.3.089
crossref
Park, J. S., Kwon, S. M., & Jang, S. Y. (2012). Research report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resource-Linked capacity building program for professional personnel (focusing on nursing personnel) for visiting health care services. Keimyung University, Daegu, Korea.

Siporin, M. (1975). Introduction to Social Work Practice. Macmillan.

TOOLS
PDF Links  PDF Links
PubReader  PubReader
ePub Link  ePub Link
Full text via DOI  Full text via DOI
Download Citation  Download Citation
Supplement  Supplement
  Print
Share:      
METRICS
0
Crossref
157
View
9
Download
Editorial Office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TEL : +82-2-561-6416, +82-2-561-6446    FAX : +82-2-562-2999    
E-mail : khea6416@daum.net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2014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Developed in M2P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