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Sitemap | Contact Us |  
top_img
Hum. Ecol. Res Search

CLOSE

Human Ecology Research > Volume 62(4); 2024 > Article
지속가능한 패션브랜드의 스토리텔링과 지속가능성에 대한 소비 가치가 소비자 신뢰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storytelling by sustainable fashion brands on consumer trust in sustainable brands and purchase intentions, as well as the moderating effect of sustainability-related value orientation. The results provide insights into how to bridge the gap between consumer behavior and sustainable fashion. A survey was conducted with 192 male and female consumers aged 20-59. The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ree groups: brand-centered storytelling, product-centered storytelling, and a control group, each exposed to different stimuli. Multiple regressions and one-way ANOVAs were conducted using SPSS. There were three main findings. First, the brand-centered storytelling group exhibited significantly higher trust in the sustainable fashion brand, compared with other groups, a trend not observed in the product-centered group. Second, sustainability-related value orientation positively influenced brand trust and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centered storytelling and trust in sustainable fashion brands. Third, brand trust positively affected purchase intentions. These results have practical implications for marketers in the sustainable fashion sector, emphasizing the role of storytelling in highlighting brand trust and thereby influencing consumer purchase intentions for sustainable fashion products.

서론

소비자의 지속가능한 패션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패션 기업들은 친환경 소재로 만든 의류나 업사이클링 의류를 생산, 출시하고 있으며, 지속가능성이라는 키워드는 패션 산업의 하나의 흐름이 되어 마케팅 수단으로 나날이 발전하고 있다(Dangelico & Vocalelli, 2017; Prothero, 1990). 글로벌 시장에서의 지속가능한 패션산업 규모는 2023년 78억 달러로 평가되었으며 2023년부터 2030년까지 연평균 22.9% 성장하여 2030년까지 330억 5천만 달러 규모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Shin, 2024). 이처럼 패션 산업에서 지속가능성에 대한 시장이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소비자들이 지속가능한 패션 제품에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면서도 실제 구매로 이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 많은 문헌에서 언급되고 있다(Bocti et al., 2021; Rausch & Kopplin, 2021, Shen et al., 2013).
지속가능성 패션 제품에 대한 태도와 행동의 불일치를 연구한 기존연구들은 이를 설명하기 위해 여러 요인을 제시했는데, 그 중 소비자의 브랜드 신뢰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강조하였다(Gupta & Ogden, 2009; Joshi & Rahman, 2015; Norstedt & Sjölinder, 2021). 신뢰는 소비자들이 브랜드 제품을 지속적으로 소비하도록 유도하고, 기업과의 장기적인 관계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요인이다(Bhattacherjee, 2002). 이러한 신뢰를 구축하기 위해 다양한 마케팅 전략이 활용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스토리텔링 마케팅은 소비자들에게 깊은 인상을 주어 브랜드 신뢰를 높이고 긍정적인 구매 행동을 유도하는 효과적인 전략 중 하나이다(Akgun et al., 2015).
스토리텔링 마케팅은 브랜드의 이야기를 통해 소비자와의 감성적 연결을 강화하는데, 이는 특히 지속가능한 패션 브랜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지속가능한 패션브랜드는 소비자들에게 환경적,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기 위하여 이러한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브랜드의 스토리텔링 마케팅에 대한 연구는 스토리텔링 마케팅의 요소나 특징에 대한 분류가 주를 이루고 있어 소비자 신뢰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다룬 연구는 아직 부족하다(Boje, 2014; Kent, 2015; Kim, 2008; Lundqvist et al., 2013). 특히 스토리텔링에서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전략에 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스토리텔링 마케팅에는 다양한 요소들을 이용할 수 있는데, 이러한 요소들은 크게 브랜드의 역사, 가치, 철학 등을 강조하는 브랜드 관련 요소들을 이용한 스토리텔링(Boje, 2014; Kent, 2015; Kim, 2008; Lundqvist et al., 2013)과 제품의 기능적 특성이나 생산 과정 등 제품 관련 요소를 강조하는 스토리텔링(Shin et al., 2014)의 2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이 두 가지 스토리텔링 요소(브랜드 중심, 제품 중심)가 소비자 신뢰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각각 다를 수 있음에도 선행연구에서는 스토텔링의 요소에 따라 소비자 신뢰와 구매의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한편, 지속가능성에 대한 소비 가치는 소비자의 구매 결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Sheth et al., 1991; Stern et al., 1993). 소비 가치는 소비자가 지속가능한 제품에 대해 가지는 태도와 신뢰를 강화하거나 약화시킬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이다. 따라서 지속가능성에 대한 소비 가치가 높을수록 소비자들은 지속가능한 브랜드에 대해 신뢰를 갖고 구매하고자 할 가능성이 클 것이다. 한편, 선행연구들은 지속가능한 소비 가치가 지속가능한 제품에 대한 소비자 행동에 조절효과가 있음을 밝혔다(Rizomyliotis et al., 2021; Stern et al., 1993; Straughan & Roberts, 1999). 즉, 소비자가 지각하는 지속가능성에 대한 소비 가치에 따라 같은 유형의 스토리텔링이라도 효과가 다르게 나타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조절효과를 검토함으로써, 스토리텔링 전략이 어떻게 소비자 신뢰와 구매의도에 차별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더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 본다. 이는 패션브랜드가 지속가능성에 대한 소비자 가치에 맞춘 맞춤형 마케팅 전략을 개발하는 데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이론적 배경

1. 지속가능한 패션브랜드

지속가능한 패션은 환경에 해를 끼치지 않으면서 착취 없는 노동 조건과 공정 거래 원칙을 통합하는 세련된 옷을 의미한다(Joergens, 2006). 이는 동물 학대 방지, 느린 소비, 공정 무역, 노동 착취 방지 등 다양한 의미를 포괄하는 개념이다(Cervellon et al., 2010). 지속가능한 패션은 슬로우 패션 운동의 일부이며 에코, 그린 및 윤리적 패션과 상통하는 개념이다(Carey & Cervellon, 2014). 1980년대부터 반모피 캠페인이 일어나고, 1990년대 후반에는 노동 착취 문제가 제기되면서 지속가능성은 패션 산업에서 중요한 핵심 개념이 되었다(BSR, 2012; Cervellon et al., 2010; Ertekin & Atik, 2015).
지속가능한 패션브랜드는 환경적, 사회적, 경제적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정의할 수 있는데, 첫째, 환경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하는 브랜드로 정의할 수 있다. 이는 친환경 소재 사용, 재활용 및 업사이클링, 에너지 절약, 폐기물 관리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된다(Payne, 2011). 예를 들어, 천연 섬유나 재활용 소재를 사용하고, 생산 과정에서 물과 에너지를 절약하며, 화학 물질의 사용을 줄인다. 둘째, 지속가능한 패션브랜드는 사회적 책임에 민감한 브랜드로 정의할 수 있다. 노동 착취를 방지하고 공정 무역 원칙을 준수하여, 패션 제품을 만드는 노동자들의 권리와 복지를 보장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는 안전한 작업 환경 제공, 공정한 임금 지급, 아동 노동 금지 등을 통해 이루어진다(Ekins, 2011). 이러한 노력은 윤리적 패션이라는 개념과도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셋째, 지속가능한 패션브랜드는 또한 경제적으로 지속가능한 비즈니스 모델을 추구하는 브랜드라고 할 수 있다. 이는 경제적 이익과 함께 환경 및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비즈니스 관행을 포함한다(Jacometti, 2019). 예를 들어, 오래 지속되고 품질이 좋은 제품을 생산하여 소비자들이 더 오랜 기간 사용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이에 해당한다.

