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Sitemap | Contact Us |  
top_img
Hum. Ecol. Res Search

CLOSE

Human Ecology Research > Volume 62(4); 2024 > Article
디지털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가정교과 수업과정안 개발: 2022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 의생활 영역을 중심으로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lesson plans for clothing life that will improve digital literacy competencies at home economics education. For this purpose, lesson plans were developed that reflects the three components of digital literacy, content and digital technologies. The lesson plans are divided into five topics: self-image expression, clothing materials and care practices, sustainable clothing planning, resource cycles and human choices, and culture and future change in the clothing life-cycle. Each of these themes uses digital resources to develop digital literacy abilities in accordance with the STPCR's instructional stages. Gané's goal statement is used to express the general goal of each topic, which is then followed by particular objectives to achieve it. The lesson plans have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1) Using digital tools to improve digital literacy skills; 2) Understanding and applying the value of resource circulation and sustainability; 3) Increasing class engagement and learning motivation; and 4)Fostering collaboration and critical thinking abilities through peer assessment and feedback. One weakness of this study is that the lessons learned were not used in the field. However, a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developed lesson plans have not been applied in the fiel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lesson-plan in enhancing digital literacy skills through field application.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identify optimized digital tools and platforms and provide practical utilization strategies for educators.

서론

윌리엄 셰익스피어가 『햄릿』을 쓴 해로 추정되는 1600년 당시 영국에서 영어로 출간되는 책은 1년에 100권이 채 되지 않았다(Ritchie & Roser, 2024).
디지털 기술이 등장한 이후 정보가 갖는 힘과 영향력의 범위는 폭발적으로 젊어져 정보의 구조, 정보가 유통되는 방식, 영향력, 유효기간 등이 근본적으로 달라졌다. 이러한 변화는 불과 20년 동안 생산된 데이터가 지난 5,000년간 인류가 생산한 데이터의 2,500배가 넘는다는 수치를 통해 알 수 있다(Lee, 2022). 2024년 현재에는 단 이틀이면 인류 문명 이후 축적된 만큼의 정보를 생산할 수 있고 놀라운 것은 정보를 생산해 내는 속도는 앞으로 더 빨라질 것으로 예상된다는 것이다.
이렇게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정보는 아무 문제 없이 우리 일상에 도움이 되는 걸까? 그에 대한 대답은 인간의 본능과 정보의 가치에 큰 변화를 살펴보면 확인할 수 있다. 지나친 정보는 인간의 인지적 본능에 ‘인지 과부하’라는 부작용을 가지고 왔고 정보가 넘치는 디지털 세상은 편리하고 유익한 환경이지만 실제 인간은 새로운 환경에 아직 적응하지 못한 상태이다. 인간은 새로운 정보에 민감하게 반응하지만 이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이용해야 하는지 아직도 습득하지 못하고 있고 막대한 양의 정보는 지식의 가치와 쓸모를 일시적인 것으로 바꾸고 있다. 하버드대의 물리학자 Arbesman (2013)은 ‘지식의 반감기’라는 개념을 통해 현대사회에서 지식과 정보의 유효기간이 갈수록 단축된다고 했다. 지식의 생산과 지식의 유통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이에 따라 지식의 유효기간이 빠르게 단축되면서 인간은 그 변화를 따라잡는 것이 더 이상 불가능해지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환경에서는 지식을 선별하고 고정화해서 교육 대상으로 정하고 이를 어떻게 하면 효과적으로 가르칠 것인가를 가르치던 과거의 교육방식보다는 정보들이 어떻게 움직이는지 그 구조를 살펴보고 비판적으로 분류하여 필요한 것을 활용하는 교육으로 전환이 필요하다. 정보가 늘어날수록 해당 정보 자체를 습득하는 것이 아니라 정보를 종합적으로 만드는 지식, 정보의 의미와 맥락을 이해하는 능력이 중요해지기 때문이다. 통섭이론을 주장한 하버드대의 사회생물학자 Wilson (1999)은 “앞으로 세계는 적절한 정보를 적시에 사용할 능력을 지닌 사람들이 지배하게 될 것”(p.294)이라고 말했다. 우리가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해야 하는 이유도 이러한 환경의 변화에 있는 것이다. 디지털 리터러시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정보를 찾아내고, 조직하고, 이해하고, 평가하고, 분석하여 재창조해 내는 능력으로 개인의 발전과 고용, 사회적 참여에 필수적이다. 특히, 정보의 활용과 비판적 이해, 도구의 활용 등을 통한 독립적 학습 강화는 실제 생활에서 일어날 수 있는 다양한 문제를 혁신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가정 교과는 삶에서의 실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교과로 가정 교과의 의생활 영역은 패션 디자인, 섬유 제조, 마케팅 등의 분야에서 기술적 혁신이 빠르게 접목되고 있다. 특히, 의류의 디자인과 생산, 디자인, 맞춤형 제작, 자기 이미지 표현, 지속가능한발전 교육 분야 등에서 디지털 리터러시를 통합하여 교육하는 것은 현대사회의 요구에 높게 부응할 수 있고 학생들에게 필수적인 생활 기술을 제공하기에 적합하여 좁게는 의생활 영역에서의 개인적 실천에 도움이 되고 넓게는 패션산업의 디지털 미래에 대비시키는 것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디지털 리터러시에 대해 명확히 이해하고 정보를 제대로 사용할 능력을 지닌 역량을 기른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2022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의 의생활 영역에 초점을 맞추어 디지털 리터러시를 함양할 수 있는 수업과정안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론적 배경

1. 디지털 리터러시

가. 디지털 리터러시(Digital Literacy)의 정의

전통적으로 리터러시라는 말은 텍스트를 읽고 쓰는 능력을 가리켰다. 오늘날에는 읽고 쓰는 것에서 확장되어 지식과 정보에 접근하고 이를 평가, 분석, 소통하여 개인과 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의 의미로 쓰인다(Yoon, 2009).
20세기 이후 정보화 사회가 도래하면서 전통적인 리터러시와는 다른 새로운 종류의 미디어 리터러시가 필요하게 되었는데, 학자들은 이러한 미디어를 비판적으로 시청하고 자신의 역량으로 주어진 정보를 판단할 수 있어야 한다고 보았다(Boyd, 2014). 리터러시에서 미디어 리터러시로 그리고 또 디지털 리터러시로 옮겨가는 동안 리터러시의 개념에 대한 정의도 달라져 왔다. 국· 내외 연구자들은 디지털 리터러시에 대해 Table 1과 같이 정의했다.
디지털 리터러시에 대한 학자들의 정의 중에서 공통으로 나타나는 주요 요소는 정보의 이해, 탐색, 활용, 분석, 창조, 공유, 안전이며 이를 바탕으로 디지털 리터러시의 개념을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
‘디지털 리터러시’란 디지털 기술과 미디어를 활용하여 정보와 콘텐츠를 탐색, 이해, 소비, 분석, 관리, 창조함으로써 디지털 도구를 활용하는 건강하고 윤리적인 디지털 시민으로서 지혜롭게 소통하고 관계를 맺으며, 개인과 사회의 발전을 균형 있게 도모하는 역량이다. 그리고 디지털 리터러시는 정보를 명확히 찾고 평가하고 조합하는 개인의 능력이 매우 중요하다. 디지털 리터러시는 전통적인 문해력의 개념을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확장하여 발달시킨 개념이며 단순히 텍스트를 분석하는 의미를 넘어 정보를 종합적으로 해석하는 것을 포함하기 때문에 다양한 학문의 분야가 디지털 리터러시와 개념을 공유하고 있다(Jenkins, 2009; Lankshear & Knobel, 2008). 초기의 디지털 리터러시는 단순히 컴퓨터를 활용하는 기술을 가르치는 데 초점을 두어 등장하였으나 인터넷이 발달하고 모바일 기기가 생활화되면서 나타난 다양한 정보들이 개인의 소셜네트워크까지 등장하고 확장되면서 단순히 기기를 사용하는 방법을 넘어 정보를 다루고 가공하는 일까지 그 깊이와 넓이를 확장하는 일이 중요해졌다(Cazden et al., 1996). 특히, 21세기에 들어와 다양한 디지털 플랫폼의 형태가 등장하고 개인의 소셜미디어가 활성화되면서 많은 정보를 접하는 소비자들은 신뢰성 있고 효율적인 정보 활용 능력이 더욱 필요하게 되었다(KERIS, 2023a). 그리고 여러 종류의 디지털 미디어들이 제공하는 수많은 정보는 가짜뉴스(Allcott & Gentzkow, 2017), 필터버블(Pariser, 2011), 반향실 효과(Jamieson & Cappella, 2008)와 같은 다양한 부정적인 현상이 드러나고 있어서 디지털 리터러시함양을 통해 주어진 정보를 비판적으로 다루고 제대로 활용하는 개인의 능력이 무엇보다 필요한 상황이다.

나. 디지털 리터러시의 구성

디지털 리터러시는 디지털 플랫폼을 통해 얻게 되는 정보에 대한 이해, 판단, 평가, 활용 등의 활동을 포괄하는데 개인의 소셜미디어가 개인의 전유물이 아니라 타인에게 영향을 미치게 되며, 그 영향은 점차 가정, 기업, 사회, 국가까지 넓어지고 있다(Martens & Hobbs, 2015). 그래서 디지털 리터러시는 단순히 디지털 기기를 활용하여 읽고 쓰는 것이 아니라 정보의 제작, 정보의 공유를 포함하여 여러 종류의 미디어를 활용하여 지식을 증진하는 활동까지 포함한다. 디지털 리터러시는 기술의 습득과 동시에 문제의 해결을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 이전의 미디어 리터러시와는 차이가 있다(Center for Digital Literacy, 2024).
디지털 리터러시 함양을 위해 Hobbs (2020)는 그의 저서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수업에서 디지털 리터러시 개발의 목록을 제시(Mind Over Media: Propaganda Education for a Digital Age, 25-26)하였고(Table 2 참조) Center for Digital Literacy(2003)에서는 디지털 리터러시를 구분하고(Figure 1 참조)과 디지털 리터러시의 프레임워크(Figure 2 참조)를 제시하고 있다.
KERIS(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2023b)은 디지털 리터러시를 이루는 기능적 요소로 정보탐색, 분석, 평가, 활용, 관리, 소통, 추상화, 생산 및 프로그래밍으로 제시하였으며, 미국과 유럽은 데이터 처리, 정보 검색과 분석, 비판적 사고, 효율적인 의사소통, 디지털 안전, 건강한 시민의식을 디지털 리터러시 요소로 제시하고 있다(Choi, 2018). Province of British Columbia (2017)는 디지털 리터러시 요소를 정보 리터러시, 비판적 사고력 및 문제해결, 창의성 및 혁신성, 디지털 시민의식, 의사소통 및 협동, 기술 활용으로 제시하였고 네델란드의 열린 대학은 디지털 기기를 사용하는 기능 습득, 의사소통과 의견 교환 능력, 비판적으로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능력, 디지털 안전과 윤리를 따르는 태도 습득, 새로운 기술을 탐구하는 능력을 요소로 제시하고 있다(Open University, 2013).
이처럼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요소는 나라 혹은 지역마다 조금씩 차이를 보이고 있지만 여러 연구(Choi, 2018; Hobbs, 2020; KERIS, 2023b; Open University, 2013)에서 제시된 내용을 바탕으로 분류하여 재구성하면 Table 3과 같이 정보와 데이터를 다루는 기술, 정보에 대한 비판적 접근과 활용, 정보를 생산하고 공유하는 능력, 정보에 대한 안전과 윤리적 태도로 정리할 수 있다.

