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partmen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Professor
Corresponding Author: Seong Youn Choi Departmen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Yongbong-ro 77, Buk-gu, Gwangju 61186, Korea Tel: +82-62-530-2525 Fax: +82-62-530-2529 E-mail: taeresa@gmail.com
Received March 6, 2023 Revised March 19, 2023 Accepted March 23, 202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a class case that verified the validity, reliability, and usefulness of a portfolio assessment in a cohousing class in the housing area of home economics. To achieve this objective, 241 male and female students in eight classes of the third grade of a junior high school in Gyeonggi-do, Korea, were enrolled in a project class on establishing a cohousing village in which the portfolio assessment method was applied for a total of 10 sessions for approximately four weeks from May 24 to June 16, 2021. To ensure the validity of the portfolio assessment, we designed the lesson after presenting the curriculum goals in detail using the backward design model and developed a specific rubric and conducted all evaluations and feedback based on the rubric to ensure objectivity and reliability. The online tool Padlet was used as a portfolio, which allowed students to easily upload their work, receive feedback from the teacher, and interact with their peers. After the class, the students reflected on the rubric and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class using portfolio assessment. This study is expected to facilitate the use of the portfolio assessment method in the classroom, while also supporting student growth and development.
2022 개정 교육과정은 디지털 전환, 기후환경 변화 및 학령인구 감소에 대응하여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포용성과 창의성을 갖춘 주도적인 사람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학습자 주도성을 지향하고 있다. 이에 따라 수업은 비판적 질문, 토의·토론수업, 협업 수업 등 학생 주도형 수업으로 개선하고, 평가는 과정 중심 평가, 서·논술형 평가, 개별 맞춤형 피드백 강화 등 학생의 학습을 지원하면서 학생 스스로 학습을 성찰할 수 있는 평가 방법을 강조하고 있다(Ministry of Education, 2021b). 과정 중심 평가는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기반으로 수업과 평가를 연계한 평가계획에 따라 교수·학습 과정에서 보이는 학생의 특성과 변화에 대한 자료를 다각도로 수집하여, 학생의 성장과 발달을 지원하기 위해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해 주는 평가이다(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2018).
과정 중심 평가 방법 중 하나로 포트폴리오 평가는 기존의 학습 평가 방식의 제한점이나 문제점을 보완하는 대안적 평가방법이며, 교수·학습과 평가가 통합된 평가이다. 포트폴리오 평가는 학생으로 하여금 평가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하고 그 결과를 통하여 자신의 학습행동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학생 개개인의 학습방법을 개발하도록 함으로써 학습의 개별화에 기여하는 장점이 있다(Bae, 1997). 따라서 포트폴리오 평가는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 학생 스스로 학습을 성찰할 수 있는 학생 맞춤형 수업을 진행하는 데 적절한 평가방법이다.
포트폴리오 평가를 성공적으로 실행하기 위해서는 포트폴리오 평가의 타당도, 신뢰도, 유용성을 확보해야 한다. 또한 포트폴리오 평가의 핵심은 교수·학습 과정 중에 이루어지는 피드백에 있다(Wiggins, 1998). 하지만 실제 학교 현장에 도입되었을 때는 학기말에 백분율이나 점수 및 등급 등으로 제공되는 등 포트폴리오 평가가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학교 현장에서 포트폴리오 평가의 피드백이 교수·학습 과정의 맥락에서 제공되지 못하는 것은 포트폴리오 평가가 관리할 수 없을 정도로 방대해지거나 교사가 학생의 포트폴리오를 수집해서 확인하고 피드백을 작성한 후 다시 학생에게 나누어주는 과정에서 한계에 부딪히기 때문이다(Park & Paik, 2001).
그러나 포트폴리오 평가를 활용한 연구 중 Lee와 Cho (2014)의 연구는 피드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고, Kim과 Yi (2016)의 연구는 피드백 방법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제시되지 않았다. Lee와 Cho (2012)는 포트폴리오 평가 자료를 개발하여 수업에 적용하였으나 포트폴리오 결과물을 완성한 후 평가하는 데 중점을 두어 수행과정 중에 피드백을 제공하지 못한 제한점이 있다고 하였다. Ko 등(2021)은 피드백 방안으로 수행과정 중 피드백 방법, 학습자 동료 간 상호작용을 통한 피드백 방법, 그리고 수업 후 결과물에 대한 피드백 방법을 제시하였으나 과정 중심 평가에서 모든 학생들에게 피드백하기 어려운 현실을 극복하기 위하여 온라인을 활용한 피드백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온라인을 활용한 피드백은 수업의 참여도, 학습자 간 상호작용, 학업성취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Cho et al., 2015), 교사는 온라인 피드백을 통해 학습의 효과성을 높일 수 있고 학생들은 피드백 내용을 동료 학생들과 공유하면서 유의미한 지식 형성과 유연한 사고확장에 기여할 수 있다(Ju & Yang, 2021).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포트폴리오의 관리와 피드백을 에듀테크를 활용하여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사례를 제시하고자 한다.
가정교과에서 주생활 영역은 2015 개정 기술·가정과 교육과정에서 ‘가정생활과 안전’ 영역에 해당되며 주생활의 수행능력을 길러서 자주적이고 창의적인 가정생활을 영위하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주생활 영역 중 코하우징과 관련된 성취기준은 주거 가치관의 변화를 이해하고 다양한 생활양식을 고려하여 이웃과 더불어 사는 주생활 문화를 실천하는 것으로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활동 과정에서 학생의 참여와 변화를 관찰하고 수업과 평가를 연계하는 포트폴리오 평가가 적합하다(Lee & Cho, 2012). 포트폴리오 평가는 정보를 수집하고 아이디어를 구상하며, 계획서를 작성하고, 결과물을 완성하는 각 과정에서 평가와 피드백을 통해 성찰을 수행하는 평가 방법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교과의 주생활 영역 중 코하우징 수업에 포트폴리오 평가의 타당도, 신뢰도, 유용성을 확보한 수업 사례를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포트폴리오 평가의 타당도와 신뢰도, 유용성을 확보하는 방법으로 학생들이 영속적인 이해를 했는지 증거를 확보할 수 있는 백워드 설계(Wiggins & McTighe, 2005)로 수업을 설계하여 적용하며, 학생의 포트폴리오를 수집하고 다시 배부하는 등의 노력을 줄이고, 교수·학습 과정 중에 효율적으로 피드백하는 사례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목표로 하는 개별화된 학습을 진행하면서 교사의 수업과 평가에 대한 부담을 줄이고 평가에 대한 신뢰도를 확보하여 포트폴리오 평가를 활용한 수업이 활성화되고 학생의 성장과 발달을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 연구 내용
본 연구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 선정한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가정교과 코하우징 수업에서 타당도, 신뢰도, 유용성을 확보한 포트폴리오 평가를 적용한 수업을 설계하고 실행한다.