2. 스토리텔링 마케팅

1) 스토리텔링 마케팅의 정의와 브랜드 신뢰와의 관계

스토리텔링 마케팅(Storytelling Marketing)은 소비자의 관심을 끌기 위해 흥미로운 스토리를 이용하는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방법이다. 선행연구에 의하면, 스토리텔링 마케팅은 브랜드의 신뢰를 구축하는 데 매우 효과적인 방법이다(Huang & Guo, 2021). Kwak 등(2020)Kaufman (2003)는 매력적인 브랜드 스토리텔링이 기본적인 제품의 사실보다 설득력이 있고 브랜드 신뢰를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Huang 과 Guo (2021)는 그린 브랜드 스토리 전략이 인지된 브랜드 진정성(Perceived Brand Authenticity)과 브랜드 신뢰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지속가능 브랜드 스토리는 몰입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이는 브랜드 진정성(Perceived Brand Authenticity)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브랜드 신뢰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Fries (2023)도 브랜드 스토리텔링이 브랜드 신뢰도와 진정성을 높여 궁극적으로 지속가능한 패션 기업의 브랜드 선호도를 높이는 효과적인 수단인지 검증하고자 하였고 연구 결과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경우 브랜드 선호도가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브랜드 신뢰를 높이고 구매를 촉진하는 마케팅 전략으로 스토리텔링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2) 스토리텔링 요소에 따른 스토리텔링 유형(브랜드 중심 vs. 제품 중심)

선행연구에서는 스토리텔링을 기획하는 데 있어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스토리텔링 요소들을 제시하고 있는데, 이는 Table 1과 같이 브랜드 관련 요소와 제품 관련 요소로 크게 나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 중 어떤 요소를 주로 활용하느냐에 따라 스토리텔링 유형을 브랜드 중심 스토리텔링과 제품 중심 스토리텔링으로 나눌 수 있다고 보았다.
브랜드 중심 스토리텔링은 브랜드 관련 요소들, 즉, 브랜드의 역사, 가치, 철학 등을 강조하는 스토리텔링 방식으로 정의된다(Aimé, 2021; Boje, 2014; Kent, 2015). 이는 브랜드의 창립 이야기, 브랜드가 추구하는 핵심 가치, 그리고 브랜드의 비전과 사명 등을 소비자에게 전달함으로써 브랜드에 대한 감성적 연결을 강화하는 데 중점을 둔다. 이러한 스토리텔링은 소비자에게 브랜드의 진정성과 일관성을 전달하여 브랜드 신뢰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Lundqvist et al., 2013). 이에 비하여 제품 중심 스토리텔링은 제품 관련 요소, 즉, 제품의 기능적 특성, 생산 과정, 그리고 제품이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구체적인 이점을 강조하는 스토리텔링 방식으로 정의된다. 이는 제품의 개발 과정, 사용된 재료의 특성, 그리고 제품이 제공하는 실질적인 혜택 등을 소비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제품의 가치를 강조한다. 이러한 스토리텔링은 소비자에게 제품에 대한 명확한 정보를 제공하여 구매 의도를 자극하는 데 중점을 둔다(Huang & Guo, 2021).
선행연구에서는 스토리텔링에 노출된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구매의도가 높아졌음을 확인하였으나(Boje, 2014; Jin et al., 2021; Lundqvist et al., 2013; Shin et al., 2014) 브랜드 관련 요소와 제품 관련 요소 중 어떤 요소가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 신뢰와 구매의도를 높이는 데 더 효과적인가를 비교한 연구는 수행된 바 없다. 본 연구에서는 스토리텔링 요소 중 어느 것에 중점을 두어 활용하느냐에 따라 소비자들의 신뢰가 달라질 것으로 예상하여 브랜드 중심 스토리텔링과 제품 중심 스토리텔링의 효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3. 지속가능성에 대한 소비 가치

소비 가치는 바람직한 소비행동을 위한 지속적인 신념으로, 특정 상황을 초월하며 행동 및 사건의 선택 또는 평가에 대해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신념이다(Mishra, 2015; Schwartz & Bilsky 1987). 지속가능한 소비 가치와 소비자 행동 사이의 관계는 여러 연구에서 다루어졌다(Jin et al., 2021; Stern et al., 1993; Straughan & Roberts, 1999; Urien & Kilbourne, 2011). Thogersen (2000)는 소비 가치가 친환경적 소비자 행동에 인과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밝혔다. 또한 Eyal 등(2009)의 연구에서는 소비 가치가 가장 강력한 행동 예측을 보인다고 하였다.
선행연구(Buerke et al., 2017; de Groot & Steg, 2007)에서는 지속가능성에 대한 소비 가치를 소비자가 환경적, 사회적, 경제적 지속가능성에 대해 가지는 가치관으로 정의하였으며, 지속가능한 소비행동의 동기가 된다고 하였다. 여기에서 환경적 가치(Environmental Values)는 자연 자원의 보존과 환경 보호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가치를 의미하며, 사회적 가치 (Social Values)는 사회적 책임과 공정성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가치를 포함한다. 또한 경제적 가치 (Economic Values)는 경제적 지속가능성과 관련된 가치로 성장보다는 효율성과 상생을 추구하는 가치라 할 수 있다.
소비 가치는 소비자의 행동과 브랜드 태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사용되고 또한 소비자가 특정 제품을 구매하거나 구매하지 않는 것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Eom & Eom, 2021; Rizomyliotis et al., 2021; Sheth et al., 1991). 특히 Buerke 등(2017)은 지속가능한 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행동에 대해 지속가능성에 대한 소비 가치가 중요한 영향을 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속가능성에 대한 소비 가치를 브랜드 신뢰와 구매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이자 브랜드 스토리텔링의 효과를 조절하는 조절변수로 보고자 한다.

4. 지속가능한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 신뢰

지속가능 소비에서 신뢰는 중요한 개념이다(Huang & Guo, 2021). 지속가능한 제품에 대한 신뢰는 제품의 환경적 성능에 대한 기대와 믿음을 의미하며(Gupta & Ogden, 2009; Vermeir & Verbeke, 2008), 이는 브랜드 신뢰로 연결된다. 브랜드 신뢰는 건전한 기업 가치와 브랜드 약속 이행 능력을 통해 증가될 수 있다(Portal et al., 2019).
지속가능한 패션브랜드 신뢰는 소비자가 해당 브랜드가 지속가능성을 진지하게 고려하고 있다는 신뢰감을 의미한다. 패션브랜드 신뢰는 소비자가 해당 브랜드가 지속가능성과 진정성을 지키며, 환경적 책임과 사회적 책임을 충실히 이행하고 있다는 신뢰를 가지는 정도로 정의할 수 있다(Huang & Guo, 2021; Mezger et al., 2020; Portal et al., 2019). 이는 브랜드의 투명성, 정직성, 및 지속가능성 실천에 대한 신뢰를 포함한다.
Huang과 Guo (2021)의 연구에서는 브랜드 신뢰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브랜드 신뢰는 지각된 브랜드 진정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신뢰 부족은 고객이 지속가능성 주장에 대해 회의적인 마음을 가지게 하며 지속가능한 소비에 대한 중요한 장벽으로 작용한다(Gupta & Ogden, 2009; Vermeir & Verbeke, 2008). 신뢰가 없으면 기업의 지속가능성 주장에 대한 회의가 생기면, 이는 주장의 진실성을 의심하게 만들고 제품 판매의 수단으로 인식하게 한다(Harris et al., 2016). 일부 기업은 제품의 환경 기능을 과장하거나 조작하여 고객의 신뢰를 떨어뜨리며(Kalafatis & Pollard 1999), 이는 소비자의 태도를 부정적으로 만들며 결과적으로 소비자의 신뢰를 감소시킨다(Parguel et al., 2011; Ramus & Montiel, 2005).