2. 가정교과 수업과 디지털 리터러시

대한민국의 학생들은 전통적인 개념의 문해력은 상당히 갖추어진 것으로 평가되어 왔지만(Schleicher, 2019) 디지털 리터러시의 사용은 OECD 국가 중 아주 미숙하다는 평가를 받는다(PISA, 2021). 이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 청소년들은 문장의 사실과 의견을 식별하는 능력이 부족한데 이는 대한민국의 교육과정이 청소년의 문해력 향상을 위해 충분한 교육 기회를 제공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더욱이 한국 학교에서의 청소년들이 읽는 텍스트의 길이가 문해력 순위가 높은 국가의 1/10정도 수준이라고 하여 이에 대한 대처가 필요하다.
유럽의 여러 나라와 달리 대한민국은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명시적 의무가 존재하지 않았다. 물론,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의 핵심 역량에 지식정보 처리 역량에 대한 언급이 있긴 하지만 이것이 명확히 디지털 리터러시라고 명시하지 않고 있다. 그러나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이 명시되면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다. 물론,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정보 교과에 디지털 리터러시의 일부 내용 요소가 포함되어 교과 차원에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시행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 여기서는 디지털 리터러시의 요소 모두를 포함하고 있지 않다.
반면, 부산광역시 교육청의 경우에는 2020년 디지털 리터러시 교과를 개설해 교과교육을 실시하고 있는데(Busan Metropolitan City Office of Education, 2020), 이는 일부 시에 국한되어 실시하는 것이어서 디지털 리터러시를 학습의 도구 관점으로 봤을 때 전국 단위로 다양한 교과에서 디지털 리터러시에 대한 접근이 필요하다.
가정 교과는 일상생활 속에서 직면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중요시하는 실천 교과로(MOE, 2022) 디지털 환경에서 일어날 수 있는 다양한 문제를 실제 해결해 보는 과정을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함으로써 앞으로 변화된 환경을 대비할 수 있도록 교육할 수 있다.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실과(기술·가정) 교사들은 교과교육에서 디지털 리터러시의 교육에 대한 필요성에 대해 타교과보다 높게 인식하고 있지만(Lee et al., 2019) 실행의 정도가 낮아 이에 관한 연구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실제 가정 교과 차원에서 이루어진 연구는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에 반영된 미디어 리터러시 내용을 분석한 연구(Shim & Choi, 2020)와 디지털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가정과 ’성폭력 예방‘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Jeong & Yu, 2023) 외에 찾아보기 힘들다.
이들 연구에서는 교사가 준비할 수 있는 시간이 부족하여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고(Lee et al., 2019) 가정교과서에 제시된 자료가 인쇄매체 자료에 편중된 경향이 있어(Shim & Choi, 2020) 체계적인 교육활동 설계가 필요하며 학생 참여적이고 창의적인 생산이 가능한 리터러시 교육의 방향(Lee et al., 2019)을 가지고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을 균형 있게 키울 수 있는 교수·학습 자료의 개발을 요구하고 있다(Shim & Choi, 2020). 현재 ‘성폭력 예방’이라는 주제로 개발된 교수·학습과정안과 교수·학습자료가 있지만 가정 교과의 다양한 단원과 주제를 포괄하기에는 부족하여 이에 대한 개발이 시급하다(Jeong & Yu, 2023).

3. 디지털 리터러시 수업 단계(STCPR)

디지털 리터러시 수업과 관련하여 많은 연구에서 디지털 리터러시 수업을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해 논의를 시작하였다. 디지털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기존의 수업이 디지털 사회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주장(Siemens, 2004)에 따라 연결이론 등에서 디지털 기술의 발전이 학습과 지식의 생성, 분배, 사용 방식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설명하였다.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교육의 목표가 변해야 한다는 인식이 나타나면서 Bloom의 기존 분류법을 디지털 학습 활동과 연결지어 정보를 분석하고 창의적으로 표현하는 등 고차원적 사고 과정을 개발하는 Bloom’ s 디지털 이론(RUAAEC)을 제안하기도 하였다(Churches, 2010). Bloom의 디지털 분류는 기억하기(Remember), 이해하기(Understand), 적용하기(Apply), 분석하기(Analyze), 평가하기(Evaluate), 창조하기(Create)의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Bloom의 디지털 분류법의 경우 기준이 모호하고 포괄적으로 제시되어 있어 각 수업의 단계에 활용할 수 있는 범위가 너무 넓어져 수업을 구성하는데 있어 불편함이 있다. 이외에도 기술 통합에 주로 사용되는 SAMR(대체 – 증강 – 변형 - 재정의)등의 모델이 있지만 이 모델의 경우 교육보다는 기술적으로 도구를 어떻게 통합하고 활용할 것인지에 대해 중점을 두고 있어 교육적 측면이 강조된 수업의 단계를 정리하여 활용하는 것이 별도로 요구된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디지털리터러시협회에서 제시한 STPCR의 모델이 교육적으로 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 STCPR 모델은 Search (탐색): 정보를 적극적으로 검색하고 탐색하는 단계, Talk(토론): 정보를 공유하고 토론하여 깊이 있는 이해를 도모 단계, Creation (창조):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새로운 아이디어나 콘텐츠를 창조하는 단계, Presentation (발표): 자신의 작업을 다른 사람에게 설명하고 발표하는 단계, Reflection (성찰): 학습 과정을 되돌아보고 자신의 이해도를 평가하는 단계로 구성되어 있고 학습 과정을 구조화하고 체계적으로 진행하도록 설계되어 학습자가 정보를 탐색하고, 토론하며, 창조적으로 적용하고, 발표하고, 성찰하는 일련의 단계를 통해 교육적 목표를 충분히 달성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특히, STCPR은 디지털 도구를 활용하여 학습 과정을 체계적으로 구성하는 데 중점을 둘 수 있으며 학습자의 참여와 깊이 있는 학습을 촉진하여 디지털 도구를 학습하는 것이 아니라 디지털을 도구로써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보 교과가 아닌 다른 교과의 수업에 충분히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연구방법

디지털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가정교과 의생활 영역 수업과정안 개발은 설계(Design), 개발(Development), 평가(Evaluation) 절차를 거쳐 진행되었다. 이 연구에는 수업과정안의 개발을 위해 기존의 AIDDIE 모형에서 Analysis(분석)와 Implement(적용) 단계를 생략하였다. 그 이유는 디지털 리터러시 향상이라는 교육의 목표가 매우 명확하고 특정하여 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디지털 리터러시와 관련된 필요성과 단계 등을 분석하는 것보다는 설계 및 개발 단계로 진행하는 것이 더욱 효율적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실제 선행연구(Jeong & Yu, 2023; Song, 2024)에서는 분석 단계에서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총론과 교수학습 내용을 분석하는 등 디지털 리터러시 적용 가능성을 확인한 분석으로 주로 이루어져 있어 이 연구에서는 생략하여도 무방하다고 판단하였다. 두번째로 Implement(적용) 단계를 생략한 이유는 수업과정안의 경우 개발 시점과 적용 시점의 디지털 도구가 빠르게 달라질 수 있다는 점 때문에 수업과정안이 반복적이고 지속적인 개선이 요구되기에 실제 적용보다는 반복적인 설계와 평가 과정이 더욱 중요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1. 설계(Design)

이 단계에서는 디지털 리터러시 프레임워크의 요소와 의생활 영역의 내용 요소를 바탕으로 전체적인 흐름을 설계하였다. 설계 단계에서는 학습자가 무엇을 이해하고, 무엇을 할 수 있어야 하는지를 명확히 정의한다. 이를 위해 학습자에게 던질 핵심 질문, 핵심 개념, 그리고 학습 목표를 설정하였다. 첫째, 핵심 질문은 학습자가 탐구할 주요 질문이다. 이 연구는 가정교과의 의생활 영역을 바탕으로 하고 있기에 “지속가능한 의생활을 위해서 우리는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가?” 등의 질문을 할 수 있다. 둘째, 핵심 개념은 학습자가 오랜 시간 동안 기억하고 다양한 상황에 적용할 수 있는 주요 개념으로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의생활 관련 내용 요소를 묶을 수 있는 상위개념을 말한다. 셋째, 학습 목표는 2022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의 의생활 영역을 포괄하는 성취기준이 주요 목표가 된다.
수업의 차시는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Kim et al., 2022)의 연구에서 11차시 이상부터 프로그램의 효과가 극대화된다는 결과를 바탕으로 11차시 이상으로 하되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안된 자율적 차시 운영을 반영하고 본 수업의 수업 내용 요소를 충분히 포괄하는 수업 차시를 확보하여 총 16차시로 구성하였다. 이는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함양이라는 목적으로 활용되었을 때 선택교과나 창의적 체험활동의 수업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는 판단하에 1단위의 수업에 해당하는 차시를 충분히 제공하면서도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자율적 운영 1차시를 증감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가정하에 16차시로 구성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하였다.

2. 개발(Development)

본 연구에서 개발한 수업과정안은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협회가 제시한 STCPR 수업의 단계를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비판적으로 생각하고, 창의적인 대안을 생각해 내고, 협업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기 때문에 비판적 사고의 단계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래서 정보는 찾는 S(Search)단계, 정보에 대해 논의하는 T(Talk)단계, 정보를 창조해내는 C(Creation)단계, 공유하는 P(Presentation)단계, 수업의 단계를 성찰하는 R(Reflection)의 단계는 비판적 사고를 충분히 할 수 있는 학습의 기회를 제공해 줄 수 있다.
STCPR단계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S(Search)단계에서는 문제와 결핍을 찾아내고 스스로 탐색하며 생각하고 질문하는 단계가 진행된다. T(Talk)단계에서는 사람들과 대화하며 생각을 나누고, 사고를 키우며 정리하는 단계로 상대방과의 대화가 무엇보다 중요한 수업 방법으로 제시된다. C(Creation)단계는 정리된 생각과 느낌을 다양한 형태의 콘텐츠로 창작하는 단계로 이때, 다양한 디지털 도구가 사용되고 학습자들은 다양한 디지털 도구 사용 능력을 기를 수 있다. P(Presentation)단계는 창작한 콘텐츠를 발표/공유하며 완벽하게 나의 것으로 만드는 단계이다. 공유의 단계에서 다양한 교수법에 따라 교내, 교외, 지역, 사회로 확산시킬 수 있다. R(Reflection)단계는 전체과정을 스스로 성찰해 보며 부족한 부분을 채우고 발전시키는 단계이다.
이 연구에서는 STPCR 단계에 따라 수업과정안을 개발하되 가정 교과 의생활 영역의 내용 요소를 주제로 정하고 수업의 전체적인 맥락 안에서 디지털 도구를 투입하고 활용하는 것에 초점을 두었다. 이때, 고려된 점은 온오프라인 경계가 없는 블렌디드 러닝 수업 설계, 실생활과 관련된 실제적 맥락의 과제 해결을 유도하는 수업설계, 상호작용과 협업을 바탕으로 참여 및 활동 중심 수업 설꼐, 디지털 테크놀로지 연계로 창의적 사고를 촉진하는 수업 설계, 개별 학생 맞춤형 디지털 리터러시 수업 설계이다. 그리고 단순히 디지털 테크놀로지만을 고려한 단순 기기 사용 수업 설계 혹은 알고리즘이나 프로그램 개발 같은 수업 설계는 지양한다. 이연구에서 개발된 내용은 디지털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가정과 의생활 영역 수업과정안과 수업에 관련된 학습자료이다.
개발된 수업은 학습자가 학습 목표를 달성했음을 증명할 수 있는 평가 계획도 함께 제시된다. 평가 방법은 형성평가와 총괄평가를 중심으로 학생의 성취를 증명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이 모두 포함된다. 형성평가는 학습 과정 중에 학습자의 진행 상황을 판단하고 평가하여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는 평가로 구성된다. 총괄평가는 학습이 끝난 후 학습자가 학습 목표를 달성한 정도를 알아볼 수 있는 평가로 구성된다. 그 외 학생의 성취를 증명할 수 있는 프로젝트, 보고서 등은 모두 평가계획에 포함되고,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리터러시를 함양이 목표이므로 주로 이러한 역량을 기를 수 있는 방향으로 평가를 계획하였다.