둘째, 수업의 과정에서 학생들의 배움과 성찰, 수업에 대한 평가를 설문조사를 통해 분석한다.
이론적 배경
1. 과정 중심 평가의 개념과 포트폴리오 평가의 타당도, 신뢰도, 유용성
과정 중심 평가는 새롭게 도입된 평가체제나 평가 방법이라기 보다는 학교 수준의 학생평가에서 다루는 다양한 평가 방법과 유형들을 포괄하는 정책적 성격의 용어로,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기반으로 수업과 평가를 연계한 평가계획에 따라, 교수·학습 과정에서 보이는 학생의 특성과 변화에 대한 자료를 다각도로 수집하여, 학생의 성장과 발달을 지원하기 위한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평가(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2018)를 말한다. 과정 중심 평가는 평가의 패러다임이 확장되어 교육과정, 교수·학습, 평가가 연계되어 평가를 위한 시간을 별도로 운영하지 않고 수업의 과정에서 수업 내용과 평가가 연계되어 이루어지며, 교사, 동료, 자기평가 등의 다양한 평가 방법을 활용하여 학생의 다양한 측면을 파악한다. 또 결과 중심 평가와 대비되는 개념으로 학생의 문제 해결 과정에 중점을 두고 있으므로 학생의 인지적 능력뿐만 아니라 정의적 능력과 핵심역량을 모두 평가의 대상으로 본다(Yoo, 2017). 과정 중심 평가 방법으로는 구술, 프로젝트, 포트폴리오, 토론, 실험·실습 등 학생 중심의 평가 방법들이 활용되고 있다(Kim, 2018; Ko et al., 2021).
포트폴리오 평가는 객관식 지필검사를 중심으로 한 기존의 학습 평가 방식이 지닌 근본적인 제한점이나 문제점을 보완하는 방법인 수행평가, 질적평가, 참평가를 총칭하는 대안적 평가방법으로(Bae, 1997; Kim, 2012) 기존의 학습이 교수·학습과 평가를 명확하게 구분하고 있는 것에 반해 교수·학습과 평가를 통합하고 있다. 포트폴리오 평가는 학생의 포트폴리오에 포함되어 있는 다양한 자료를 활용하여 평가가 이루어지며 교수·학습과 관련성이 매우 높고, 평가를 통해서 학생들의 변화와 성장을 포착할 수 있어 역동적이라 할 수 있다(Columba & Dolgos, 1995; Kim, 2012). 또 포트폴리오 평가는 긍정적인 면이 강조되는데 학생이 모르는 것을 평가하는 대신 학생이 알고 있는 것을 평가하여 학생에게 자신의 성공과 강점을 강조할 기회를 제공한다(Columba & Dolgos, 1995).
포트폴리오 평가를 성공적으로 실행하기 위해서는 타당도, 신뢰도, 유용성을 확보해야 한다(Bae, 1997).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계획단계에서 포트폴리오의 학습 목표를 명확하게 하고, 각 목표의 성취를 잘 보여주는 적절한 활동과 산출물을 결정하며, 평가 준거 및 기준체계를 정립하고 채점을 위한 준거 및 기준을 구체적으로 설정해야 한다. 또한 각 목표에 대한 성취 정도를 다중적인 방식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Bae, 1997; Kim, 2012).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평정을 위한 루브릭과 준거 표준이 중요하다. 포트폴리오 평가는 평가자인 교사의 주관적인 판단을 바탕으로 평가하기 때문에 신뢰성 에 대한 비판을 받는 경우가 많다. 즉, 같은 산출물에 대하여 평가자마다 평가 결과가 다르거나 같은 평가자여도 시기에 따라서 다른 평가를 하는 일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구체적인 루브릭이나 준거 표준은 평가자가 평가를 일관성 있게 할 수 있게 도와주며 포트폴리오 평가의 신뢰도를 향상시킨다(Kim, 2012).
유용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포트폴리오 평가를 사용함으로써 교수·학습 목표를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있고 평가목적도 충실하게 달성할 수 있어야 한다. 포트폴리오 평가를 실시하려면 적정한 학생 수, 실행을 위한 지원, 학생들의 능력과 준비 등의 여건이 갖춰져야 한다(Kim, 2012). 그러나 포트폴리오 평가를 현장에 적용할 때 포트폴리오를 관리하고 피드백과 평가를 하는 데 기존의 평가방식보다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교사가 많은 노력을 하는 만큼 교육의 효과가 있는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Park & Paik, 2000). 교사가 시간과 노력의 부담을 줄이면서도 교육 현장에서 의도한 대로 포트폴리오 평가의 목적을 성공적으로 달성하면 매우 유용한 평가 방법이라는 확신을 갖게 되어 포트폴리오 평가의 유용성을 확보할 수 있다. 포트폴리오 평가는 교사와 학생의 의사소통 기회를 제공하고, 학습을 맥락 속에서 이해할 수 있도록 하며 학습 관련 소통의 장을 마련해 준다는 장점이 있다. 포트폴리오 교수·학습 과정에서 피드백이 이루어진 학급 학생은 교수·학습만 실행한 학급 학생들보다 성취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다(Kim, 2012; Park & Paik, 2001). 포트폴리오 평가과정에서 교사와 학생, 학생과 학생간 피드백과 상호작용이 활발히 이루어진다면 포트폴리오 평가의 유용성을 확보할 수 있다.