5. 구매의도

구매의도란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과 구매 가능성을 의미한다. 구매의도는 브랜드나 제품에 대한 태도와 선호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Kim & Ko, 2010; Kim et al., 2009; Kim et al., 2010; Lloyd & Luk, 2010), 소비자의 태도에 따라 미래 행동을 예측하는 요인이 된다. 구매 의도는 브랜드에 대한 고객의 미래 행동을 측정하기 위한 태도 변수이자 고객의 실제 구매와 연결이 되는 행동 요인이다(Park & Lin, 2020).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Kim & Ko, 2010; Salisbury et al., 2001)에 근거하여 구매의도를 소비자가 지속가능한 브랜드의 제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할 가능성에 대한 주관적인 판단과 해당 제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의향으로 정의하였다. 이는 해당 브랜드의 제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욕구와 의지를 포함한다. 선행연구에서 지속가능한 브랜드 신뢰는 구매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Chen, 2010; Chen & Chang, 2013; Fries, 2023), 특히 Chen (2010)은 지속가능성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가 소비자 구매 행동의 필수적인 선행 요인이라고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패션브랜드 스토리텔링을 통해 지속가능한 패션브랜드 신뢰가 구매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하였다.

6. 연구 모형

선행연구 고찰 내용에 따라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모형을 바탕으로 진행되었다(Figure 1 참조).
구체적인 연구가설은 다음과 같다.
H1. 지속가능한 패션브랜드의 스토리텔링과 지속가능성에 대한 소비 가치는 지속가능한 패션브랜드 신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H1-1a. 지속가능한 패션브랜드의 브랜드 중심 스토리텔링은 지속가능한 패션브랜드 신뢰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브랜드 중심 스토리텔링 주효과)
H1-1b. 지속가능한 패션브랜드의 제품 중심 스토리텔링은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제품 중심 스토리텔링 주효과)
H1-2. 지속가능성에 대한 소비 가치는 지속가능한 패션브랜드 신뢰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지속가능성에 대한 소비 가치 주효과)
H1-3a. 지속가능성에 대한 소비 가치는 브랜드 중심 스토리텔링이 브랜드 신뢰에 미치는 효과를 조절할 것이다. (브랜드 중심 스토리텔링과 지속가능성에 대한 소비 가치 상호작용 효과)
H1-3b. 지속가능성에 대한 소비 가치는 제품 중심 스토리텔링이 브랜드 신뢰에 미치는 효과를 조절할 것이다. (제품 중심 스토리텔링과 지속가능성에 대한 소비 가치 상호작용 효과)
H2. 지속가능한 패션브랜드의 스토리텔링과 지속가능성에 대한 소비 가치는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H2-1a. 지속가능한 패션브랜드의 브랜드 중심 스토리텔링은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브랜드 중심 스토리텔링 주효과)
H2-1b. 지속가능한 패션브랜드의 제품 중심 스토리텔링은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제품 중심 스토리텔링 주효과)
H2-2. 지속가능성에 대한 소비 가치는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지속가능성에 대한 소비 가치 주효과)
H2-3a. 지속가능성에 대한 소비 가치는 브랜드 중심 스토리텔링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효과를 조절할 것이다. (브랜드 중심 스토리텔링과 지속가능성에 대한 소비 가치 상호작용 효과)
H2-3b. 지속가능성에 대한 소비 가치는 제품 중심 스토리텔링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효과를 조절할 것이다. (제품 중심 스토리텔링과 소비 가치 상호작용 효과)
H2-4. 지속가능한 패션브랜드에 대한 신뢰는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지속가능한 패션브랜드 신뢰의 효과)

연구방법

1. 연구 설계

본 연구는 실험설계법과 설문지를 이용한 정량적 연구로, 지속가능한 패션브랜드 스토리텔링이 소비자 신뢰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다. 이를 위해 2개의 실험집단과 1개의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을 진행하였다.

2. 표본 및 자료 수집

본 연구의 표본은 20~50대 국내 성인 남녀 소비자로, 최근 6개월 이내에 환경을 생각한 지속가능한 제품을 소비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와 없는 소비자를 각각 96명씩 균등하게 모집하여 총 19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데이터 수집은 전문 설문조사 업체인 ‘마크로밀 엠브레인’을 통해 온라인으로 이루어졌다. 사전조사는 2023년 10월 20일부터 10월 25일까지, 본 조사는 2023년 11월 3일부터 11월 13일까지 진행되었다.

3. 연구 절차

1) 연구 대상자 선정

연구 대상자는 설문조사 업체의 패널 중 20~50대 성인 남녀 소비자로, 최근 6개월 이내에 지속가능한 제품을 소비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와 없는 소비자를 각각 96명씩 균등하게 모집하여 총 19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2) 연구의 절차

본 연구는 사전조사와 본 조사의 두 단계로 이루어졌다. 사전 조사는 자극물 선정 및 설계를 위해 10명의 편의표집으로 구성된 대상자들에게 실시하였다. 사전조사는 설문 자극물에 사용될 지속가능한 패션브랜드 스토리텔링 내용의 관련성을 검증하기 위한 것이었다. 본 조사는 사전조사에서 선정된 자극물을 사용하여 온라인으로 실시되었다.

3) 실험 절차

총 192명의 응답자들은 2개의 실험집단(브랜드 중심 스토리텔링, 제품 중심 스토리텔링)과 1개의 통제집단으로 각각 64명씩 무선 배정되었다. 실험집단은 지속가능한 패션브랜드의 스토리텔링 내용을 담고 있는 메시지를 읽고, 가상의 지속가능한 패션브랜드 'mulgogi'의 구매 페이지를 통해 소비자 반응을 조사하였다. 'mulgogi'는 가상의 브랜드로, 리사이클링 소재를 활용하여 제품을 생산하는 지속가능한 패션브랜드로 설정하였다.