3. 평가(Evaluation)

교수·학습 활동에 활용된 디지털 리터러시 도구와 수업의 전반적인 개요는 연구자에 의해 1차 선정되고, 2차 전문가 집단에 의해 점검 후 수정 및 보완되었다. 수정 및 보완된 수업의 개요에 따라 연구자는 수업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수업 과정 안 역시 디지털 리터러시 도구와 개요를 검토한 전문가 집단에 의해 평가되었고, 전문가 집단의 평가 결과와 수정 권고 내용은 수정안에 즉시 반영하였다. 수업을 평가한 전문가 집단의 세부 사항은 Table 4와 같다.
개발된 수업과정안에 대한 전문가 집단의 평가를 위해 사용한 문항은 Park 등 (2022)의 연구에서 제시된 식생활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타당도 평가 문항을 활용하였으며 각 문항의 내용은 Table 5와 같이 본 연구의 목적에 적합하도록 재구성하였다.

연구결과

1. 설계(Design)

가. 목표설정(Desired Results)

본 연구에서 수업의 목표는 2022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의생활 영역의 내용요소와 성취기준을 바탕으로 설정되었다. 이 때, 가네의 행동적 목표 진술에 따라 행동(Behavior), 조건(Condition), 기준(Criterion)의 세 가지 요소로 구성하였다. 진술된 목표는 가네의 목표 진술의 조건을 만족하여 행동을 실천하는 총괄목표로 최종 구성하였다. 초기에 선정된 내용요소는 중학교에서 자기이미지 표현, 의복재료와 관리 행동, 의복마련계획과 업사이클링, 지속가능성이고 고등학교의 의생활 문화와 미래 변화 요소이다. 성취기준에 따른 수업목표의 경우 전문가들의 검토와 수정권고 사항에 따라 내용요소를 5개로 구별하고 각 내용에 따라 성취기준을 하나씩 배열하였고 성취기준을 달성하기 위한 수업목표를 Table 6과 같이 설정하였다.

나. 수업과정안 설계(Lesson Plans Design)

수업과정안을 개발하기에 앞서 수업과정안을 설계하였다. 수업과정안을 설계하는 것은 주제별 교수·학습 활동과 그에 따른 디지털 리터러시 도구를 어떻게 매치할 것인가에 대한 구성이다.
디지털 리터러시 도구는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이를 교수·학습 활동에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다양한 디지털 리터러시를 함양할 수 있다. 이 연구의 설계에서 디지털 리터러시 도구는 커뮤니케이션 도구, 정보 검색 도구, 콘텐츠 생성 도구, 프로그래밍 및 개발 도구, 데이터 분석 도구, 사이버 보완 도구, 학습관리 시스템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이 중 프로그래밍 및 개발 도구와 사이버 보안도구의 경우에는 가정교과 시간에 활용하기보다 정보교과 시간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되었다. 다만, 사이버 보안도구는 도구를 직접적으로 사용하지 않지만 사이버 안전에 대한 언급이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강화에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어 모든 수업에 이와 관련된 내용을 포함하도록 설계하였다.
디지털 리터러시 도구는 프로그래밍 및 개발 도구와 사이버 보안 도구를 제외하고 Table 7과 같이 최종 5개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분류된 디지털 리터러시 도구에 따른 구체적인 프로그램과 이 도구를 가장 잘 활용할 수 있는 수업 및 활동에 대해 정리하였다.

2. 개발(Development)

가. 수업과정안 개요

전문가 평가 후 수정 권고된 내용을 바탕으로 최종적으로 설계된 개요는 Table 8과 같다. 개요는 상위개념(Hi-level Concepts)에 따른 수업목표(goals), 수업 단계(step), 교수-학습활동(Teaching and Learning Activity), 디지털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도구(Learning materials), 수업 차시(Time)로 구성되어 있다.

나. 수업과정안 예시

수업 설계 개요를 바탕으로 총 16차시 분량의 수업과정안을 개발하였다. 이 연구의 수업예시안은 설계 개요를 자세하게 안내한 것으로 교사 개인의 역량에 따라 설계안을 바탕으로 자유롭게 구성이 가능하다. 첫 번째 핵심 주제인 [긍정적인 자기 이미지의 표현] 수업으로 수업 설계 개요에서 제시한대로 STPCR의 순서로 각 단계마다 구체적인 수업 내용이 제시되어 있다. [긍정적인 자기 이미지의 표현] 수업의 1-2차시 수업 예시안은 Table 9와 같다. 수업은 블록수업으로 진행하면 가장 좋지만, 각 단계를 만족시켰을 경우 단계를 꼭 연결해야 할 필요가 없으므로 각 학교의 상황에 맞도록 실시해도 무방하다.
다음 Table 10에 제시된 수업 예시안은 네 번째 핵심 주제인 [의생활 자원의 순환과 인간의 선택]으로 수업의 3-4차시 단계에 대한 세부정보를 담고 있다. 1차시 수업은 지속가능성의 의미를 확인하고 2차시 수업에서는 의류의 라이프 사이클에 대해 메타버스에서 공부할 수 있다. 의류의 라이프 사이클은 기 개발된 사이트(https://app.gather.town/app/4IhdT1Mxtm9BHDMp/Jospace)를 활용할 수 있다.

다. 수업과정 평가

본 연구에서 제시된 수업과정안을 현장에 적용하기 위해 구체적으로 평가계획을 개발하였다. 평가는 형성평가와 총괄평가로 구분하여 제시하고 총괄평가의 경우 평가루브릭을 개발하였다. 각 주제별로 개발된 평가계획은 Table 11과 같다. 주제에 따른 형성평가는 수업을 진행하는 도중에 실시할 수 있는 학습지 등의 평가로 수업 시에 가장 중요하게 알아야 할 내용 혹은 총괄평가를 하기 위해 사전 작업으로 반드시 필요한 내용 등을 다루게 된다. 형성평가는 교수자의 피드백도 필요하지만 모둠의 협력 혹은 모둠 간 토론을 통해 충분히 피드백을 받고 동료들과 함께 학습능력을 성장시킬 수 있도록 준비한다.
총괄평가는 학습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형태의 평가를 실시하며, 이 때 루브릭을 사용하여 평가를 객관적으로 할 수 있다. 루브릭의 평가 기준은 학습목표의 내용을 반영하고 있고 각 내용별 단계 혹은 점수는 4단계로 우수, 양호, 보통, 미흡으로 구분하였다. 내용별 점수의 최고점은 20점, 각 기준의 내용은 5개로 총점 100점으로 표기되며, 이는 수업의 상황에 따라 재구성할 수 있다.

3. 평가(Evaluation)

수업과정안은 연구자가 1차적으로 설계한 수업의 전체적인 방향으로 전문가집단에 의해 검토되었고 제안된 수정 사항과 포함되길 바라는 구체적인 내용 등에 대한 전문가 의견은 Table 12와 같다. 수정 사항과 내용 구성 의견 중 중복되는 내용은 한 번만 제시하였다.
전문가 집단은 다음과 같은 내용을 수정 권고하였다.
자료의 수집이 주된 활동인 S 단계에서는 다양한 디지털 도구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는 방법에 대한 안내가 필요하고 자료를 다룰 때 표절 등의 디지털 윤리에 관한 내용을 반드시 안내할 것을 제안하였다. S 단계는 수업의 첫 시작을 알리는 단계이기 때문에 가정교과의 내용요소를 빠뜨리지 않도록 내용 구성을 교수자가 미리 설정해 놓는 것과 학습자들이 이를 충분히 숙지하고 수업의 방향성을 잃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모둠의 토론과 피드백을 주고 받는 T 단계에서는 교수자가 비판과 비난이 금지되도록 노력해야 하며, 댓글 혹은 피드백에서 디지털 예절 교육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이에 수업에서 댓글 실명제, 피드백 실명제를 시행하면서도 자유로운 의견 교환이 가능하도록 수업 설계를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였는데, 실제 수업에서 자유로운 의견이 교환 가능하면서도 실명제를 하기 위해서는 교수자만 알 수 있는 닉네임으로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으로 설정한다면 가능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따라서 수업에 앞서 학습자들은 교수자에게 활동 닉네임을 만들어 제출하고 학습자들끼리는 닉네임만으로 활동을 하게 한다면, 어느 정도 활동의 자유성을 보장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수업과정안의 가장 핵심 활동인 C 단계와 P 단계에서는 대부분 콘텐츠를 제작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때 모든 학습자가 참여하고 발표하고 공유할 수 있는 시간의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한데, 수업의 내용이나 활동의 내용이 많아지면 힘들 것이라는 제안에 활동의 개수를 최대 2개 이내로 제한하였다. 프리젠테이션은 객관적으로 살펴보아야 하며 이에 따른 피드백도 충분히 이루어져야 하고 개별로 개발하기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콘텐츠 제작은 모둠별로 하는 것이 효율적일 수 있다고 하였다. 마지막으로 R 단계에서는 구글폼, 디지털 일지를 통해 예절평가, 정보보호 안전 평가, 윤리평가, 성찰 일기 등을 작성하게 하고 이를 함께 개인 포트폴리오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한 수업의 마무리라고 평가하였다.

결론 및 제언

이 연구는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을 함양하기 위한 가정과 의생활 영역 수업과정안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해 디지털 도구를 활용하여 의생활 수업에서 정보의 수집, 분석, 평가, 창의적 표현 능력을 기를 수 있는 다양한 활동을 설계하고 적용하였다.
이 연구를 개발된 수업과정안은 총 16차시 분량으로 5개의 주제로 구성되어 있다. 5개의 주제는 긍정적인 자기 이미지 표현, 의복 재료와 관리 행동, 지속가능성을 고려한 의복 마련 계획, 의생활 자원의 순환과 인간의 선택, 의생활 문화와 미래 변화 요소이다. 수업과정안은 각 주제별 모두 STCPR의 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S 단계에서의 정보 수집, T 단계의 정보 분석과 피드백, C 단계에서의 콘텐츠 창조, P 단계에서의 공유, R 단계에서의 성찰을 기본으로 하고 있고 단계에 따라 적절한 디지털 도구가 사용되었다. 개발된 수업과정안은 다음과 같은 긍정적인 영향을 가지고 오리라 생각한다.
첫째,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을 강화할 수 있다. 디지털 도구를 활용한 정보 수집, 분석 활동을 통해 학습자들은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디지털 포트폴리오 작성과 프리젠테이션을 공유하는 활동 등은 콘텐츠를 창조해 내는 것이 디지털 리터러시를 함양시킬 수 있다는 기존의 연구들(Hobbs, 2022; McGarr & McDonagh, 2021)로 이를 증명할 수 있다.
둘째, 지속가능한 의생활을 계획 및 실천할 수 있다. 의복 재료의 순환과 재사용, 재활용, 순환 경제 시스템의 이해 등에 대해 배우는 것은 지속가능성을 실천할 수 있는 중요한 방법이다(Fletcher, 2013; Gwilt, 2020; Koszewska, 2018; Nikolina, 2019; Sandin & Peters, 2018). 이 연구에서 개발된 지속가능한 의생활과 관련된 수업을 통해 학습자들은 의생활과 관련된 자원에 대해 배우고 자원의 순환과 지속가능성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이를 유지하고 지속가능성을 실천할 수 있는 방법을 학습할 수 있다.
셋째, 수업의 참여도와 학습의 동기를 향상시킬 수 있다. 디지털 도구의 활용한 학습자들의 수업 참여도와 학습 동기 학업 성취를 높이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Bodily et al., 2019; Cho, 2015; Shim, 2013; Sung, 2023; Sun & Rueda, 2012). 이 연구의 수업에서 학습자들은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에 참여할 수 있으며 자신의 성취를 디지털 포트폴리오에 기록하고 공유하는 과정을 통해 학습 동기가 강화될 수 있다.
넷째, 협력 학습 및 동료 평가를 통한 피드백 활동으로 협력학습의 가치를 경험하고 비판적 사고를 기를 수 있다. 협력학습 활동과 동료평가 및 피드백 활동은 비판적 사고와 학습 동기를 향상시킬 수 있다(Gielen et al., 2018; Li et al., 2010; Topping, 2017). 본 연구에서 개발된 수업활동은 협력학습과 모둠토론, 동료평가에 따른 피드백 과정을 모든 수업에 포함하고 있으며 이 과정을 통해 학습자들은 서로의 작업을 비교하고 개선할 수 있다. 특히, 서로의 생각을 공유하는 활동을 통해 다양성을 존중하는 태도를 배우고 비판적 사고를 확장시킬 수 있다.
이 연구는 디지털 도구를 활용하여 가정과 의생활 영역의 수업 과정안을 개발하여 가정교과에서 디지털 리터러시를 함양시킬 수 있는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다만, 이 연구는 개발까지만 진행된 연구로 학습자에게 적용하지 않아 실제 현장에서 어떤 시행착오가 있을지에 대한 피드백이 반영되지 않았다는 제한점이 있다. 따라서 다양한 디지털 도구와 플랫폼을 활용한 수업 활동의 효과를 비교하여 최적의 도구를 찾고 그 활용방안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또한,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강화가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와 장기적인 학습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연구도 필요하다. 아울러 교사들이 이 수업과정안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교사들이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을 효과적으로 가르칠 수 있도록 돕는 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교사들의 능력을 우선적으로 함양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이 연구를 기초로 하여 디지털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다양한 수업 과정안 개발 연구가 이루어져 그 결과물들이 현장에서 필요한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Declaration of Conflicting Interests

The authors declared that they had no conflicts of interest with respect to their authorship or the publication of this article.