포트폴리오 평가에서 피드백은 학생의 강점, 성실성, 잠재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파악하여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학생의 성장과 발달을 촉진할 수 있도록 구체적으로 피드백을 계획하여야 한다(Ko et al., 2021). 이를 위해서는 평가적 피드백이 아닌 수업목표와 관련하여 학생이 성취한 것과 개선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조언적 피드백을 제공해야 하며, 내용은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제공해야 한다. 피드백은 말과 글로 전달할 수 있는데, 학생이 받아들일 준비가 안 된 상황에서는 충분히 기다린 후 피드백을 제공하는 등 시의적절하게 제공해야 한다(Ministry of Education, 2021a). 글로 전달하는 방법은 학생들에게 공식적인 피드백을 제공하는 기본적이고 가장 많이 사용해 온 방법이며 온라인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포트폴리오 평가에서 피드백도 신뢰성을 갖추기 위해서는 교사에 대한 학생의 신뢰와 존경이 기반이 되어야 하며 교사는 피드백의 내용을 중요한 영역에 초점을 맞추고 학생의 포트폴리오 수행결과와 일치하는 피드백을 제공해야 한다(Park & Paik, 2000).
2. 코하우징과 가정과교육
코하우징은 주민들 간의 원만한 관계와 협동을 촉진하는 ‘공동체 운동’이다. 공동체만의 생활방식, 이념, 목적을 갖고 공유공간의 점유비율을 크게 하고 개인 공간을 사생활을 위한 최소한의 필요공간만을 확보하도록 축소시킴으로써 주민 간의 만남을 의도적으로 촉진시키고 이웃 간에 긴밀한 사회적 유대관계를 형성한다(McCamant & Durrett, 1994). 코하우징은 1930년대 가사 서비스를 공동으로 제공받고 비용을 지불하던 서비스모델의 초기 코하우징에서 1970년대에 다양한 공동활동을 운영하고 스스로 참여하면서 자치적으로 일상생활을 해결하는 자치관리모델로 전환되었다(Cho, 2017). 코하우징은 지속적 참여, 공동체 의식을 촉진하는 디자인, 개인의 일상생활을 지원하는 공동생활시설, 주민의 자발적 관리 및 참여, 평등구조, 소득원 분리의 6가지 특징을 지닌다(Cho & Choi, 2009; McCamant & Durrett, 1994). 이는 공동체 생활의 장점을 가지면서도 개인 사생활이 보장되며 주민의 자발적 참여로 구성됨을 의미한다.
코하우징은 거주자 참여와 공동체 생활이라는 원칙 하에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였다(Park & Ha, 2013). 거주자의 연령과 계층에 따라 특화한 특화형과 통합한 통합형, 코하우징의 입지에 따라 다세대주택과 아파트에서 고밀도를 이루는 도심형과 중저밀도의 도시근교형, 저밀도의 단독주택 위주의 전원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세대 규모에 따라서도 소규모형과 대규모형으로 나눌 수 있다(Park & Ha, 2013).
가정교과에서 코하우징은 2007 개정 교육과정 이후 이웃과 더불어 사는 주거, 친환경 주생활, 지속가능한 주생활 실천 등이 제시되면서 등장하였다(Cho & Cho, 2020). 2015 개정 교육과정은 성취기준에 주거 가치관의 변화를 이해하고, 다양한 생활양식을 고려하여 이웃과 더불어 살아가는 주생활 문화를 실천하는 것으로 제시되어 코하우징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Ministry of Education, 2015). 가정교과에서 코하우징에 대한 연구에는 가정교과 주생활 단원에 코하우징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고 실행한 연구(Kim & Cho, 2011)와 노인용 코하우징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고 적용한 연구(Na & Cho, 2016)가 있다. Kim과 Cho (2011) 지역공동체 의식 신장과 친환경 주거 생활을 실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주거문화를 창조하는 것을 학습 목표로 하여 코하우징 마을 만들기 교수·학습과정안을 개발하였다. 그러나 코하우징 마을 만들기 활동 결과를 UCC를 제작하여 제출하고 평가하여 수업 과정에서의 학생의 성장을 확인할 수는 없었다. Na와 Cho (2016)는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의 ‘자립적인 노후생활’과 ‘배려와 나눔의 의식주 생활’과 관련하여 자립적인 노후생활을 위한 노인용 코하우징 교수·학습과정안을 개발하였다.이 연구는 코하우징 유형 중 거주자 연령을 노인으로 특화한 유형의 코하우징 마을 만들기 활동을 하여 코하우징과 함께 노인의 생애주기 특성을 이해할 수 있는 특징이 있었지만 수업 과정에서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았고, 모든 교수·학습 과정을 마친 후에 평가가 이루어졌다.
3. 백워드 설계의 개념 및 단계
백워드 설계는 교사들이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실행할 수 있는 틀로서 교육이 추구하는 목적과 그 목적이 달성되었는지를 알 수 있는 평가를 고려하는 교육과정 개발 모형이다(Wiggins & McTighe, 2005). 백워드 설계는 학생이 단편적 지식이 아닌 학문의 큰 개념을 심층적으로 알게 되는 영속적인 이해(enduring understanding)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하며, 목표모형으로 대표되는 타일러의 모헝, 내용 모형으로 대표되는 브루너의 모형, 활동 모형으로 대표되는 듀이의 모형에 이론적 기반을 두고 발전시킨 것이다. Figure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백워드 설계의 첫 단계에서 교육목표를 설정하고 강조하는 점은 타일러의 모형과 일치하며, 두 번째 단계에서 학생이 목표에 도달했음을 확인할 수 있는 수행 증거나 사실, 루브릭 등을 결정하는 평가계획을 세운다.