4. 자극물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의 지속가능한 패션의 정의(Carey & Cervellon, 2014; Cervellon et al., 2010; Ertekin & Atik, 2015; Joergens, 2006)에 따라, 환경 보호와 자원 절약을 위해 바다에 폐기된 그물을 리사이클링하여 제품의 소재로 사용하는 가상의 지속가능한 패션브랜드, 'mulgogi'를 제시하였다. 이는 폐기물 감소와 자원의 재활용을 통해 환경적 책임을 다하는 브랜드로, 지속가능한 패션의 핵심 원칙을 실천하는 브랜드로 설정되었다. 구체적으로, 이 가상 브랜드는 제품의 생산 과정에서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고, 사회적 책임을 다하며, 소비자들에게 지속가능한 소비를 촉진하기 위한 스토리텔링 마케팅 전략을 활용한다. 또한 제품으로는 가방을 선정하였는데, 그 이유는 직접 몸에 착용하는 티셔츠나 재킷과 같은 의류 제품은 이념이나 메시지가 드러나는 것에 대해 소비자들의 거부감이 더 클 수 있다는 선행연구(Wee, 2022)의 제언을 반영한 것이다.
자극물 페이지는 실험집단1(브랜드 중심 스토리텔링), 실험집단2(제품 중심 스토리텔링), 통제집단(스토리텔링 요소 없는 설명)으로 구성되었다(Figure 1 참조). 자극물에는 지속가능한 패션브랜드의 스토리텔링을 위한 가상 지속가능한 패션브랜드 스토리텔링 페이지가 먼저 제시되었고 그 후 구매의도를 위한 지속가능한 패션브랜드 ‘mulgogi’의 가방사진과 설명을 포함한 제품 페이지가 제시되었다. 브랜드 스토리텔링 페이지는 실험집단1, 실험집단2, 통제집단에 대해 모두 다르게 구성되었다(Figure 1 참조). 실험집단1(브랜드 중심 스토리텔링, Figure 1-A 참조)의 페이지는 지속가능한 패션브랜드의 역사와 창립자의 철학 등 브랜드 관련 요소 중심의 스토리텔링으로 구성되었으며, 실험집단2(제품 중심 스토리텔링, Figure 1-B 참조)의 브랜드 스토리텔링 페이지는 제품의 소재, 제작방식 등 제품 관련 요소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통제집단의 경우(Figure 1-C 참조), 실험집단에 제시된 동일한 내용을 스토리텔링 요소 없이 정보만 제시하는 방식으로 구성하였다. 제품 페이지(Figure 1-D 참조)는 세 집단 모두 동일한 내용으로 구성하였으며, 제품의 사진과 함께 소재, 무게, 가격 등 제품의 특성이 포함되어 있다.

5. 자극물 조작 점검

실험 자극물이 의도한 대로 조작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사전 조사에서 총 10명에게 5점 리커트 척도 2 문항으로 조작 점검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브랜드 중심 페이지의 경우 브랜드의 가치, 역사 등을 담고 있다는 문항에 대해 m=4.5(SD=0.76), 제품 중심 페이지의 경우 생산 과정과 기능적 특징을 담고 있다는 문항에 m=4.35(SD=0.48)의 값을 보여 조작이 잘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하였다.

6. 측정 도구 및 변수

본조사 설문지는 지속가능성에 대한 소비 가치, 지속가능 패션브랜드 신뢰, 구매의도의 3가지 측정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지속가능성에 대한 소비 가치는 Buerke 등(2017)의 Sustainability-Related Value Orientation 척도를 번역하여 이용하였는데, 여기에는 ‘환경 자원을 절약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등 환경 관련 3문항, ‘사회적으로 책임감 있는 행동을 하는 것이 모든 기업 결정의 기초가 되어야 된다고 생각한다’를 포함한 사회적 지속가능성 가치 3문항, ’기업이 윤리적인 방식으로 행동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등 경제적 지속가능성 가치 3문항, 총 9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속가능 패션브랜드에 대한 신뢰의 경우 Portal 등(2019), Mezger 등(2020), Huang과 Guo (2021)를 참고하여 ‘나는 이 브랜드에 대해 신뢰를 느낀다’, ‘나는 이 브랜드에서 만족감을 확신할 수 있다’, ‘나는 이 브랜드가 환경에 대해 책임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한다’, ‘나는 이 브랜드가 지속가능하다고 생각한다’ 등의 6개 문항으로 측정하였다. 구매의도는 Salisbury 등(2001), Kim과 Ko (2010)의 참고하여 ‘나는 해당 브랜드 가방 구매에 대해 긍정적으로 말할 의향이 있다’, ‘나는 해당 브랜드 가방 구매할 의향이 있다’, ‘나는 해당 브랜드 가방을 주위 사람에게 추천할 의향이 있다’, ‘나는 해당 브랜드 가방을 가족이나 친구를 위해 구매할 의향이 있다’, ‘나는 해당 브랜드 가방에 대한 비판을 부정할 의향이 있다’의 5개 문항으로 측정하였다.

7. 자료 분석

자료의 분석은 IBM SPSS 26 for Windows(IBM Co.,Armonk, NY)를 이용하였다. 카이제곱분석, 일원분산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중다선형회귀분석, 단순선형회귀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1. 인구통계적 특성

본 연구에 참여한 응답자의 남녀의 비율은 동일하며, 연령은 각 연령대에 48명(25.00%)씩 동일하게 표집되었다. 이들 가운데 50%가 기혼자, 47% 가량이 미혼자로 나타났다. 또한 응답자의 약 85% 이상이 대학교 재학 이상의 학력을 가지고 있었고, 직업 면에서는 사무직(44.8%)과 학생/무직(14.10%)이 가장 많게 나타났다. 응답자의 52%가량이 서울과 경기 지역에 거주하고 있었다. 응답자들의 월 평균 수입은 600만원 이상이 27.6%로 가장 많았고, 200만원 이상 300만원 미만, 300만원 이상, 400만원 미만, 400만원 이상 500만원 미만이 각각 15.6%로 동일하게 그 다음을 이었다. 그 다음 500만원 이상 600만원 미만이 13.5%로 뒤를 이었다. 100만원 미만은 7.8%, 100만원 이상 200만원 미만은 4.2%로 낮은 비율로 나타났다. 200만원 이상 400만원 미만 32.7%, 600만원 이상 800만원 미만 23.1%의 순이었다. 800만원 이상은 8.7%로 낮은 비율로 나타났다.
실험집단1, 실험집단2, 통제집단의 세 연구 참여자 집단 간에 인구통계적 특성 및 소비 가치 측면에서 차이가 없는지 확인하기 위해 카이제곱 검정 및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세 집단은 유의수준 .05에서 성별, 연령, 결혼여부, 학력, 직업, 거주지, 월평균 소득, 소비 가치 측면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동질성을 확인하였다.

2. 측정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

본 연구에서 사용된 모든 측정도구의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을 실시하였다(Table 2 참조). 먼저 지속가능성에 대한 소비 가치의 경우, 공통성(commonality)값이 매우 낮았던 ‘나는 소비자가 환경 오염을 유발하는 제품에 대해 더 높은 가격을 지불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생각한다’ 문항을 제외하고 8문항에 대해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고유값(eigenvalue) 1 이상을 기준으로 하나의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이 요인의 고유값은 3.81, 전체 변량의 54.43%를 설명하였다. 설명변량이 높지 않았으나 각 문항의 공유값이 모두 .60 이상이며 또한 내적 합치도(Cronbach's α)를 산출한 결과 8개 문항의 신뢰도는 .85로 높게 나타났다. 지속가능한 브랜드에 대한 신뢰, 구매의도도 각각 요인분석 한 결과 고유값 1 이상의 요인이 1개로 추출되었다. 지속가능한 브랜드 신뢰의 경우, 3개의 문항으로 구성된 요인의 고유값은 2.28, 설명변량은 75.87%, 신뢰도는 .91이었다. 구매의도는 고유값 1.79, 설명변량 89.42, 신뢰도는 .92로 높은 신뢰도를 얻었다.