Figure 1.
Digital literacy zone.
her-62-4-609f1.jpg
Figure 2.
Digital literacy framework.
her-62-4-609f2.jpg
Table 1.
Digital Literacy Definition by Scholar
연구자 디지털 리터러시의 정의
Gilster (1997) 컴퓨터를 통한 넓은 범위의 자원으로부터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이해하고 사용하는 능력
Bawden (2001) 하이퍼텍스트 또는 멀티미디어 형태의 정보를 읽고 이해하는 능력
Eshet (2004) 디지털 자료를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능력 이상을 포함하며 특별한 종류의 사고 또는 사고방식
Martin & Grudziecki (2006) 실제적 맥락에서 디지털 자료에 접근, 관리, 연합, 평가, 분석, 종합하고, 새로운 지식 미디어 표현을 만들어내고 타인과 의사소통하기 위한 목적으로 디지털 도구 사용에 대한 인식, 태도, 능력
Ferrari (2012) 업무를 수행하고, 문제를 해결하고, 상호작용하고, 정보를 관리하고, 협력하고, 콘텐츠를 창조하고 공유하고, 지식을 구성하기 위해 ICT 기술 및 디지털 미디어를 효과적으로, 효율적으로, 적절하게, 비판적으로(critically), 창의적으로(creatively), 자주적으로(autonomously), 융통성 있게(flexibly), 윤리적으로(ethically) 사용할 때 필요한 지식, 기술, 태도
Media Smarts (2016) 디지털 테크놀로지와 의사소통 도구를 적절하게 정보에 접근하고, 관리하고, 통합하고, 분석하고, 평가하고 새로운 지식을 구성하고, 타인과 상호작용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흥미, 태도, 능력
US Digital Literacy (2017) Gilster(1997)가 제시한 능력을 기본으로, 정보를 평가, 사용, 창출하기 위해 디지털 기술, 의사소통 도구, 네트워크 활용 능력, 그리고 디지털 환경에서 미디어를 독해하고, 데이터와 이미지를 재생산하고, 새로운 지식을 평가하고 적용하여 효율적으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더함
UNESCO (2018) 디지털 리터러시는 직장, 일자리, 창업과 같은 목적을 갖고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정보를 안정하고, 적절하게 탐색하고, 관리하고, 이해하고, 통합하고, 소통하고, 평가하고, 창조할 수 있는 능력이다. 디지털 소양은 컴퓨터 리터러시, ICT 리터러시, 정보 리터러시, 미디어 리터러시에서 적용된 역량을 복합적으로 포함
Lee 등 (2019) 디지털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자주적인 삶을 살아가는 데 필요한 기본소양으로 윤리적 태도를 가지고 디지털 기술을 이해·활용하여 정보의 탐색 및 관리, 창작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실천적 역량
Center for Digital Literacy (2024) 디지털 기술과 미디어를 활용하여 디지털 데이터, 정보, 콘텐츠를 탐색, 소비, 분석, 활용, 관리, 생산하고 건강한 디지털 시민으로서 지혜롭게 소통하고 관계를 맺으며, 개인과 사회의 발전을 균형이 있게 도모하는 역량
Table 2.
Elements and Contents of Digital Literacy Development
Elements of digital literacy development Contents
Access Ability to access digital tools and information
Analyze Ability to critically analyze and interpret digital content
Create Ability to leverage digital platforms to create content
Reflect Ability to think reflectively about digital media use and its impact
Act Ability to use digital media to act socially responsible

Source: Hobbs (2020). Mind Over Media: Propaganda Education for a Digital Age, 25-26.