백워드 설계의 첫 단계에서는 성취기준을 통해서 학습 목표를 설정하고, 학습의 주요 아이디어인 영속적인 이해를 결정하며, 학습의 탐구, 이해, 전이를 촉진시키는 본질적 질문을 개발하고, 학습을 통해 알게 될 지식, 할 수 있게 될 기능을 도출한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학생이 단원의 학습 목표에 도달했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수행과제와 루브릭을 설계한다. 수행과제 설계는 GRASPS를 이용하여 시나리오로 구성한다. 즉, 학습자가 도달해야 할 목표(goal), 역할(role), 대상(audience), 상황(situation), 수행(performance), 기준(standards)을 설계하여 이를 시나리오의 형태로 서술한다. 루브릭은 구체적인 과제 요구 조건을 보다 일반적인 수행 목표와 관련 짓기 위해 설계되며, 효과적인 루브릭은 중요한 특징에 따라서 이해나 숙달의 상이한 정도를 구별할 수 있도록 개발된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학습활동을 설계하기 위해서 WHERETO 요소를 활용하여 설계한다. 즉, 학생들에게 단원이 어디로 나아가고 있고, 왜 그런지를 이해시키고(where, why), 학생의 동기를 유발하고 관심을 계속 유지시키고(hook and hold), 학생들이 중요한 개념을 경험하고 주제를 탐구하도록 하며(explore, equip), 학생들에게 주요 아이디어를 재고하고, 과정 속에서 반성하고 활동을 교정하기 위한 많은 기회를 제공하고(rethink, reflect, revise), 학생들에게 자기평가의 기회를 제공하며(evaluate), 학생들의 개인적인 재능, 흥미, 필요를 반영할 수 있도록 설계하고(tailor), 학생들의 진정한 이해를 최적화하기 위하여 조직(organize)한다(Wiggins & McTighe, 2005). 이와 같이 백워드 설계는 교수·학습과 평가를 통합하므로 포트폴리오 평가를 설계하는 데 적합하고, 학습 목표를 중심으로 평가목적을 설정하고 이에 근거하여 수업을 설계하여 포트폴리오 평가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연구 방법
1. 사례선정
본 연구는 도구적 사례연구로 경기도 소재 중학교 3학년 8개 학급 남녀 학생 241명을 대상으로 2021년 5월 24일부터 6월 16일까지 약 4주간 총 10차시로 코하우징 마을 설립 프로젝트 수업을 실행하는 사례를 선정하였다.
2. 연구절차
본 연구는 수업 설계, 실행, 평가 단계로 진행하였다.
첫째, 수업 설계는 포트폴리오 평가의 타당도, 신뢰도, 유용성을 확보하기 위해 백워드 설계 모형에 따라 3단계로 수업을 설계하였다. 백워드 설계 1단계인 ‘바라는 결과 확인하기’에서는 학습 목표를 설정하고 본질적 질문을 개발하였다. 2015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성취기준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학습 목표를 설정하였다. 다음 단계인 평가계획을 수립하는 ‘수용 가능한 증거 결정하기’ 단계에서는 GRASPS를 활용하여 수행과제를 정하였으며, 평가 요소를 설정하고 평가내용과 루브릭을 개발하였다. 평가 요소는 성취기준에 근거하여 도출하였고, 루브릭 개발은 분석적 루브릭을 활용하여 평가요소별 평가내용과 채점 기준을 개발하였다. 3단계에서는 수립된 평가계획을 기반으로 학습 경험을 계획하였는데, 학습경험 배열 방법으로 WHERETO를 고려하여 교수·학습활동을 구성하고 교수·학습 과정안과 학습 자료를 개발하였다. 개발한 수행과제, 평가 요소, 평가내용, 루브릭, 교수·학습과정안은 가정교육학 박사학위를 소지한 현직 가정과 교사 2인에게 포트폴리오 평가의 타당도를 확보할 수 있는지, 즉 교육과정, 학습 목표, 평가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지와 과정 중심 평가 방법으로 적절한지에 대해 전문가 검토를 받아 수정·보완하였다. 전문가 검토 결과, 수행과제와 교수·학습과정안이 학습 목표와 평가 목표를 달성하기에는 적합하나 평가 요소를 구체화하여 학생의 성장과 발달을 지원하도록 할 것을 제안하여 수정·보완하였다.
둘째, 수업 실행에서는 학생들에게 수업의 과정에 부여된 수행 과제의 중간결과와 최종 결과를 사진으로 찍거나 스캔하여 패들렛(Padlet)에 업로드하게 하였다. 패들렛은 학습자의 상호작용을 촉진하는 온라인 도구로 온라인 학습 공간에서 실시간으로 의견을 수합하여 피드백을 할 수 있으며, 텍스트, 이미지, 음성, 동영상, 사이트 링크 등의 다양한 의견을 공유할 수 있어서 프로젝트 활동, 동료평가 등을 유용하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Choi et al., 2020). 교사는 학생들이 학습 목표를 달성하였는지 자기평가, 교사 피드백, 동료 상호작용 및 동료평가를 확인하고 성찰할 수 있도록 하였다.
자기평가는 매 수행과제별로 구글 설문지를 통해 실시하였고, 교사 피드백은 루브릭을 근거로 매시간 실시하였다. 수업 중에는 구두로 피드백을 제공하였으며 수업 후에는 패들렛의 포트폴리오를 확인하고 패들렛에 글로 피드백을 제공하였다. 루브릭을 벗어나는 피드백은 지양하였으며, 루브릭은 수행과제를 시작하기 전 미리 학생들에게 안내하였다. 피드백은 긍정적인 면을 먼저 표현하고 학습 목표와 관련해서 수정해야 할 부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조언적 피드백을 하였으며, 학생이 이해할 수 있도록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제공하였다. 또 ‘너는’과 같이 2인칭이 주어가 되기 보다는 과제 내용을 주어로 하여 학생이 수용하는 데 거부감이 없도록 하였다.
동료 상호작용은 패들렛에 수행과제를 업로드한 결과물을 보고 댓글을 달거나 ‘좋아요’로 반응하게 하였고, 동료평가는 모둠별로 활동하는 수행과제를 수행하고 나서 모둠 내 모둠원 간 평가로 맡은 역할을 성실히 수행한 친구, 협동심이 많고 모둠 내 갈등을 최소화하는 데 노력한 친구, 맡은 역할 외에도 모둠에 보탬이 되도록 노력한 친구, 의사소통이 능숙하며 다른 모둠원이 하는 말을 경청한 친구를 투표하게 하여 모둠별로 협동학습이 잘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교사는 루브릭에 근거하여 수행과정을 포함하여 종합적으로 평가를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평가 단계에서는 학생들에게 구글 설문지를 통하여 수업에서의 배움과 성찰한 내용, 수업의 만족도에 대해 설문조사를 하였다. 수업에서의 배움과 성찰에 대한 문항은 4문항으로 수업을 통해 배운 점, 자신이 잘했다고 생각한 것, 반성을 통해 개선하고 싶은 과정, 포트폴리오 평가를 진행하면서 느낀 점에 대해 개방형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수업에 대한 만족도 문항은 3문항으로 수업을 통한 자신의 성장 정도, 포트폴리오를 작성하는 과정에서 반성 정도, 수업에 대한 만족도를 5점 리커트 척도로 구성하였다.