3. 연구가설 검증

1) 지속가능한 패션브랜드 스토리텔링과 소비 가치가 지속가능한 패션브랜드 신뢰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지속가능한 패션브랜드 스토리텔링과 지속가능성에 대한 소비 가치가 지속가능한 패션브랜드 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보기 위해 지속가능한 패션브랜드 신뢰를 종속변수로 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각 변수의 값은 문항의 평균으로 계산하였다. 세 집단에 대하여 두 개의 더미변수, BCS(브랜드 중심 스토리텔링 집단 1, 타 집단 0)와 PCS(제품 중심 스토리텔링 집단 1, 타 집단 0)을 이용하였으며, 조절효과 분석을 위하여 각각의 더미변수와 지속가능성에 대한 소비 가치(SCV) 상호작용항, BCS x SCV, PCS x SCV를 생성하여 회귀식에 투입하였다.
분석 결과는 Table 3와 같고 F=53.53(p<.001)으로 유의하여 본 회귀모형이 적합하다고 할 수 있으며, 결정계수 R²=.59으로 59%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첫째, 브랜드 중심 스토리텔링 변수의 계수는 b=4.22(p<.001)으로 브랜드 중심 스토리텔링 실험집단은 타 집단과 패션브랜드 신뢰 면에서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즉, 브랜드 중심 스토리텔링에 노출될 경우 지속가능한 패션브랜드 신뢰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제품 중심 스토리텔링의 회귀계수는 b=.93(n.s.)으로 나타나 제품 중심 스토리텔링에 노출된 집단(실험집단2)은 타 집단들과 지속가능한 브랜드 신뢰 면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지속가능성에 대한 소비 가치(SCV)는 b=.54(p<.01)으로 지속가능한 브랜드 신뢰에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어 지속가능성에 대한 소비 가치가 높을수록 패션브랜드 신뢰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브랜드 중심 스토리텔링과 지속가능성에 대한 소비 가치의 상호작용은 b=-.57(p<.05)으로 유의하여 상호작용효과가 있었다. 상호작용의 효과는 부(-)적이었으므로, 브랜드 중심 스토리텔링에 노출된 집단에서는 소비 가치의 효과가 통제집단에서 보다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제품 중심 브랜드텔링과 지속가능성에 대한 소비 가치의 상호작용은 b=.03(n.s.)으로 제품 중심 스토리텔링에 노출된 집단에서는 소비 가치의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가설 H1-1a, H1-2, H1-3a는 지지되었으나, H1-1b, H1-3b는 기각되었다.
다음 단계로 지속가능성에 대한 소비 가치에 따라 지속가능한 패션브랜드 스토리텔링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구매의도를 종속변수로 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Table 4와 같고 F=59.19(p<.001)으로 본 회귀모형이 적합하며, 결정계수 R²=.65으로 65%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냈다. 이 회귀모형에서는 지속가능한 패션브랜드 신뢰만 b=.75(p<.001)으로 나타나 지속가능한 패션브랜드 신뢰는 구매 의도에 유의한 정(+)적 영향이 있었다. 즉, 지속가능한 패션브랜드 신뢰가 높으면 구매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브랜드 신뢰 외 다른 변수들의 회귀계수는 유의하지 않았다. 즉, 지속가능한 패션브랜드의 스토리텔링 효과와 지속가능성에 대한 소비 가치의 효과는 브랜드 신뢰를 매개하여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효과만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가설 H2-4만 지지되었고, H2-1a, H2-1b, H2-2, H2-3a, H2-3b는 기각되었다.

2) 지속가능성에 대한 소비 가치가 지속가능한 패션브랜드 신뢰에 미치는 영향의 집단 간 차이

스토리텔링 집단 간의 상호작용 검증에서 지속가능성에 대한 소비 가치가 브랜드 신뢰에 미치는 영향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각 집단에서의 소비 가치의 효과를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는 Table 5와 같다. 브랜드 중심에 대한 스토리텔링 집단만을 대상으로 지속가능성에 대한 소비 가치를 독립변수, 지속가능한 패션브랜드 신뢰를 종속변수로 하여 단순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브랜드 중심 스토리텔링 집단에서는 소비 가치의 비표준화계가 b=-.02(n.s.)로 유의하지 않았다. 그에 비하여 제품 중심 스토리텔링 집단에서는 소비 가치의 효과가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b=.57, p<.001). 브랜드 중심 스토리텔링 집단에서는 신뢰가 소비 가치의 영향을 받지 않았던 것에 비하여 제품 중심의 스토리텔링 마케팅에 노출된 응답자들의 경우 지속가능성에 대한 소비 가치가 높을수록 브랜드를 신뢰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결론

1. 요약 및 결론

본 연구는 지속가능성에 대한 소비 가치에 따라 지속가능한 패션브랜드 스토리텔링이 지속가능한 패션브랜드 신뢰와 구매의도의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구체적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속가능성에 대한 소비 가치와 지속가능한 패션브랜드 스토리텔링 그리고 조절효과를 독립변수로, 지속가능한 패션브랜드 신뢰를 종속변수로 중다회귀분석 결과 브랜드 중심 스토리텔링과 통제집단은 지속가능한 패션브랜드 신뢰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제품 중심 스토리텔링과 통제집단은 지속가능한 패션브랜드 신뢰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지속가능성에 대한 소비 가치는 지속가능 패션브랜드 신뢰에 유의한 영향을 미쳐 지속가능성에 대한 소비 가치가 높을수록 지속가능 패션브랜드 신뢰가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브랜드 중심 스토리텔링과 지속가능성에 대한 소비 가치의 상호작용은 지속가능한 패션브랜드 신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으며, 계수의 부호는 부(-)적으로 나타나 브랜드 중심 스토리텔링은 지속가능성에 대한 소비 가치가 낮을수록 패션브랜드 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속가능성에 대한 소비 가치가 낮을수록 기본적인 지속가능 패션브랜드에 대한 신뢰가 낮으나 브랜드 중심 스토리텔링에 노출되었을 때 그 영향을 받아 지속가능 패션브랜드에 대한 신뢰가 높아지는 정도가 오히려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제품 중심 스토리텔링과 지속가능성에 대한 소비 가치의 상호작용은 지속가능한 패션브랜드 신뢰에 유의한 영향이 없었다.
둘째, 지속가능성에 대한 소비 가치와 지속가능한 패션브랜드 스토리텔링, 두 변수의 상호작용항, 그리고 지속가능한 패션브랜드 신뢰가 지속가능한 패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 결과 지속가능한 패션브랜드 신뢰만이 구매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스토리텔링 마케팅 효과와 소비 가치는 지속가능한 패션브랜드 신뢰를 통하여 완전 매개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지속가능한 패션브랜드의 구매의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지속가능한 패션브랜드 신뢰가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두 실험집단 간에 지속가능성에 대한 소비 가치가 신뢰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각 실험집단에 대하여 지속가능성에 대한 소비 가치를 독립변수로, 지속가능한 패션브랜드 신뢰를 종속변수로 하는 중다회귀분석을 각각 실시한 결과, 지속가능성에 대한 소비 가치의 회귀계수는 제품 중심 스토리텔링 집단에서만 유의한 정(+)의 효과를 나타냈다. 즉, 브랜드 중심 스토리텔링 집단에서는 소비 가치가 낮았던 소비자들이 스토리텔링의 영향을 받아 브랜드 신뢰가 높아져 소비 가치의 효과가 상쇄된 반면, 제품 중심 스토리텔링 집단에서는 소비자들이 원래 가지고 있던 소비가치에 의해서만 브랜드 신뢰가 결정된 것으로 보인다.
위의 분석 결과들을 종합하면 다음과 같은 네 가지의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첫째, 지속가능한 패션브랜드의 스토리텔링 중 브랜드 중심 스토리텔링은 지속가능한 패션브랜드 신뢰를 높일 수 있는 스토리텔링 요소이지만 제품 중심 스토리텔링은 지속가능한 패션브랜드 신뢰를 높일 수 있는 스토리텔링이 되지 못했다. 즉, 지속가능한 패션브랜드의 신뢰를 높이기 위해서는 제품 중심의 스토리텔링보다는 브랜드 중심 스토리텔링을 통한 마케팅 전략이 더 효과적임을 인지할 수 있다. 둘째, 지속가능성에 대한 소비 가치가 높을수록 지속가능한 패션브랜드의 신뢰가 높다는 점에서 지속가능성에 대한 소비 가치가 지속가능한 패션브랜드의 신뢰에 큰 영향을 주는 요소로 지속가능한 패션브랜드의 신뢰를 증가시키기 위해 먼저 지속가능성에 대한 소비 가치가 높은 소비자를 타겟팅하여 마케팅 전략을 진행하는 것이 우선적임을 확인하였다. 셋째, 구매의도는 지속가능한 패션브랜드 신뢰를 통해서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지속가능한 패션브랜드 신뢰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확인 할 수 있었다. 넷째, 브랜드 중심 스토리텔링은 지속가능성에 대한 소비 가치가 낮을수록 지속가능한 패션브랜드 신뢰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브랜드 중심 스토리텔링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브랜드 중심 스토리텔링은 지속가능 브랜드에 대한 태도와 구매의도 간의 간극을 좁히는 데 매우 유효한 전략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와 반면에 제품 중심 스토리텔링은 지속가능성에 대한 소비 가치와 무관하게 브랜드 신뢰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므로 제품 중심 스토리텔링 전략을 사용할 때는 지속가능성에 대한 소비 가치를 고려한 마케팅 전략이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2. 시사점 및 제언