Table 3.
Elements of Digital Literacy Instruction
Elements of digital literacy instruction Contents
Handling information and data This refers to the ability to effectively manage, organize, and utilize information and data using various tools and technologies.
Critical approach and use of information This denotes the capacity to critically evaluate, interpret, and apply information, ensuring its relevance and accuracy.
Ability to produce and share information This involves creating, disseminating, and sharing information responsibly and effectively through various digital platforms.
Safe and ethical attitudes towards information This includes practicing safe and ethical behavior in managing and using information, ensuring privacy, security, and adherence to ethical standards.
Table 4.
the Characteristics of Experts
번호 전문가 지역 소속 경력 배경 번호 전문가 지역 소속 경력 배경
1 A 서울 H고등학교 25 석사 6 F 경남 G중학교 30 박사
2 B 경기 I고등학교 18 석사 7 G 광주 K중학교 15 석사
3 C 경기 O중학교 29 박사 8 H 대전 D중학교 17 석사
4 D 부산 G중학교 18 박사 9 I 충남 K중학교 17 박사
5 E 부산 K중학교 15 석사 10 J 전남 Y중학교 27 석사
Table 5.
Expert Validity Assessment Questions
번호 평가문항 답변양식
1 차시별 학습 목표와 학습 내용이 적절하게 연결되었는가? 6점 평정척도
2 수업과정안의 차시별 내용과 활동이 학생 중심 활동으로 흥미롭게 구성되어 있는가?
3 차시별 학습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디지털 도구가 잘 연계되어 있는가?
4 차시별 교육과정의 학습내용이 디지털 역량 함양에 도움이 될 수 있는가?
5 수업과정안이 학생들의 문제해결 역량에 도움이 되는가?
6 개발된 수업과정안은 현장에 적용하기 쉬운가? 개방형
7 개발된 수업과정안의 강점은 무엇인가?
8 개발된 수업과정안에서 추가되거나 수정되어야 할 부분은 무엇인가?
Table 6.
Set Goals Based on Lesson Content Elements
핵심질문 선정된 내용요소 성취기준 수업목표
지속가능한 의생활을 실천하기 위해서 우리는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가? 긍정적인 자기 이미지 표현 [9기가01-04] 의복디자인 요소를 고려한 자기이미지에 맞는 옷차림으로 자신을 긍정적으로 표현한다. 행동(Behavior) 학습자는 자기 이미지에 맞는 옷차림을 선택하고 이를 설명할 수 있다.
조건(Condition) 의복 디자인 요소(선, 형, 색, 무늬 등)를 고려
기준(Criterion) 선택한 옷차림이 긍정적인 자기 표현을 했는가?
총괄목표 의복 디자인 요소(선, 형, 색, 무늬 등)를 고려하여 자기 이미지에 맞는 옷차림을 선택하고, 이를 긍정적으로 표현하고 설명할 수 있다.
의복 재료와 관리 행동 [9기가02-05] 의복 재료의 특성을 이해하고 건강과 환경을 고려한 의복의 세탁과 관리 방안을 탐색하여 실천한다. 행동(Behavior) 학습자는 의복 재료의 특성을 이해하고, 건강과 환경을 고려한 세탁 및 관리 방안을 탐색하여 실천할 수 있다.
조건(Condition) 다양한 의복 재료(천연섬유, 인조섬유 등)의 특성을 학습한 후
기준(Criterion) 선택한 세탁 및 관리 방안이 건강과 환경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과 부정정인 영향을 포함하여 실천 계획을 작성하고 실행할 수 있다.
총괄목표 다양한 의복 재료(천연섬유, 인조섬유 등)의 특성을 학습하고 건강과 환경을 고려한 세탁 및 관리 방안을 탐색하여, 선택한 세탁 및 관리 방안이 건강과 환경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과 부정정인 영향을 포함하여 실천 계획을 작성하고 실행할 수 있다.
지속가능성을 고려한 의복마련 계획 [9기가02-06] 지속가능성을 고려하여 의복 마련 계획을 세우고, 이를 창의적이고 친환경적인 의생활에 적용한다. 행동(Behavior) 학습자는 지속가능성을 고려한 의복 마련 계획을 세우고, 이를 창의적이고 친환경적인 의생활에 적용할 수 있다.
조건(Condition) 의생활에서 지속가능성의 원칙과 방법을 학습한 후
기준 (Criterion) 마련된 계획이 실질적이면서 창의적이고 친환경적인 방식으로 실천할 수 있다.
총괄목표 의생활에서 지속가능성의 원칙과 방법을 학습한 후, 지속가능성을 고려한 의복 마련계획을 세우고, 이를 창의적이고 친환경적인 방식으로 실천할 수 있다.
의생활 자원의 순환과 인간의 선택 [9기가02-10] 의식주 생활자원의 생산과 폐기과정을 탐색하고, 일상생활에서 의식주 생활자원을 선택한 과정과 그 결과를 성찰한다. 행동(Behavior) 학습자는 의식주 생활자원의 생산과 폐기 과정을 탐색하고, 일상생활에서 의식주 생활자원을 선택한 과정과 그 결과를 성찰할 수 있다.
조건(Condition) 의생활 자원의 생산 및 폐기 과정에 대한 자료를 학습한 후
기준(Criterion) 성찰한 내용이 구체적이고, 개인의 선택에 대한 비판적 분석을 포함한다.
총괄목표 의생활 자원의 생산 및 폐기 과정에 대한 자료를 학습한 후, 일상생활에서 의생활 자원을 선택한 과정과 그 결과를 구체적으로 성찰하여, 개인의 선택에 대한 비판적 분석을 할 수 있다.
의생활 문화와 미래 변화요소 [12기가01-04] 의생활문화에 반영된 미래 변화의 요소를 발견하고 이를 비판적으로 수용하여 삶의 질을 높이며 지속가능한 의생활 문화를 제안한다. 행동(Behavior) 의생활문화에 반영된 미래 변화의 요소를 발견하고, 이를 비판적으로 수용하여 지속가 능한 의생활 문화를 제안할 수 있다.
조건(Condition) 미래 변화의 요소와 지속가능한 의생활 문화에 대한 자료를 학습한 후
기준 (Criterion) 제안된 문화가 삶의 질을 높이고, 지속가능한 방식이어야 한다.
총괄목표 미래 변화의 요소와 지속가능한 의생활 문화에 대한 자료를 학습한 후, 의생활문화에 반영된 미래 변화의 요소를 발견하고 이를 비판적으로 수용하여, 삶의 질을 높이고 지속가능한 의생활 문화를 제안할 수 있다.
Table 7.
Classification of Digital Literacy of Digital Literacy Tools and Corresponding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분류 구체적 디지털 리터러시 도구 적용가능한 교수·학습 활동
커뮤니케이션 도구 이메일, SNS, 메시지 전달 앱, Microsoft Teams, Google Classroom, Fadlet 등 • 과제관리와 학습자료 공류
• 그룹 프로젝트를 위한 화상 회의 및 채팅
• 프로젝트 기반 협업
• 토의 및 토론, 피드백, 공유
정보 검색 도구 검색엔진, 학술 데이터베이스, Pinterest, Instagram 등 • 주제에 대한 심층 검색
• 신뢰할 수 있는 정보탐색
• 문제해결의 정보 수집
콘텐츠 생성 도구 워드프로세서, 프리젠테이션, 그래픽 디자인 도구, 유튜브, 메타버스, Canva, Sketchbook, Adobe Illustrator Draw. CLO 3D, Tinkercad, Cladwell, Good On You, Refashion, 생성형 AI 등 • 문서작성
• 프리젠테이션 제작
• 결과물의 시각적 콘텐츠 생성
• 앱을 활용한 수업 활동
데이터 분석 도구 스프레드시트 소프트웨어, 데이터 시각화 도구, 통계 소프트웨어(Excel, netminor, R pro, SPSS 등), • 정보를 분석하고 시각화를 위해 활용
• 인사이트를 도출할 때 사용
학습관리시스템 온라인 교육 플랫폼, 강의 관리 시스템(예시. Moodle, Black board, LMS, Coursera 등) • 수업 전반에 강의를 관리
• 학습자를 성취도에 따라 분류하고 맞춤형 수업 제공
Table 8.
an Outline for Clothes Life Lesson Plan to Promote Digital Literacy
핵심 질문 핵심 개념 목표 단계 교수-학습활동 디지털도구 총 소요차시
지속가능한 의생활을 실천하기 위해서 우리는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가? 긍정적인 자기 이미지 표현 S ‣[황금인터뷰] 자료 조사 Chat GPT, Google, NAVER 2
(총괄목표) 1. 이미지란?
의복 디자인 요소(선, 형, 색, 무늬 등)를 고려하여 자기 이미지에 맞는 옷차림을 선택하고, 이를 긍정적으로 표현하고 설명할 수 있다. 2. 이미지 표현이란?
3. 의복 디자인 요소란?
T 1. 내가 가진 나의 이미지를 표현하고 의견 달기 패들렛
(세부목표) 2. 나의 이미지를 잘 표현할 수 있는 도구와 방법은?
의복 디자인의 요소에 대해 알고 이를 이미지 표현에 활용할 수 있다. C [나를 소개합니다.] 미리캔버스 혹은 다양한 앱 가능 chat GPT와 bing
자기 이미지를 이해하고 이를 표현할 수 있다. P ‣자기 이미지와 OOTD 발표
디지털 도구를 활용하여 긍정적인 옷차림을 표현할 수 있다. R ‣[성찰] 구글
성찰일기
인터넷 예절 평가
정보보호 안전 평가
표절 등 정보 윤리 평가
의복 재료와 관리 행동 S [정보활용] 검색엔진 3
의복 재료에 대한 정보수집
건강과 환경을 고려한 의복 관리 방법 정보 수집
새로운 의복 재료에 대한 정보 수집
(총괄목표) T [의견나누기]
다양한 의복 재료(천연섬유, 인조섬유 등)의 특성을 학습하고 건강과 환경을 고려한 세탁 및 관리 방안을 탐색하여, 선택한 세탁 및 관리 방안이 건강과 환경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과 부정적인 영향을 포함하여 실천 계획을 작성하고 실행할 수 있다. 의복재료의 특성 확인 패들렛
의복 재료와 과학 원리 정리 미리캔버스
건강과 환경을 고려한 의복 관리 방법 토론 구글
(세부목표) 스마트 의류와 메타패션에 대해 정리하고 토론
의복재료의 종류와 특성에 대해 알 수 있다. C [콘텐츠 프리젠테이션]
건강과 환경을 고려한 의복 관리 방법을 알고 실천할 수 있다. 총괄 1. 실천계획서 작성 및 실행
스마트 의류와 메타패션에 대해 이해하고 미래 의복의 방향에 대해 창의적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가. 세탁 및 관리 방안을 포함한 실천 계획 구글
나. 실행 후 성찰 생성형 AI
총괄 2. 건강과 환경을 고려한 패션 창조 메타버스
가. 스마트 의류 아이디어
나. 건강과 환경 관점의 메타 패션 아이디어
다. 실제 제작(메타버스 환경 활용)
P [메타버스 패션 공유] 메타버스
메타버스 패션쇼
R [성찰]
성찰일기 성찰일지
인터넷 예절 평가 구글폼
정보보호 안전 평가
표절 등 정보 윤리 평가
지속가능성을 고려한 의복 마련 계획 S [자료 조사] 검색엔진 3
세탁의 원리 검색
환경을 해치는 의복 관리 정보 검색
(총괄목표) T [의견나누기] 패들렛
의생활에서 지속가능성의 원칙과 방법을 학습한 후, 지속가능성을 고려한 의복 마련 계획을 세우고, 이를 창의적이고 친환경적인 방식으로 실천할 수 있다. 합리적인 의복 관리 방법 토론 미리캔버스
의복을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 정리 구글
(세부목표) C [실천계획 프리젠테이션] 구글
건강과 환경을 고려한 의복의 관리가 무엇인지 이해할 수 있다. 의복 관리 앱 찾기 다양한 앱
다양한 앱을 활용하여 의복을 관리하여 지속가능성을 실천할 수 있다. 자신의 의복을 앱으로 관리해보기
지속가능성을 고려한 의복 마련 계획을 실천할 수 있다. P [아나바다] Zoom
앱을 통해 관리한 의류로 온라인 아나바다 장터 열기 중고거래앱
R [성찰]
성찰일기 성찰일지
인터넷 예절 평가 구글폼
정보보호 안전 평가
표절 등 정보 윤리 평가
의생활 자원의 순환과 인간의 선택 S [자료 조사 및 요약] Chat GPT, 4
가. 의생활 자원의 순환 과정을 조사하여 요약하기 검색엔진, 게더타운
(총괄목표) 나. 친환경 의류 유통(컨셔스 패션)에 대한 내용 학습하기 유튜브
의생활 자원의 생산 및 폐기 과정에 대한 자료를 학습한 후, 일상생활에서 의생활 자원을 선택한 과정과 그 결과를 구체적으로 성찰하여, 개인의 선택에 대한 비판적 분석을 할 수 있다. T [의견 나누기] 패들렛
가. 의생활 자원의 순환 과정을 조사한 내용을 피드백하기
(세부목표) 나. 컨셔스 패션에 대한 내용을 퀴즈로 제작하기 위해 문제와 답을 찾는 과정을 확인하기
지속가능성의 의미에 대해 알 수 있다. C [콘텐츠 제작] ZEP
의류의 라이프 사이클을 이해할 수 있다. 가. 의생활 자원의 순환에 대해 메타버스 학습 공간 제작