3. 자료 수집 및 분석 방법
자료로는 포트폴리오와 수업에 대한 평가 결과를 수집하였다. 포트폴리오는 학생들이 패들렛을 통해 매시간 수행한 결과물을 업로드한 누적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수행과제인 ‘코하우징 마을 설립 계획서 작성하기’, ‘코하우징 마을 디자인 하기’, ‘코하우징 마을 안의 우리집 디자인하기’와 ‘주택모형 만들기’를 통해 나온 결과물이다. 수업에 대한 평가 결과는 구글 설문지를 통하여 4회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수업 과정에서의 자기평가와 수행과제 완료 후 수업에 대한 만족도, 학생들의 배움과 성찰에 대한 결과물이다. 수업에 대한 평가 문항은 기술통계 분석하였으며, 수업의 배움과 성찰에 대한 문항은 내용분석 기법을 통하여 코딩한 후 범주화하여 분석하였다. 학습 과정에서 자기평가 결과물은 수행과제별로 기술통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1. 포트폴리오 평가를 적용한 코하우징 수업 설계 결과
백워드 설계 모형에 따라 개발된 학습 목표 및 본질적 질문, 수행과제 및 루브릭, 학습 경험 계획 수립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학습 목표 설정과 본질적 질문 개발 결과
백워드 설계 템플릿에 따라 ‘바라는 결과 확인하기’ 단계에서 학습 목표를 설정하고 본질적 질문을 개발하고 이에 따라 도출된 지식과 기능은 Table 1과 같다. 2015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에서 주생활 영역과 관련된 성취기준 중에서 코하우징과 관련된 성취 기준은 2가지이다. 성취기준 2가지를 통합적으로 달성하도록 하기 위하여 학습 목표는 주거의 의미와 기능을 이해하고 다양한 주거 형태를 통해 주거 가치관과 이웃과 더불어 살아가는 생활을 이해하며, 이를 실천하기 위한 방안으로 코하우징 마을 설립 계획서를 작성하고 효율적인 주거공간 구성 방안을 탐색하여 코하우징에 적합한 개별 주거공간을 구성하며 이를 모형으로 재현할 수 있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이에 따라 수업을 통하여 학생이 이해하길 바라는 내용은 ‘가족형태가 변함에 따라 주거 가치관과 생활방식이 변화한다는 것’과 ‘이웃과 더불어 살아가는 지속가능한 주거생활이 필요하고 다양한 주거 형태가 있다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본질적인 질문은 ‘주거 가치관은 왜 변화하는가?’, ‘이웃과 더불어 살아가는 주거 생활을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는가?’와 ‘주거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는가?’로 설정하였다. 이를 통해 주거 가치관과 변화하는 주거 가치관에 따라 변화하는 주거의 의미와 기능을 정확히 이해하고, 그에 따른 주거공간을 계획하고 활용하는 방법, 이웃과 더불어 살아가는 주생활을 실천하기 위한 방안을 알도록 하였다. 그리고 기능적인 측면으로는 코하우징 마을을 구성하기 위해 입주 희망자 모집 안내문을 작성하고 코하우징 마을 디자인, 모둠활동을 통한 협업 방법, 개별 주거공간 평면도 그리기, 주택모형 제작 방법을 익힐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2) 수행과제 및 루브릭 개발 결과
두 번째 단계로 학생이 목표에 도달했음을 확인할 수 있는 평가계획을 수립하기 위해서 GRASPS에 근거하여 수행과제를 개발한 결과는 Table 2와 같다. 이웃과 더불어 살기 위한 여러 형태 중 하나인 코하우징 마을을 설립하기 위한 코하우징 마을 설립 추진 위원회 위원장이 되어서 코하우징 마을을 설립하는 목표를 설정하고 이에 따라 입주희망자를 모집하여 함께 협의하여 마을 디자인을 하고 각자의 주거공간을 계획하는 과제를 설정하였다.
설정된 코하우징 마을 설립 수행과제는 Table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학생들에게 시나리오 형태로 제시하였다.
수행과제는 본질적 질문을 해결하는 과정에 따라 4개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첫째, ‘주거 가치관은 왜 변화하는가?’라는 본질적 질문을 해결하기 위해 ‘코하우징 마을 설립계획서 작성하기’를 수행과제 1로 선정하였다. 생활양식과 사회적 요인의 변화에 따른 주거 가치관의 변화와 다양한 주생활 문화를 이해하고 그중 이웃과 더불어 살아가는 주거 생활 중 하나인 코하우징 설립을 위한 입주민 모집 안내서를 작성하여 이웃과 더불어 살아가기 위해 필요한 요소를 파악하게 하였다. 둘째, ‘이웃과 더불어 살아가는 주거 생활을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는가?’라는 본질적 질문을 해결하기 위해 ‘코하우징 마을 디자인하기’를 수행과제 2로 선정하였다. 이웃과 더불어 살아가기 위한 생활방식의 장점을 파악하고 이를 반영하여 입주민과 협의를 통하여 생활규칙, 공동생활시설 등을 정하여 마을을 디자인하게 하였다. 셋째, ‘주거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는가?’라는 본질적 질문을 해결하기 위해 ‘코하우징 마을 안의 우리 집 디자인하기’를 수행과제 3으로 선정하였다. 수행과제 2에서 수립한 공동생활 시설 및 규칙을 반영한 개별 주거공간에서의 생활을 위한 효율적인 주거공간을 고민하게 하였다. 마지막으로 3개의 수행과제를 반영하여 ‘우리 집 주택모형 만들기’를 수행과제 4로 선정하였다. 4개의 수행과제는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진행되게 하였으며, 수행과제별로 그 안에서 세부과제를 제시하여 포트폴리오 평가방법에 따라 산출한 결과물을 과정별로 누적하도록 하였다.