본 연구는 다음의 두 가지 시사점을 가질 것으로 예상된다. 첫째는 학문적 시사점으로서 실험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지속가능성에 대한 소비 가치에 따른 지속가능한 패션브랜드 스토리텔링과 지속가능한 패션브랜드 신뢰, 구매의도에 대한 인과적 설명을 제공하였다는 점이다. 특히 본 실험에서는 가상의 지속가능한 패션브랜드를 만들어 지속가능한 패션브랜드의 스토리텔링을 2가지 유형, 즉 브랜드 중심과 제품 중심으로 나누어 지속가능한 패션브랜드 신뢰와 구매의도에 대한 영향을 각각 검증하고 지속가능성에 대한 소비 가치의 영향까지 고려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둘째, 지속가능한 패션브랜드의 마케팅 전략에서의 브랜드 신뢰의 중요성에 대한 실무적 시사점이다. 선행연구에서 스토리텔링이 신뢰를 높일 수 있다는 것은 발견하였지만(Akgun et al., 2015; Hartmann et al., 2016; Tucker et al., 2012), 지속가능한 패션브랜드에 초점을 맞춘 스토리텔링 전략에 관한 연구는 없었다. 패션브랜드의 지속가능성에 대하여 소비자들이 신뢰를 갖도록 하는 방안으로서 스토리텔링 마케팅의 유용성을 확인하고 보다 효과적인 마케팅을 위한 스토리텔링 요소를 파악함으로써, 소비자 신뢰를 제공하고 지속가능성에 대한 소비 가치에 따라 스토리텔링의 전략적 사용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본 연구의 한계점과 이에 따른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편의표집을 이용했으며 상대적으로 표본의 크기가 크지 않았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는 데 유의해야 할 것이다. 둘째, 자극물로 인한 한계점이다. 지속가능한 패션브랜드의 제품은 의류부터 가방, 신발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고 색상, 소재, 구성도 모두 다양하다. 본 연구에서는 실버, 블랙 색상의 가방을 자극물로 사용하였는데 이는 응답자 개인의 선호나 시장 상황을 포괄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다른 패션 품목 및 제품 조건에 확장한 추가 연구가 의미가 있을 것이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제품 중심 스토리텔링이 브랜드 신뢰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는 본 연구에서 제시된 스토리텔링의 내용에 한한 결과일 수 있기 때문에 모든 제품 중심 스토리텔링에 일반화시키기는 어렵다. 따라서 스토리텔링 요소에 따른 효과 차이는 보다 많은 연구를 통하여 검증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Declaration of Conflicting Interests

The authors declare no conflict of interest with respect to the authorship or publication of this article.

Figure 1.
Research model.
her-62-4-657f1.jpg
Figure 2.
Stimuli by group.
her-62-4-657f2.jpg
Table 1.
Storytelling Marketing Types by Storytelling Elements
스토리텔링 요소 관련 연구 선행연구들의 스토리텔링 요소 강점
브랜드 중심 Boje (2014) 브랜드 가치 브랜드의 철학과 가치를 강조함으로써 소비자에게 깊은 감동을 주고, 브랜드에 대한 충성도를 높일 수 있음.
Aimé (2021) 브랜드 역사
Kent (2015) 브랜드 철학
Jin 등(2021) 비전 선언문
브랜드 역사
브랜드 시작
Lundqvist 등(2013) 브랜드 역사
브랜드 가치
Kim (2008) 브랜드 탄생
브랜드 역사
제품 중심 Shin 등(2014) 기능적 실용적 구체적 제품의 속성정보 제품의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장점을 강조함으로써 소비자의 신뢰를 얻고 구매 의도를 높일 수 있음.
Vega과 Camarero (2024) 제품 개발 과정
서비스 과정
제품스토리
제품 발명 이야기
Table 2.
Results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for Measures
변수 요인 문항 내용 요인 부하량 고유값 설명변량(%) Cronbach α
지속가능성에 대한 소비 가치
요인1 나는 모든 기업이 이윤창출을 넘어 사회적 책임이 있다고 생각한다. .84 3.81
나는 기업이 윤리적인 방식으로 행동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78 54.43
나는 사회적으로 책임감 있는 행동을 하는 것이 모든 기업 결정의 기초가 되어야 된다고 생각한다. .77 .85
나는 기업이 고객을 항상 공정하게 대해야 할 책임이 있다고 생각한다. .72
나는 제품이 환경에 미치는 장점과 단점에 대해 아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70
나는 환경 자원을 절약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70
나는 기업에서 직원에게 부당한 대우를 하는 것을 알게 되면 괴롭다. .63
나는 지속가능성이 경제 성장보다 사회를 위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61
지속가능한 패션브랜드 신뢰
요인1 나는 이 브랜드가 정직하고 성실하게 환경에 대한 고민을 해결해준다고 생각한다. .89 2.28
나는 이 브랜드가 지속가능하다고 생각한다. .86 75.87
나는 이 브랜드가 환경에 대해 책임감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한다. .86 .91
구매의도
요인1 나는 해당 브랜드 가방을 구매할 의향이 있다. .95 1.79
89.42
요인1 나는 해당 브랜드 가방을 가족이나 친구를 위해 구매할 의향이 있다. .95 .92
Table 3.
Results of Regression of Storytelling and Sustainability-Related Value Orientation on Consumers’ Sustainable Brand Trust
가설 변수 비표준화 계수(b) SE 표준화 계수(β) t F (p) R2
(상수) .35 .74 .49
H1-1a BCS 4.22 1.05 .23 4.04*** 53.53*** .59
H1-1b PCS .93 .97 .05 .96
H1-2 SCV .54 .18 .26 3.02**
H1-3a BCS x SCV -.57 .25 .12 -2.25*
H1-3b PCS x SCV .03 .24 .07 .13

* p <.05,

** p <.01,

*** p <.001.

Note. BCS: 브랜드 중심 스토리텔링, PCS: 제품 중심 스토리텔링, SCV: 소비 가치.