친환경적인 의생활을 실천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탐색하고 내가 실천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 실천해본다. 나. 컨셔스 패션에 대해 메타버스에서 퀴즈 제작
P [콘텐츠 프리젠테이션] 구글 클래스 PPT
조별로 만든 지도를 발표하고 서로의 지도를 공유
R ‣[성찰] 오늘의 수업이 자신을 얼마나 성장시켰는지에 대해 성찰일기 작성 구글
의생활 문화와 미래 변화요소 S [자료 조사] 검색엔진 4
가. 의생활 문화에 대한 조사 생성형 AI
(총괄목표) 나. 의생활 문화의 미래 변화 요소에 대해 조사
미래 변화의 요소와 지속가능한 의생활 문화에 대한 자료를 학습한 후, 의생활문화에 반영된 미래 변화의 요소를 발견하고 이를 비판적으로 수용하여, 삶의 질을 높이고 지속가능한 의생활 문화를 제안할 수 있다. T [의견나누기] 패들렛, 미리캔버스, 구글
가. 우리나라 의생활 문화에 대해 의견 나누고 피드백
나. 계승과 발전의 내용이 모두 들어갈 수 있도록 피드백
(세부목표) C [의생활 문화 제안서 작성] 유튜브 생성형 AI
한복의 특성과 우리 고유의 의복 문화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가. 의생활 문화의 미래 변화 요소를 추출
한복의 아름다움을 알고 이를 계승 발전시킬 수 있다. 나. 한복에서 미래 변화 요소를 접목시킬 수 있는 방안 확인
디지털 도구를 활용하여 한복을 알릴 수 있다. 다. 전통의 가치를 살리면서 미래 변화요소를 반영하고, 이를 지속가능한 의생활 문화로 연결되도록 디자인하기
라. 이미지를 제작
P [의생활 문화 제안서 프리젠테이션] SNS
가. SNS 업로드
나. 조회수, 좋아요 수, 댓글 등으로 평가
다. 제안서 입찰해보기
R [성찰]
성찰일기 성찰일지
인터넷 예절 평가 구글폼
정보보호 안전 평가
표절 등 정보 윤리 평가
Table 9.
[Present a Positive Self-Image] Lesson Plan Examples
학습주제 긍정적인 자기 이미지 표현 수업차시 1-2/2
인성요소 존중, 배려 교수학습방법 문제해결학습, 온라인 학습
성취기준 [9기가01-04] 의복디자인 요소를 고려한 자기이미지에 맞는 옷차림으로 자신을 긍정적으로 표현한다.
학습요소 의복 디자인 요소, 자기 이미지, 옷차림
학습목표 (총괄목표)
의복 디자인 요소(선, 형, 색, 무늬 등)를 고려하여 자기 이미지에 맞는 옷차림을 선택하고, 이를 긍정적으로 표현하고 설명할 수 있다.
(세부목표)
의복 디자인의 요소에 대해 알고 이를 이미지 표현에 활용할 수 있다(1차시).
자기 이미지를 이해하고 이를 표현할 수 있다(1차시).
디지털 도구를 활용하여 긍정적인 옷차림을 표현할 수 있다(2차시).
학습 자료 일반 교과서, 학습자료
디지털 구글클래스룸, 프레지, 카훗, 플릭커스, 패들렛, 미리캔버스, 자기이미지 표현 앱, 구글프리젠테이션, 구글문서, Chat GPT, Bing, 패들렛
2022 Revised Curriculum Competencies
Elements of digital literacy instruction
Core competencies Curricular competencies Handling Information and Data Critical Approach and Use of Information Ability to Produce and Share Information Safe and Ethical Attitudes towards Information
■ 자기관리역량
■ 지식정보처리 역량 ■ 생활자립능력 □ 컴퓨팅 시스템 □ 비판적 사고력 □ 생명존중의식 □ 의사소통과 협력
■ 창의적 사고 역량 □ 관계형성능력 ■ 소프트웨어 활용 □ 컴퓨팅 사고력 □ 디지털 준법정신 ■ 문제해결
■ 심미적 감성 역량 ■ 실천적 문제해결능력 ■인터넷·네트워크 ■ 창의적 사고력 ■ 디지털 예절 ■ 콘텐츠 제작
□ 협력적 소통 역량
□ 공동체 역량
단계 교수·학습내용 디지털리터러시
유의점
도구 활동
도입(5분) ‣[전시학습확인] OX 퀴즈 플릭 진단 모든 학생의 참여 유도
‣[학습동기유발] 커스 평가
‣[학습목표확인]성취기준 달성을 위한 학습 목표를 확인 카훗
전개(70분) S ‣[자료 수집] Chat GPT, Google, NAVER 검색방법익히기 검색 키워드 찾는 연습
관련 내용을 찾고 질문에 답을 해본다.
<인터뷰 질문>
1. 이미지란?
2. 이미지 표현이란?
3. 의복 디자인 요소란?
T 1. 내가 가진 나의 이미지를 표현하고 의견 달기 패들렛 의견 공유 디지털 예절 패들렛 게시글로 댓글달고 피드백.
2. 나의 이미지를 잘 표현할 수 있는 도구와 방법은?
5. 나의 이미지를 가장 잘 표현하기 위해 내가 해야할 일은?
‣패들렛으로 접속해서 의견을 공유하기
‣ 반별 패들렛을 만든 다음, 인터뷰 질문 개수대로 담벼락 만들기
‣구글 클래스룸에 학급별로 생성된 패들렛 링크 제공하기
C [나를 소개합니다.] 미리캔버스 혹은 다양한 앱 가능 자기이미지 포스터 제작 / 옷차림 제안 이미지에 대한 댓글 달기
.미리 캔버스
.저작권 걱정 없이 이용 가능. 다양한 디바이스 지원 chat GPT와 bing
P ‣자기 이미지와 OOTD 발표 활발한 질의 응답
R ‣[성찰] 오늘의 수업이 자신을 얼마나 성장시켰는지에 대해 성찰일기 작성 구글 일기작성 모든 학생의 참여 유도
정리(15분) ‣[형성평가] 자기이미지를 가장 잘 표현하는 방법이 무엇인지에 대해 생각해본다. 구글폼 설문
‣[자기평가] 본시 학습에 대한 자기 성찰 평가 및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평가 실시 구글클래스
‣[차시예고] 다음 시간에는 한복의 세계화에 대해 학습할 것임을 안내한다.
Table 10.
[the Circulation of Clothing Life Resources and Human Choices] Lesson Plan Examples
학습주제 의생활 자원의 순환과 인간의 선택 수업차시 3-4/4
인성요소 배려, 약속, 책임 교수학습방법 메타버스학습
성취기준 [9기가02-06] 지속가능성을 고려하여 의복 마련 계획을 세우고, 이를 창의적이고 친환경적인 의생활에 적용한다.
학습요소 패스트 패션, 친환경 의생활
학습목표 (총괄목표)
의생활 자원의 생산 및 폐기 과정에 대한 자료를 학습한 후, 일상생활에서 의생활 자원을 선택한 과정과 그 결과를 구체적으로 성찰하여, 개인의 선택에 대한 비판적 분석을 할 수 있다.
(세부목표)
지속가능성의 의미에 대해 알 수 있다(1차시).
의류의 라이프 사이클을 이해할 수 있다(2차시).
친환경적인 의생활을 실천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탐색하고 내가 실천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 실천해본다(3-4차시).
학습자료 일반 교과서, 학습자료
디지털 컴퓨터 혹은 태블릿 PC, 게더타운, ZEP, 카훗, 패들렛, 유튜브, 구글프리젠테이션 등
2022 Revised Curriculum Competencies
Elements of digital literacy instruction
Core competencies Curricular competencies Handling Information and Data Critical Approach and Use of Information Ability to Produce and Share Information Safe and Ethical Attitudes towards Information
□ 자기관리역량
■ 지식정보처리 역량 ■ 생활자립능력 □ 컴퓨팅 시스템 ■ 비판적 사고력 ■ 생명존중의식 ■ 의사소통과 협력
■ 창의적 사고 역량 ■ 관계형성능력 ■ 소프트웨어 활용 □ 컴퓨팅 사고력 □ 디지털 준법정신 ■ 문제해결
□ 심미적 감성 역량 ■ 실천적 문제해결능력 ■인터넷·네트워크 ■ 창의적 사고력 ■ 디지털 예절 ■ 콘텐츠 제작
■ 협력적 소통 역량
■ 공동체 역량
단계 교수·학습내용 디지털리터러시
유의점
도구 활동
도입(15분) ‣‘환경 친화적 의류 라이프 사이클’의 이해 퀴즈(OX) 게더타운 퀴즈 ‣모든 학생의 참여 유도
‣메타버스에서의 퀴즈 활용과 학습에 대한 이해
‣퀴즈를 어떻게 만들면 좋을지 생각해보기
전개 1(65분) S [자료 조사 및 요약] Chat GPT, Google, NAVER 검색 ‣ 검색 키워드를 명확히 넣고, 정보의 오류를 교차해서 살펴보도록 유의
가. 의생활 자원의 순환 과정에 대해 조사하여 요약하기 게더타운 이해
나. 친환경 의류 유통(컨셔스 패션)에 대한 내용 학습하기 유튜브 정리
T [의견 나누기] 패들렛 퀴즈제작 ‣ 모둠별 1개 제작 후 옆 모둠원을 참가시키기
가. 의생활 자원의 순환 과정에 대해 조사한 내용을 피드백하기
나. 컨셔스 패션에 대한 내용을 퀴즈로 제작하기 위해 문제와 답을 찾는 과정을 확인하기
C [콘텐츠 제작] ZEP 메타버스 방탈출 게임 만들기 ‣ 배운 내용 외의 것이 들어가지 않도록 확인
가. 의생활 자원의 순환에 대해 메타버스 학습 공간 제작
나. 컨셔스 패션에 대해 메타버스에서 퀴즈 제작
P [콘텐츠 프리젠테이션] 구글 클래스 PPT 발표 ‣ 강점, 약점을 포함하여 설명
조별로 만든 맵을 발표하고 서로의 맵을 공유 ‣ 학습자들에게 퀴즈를 내고 피드백받기
R [성찰] 오늘의 수업이 자신을 얼마나 성장시켰는지에 대해 성찰일기 작성 구글 일기작성 ‣모든 학생의 참여 유도
정리(10분) ‣[형성평가] 환경 친화적 의류 라이프 사이클의 소비 단계를 이해했는지 확인한다. 구글폼 설문
‣[자기평가] 본시 학습에 대한 자기 성찰 평가 및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평가 실시 구글클래스
‣[차시예고] 다음 시간에는 청소년의 비합리적인 소비실태에 관해 학습할 것임을 제시한다.
Table 11.
Evaluation Plans by Topic
주제 학습목표 평가방법 내용
긍정적인 자기 이미지 표현 의복 디자인 요소(선, 형, 색, 무늬 등)를 고려하여 자기 이미지에 맞는 옷차림을 선택하고, 이를 긍정적으로 표현하고 설명할 수 있다. 형성 평가 디지털 포트폴리오 작성 학습자는 인터넷을 활용(검색, 블로그, 도서관, 온라인 채널 등)하여 다양한 의복 디자인의 요소에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여 디지털 포트폴리오(예: Canva, Adobe Spark 등)를 작성한다. 여기에는 자신이 선택한 옷차림의 디자인 요소와 자기 이미지에 맞게 적용한 과정이 포함된다.
모둠 피드백 학습자들은 서로의 포트폴리오를 공유(Google Forms, Padlet, Peergrade 등)하고 디자인 요소의 적절성, 자기 이미지와의 일치 여부에 대해 서로 피드백 한다.
총괄 평가 프리젠테이션 학습자들은 디지털 포트폴리오를 바탕으로 자기 이미지에 맞는 옷차림을 선택한 후 그 옷차림을 입고 프리젠테이션을 진행(오프라인 혹은 온라인)한다.
평가 루브릭(Rubric) 평가요소 점수 내용
디자인 요소의 이해와 적용 우수(17-20) 디자인 요소를 잘 이해하고, 이를 적절히 적용하여 자기 이미지에 맞는 옷차림을 선택함.
양호(13-16) 디자인 요소를 이해하고 있으며, 이를 적용하여 자기 이미지에 맞는 옷차림을 선택함.
보통(9-12) 디자인 요소를 부분적으로 이해하고 있으며, 적용에 다소 어려움이 있음.
미흡(0-8) 디자인 요소에 대한 이해와 적용에 어려움이 있음.
선택한 옷차림의 적절성 우수(17-20) 선택한 옷차림이 매우 적절하며, 자기 이미지를 잘 반영함.
양호(13-16) 선택한 옷차림이 적절하며, 자기 이미지를 반영함.
보통(9-12) 선택한 옷차림이 부분적으로 적절하며, 자기 이미지를 다소 반영함.
미흡(0-8) 선택한 옷차림이 적절하지 않으며, 자기 이미지를 잘 반영하지 못함.
자기 이미지와의 일치 여부 우수(17-20) 선택한 옷차림이 자기 이미지와 매우 잘 일치함.
양호(13-16) 선택한 옷차림이 자기 이미지와 잘 일치함.
보통(9-12) 선택한 옷차림이 자기 이미지와 부분적으로 일치함.
미흡(0-8) 선택한 옷차림이 자기 이미지와 일치하지 않음.
포트 폴리오의 구성과 디자인 우수(17-20) 포트폴리오가 매우 잘 구성되고, 디자인이 뛰어남.
양호(13-16) 포트폴리오가 잘 구성되고, 디자인이 좋음.
보통(9-12) 포트폴리오의 구성이 다소 부족하며, 디자인이 평범함.
미흡(0-8) 포트폴리오의 구성이 부실하며, 디자인이 미흡함.
디지털 리터러시 우수(17-20) 디지털 도구를 매우 효과적으로 활용하며, 정보의 출처 평가 및 디지털 콘텐츠 제작 능력이 뛰어남.
양호(13-16) 디지털 도구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며, 정보의 출처 평가 및 디지털 콘텐츠 제작 능력이 좋음.
보통(9-12) 디지털 도구 활용이 다소 부족하며, 정보의 출처 평가 및 디지털 콘텐츠 제작 능력이 보통임.
미흡(0-8) 디지털 도구 활용이 미흡하며, 정보의 출처 평가 및 디지털 콘텐츠 제작 능력이 부족함.
의복재료와 관리 행동 다양한 의복 재료(천연섬유, 인조섬유 등)의 특성을 학습하고 건강과 환경을 고려한 세탁 및 관리 방안을 탐색하여, 선택한 세탁 및 관리 방안이 건강과 환경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과 부정정인 영향을 포함하여 실천 계획을 작성하고 실행할 수 있다. 형성 평가 자료 조사 및 보고서 작성 학습자들은 그룹을 나누어 인터넷을 활용(검색, 학술 데이터 베이스, 도서관 등)하여 천연섬유와 인조섬유의 특성을 조사하고 각 재료의 세탁 및 관리 방법을 비교 분석하여 보고서를 작성한다.