개발된 수행과제별로 학생들이 바라는 성취를 달성하였는지 증명하기 위한 증거로 루브릭을 개발한 결과는 Table 4~7과 같다. 수행과제 1 ‘코하우징 마을 설립 계획서 작성하기’의 루브릭은 Table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코하우징의 정의와 필요성에 대해 이해하고 코하우징 마을에 적합하게 설립목표와 시설형태를 설정하였는지’, ‘계획서의 내용을 빠짐없이 작성하고 구체화하여 표현하였는지’, ‘마을의 명칭, 마을 설립 목표와 계획이 일관성 있게 창의적으로 구성하였는지’를 평가내용으로 하여 개발되었다.
수행과제 2 ‘코하우징 마을 디자인하기’의 루브릭은 Table 5에서 보듯이 ‘코하우징 마을 설립을 위한 주민 회의에 제출할 의견서를 코하우징의 생활방식에 적합하게 작성하였는지’, ‘모둠별 주민 회의에서 협업을 통해 협의내용을 정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마을 디자인을 완성하였는지’, ‘코하우징 마을에 필요한 사항을 정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마을 디자인을 창의적으로 디자인하였는지’를 평가내용으로 하여 개발되었다.
수행과제 3 ‘코하우징 마을 안의 우리집 디자인하기’의 루브릭은 Table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코하우징 마을에서 공동생활과 조화를 이루는 개별 주거공간의 차이를 고려하여 생활방식을 구체화하여 표현하였는지’, ‘코하우징의 생활방식과 주거공간의 동선을 고려하여 공간과 가구를 효율적으로 배치하였는지’, ‘코하우징의 생활방식을 평면도에 반영하여 정확하고 구체적으로 표현하였는지’를 평가내용으로 하여 개발되었다.
수행과제 4 ‘우리 집 주택모형 만들기’ 루브릭은 Table 7에서 보듯이 ‘공간 구분, 창, 문, 가구 등의 크기와 배치를 현실성을 고려하여 제작하였는지’, ‘주택모형을 정교하고 견고하게 제작하였는지’, ‘우리집 디자인의 평면도에 맞춰서 가구, 창, 문 등을 입체적으로 표현하여 완성하였는지’를 평가내용으로 하여 개발되었다.
3) 학습경험 계획 수립 결과
백워드 설계의 세 번째 단계로 학습경험을 계획한 결과는 Table 8과 같다. 수행과제 4가지를 수행하도록 4가지의 학습 주제 ‘주거 가치관에 따른 주거의 의미와 기능 변화, 다양한 주거 형태 이해하기’, ‘코하우징의 생활방식과 디자인 탐색하기’, ‘코하우징에서 효율적인 개별 주거공간 구성 방안 탐색하기’, ‘코하우징의 개별 주택모형 제작하기’로 설정되었다. 각 학습 주제는 Wiggins와 McTighe (2005)의 학습경험 배열에 따라 WHERETO 요소가 모두 포함되도록 개발되었다. ‘W (where, why)’는 앞서 계획한 본질적 질문을 던지거나 수행과제, 평가 기준을 안내하는 활동을 통하여 학생들이 어디로 나아가고 있고, 왜 활동을 해야 하는지 이해하도록 하였다. ‘H (hook, hold)’는 동영상이나 이야기 나누는 활동을 통해 동기를 유발하도록 하였다. ‘E1 (explore, equip)’은 코하우징 마을 설립 과정에서 실제로 경험할 수 있는 활동들로 구성하여 학생들이 중요한 개념을 경험하고 수행과제를 탐구하도록 하였다. ‘R (rethink, reflect, revise)’은 수행결과를 패들렛에 업로드하고 그 결과물에 대해 패들렛에 동료 상호작용과 교사 피드백을 한 것을 통해 수행과정을 반성하고 활동을 교정하도록 하였다. ‘E2 (evaluate)’는 각 수행과제에 대해 자기평가를 하도록하여 학생들에게 자기평가의 기회를 제공하였다. ‘T (tailor)’는 코하우징 마을 입주희망자 모집 안내문 작성, 코하우징 마을 설립 시 희망사항 작성, 개별 주거공간 구성 등 수행과제를 통해서 자신의 재능이나 흥미를 반영할 수 있게 하였다. ‘O (organize)’는 코하우징의 정의, 필요성, 장단점, 공간 구성, 사례 등 코하우징에 대한 이해, 코하우징 마을 설립 마인드맵 그리기 활동 등을 통해 학습 내용에 대한 진정한 이해를 최적화하기 위해서 학습 내용을 조직화하였다.
2. 포트폴리오 평가를 적용한 코하우징 수업 실행 결과
학생들은 Figure 2와 같이 패들렛을 활용한 포트폴리오를 통해 포트폴리오를 제출하고 돌려받는 시간의 여유를 가지게 되었고, 같은 학급 학생들이 친구의 결과물에 대해 댓글을 달거나 ‘좋아요’를 누름으로써 상호작용하였으며, 동료의 결과물을 보면서 자신의 결과물을 성찰하고 수정하였다. 교사는 학생들의 포트폴리오를 걷지 않아도 온라인에서 쉽게 확인하고 피드백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포트폴리오 평가의 준비와 실천을 쉽게 하고 과정 중심 평가로서 교육목표를 달성할 수 있게 하여 유용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수행과제별로 포트폴리오 평가를 적용하여 수업을 실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행과제 1 ‘코하우징 마을 설립 계획서 작성하기’
코하우징 마을 설립 프로젝트의 첫 시간으로 주거의 의미와 기능을 이해하여 가치 판단을 해 보도록 하였고, 코하우징에 대해 이해하여 코하우징의 입주희망자를 모집하기 위한 안내문을 작성하고, 안내문을 토대로 하여 모둠을 구성하도록 하였다. 프로젝트에서 모둠 구성이 중요한 만큼 서로 원하는 학생들로 구성이 되도록 다음과 같은 방법을 활용하였다. 모둠 구성은 추진위원장 1명, 서기 1명, 주민 2명총 4명으로 하였고, 패들렛에 안내문을 각자 올리고 난 후 ‘좋아요’ 반응을 통해 투표를 하게 한 다음, 다득표자를 추진위원장으로 선정하였고, 추진위원장이 함께 위원회를 이끌어갈 서기 1명을 선정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나서 나머지 학생들은 자유롭게 자신이 원하는 모둠에 지원하게 하였다. 학생들은 Figure 3과 같이 코하우징 마을 설립을 위한 입주희망자 모집 안내문을 작성하였다. 학생들은 ‘코하우징 마을 이름’, ‘설립목표’, ‘설립 위치’, ‘시설 형태’, ‘모집 대상’, ‘기타 조건’을 계획하면서 이웃과 더불어 살아가는 방식의 한 형태인 코하우징 마을을 알고 생활방식의 변화를 이해하였다. 1인 가족, 무자녀 가족, 다자녀가족, 반려동물 기르는 가족 등을 모집대상으로 하여 상쾌한 힐링 마을, 기숙사 마을, 행복 마을, 태조 마을, 도심 속 녹지 마을 등 창의적으로 마을 설립에 대한 계획을 세웠다. 수행과제 1에 대한 자기평가 결과, Table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학생들의 60% 이상이 마을 설립계획서를 독창적이고 구체적으로 작성하고, 계획서의 내용을 빠짐없이 발표하였는지에 대해 상, 중, 하 중에서 ‘상’으로 평가하였다.