Table 4.
Results of Regression of Storytelling, Sustainability-Related Value Orientation, and Consumers’ Sustainable Brand Trust on Purchase Intention
가설 변수 비표준화 계수(b) SE 표준화 계수(β) t F (p) R2
(상수) .68 .74 .91
H2-1a BCS -.89 1.10 -.04 -.81 59.19*** .65
H2-1b PCS -1.37 .98 -.06 -1.41
H2-2 SCV -.13 .18 -.06 -.70
H2-3a BCS x SCV .31 .26 .06 1.24
H2-3b PCS x SCV .39 .24 .08 1.68
H2-4 BT .75 .07 .68 10.14***

*** p <.001

Note. BCS: 브랜드 중심 스토리텔링, PCS: 제품 중심 스토리텔링, SCV: 소비 가치, BT: 브랜드 신뢰.

Table 5.
The Effect of Sustainability-Related Value Orientation on Consumer Trust in Sustainable Fashion Brands by Storytelling Group
변수 비표준화 계수
표준화 계수
b SE β
브랜드 중심 스토리텔링 집단(n=64) -.02 .17 -.20
제품 중심 스토리텔링 집단(n=64) .57 .16 .40***

*** p <.001

References

Aimé, I. (2021). The dynamic construction of brand storytelling. Journal of Strategic Marketing, 31(7), 1243-1262. https://doi.org/10.1080/0965254X.2021.1908404
crossref
Akgun, A. E., Keskin, H., Ayar, H., & Erdoğan, E. (2015). The influence of storytelling approach in travel writings on readers' empathy and travel intentions. Procedia -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207, 577-586. https://doi.org/10.1016/j.sbspro.2015.10.129
crossref
Bhattacherjee, A. (2002). Individual trust in online firms: Scale development and initial test. Journal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19(1), 211-241. https://doi.org/10.1080/07421222.2002.11045715
crossref
Bocti, M., El Zein, S. A., & Giannini, R. (2021). Exploring antecedents to the attitude-behavior gap for sustainable fashion consumption in Germany. Journal of Sustainable Marketing, 2(2), 27-38. https://doi.org/10.51300/jsm-2021-39
crossref
Boje, D. M. (2014). Storytelling organizational practices: Managing in the quantum age. Routledge.

BSR. (2012). Sustainable fashion design: Oxymoron no more? BSR Press.

Buerke, A., Straatmann, T., Lin-Hi, N., & M?ler, K. (2017). Consumer awareness and sustainability-focused value orientation as motivating factors of responsible consumer behavior. Review of Managerial Science, 11, 959-991. https://doi.org/10.1007/s11846-016-0211-2
crossref
Carey, L., & Cervellon, M. C. (2014). Ethical fashion dimensions: Pictorial and auditory depictions through three cultural perspectives. Journal of Fashion Marketing and Management, 18(4), 483-506.
crossref
Cervellon, M., Hjerth, H., Ricard, S., & Carey, R. (2010, January). Green in fashion? An exploratory study of national differences in consumers' concern for eco-fashion. In Proceedings of 9th International Marketing Trends Conference, Venice.

Chen, Y. S. (2010). The drivers of green brand equity: Green brand image, green satisfaction, and green trust. Journal of Business Ethics, 93(2), 307-319. https://doi.org/10.1007/s10551-009-0223-9
crossref
Chen, Y. S., & Chang, C. H. (2013). Greenwash and green trust: The mediation effects of green consumer confusion and green perceived risk. Journal of Business Ethics, 114, 489-500. https://doi.org/10.1007/s10551-012-1360-0
crossref
Dangelico, R. M., & Vocalelli, D. (2017). "Green Marketing": An analysis of definitions, strategy steps, and tools through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Journal of Cleaner Production, 165, 1263-1279. https://doi.org/10.1016/j.jclepro.2017.07.184
crossref
de Groot, J. I. M., & Steg, L. (2007). Value orientations and environmental beliefs in five countries: Validity of an instrument to measure egoistic, altruistic, and biospheric value orientations.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38(3), 318-332.. https://doi.org/10.1177/0022022107300278
crossref
Ekins, P. (2011).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From environmental valuation to the sustainability gap. Progress in Physical Geography, 35(5), 629-651. https://doi.org/10.1177/0309133311423186
crossref
Eom, T. K., & Eom, K. H. (2021). A study on the value of consumption by generation by sustainable fashion product desig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and Culture, 27(4), 359-368.

Ertekin, Z., & Atik, D. (2015). Sustainable markets: Motivating factors, barriers, and remedies for mobilization of slow fashion. Journal of Macromarketing, 35(1), 53-69. https://doi.org/10.1177/0276146714535932
crossref
Eyal, N., Davidov, E., & Sznitman, S. R. (2009). Adjustment difficulties in immigration: The roles of individual and collective factors.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logy, 44(4), 276-285.

Fries, A. (2023). Fitting the narrative: Exploring the effectiveness of brand storytelling in sustainable fashion advertising (Unpublished bachelor's thesis). The University of Arizona, Arizona, U.S.A.

Gupta, S., & Ogden, D. T. (2009). To buy or not to buy? A social dilemma perspective on green buying. Journal of Consumer Marketing, 26(6), 376-391. https://doi.org/10.1108/07363760910988201
crossref
Harris, F., Roby, H., & Dibb, S. (2016). Sustainable clothing: Challenges, barriers and interventions for encouraging more sustainable consumer behaviour. International Journal of Consumer Studies, 40(3), 309-318. https://doi.org/10.1111/ijcs.12257
crossref
Hartmann, P., Apaolaza, V., & Eisend, M. (2016). Nature imagery in non-green advertising: The effects of emotion, autobiographical memory, and consumer's green traits. Journal of Advertising, 45(4), 427-440. https://doi.org/10.1080/00913367.2016.1190259
crossref
Huang, C., & Guo, R. (2021). The effect of a green brand story on perceived brand authenticity and brand trust: The role of narrative rhetoric. Journal of Brand Management, 28, 60-76. https://doi.org/10.1057/s41262-020-00213-7
crossref
Jacometti, V. (2019). Circular economy and waste in the fashion industry. Laws, 8(4), 27. https://doi.org/10.3390/laws8040027
crossref
Jin, H. J., Wi, Y. J., & Yu, Y. B. (2021). Analysis of consumer preference for packaging design and advertisement text for HMR. Journal of Marketing Studies, 29(2), 1-20.

Joergens, C. (2006). Ethical fashion: Myth or future trend? Journal of Fashion Marketing and Management: An International Journal, 10(3), 360-371. https://doi.org/10.1108/13612020610679321
crossref
Joshi, Y., & Rahman, Z. (2015). Factors affecting green purchase behaviour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International Strategic Management Review, 3(2), 128-143. https://doi.org/10.1016/j.ism.2015.04.001
crossref
Kalafatis, S. P., & Pollard, M. (1999). Green marketing and Ajzen's theory of planned behaviour: A cross-market examination. Journal of Consumer Marketing, 16(5), 441-460. https://doi.org/10.1108/07363769910289550
crossref
Kaufman, B. (2003). Stories that sell, stories that tell. Journal of Business Strategy, 24(2), 11-15.
crossref
Kent, M. L. (2015). The power of storytelling in public relations: Introducing the 20 master plots. Public Relations Review, 41(4), 480-489. https://doi.org/10.1016/j.pubrev.2015.05.011
crossref
Kim, H. C. (2008). The art of brand storytelling . Mentor.