모둠 토론 각 그룹이 조사한 결과를 발표하여 건강과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토론하고 Google Forms, Padlet, Peergrade 등에 그 내용을 정리한다.
총괄 평가 실천 계획 작성 및 실행 형성평가의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자들이 선택한 세탁 및 관리 방안을 포함한 실천 계획을 정리한 후 직접 실행해보고 이를 발표한다.
건강과 환경을 고려한 패션의 창조 학습자들은 건강과 환경을 고려한 패션을 창조하기 위해 스마트 의류, 메타 패션과 관련된 아이디어를 도출 하여 실제 제작을 해보고 이를 발표한다.
평가 루브릭(Rubric) 평가요소 점수 내용
자료의 정확성 및 깊이 우수(17-20) 자료가 매우 정확하고, 조사 내용이 깊이 있으며 포괄적임.
양호(13-16) 자료가 정확하고, 조사 내용이 충분함.
보통(9-12) 자료가 대체로 정확하나, 조사 내용이 다소 부족함.
미흡(0-8) 자료가 부정확하고, 조사 내용이 매우 부족함.
포트폴리오의 구성 및 디자인 우수(17-20) 포트폴리오가 매우 잘 구성되고, 디자인이 뛰어남.
양호(13-16) 포트폴리오가 잘 구성되고, 디자인이 좋음.
보통(9-12) 포트폴리오의 구성이 다소 부족하며, 디자인이 평범함.
미흡(0-8) 포트폴리오의 구성이 부실하며, 디자인이 미흡함.
발표의 명확성 및 정보 전달력 우수(17-20) 발표 내용이 매우 명확하고, 정보 전달력이 뛰어남.
양호(13-16) 실천 계획이 구체적이고, 실행 가능함.
보통(9-12) 발표 내용이 명확하고, 정보 전달력이 좋음.
미흡(0-8) 발표 내용이 명확하지 않으며, 정보 전달력이 매우 부족함.
실천 및 창의적 콘텐츠 개발 우수(17-20) 실천 계획이 매우 구체적이고, 콘텐츠가 매우 창의적임.
양호(13-16) 실천 계획이 구체적이고, 콘텐츠가 창의적임
보통(9-12) 실천 계획이 다소 구체적이지 않으며, 콘텐츠의 창의성이 부족함.
미흡(0-8) 실천 계획이 구체적이지 않으며, 콘텐츠의 창의성이 매우 부족함.
디지털 리터러시 우수(17-20) 디지털 도구를 매우 효과적으로 활용하며, 정보의 출처 평가 및 디지털 콘텐츠 제작 능력이 뛰어남.
양호(13-16) 디지털 도구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며, 정보의 출처 평가 및 디지털 콘텐츠 제작 능력이 좋음.
보통(9-12) 디지털 도구 활용이 다소 부족하며, 정보의 출처 평가 및 디지털 콘텐츠 제작 능력이 보통임.
미흡(0-8) 디지털 도구 활용이 미흡하며, 정보의 출처 평가 및 디지털 콘텐츠 제작 능력이 부족함.
지속가능성을 고려한 의복마련 계획 의생활에서 지속가능성의 원칙과 방법을 학습한 후, 지속 가능성을 고려한 의복 마련 계획을 세우고, 이를 창의적이고 친환경적인 방식으로 실천할 수 있다. 형성 평가 연구보고서 작성 학습자들은 지속가능한 의생활의 원칙과 방법에 대해 인터넷에서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보고서를 작성한다. 이 때 다양한 출처(검색, 학술 데이터베이스, 도서관, 지속가능성 관련 웹사이트 등)에서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요약하고 분석한다.
모둠 토론 및 피드백 연구보고서를 바탕으로 조사 결과를 공유하고 지속가능한 의생활 방법에 대해 토론한다.
총괄 평가 실천계획 작성·실행 후 프리젠테이션 학습자들은 조사한 자료를 바탕으로 지속가능성을 고려한 의복 마련 계획을 디지털 포트폴리오로 작성한다. 포트폴리오에는 지속가능성의 원칙, 의복 마련 계획, 실천 방안 등이 포함되어야 한다.
평가 루브릭(Rubric) 평가요소 점수 내용
자료의 정확성 및 깊이 우수(17-20) 자료가 매우 정확하고, 조사 내용이 깊이 있으며 포괄적임.
양호(13-16) 자료가 정확하고, 조사 내용이 충분함.
보통(9-12) 자료가 대체로 정확하나, 조사 내용이 다소 부족함.
미흡(0-8) 자료가 부정확하고, 조사 내용이 매우 부족함.
포트폴리오의 구성 및 디자인 우수(17-20) 포트폴리오가 매우 잘 구성되고, 디자인이 뛰어남.
양호(13-16) 포트폴리오가 잘 구성되고, 디자인이 좋음.
보통(9-12) 포트폴리오의 구성이 다소 부족하며, 디자인이 평범함.
미흡(0-8) 포트폴리오의 구성이 부실하며, 디자인이 미흡함.
실천 계획의 구체성 및 실행 결과 우수(17-20) 실천 계획이 매우 구체적이고, 실행 가능한 계획임.
양호(13-16) 실천 계획이 구체적이고, 실행 가능함.
보통(9-12) 실천 계획이 다소 구체적이나, 실행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음.
미흡(0-8) 실천 계획이 구체적이지 않고, 실행 가능성이 낮음.
발표의 명확성 및 정보 전달력 우수(17-20) 발표 내용이 매우 명확하고, 정보 전달력이 뛰어남.
양호(13-16) 발표 내용이 명확하고, 정보 전달력이 좋음.
보통(9-12) 발표 내용이 다소 명확하지 않으며, 정보 전달력이 부족함.
미흡(0-8) 발표 내용이 명확하지 않으며, 정보 전달력이 매우 부족함.
디지털 리터러시 우수(17-20) 디지털 도구를 매우 효과적으로 활용하며, 정보의 출처 평가 및 디지털 콘텐츠 제작 능력이 뛰어남.
양호(13-16) 디지털 도구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며, 정보의 출처 평가 및 디지털 콘텐츠 제작 능력이 좋음.
보통(9-12) 디지털 도구 활용이 다소 부족하며, 정보의 출처 평가 및 디지털 콘텐츠 제작 능력이 보통임.
미흡(0-8) 디지털 도구 활용이 미흡하며, 정보의 출처 평가 및 디지털 콘텐츠 제작 능력이 부족함.
의생활 자원의 순환과 인간의 선택 의생활 자원의 생산 및 폐기 과정에 대한 자료를 학습한 후, 일상생활에서 의생활 자원을 선택한 과정과 그 결과를 구체적으로 성찰하여, 개인의 선택에 대한 비판적 분석을 할 수 있다. 형성 평가 자료 조사 및 요약 의생활 자원의 생산 및 폐기 과정에 대한 자료를 인터넷을 통해 조사하고 이를 요약한 보고서를 작성한다(다양한 출처를 사용).
모둠 토론 및 피드백 학습자들은 요약한 자료를 공유하고 의생활 자원의 생산 및 폐기 과정에 대해 토론하고 피드백을 제공한다. 피드백은 학습자 개개인의 작업을 개선할 수 있는 기회가 된다.
총괄 평가 비판적 성찰 보고서 작성과 프리젠테이션 학습자들은 일상생활에서 자신이 선택한 의생활 자원과 그 결과에 대해 비판적으로 성찰하고 개인의 선택이 가져온 결과에 대한 비판적 분석을 한 후 그 내용을 발표한다. 이 때, 개인이 선택한 자원의 장단점, 환경과 건강에 미치는 영향, 개선 방안 등이 포함되어야 한다.
평가 루브릭(Rubric) 평가요소 점수 내용
자료의 정확성 및 깊이 우수(17-20) 자료가 매우 정확하고, 조사 내용이 깊이 있으며 포괄적임.
양호(13-16) 자료가 정확하고, 조사 내용이 충분함.
보통(9-12) 자료가 대체로 정확하나, 조사 내용이 다소 부족함.
미흡(0-8) 자료가 부정확하고, 조사 내용이 매우 부족함.
포트폴리오의 구성 및 디자인 우수(17-20) 포트폴리오가 매우 잘 구성되고, 디자인이 뛰어남.
양호(13-16) 포트폴리오가 잘 구성되고, 디자인이 좋음.
보통(9-12) 포트폴리오의 구성이 다소 부족하며, 디자인이 평범함.
미흡(0-8) 포트폴리오의 구성이 부실하며, 디자인이 미흡함.
성찰의 깊이 및 비판적 분석 우수(17-20) 성찰이 매우 깊이 있고, 구체적이며 비판적 분석이 잘 이루어짐.
양호(13-16) 성찰이 깊이 있고, 구체적이며 비판적 분석이 이루어짐.
보통(9-12) 성찰이 다소 깊이 있으나, 구체성과 비판적 분석이 부족함.
미흡(0-8) 성찰이 부족하고, 구체성과 비판적 분석이 미흡함.
발표의 명확성 및 정보 전달력 우수(17-20) 발표 내용이 매우 명확하고, 정보 전달력이 뛰어남.
양호(13-16) 발표 내용이 명확하고, 정보 전달력이 좋음.
보통(9-12) 발표 내용이 다소 명확하지 않으며, 정보 전달력이 부족함.
미흡(0-8) 발표 내용이 명확하지 않으며, 정보 전달력이 매우 부족함.
디지털 리터러시 우수(17-20) 디지털 도구를 매우 효과적으로 활용하며, 정보의 출처 평가 및 디지털 콘텐츠 제작 능력이 뛰어남.
양호(13-16) 디지털 도구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며, 정보의 출처 평가 및 디지털 콘텐츠 제작 능력이 좋음.
보통(9-12) 디지털 도구 활용이 다소 부족하며, 정보의 출처 평가 및 디지털 콘텐츠 제작 능력이 보통임.
미흡(0-8) 디지털 도구 활용이 미흡하며, 정보의 출처 평가 및 디지털 콘텐츠 제작 능력이 부족함.
의생활 문화와 미래 변화 요소 미래 변화의 요소와 지속가능한 의생활 문화에 대한 자료를 학습한 후, 의생활문화에 반영된 미래 변화의 요소를 발견하고 이를 비판적으로 수용하여, 삶의 질을 높이고 지속가능한 의생활 문화를 제안할 수 있다. 형성 평가 자료 조사 및 요약 학습자들은 인터넷을 통해 미래 변화요소와 지속가능한 의생활 문화에 대한 자료를 조사하고 이를 요약한 보고서를 작성한다.
모둠 토론 및 피드백 학습자들은 요약한 보고서를 바탕으로 미래 변화 요소를 살펴보고 지속가능한 의생활 문화에 대해 토론한다. 우리나라 전통 문화를 계승 유지 하면서도 미래 변화에 어떻게 대응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해 토론한다.
총괄 평가 제안서 작성 및 실행 결과 프리젠테이션 학습자들은 미래 변화 요소와 지속가능한 의생활 문화를 반영하면서도 우리나라 고유의 문화를 계승 및 유지 할 수 있는 제안서를 작성하고 실행해 본 후 그 내용을 발표한다.
평가 루브릭(Rubric) 평가요소 점수 내용
자료의 정확성 및 깊이 우수(17-20) 자료가 매우 정확하고, 조사 내용이 깊이 있으며 포괄적임.
양호(13-16) 자료가 정확하고, 조사 내용이 충분함.
보통(9-12) 자료가 대체로 정확하나, 조사 내용이 다소 부족함.
미흡(0-8) 자료가 부정확하고, 조사 내용이 매우 부족함.
포트폴리오의 구성 및 디자인 우수(17-20) 포트폴리오가 매우 잘 구성되고, 디자인이 뛰어남.
양호(13-16) 포트폴리오가 잘 구성되고, 디자인이 좋음.
보통(9-12) 포트폴리오의 구성이 다소 부족하며, 디자인이 평범함.
미흡(0-8) 포트폴리오의 구성이 부실하며, 디자인이 미흡함.
제안서의 구체성 우수(17-20) 제안서가 매우 구체적이고, 실행 가능한 계획임.
양호(13-16) 제안서가 구체적이고, 실행 가능함.
보통(9-12) 제안서가 다소 구체적이나, 실행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음.
미흡(0-8) 제안서가 구체적이지 않고, 실행 가능성이 낮음.
창의성 및 지속 가능성 우수(17-20) 매우 창의적이고, 지속가능한 방법으로 계획이 잘 구성됨.
양호(13-16) 창의적이고, 지속가능한 방법으로 계획이 잘 구성됨.
보통(9-12) 다소 창의적이나, 지속가능한 방법이 일부 부족함.
미흡(0-8) 창의성 및 지속가능한 방법이 부족함.
디지털 리터러시 우수(17-20) 디지털 도구를 매우 효과적으로 활용하며, 정보의 출처 평가 및 디지털 콘텐츠 제작 능력이 뛰어남.
양호(13-16) 디지털 도구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며, 정보의 출처 평가 및 디지털 콘텐츠 제작 능력이 좋음.
보통(9-12) 디지털 도구 활용이 다소 부족하며, 정보의 출처 평가 및 디지털 콘텐츠 제작 능력이 보통임.
미흡(0-8) 디지털 도구 활용이 미흡하며, 정보의 출처 평가 및 디지털 콘텐츠 제작 능력이 부족함.
Table 12.
Expert Review of Lesson Plan
주제 교수·학습 활동 수정 사항 및 추가 내용 구성 의견
긍정적인 자기 이미지 표현 디지털 포트폴리오 작성 다양한 디지털 도구에 대한 안내가 필요
자료를 다룰 때 표절 등 디지털 윤리에 관한 내용 안내 필요
가정교과의 내용요소를 빠뜨리지 않도록 내용 구성을 교수자가 미리 설정해 놓는 것이 필요
모둠토론 비판과 비난은 금지
댓글 및 피드백에서의 예절 교육 필요
댓글 실명제, 피드백 실명제를 시행하면서도 자유로운 의견 교환이 가능하도록 수업 설계가 필요
자기 이미지에 맞는 표현 프리젠테이션 모든 학습자가 발표하고 공유할 수 있는 시간 확보가 필요
프리젠테이션을 객관적으로 살펴보고 피드백을 해주어야 함.
의복 재료와 관리 행동 콘텐츠 프리젠테이션 실천계획 및 실행결과 모든 학습자들이 발표하고 공유할 수 있는 시간 확보가 필요
건강과 환경을 고려한 패션 창조 프리젠테이션을 객관적으로 살펴보고 피드백을 해주어야 함.
콘텐츠 제작에 걸리는 시간을 감안하여 차시를 다시 설정하는 것이 필요함.
개인별 학습보다 모둠별 학습과 평가에 대한 대안 마련이 필요
지속가능성을 고려한 의복 마련 계획 실천계획 프리젠테이션 온라인 장터에 대한 이해와 방법 등에 대한 사전 안내가 필요함.
가격책정과 교환 규칙 등을 만드는 과정도 필요해 보임.
의생활 자원의 순환과 인간의 선택 콘텐츠 프리젠테이션 zigsaw 모형에 의해 모둠별로 하나의 모듈을 개발하는 것도 좋은 것으로 보임
의생활 문화와 미래 변화요소 자료 조사 및 요약 우리나라 의생활 문화에 대해 조사할 때 전통의 가치를 계승하고 미래의 문화를 발전시킬 수 있는 방안을 함께 조사할 수 있도록 지도하면 좋겠음
제안서 작성 및 실행 결과 프리젠테이션 디자인 혹은 현실 가능성을 충분히 염두에 두고 제안서를 협회나 다양한 방법으로 투고하는 방향으로 설정하면 더욱 좋을 것 같음