교사는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에 구두 피드백, 과제 수행 후에 온라인 피드백을 제공하였는데, 예시는 Table 10과 같다.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대부분의 학생들은 코하우징의 시설 형태에 대한 개념을 어려워하여 연립주택, 전원주택, 기존 건물 활용 등에 대한 예시를 제시하여 구두로 피드백하였다. 학생들은 처음에 입주 희망자 모집 안내문 작성에 막연해 하였는데 구두 피드백을 통해서 다양한 사례를 제시하여 대부분의 학생들이 모집 안내문을 완성할 수 있었다. 또한, 패들렛에 다른 친구들이 작성한 안내문을 보면서 코하우징 마을에 대한 다양한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내고 안내문을 더 구체화해 나가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2) 수행과제 2 ‘코하우징 마을 디자인하기’
3~5차시에는 개인별로 코하우징 마을에 대한 희망사항을 정리하게 한 후, 모둠별 활동으로 주민 회의를 진행하여 코하우징 마을 설립을 위해 필요한 사항을 협의하고, 코하우징 마을의 배치도와 공동생활시설의 평면도를 그리도록 하였다. Figure 4와 같이 학생들은 코하우징 마을 박람회를 통해 모집된 모둠원과 코하우징 마을을 설립할 때 희망하는 사항이나 공동생활을 위해 지켜야 할 생활규칙 등을 개인적으로 정한 후, 주민 회의에서 모둠원과 협의하여 최종 의견을 정리하였다. 학생들은 개인 의견 중 공통된 의견을 먼저 정한 후 서로 생각하지 못했던 의견은 추가하거나 협의하여 더 발전시켜서 정하는 등 발전적인 모습을 보였다.
학생들은 협의내용을 바탕으로 공동생활 공간별로 필요한 시설과 기자재, 공동생활 규칙 등 코하우징 마을 설립에 필요한 사항들을 Figure 5와 같이 마인드맵으로 정리하였다. 공동생활 공간에서 지켜야 할 공동생활 규칙으로 게스트룸에서는 예약을 하고 사용료를 납부하는 규칙, 공동생활에서 발생하는 지출은 1/n으로 나누어 지불하는 규칙, 시설 내에서 흡연 금지, 월 1회 마을회의 필수 참석, 개별 공간 보장 등의 규칙을 정하였다.
마인드맵을 바탕으로 코하우징 마을 전경과 공동생활 시설 평면도를 그린 결과는 Figure 6과 같다. 학생들은 공동생활 시설을 중심으로 개별주택을 배치하고 길로 연결하거나 공원을 중심으로 공동생활 시설과 주택을 배치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마을 전경을 디자인하였다. 또한 공동생활 시설로 공동식당, 회의실, 수영장, 공부방 등의 평면도를 코하우징 마을의 생활요구를 반영하여 그렸다. 수행과제 2에 대한 자기평가 결과, Table 11과 같이 학생들은 모둠활동에서 자신이 맡은 역할을 충실하게 수행했는지에 대해 약 70% 가 ‘상’, 약 3% 가 ‘하’로 평가하였으나 마인드맵 작성에 적극적으로 의견을 말하였는지에 대해 약 58%가 ‘상’, 약 5%가 ‘하’로 평가하여 모둠활동에서 자신의 의견을 말하는 것을 상대적으로 어려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마인드맵에서 정리된 내용을 디자인에 모두 반영하였는지에 대해 ‘상’이 약 58%로 상대적으로 적어 마인드맵으로 정리된 모든 내용을 디자인에 반영하는 것이 어려웠던 것으로 보인다.
수행과제 2에 대한 교사 피드백 예시는 Table 12와 같다. 지난 시간 교사가 제공한 온라인 피드백을 통해서 수정된 계획서를 바탕으로 주민회의에 참여하는 학생들도 있었다.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대부분의 학생들은 ‘공동생활 시설’과 ‘외부 공동생활 공간’의 차이점을 인지하지 못해 희망사항 작성에서 어려워하여 코하우징은 개인주택과 공동체 시설, 옥외공간으로 구성되는데 공동생활 시설은 공동식당, 회의실 등 건물에 위치한 시설을 말하고, 외부 공동생활 공간은 놀이터, 외부 주차장, 공동텃밭 등 건물 밖에 위치한 공간으로 구분하였음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학생들은 코하우징의 가치와 생활방식을 잘 이해하지 못하고, 현실적으로 마을 설립이 불가능한 의견을 제시하였는데 구두 피드백을 통해 코하우징의 가치와 생활방식을 이해하고 마을 설립의 경제성과 현실성을 고려하는 모습을 보였다.