Kim, H. J., Kim, H. Z., & Lee, S. (2009). The effect of well-being, consumer value orientations, perceived value and brand preference on purchase intention of environment-friendly cosmetics. Journal of Korean Beauty Society, 15(1), 327-336.

Kim, J., Kim, J. E., & Johnson, K. K. P. (2010). The customer-salesperson relationship and sales effectiveness in luxury fashion stores: The role of self-monitoring. Journal of Global Fashion Marketing, 1(4), 230-239. https://doi.org/10.1080/20932685.2010.10593074
crossref
Kim, Y., & Ko, E. (2010). The impact of design characteristics on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Focus on luxury fashion brand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4(2), 252-265.
crossref
Kwak, Y., Koo, J. J., Guo, R. R., & Koo, J. J. (2020). The effect of the characteristics of storytelling TV advertising on brand reliability and purchase intention: Focusing on Nestle instant coffee in the Chinese market. Brand Design Research, 18(1), 99-114.

Lloyd, A. E., & Luk, S. T. K. (2010). The devil wears Prada or Zara: A revelation into customer perceived value of luxury and mass fashion brands. Journal of Global Fashion Marketing, 1(3), 129-141. https://doi.org/10.1080/20932685.2010.10593065
crossref
Lundqvist, A., Liljander, V., Gummerus, J., & Van Riel, A. (2013). The impact of storytelling on the consumer brand experience: The case of a firm-originated story. Journal of Brand Management, 20(4), 283-297. https://doi.org/10.1057/bm.2012.15
crossref
Mezger, A., Cabanelas, P., Cabiddu, F., & Rüdiger, K. (2020). What does it matter for trust of green consumers? An application to the German electricity market. Journal of Cleaner Production, 242, 118484. https://doi.org/10.1016/j.jclepro.2019.118484
crossref
Mishra, A. (2015). Consumption value of digital devices: An investigation through Facebook advertisement. Scientific Research, 4(3), 51-61. https://doi.org/10.4236/sn.2015.43007
crossref
Norstedt, J., & Sjölinder, F. (2021). Bridging the attitude-behavior gap: A case study for how an FMCG company may decrease the attitudebehavior gap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ppsala University, Uppsala, Sweden.

Parguel, B., Benoit-Moreau, F., & Larceneux, F. (2011). How sustainability ratings might deter 'greenwashing': A closer look at ethical corporate communication. Journal of Business Ethics, 102(1), 15-28. https://doi.org/10.1007/s10551-011-0901-2
crossref
Park, H. J., & Lin, L. M. (2020). Exploring attitude–behavior gap in sustainable consumption: Comparison of recycled and upcycled fashion product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117, 623-628. https://doi.org/10.1016/j.jbusres.2018.08.025
crossref
Payne, A. (2011). The life-cycle of the fashion garment and the role of Australian mass market designers.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Cultural, Economic and Social Sustainability, 7(3), 237-246.
crossref
Portal, S., Abratt, R., & Bendixen, M. (2019). The role of brand authenticity in developing brand trust. Journal of Strategic Marketing, 27(8), 714-729.
crossref
Prothero, A. (1990). Green consumerism and the societal marketing concept: Marketing strategies for the 1990s. Journal of Marketing Management, 6(2), 87-103. https://doi.org/10.1080/0965254X.2018.1466828
crossref
Ramus, C. A., & Montiel, I. (2005). When are corporate environmental policies a form of greenwashing? Business & Society, 44(4), 377-414. https://doi.org/10.1177/0007650305278120
crossref
Rausch, T. M., & Kopplin, C. S. (2021). Bridge the gap: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and behavior regarding sustainable clothing. Journal of Cleaner Production, 278, 123882. https://doi.org/10.1016/j.jclepro.2020.123882
crossref
Rizomyliotis, I., Poulis, A., Konstantoulaki, K., & Giovanis, A. (2021). Sustaining brand loyalty: The moderating role of green consumption values. Business Strategy and the Environment, 30(7), 3025-3039. https://doi.org/10.1002/bse.2786
crossref
Salisbury, W. D., Pearson, R. A., Pearson, A. W., & Miller, D. W. (2001). Perceived security and World Wide Web purchase intention, Industrial Management & Data Systems, 101(4), 165-177. https://doi.org/10.1108/02635570110390071

Schwartz, S. H., & Bilsky, W. (1987). Toward a universal psychological structure of human valu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3(3), 550-562.
crossref
Shen, D., Richards, J., & Liu, F. (2013). Consumers’ awareness of sustainable fashion. Marketing Management Journal, 23(2), 134-147.

Sheth, J. N., Newman, B. I., & Gross, B. L. (1991). Why we buy what we buy: A theory of consumption value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22(2), 159-170. https://doi.org/10.1016/0148-2963(91)90050-8
crossref
Shin, H. R., Kim, Y. M., & Yoon, S. J. (2014). The effect of storytelling techniques and product involvement on advertising attitude,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Cultural Industry Research, 14(2), 53-59.

Shin, K. C. (2024, March 19). 2024 Five sustainable fashion trends. Fashion Insights. retrieved August 1, 2024, from https://www.fi.co.kr/main/view.asp?idx=81688

Stern, P. C., Dietz, T., & Kalof, L. (1993). Value orientations, gender, and environmental concern. Environment and Behavior, 25(5), 322-348. https://doi.org/10.1177/0013916593255002
crossref
Straughan, R. D., & Roberts, J. A. (1999). Environmental segmentation alternatives: A look at green consumer behavior in the new millennium. Journal of Consumer Marketing, 16(6), 558-575. https://doi.org/10.1108/07363769910297506
crossref
Thogersen, J. (2000). Psychological determinants of paying attention to eco-labels in purchase decisions: Model development and multinational validation. Journal of Consumer Policy, 23(3), 285-313. https://doi.org/10.1023/A:1007122319675
crossref
Tucker, E. M., Rifon, N. J., Lee, E. M., & Reece, B. B. (2012). Consumer receptivity to green ads: A test of green claim types and the role of individual consumer characteristics for green ad response. Journal of Advertising, 41(4), 9-23.
crossref
Urien, B., & Kilbourne, W. (2011). Generativity and self-enhancement values in eco-friendly behavioral intentions and environmentally responsible consumption behavior. Psychology & Marketing, 28(1), 69-90. https://doi.org/10.1002/mar.20381
crossref
Vega, E., & Camarero, C. (2024). Once upon a game: boosting brand storytelling through gamification. Journal of Product & Brand Management, 33(6), 717-732. https://doi.org/10.1108/JPBM-10-2023-4796
crossref
Vermeir, I., & Verbeke, W. (2008). Sustainable food consumption among young adults in Belgium: Theory of planned behaviour and the role of confidence and values. Ecological Economics, 64(3), 542-553. https://doi.org/10.1016/j.ecolecon.2007.03.007
crossref
Wee, J. (2022). The effect of sustainability messages in luxury fashion products on consumer response: Focusing on the effects of guilt.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Editorial Office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TEL : +82-2-561-6416, +82-2-561-6446    FAX : +82-2-562-2999    
E-mail : khea6416@daum.net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2014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Developed in M2P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