References

Allcott, H., & Gentzkow, M. (2017). Social media and fake news in the 2016 election. Journal of Economic Perspectives, 31(2), 211-236. https://doi.org/10.1257/jep.31.2.211
crossref
Arbesman, S. (2013). The half-life of facts: Why everything we know has an expiration date.

Bawden, D. (2001). Information and digital literacies: A review of concepts. Journal of Documentation, 57(2), 218-259. https://doi.org/10.1108/EUM0000000007083
crossref
Bodily, R., Leary, H., & West, R. E. (2019). Research trends in instructional design and technology journals.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50(1), 64-79. https://doi.org/10.1111/bjet.12712
crossref
Busan Metropolitan City Office of Education. (2020). 『Busan-style digital literacy education, completed by opening a digital literacy curriculum 』. Retrieved July 4, 2024, from https://dadoc.or.kr/3095.

Cazden, C., Cope, B., Fairclough, N., Gee, J., Kalantzis, M., Kress, G., Nakata, M., et al. (1996). A pedagogy of multiliteracies: Designing social futures. Harvard Educational Review, 66(1), 60-92.
crossref
Center for Digital Literacy. (2023). Retrieved July 4, 2024, fromhttps://sites.google.com/view/cdlkr

Cho, K. J. (2015). Impact of peer learners'' feedback (in reflection activity using SNS) on learner''s academic self-efficacy, meta-cognition and learning achieve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Choi, S. Y. (2018). A study on the digital competency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21(5), 25-35. https://doi.org/10.32431/kace.2018.21.5.003
crossref
Churches, A. (2010). Bloom's digital taxonomy. Retrieved July 4, 2024, from http://burtonslifelearning.pbworks.com/w/file/fetch/26327358/BloomDigitalTaxonomy2001.pdf.

Eshet, Y. (2004). Digital literacy: A conceptual framework for survival skills in the digital era. Journal of Educational Multimedia and Hypermedia, 13(1), 93-106.

Ferrari, A. (2012). Digital competence in practice: An analysis of frameworks (Vol. 10, p. 82116). Luxembourg: Publications Office of the European Union.

Fletcher, K. (2013). Sustainable fashion and textiles: design journeys (2nd edition). Routledge, https://doi.org/10.4324/9781315857930
crossref
Gielen, S., Peeters, E., Dochy, F., Onghena, P., & Struyven, K. (2018).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peer feedback for learning. Learning and Instruction, 20(4), 304-315. https://doi.org/10.1016/j.learninstruc.2009.08.007
crossref
Gilster, P. (1997). Digital literacy (p. 1) . Wiley.

Gwilt, A. (2020). A practical guide to sustainable fashion. Bloomsbury Publishing.

Hobbs, R. (2020). Mind over media: Propaganda education for a digital age. W.W. Norton.

Hobbs, R. (2022). Media literacy. In the routledge international handbook of children, adolescents, and media (pp. 475-482). Routledge.

Jamieson, K. H., & Cappella, J. N. (2008). Echo chamber: Rush limbaugh and the conservative media establishment . Oxford University Press.

Jenkins, H. (2009). Confronting the challenges of participatory culture: Media education for the 21st century. The MIT Press.

Jeong, J. W.Yu, N. S. (2023). Development of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aching-learning plans for digital literacy cultivation: Focusing on the ‘prevention of sexual violence’. Journal of Home Economics Education Research, 35(2), 21-40. https://doi.org/10.19031/jkheea.2023.6.35.2.21
crossref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KERIS). (2023a).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related digital literacy education guidelines. KERIS research report CR 2023-1. Retrieved July 4, 2024, from https://www.keris.or.kr.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KERIS). (2023b). Linkage of digital literacy composition system and achievement standards for each subject. KERIS research report CR 2023-2. Retrieved July 4, 2024, from https://www.keris.or.kr.

Kim, H. J., Park, H., Jung, S. H., & Lim, K. Y. (2022). A meta-analysis on the effects of digital literacy education programs in South Korea.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28(1), 105-131. http://doi.org/10.15833/KAFEIAM.28.1.105
crossref
Koszewska, M. (2018). Circular economy—challenges for the textile and clothing industry. Autex Research Journal, 18(4), 337-347. https://doi.org/10.1515/aut-2018-0023
crossref
Lankshear, C., & Knobel, M. (2008). Digital literacies: Concepts, policies and practices. Peter Lang.

Lee, W. J., Kim, S., & Lee, E. (2019). Developing a digital literacy curriculum framework. CNU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40(3), 201-222. http://dx.doi.org/10.18612/cnujes.2019.40.3.201

Lee, J. J., Nho, E. H., & Shin, H. J. (2019). Analysis on perceptions of teachers in subject matter of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fractical arts) about digital literacy education.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Research (SKPAE), 25(3), 107-127.

Li, L., Liu, X., & Steckelberg, A. L. (2010). Assessor or assessee: How student learning improves by giving and receiving peer feedback.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41(3), 525-536. https://doi.org/10.1111/j.1467-8535.2009.00968.x
crossref
Martin, A., & Grudziecki, J. (2006). DigEuLit: Concepts and tools for digital literacy development. Innovation in teaching and learning in information and computer sciences, 5(4), 249-267. https://doi.org/10.11120/ital.2006.05040249
crossref
Martens, H., & Hobbs, R. (2015). How media literacy supports civic engagement in a digital age. Atlantic Journal of Communication, 23(2), 120-137. https://doi.org/10.1080/15456870.2014.961636
crossref
McGarr, O., & McDonagh, A. (2021). Exploring the digital competence of pre-service teachers on entry onto an initial teacher education program in Ireland. Irish Educational Studies, 40(1), 115-128. https://doi.org/10.1080/03323315.2020.1800501
crossref
Ministry of Education. (2022). Home economics curriculum guidelines. Retrieved July 4, 2024, from https://www.moe.go.kr.

Nikolina, S. A. J. N. (2019). Environmental impact of the textile and clothing industry: What consumers need to know, EPRS: European Parliamentary Research Service. Belgium. Retrieved July 4, 2024, from https://policycommons.net/artifacts/1335345/environmentalimpact-of-the-textile-and-clothing-industry/1941806/ on 18 Jul 2024. CID: 20.500.12592/7q9h36.

The Open University. (2013). Digital and information literacy framework. Retrieved July 4, 2024, from https://www5.open.ac.uk/library/services-for-staff/digital-and-information-literacy.

Pariser, E. (2011). The filter bubble: How the new personalized web is changing what we read and how we think. Penguin.

Park, M. J., Jung, L. H., Yu, N. S., & Choi, S. Y. (2022).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food safety and health'workbook for high school.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34(1), 59-80. https://doi.org/10.19031/jkheea.2022.3.34.1.59
crossref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2021). 21st-century readers: Developing literacy skills in a digital world. OECD Publishing. https://doi.org/10.1787/a83d84cb-en.

Province of British Columbia. (2017). Digital literacy framework. Retrieved July 4, 2024, from https://www2.gov.bc.ca/assets/gov/education/kindergarten-to-grade-12/teach/teaching-tools/digitalliteracy-framework.pdf.

Ritchie, H., & Roser, M. (2024). Google mobility trends: How has the pandemic changed the movement of people around the world?. Books. Our World in Data. Retrieved July 4, 2024, from https://ourworldindata.org/covid-mobility-trends.

Sandin, G., & Peters, G. M. (2018). Environmental impact of textile reuse and recycling.A review. Journal of cleaner production, 184, 353-365. https://doi.org/10.1016/j.jclepro.2018.02.266
crossref
Schleicher, A. (2019). PISA 2018: Insights and interpretations. OECD Publishing.

Shim, S. K. (2013). Influence of learning instrument and self- regulated learning strategy on learning achievement in online learning.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3(3), 456-467. https://doi.org/10.5392/JKCA.2013.13.03.456
crossref
Shim, J. Y., & Choi, S. E. (2020). Development of teaching-learning plans of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for media literacy: Focusing on core concept of ‘relationship’.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32(4), 1-18. https://doi.org/10.19031/jkheea.2020.12.32.4.1
crossref
Siemens, G. (2004). Connectivism: A learning theory for the digital age. Elearnspace. org, 14-16.

Song, Y. (2024). Exploration of digital literacy in middle school technology education and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instruction for its cultiv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Buk, Korea.

Sung, S. M. (2023). The effect of science teaching using the digital textbook on the indicators of positive experiences about science in elementary students: Focusing on combustion and extinguishment unit.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54(4), 75-95. https://doi.org/10.15854/jes.2023.12.54.4.75
crossref
Sun, J. C., & Rueda, R. (2012). Situational interest, computer self-efficacy and self-regulation: Their impact on student engagement in distance education.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43(2), 191-204. https://doi.org/10.1111/j.1467-8535.2010.01157.x
crossref
Topping, K. (2017). Peer assessment: Learning by judging and discussing the work of other learners. Interdisciplinary Education and Psychology, 1(1), 1-17. https://doi.org/10.31532/InterdiscipEducPsychol.1.1.007
crossref
UNESCO. (2018). Digital literacy global framework. Retrieved July 4, 2024, from UNESCO UIS. https://uis.unesco.org/sites/default/files/documents/ip51-global-framework-reference-digital-literacy-skills-2018-en.pdf.

US Digital Literacy. (2017). Digital literacy. Retrieved July 4, 2024, from http://digitalliteracy.us/

Wilson, E. O. (1999). Consilience: The unity of knowledge. Vintage. Retrieved July 4, 2024, from https://www.grahamseibert.com/Reviews/Evolution/Conciliance%20the%20unity%20of%20knowledge.pdf

Yoon, J. (2009). The concept of literacy and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trends. New Korean Life, 19(2), 5-16. https://www.korean.go.kr/nkview/nklife/2009_2/2009_0201.pdf

Editorial Office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TEL : +82-2-561-6416, +82-2-561-6446    FAX : +82-2-562-2999    
E-mail : khea6416@daum.net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2014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Developed in M2P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