3) 수행과제 3 ‘코하우징 마을 안의 우리 집 디자인하기’
6~7차시에는 모둠별로 디자인한 코하우징 마을의 배치도를 기반으로 하고 효율적인 주거공간 계획의 개념을 적용하여 코하우징 마을에서 개별 주거공간 계획을 세우고, 모눈종이에 평면도를 그리도록 하였다. 교사는 지난 시간 코하우징 마을 디자인에 대한 온라인 피드백 내용을 확인하도록 하여 성찰을 하도록 하였다. 학생들은 Figure 7과 같이 코하우징 마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공동생활과 조화를 이루도록 생활방식을 구성하였는데, 가족공동생활공간인 거실은 가족의 휴식을 위한 공간으로 구성하였고 개인생활공간인 침실은 아늑하고 개인생활이 가능하도록 화장실, 드레스룸을 구성하였다. 가사작업공간인 주방은 평일에 공동식당을 이용하므로 간단한 아침 식사나 간식을 할 수 있는 정도의 규모로 구성하였고 다용도실은 애완동물을 위한 공간으로 구성하고 김장 같은 활동은 공동식당 등 옥외 공동생활 공간을 이용하는 생활방식으로 구성하였다. 주거공간의 계획은 가족 공동생활 공간인 거실과 주방을 중앙에 배치하고 개인 생활 공간인 침실을 주변에 배치하는 등 동선을 고려하였다. 수행과제 3에 대한 자기평가 결과는 Table 13과 같이 약 63%의 학생들이 코하우징의 생활규칙을 고려하여 개별 주거공간의 생활방식을 구체적으로 작성한 것에 대해 ‘상’으로 평가하였으나 작성한 생활방식을 평면도에 구체적으로 반영하였는지에 대해서는 약 59%가 ‘상’으로 평가하여 개별 주거공간을 디자인하는 것을 상대적으로 어려워한 것으로 보인다.
수행과제 3에 대한 교사 피드백 예시는 Table 14와 같다. 학생들은 지난 시간에 수행한 결과물에 대한 온라인 피드백을 확인하고 코하우징 마을 디자인을 수정한 것을 바탕으로 하여 코하우징 마을과 조화를 이루도록 개별 주거공간을 구성하였다. 대부분의 학생들이 평면도 그리기에서 공간의 규모를 몰라서 방의 크기나 비율을 정하기 어려워하였다. 이에 10cm가 모눈종이 한 칸의 비율로 축척됨을 감안하도록 하고 문과 창의 표준 규격을 제시해 주어 이를 바탕으로 방과 집의 규모를 정하도록 피드백하였다. 또문이 열리는 방향에 따라 가구의 배치 등이 바뀌는데 이를 인지하지 못하고 있어서 현관문과 방문의 열리는 방향이 다름을 설명하고 이를 고려하여 가구를 배치할 것을 조언하였다. 학생들은 주거공간에서 창, 문이 없는 것에 대한 문제점을 인지하지 못하였는데 구두 피드백을 통해 창, 문의 적절한 위치를 선정하여 평면도를 수정하였고, 대부분의 학생들이 개별 주거공간의 평면도를 완성한 모습을 보였다.
4) 수행과제 4 ‘우리 집 주택모형 만들기’
8~10차시에는 개인별로 완성한 평면도를 기반으로 하여 우드락을 활용하여 주택모형을 입체적으로 제작하도록 하였다. 학생들은 Figure 8과 같이 수행과제 3에서 그린 평면도 위에 5T 규격의 우드락을 잘라 붙여 주택모형과 가구를 만들었다. 학생들은 평면도를 그릴 때 고민하지 않았던 창문의 높이, 가구의 높이 등을 고민하며 입체적으로 만들었다. 그러나 칼로 깨끗하게 자르지 못하거나 글루가 지저분하게 발라지는 것을 힘들어하였다. 평면도를 그릴 때는 느끼지 못했던 잘못된 가구의 크기와 위치를 조절하여 만들었다. 수행과제 4에 대한 자기평가 결과, Table 15와 같이 약 67%의 학생들이 주택모형의 공간 구분을 현실성 있게 작성한 것에 대해 ‘상’으로 평가하였고 창과 문의 크기와 위치를 적절하게 배치하였는지에 대해 약 64%가 ‘상’으로 평가하였다. 그러나 주택 모형을 정교하고 견고하게 제작하였는지에 대해서 약 58%가 ‘상’으로 평가하여 칼과 글루를 사용하여 모형을 만드는 것에 익숙하지 않아서 상대적으로 어려워했던 것으로 보인다.
수행과제 4에 대한 교사 피드백 예시는 Table 16과 같다. 학생들이 모형 제작의 순서를 몰라 벽에 창과 문의 위치를 정해 뚫지 않고 벽을 먼저 붙여서 나중에 창과 문을 뚫으면서 어려워하였다. 문의 경우 벽의 모서리와 위에서 최소 1cm, 창은 아래에서 최소 2cm, 위에서 1cm 정도 공간을 두고 자를 것을 안내하였다. 학생들은 이와 같은 피드백을 통해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었고, 패들렛에 자신의 작품을 공유하면서 친구들이 본다고 생각하여 좀 더 신중하게 활동을 했고, 다른 학생들의 작품을 보면서 더 열심히 하고 싶은 욕구가 생겼으며, 더 꼼꼼하게 만들지 못한 것에 대해 성찰도 하였으며, 지속적으로 활동한 내용을 함께 공유하면서 성장하게 되었다고 하였다.
3. 포트폴리오 평가에서 학생의 배움 및 성찰
포트폴리오 평가를 적용한 수업을 통해 학생들이 배운 점, 성찰한 점과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평가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업을 통한 배움과 성찰
① 수업을 통해 배운 점
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코하우징, 주거공간 계획, 협업의 중요성, 주택모형, 주거 형태에 대해 배웠다고 하였다(Table 17 참조). 특히, 코하우징과 관련하여 가장 많은 학생들이 응답하였는 데, 학생들은 코하우징의 의미와 설립과정을 이해하고, 코하우징 마을을 설계하는 방법을 알게 되었으며, 코하우징 마을 설립과정이 생각보다 어려우며, 계획부터 만들기까지 일관성 있게 진행해야 함을 알게 되었다고 하였다. 주거공간 계획에 대해서는 효율적인 주거공간의 활용 방법을 알게 되었고, 주거공간의 효율적 구성이 중요하고 또 어렵다는 것을 인식하였으며, 주거공간의 평면도를 그리는 방법을 알게 되었다고 하였다. 또한 학생들은 서로 협동하면 그 결과가 좋다는 것을 알게 되어 협업의 중요성에 대해서도 알게 되었으며, 다양한 주거 형태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고 하였다. 주택모형 만들기와 관련해서는 주택모형을 만들기 위한 도구 사용법을 알게 되었으며, 주택모형을 더 견고하고 세밀하게 만드는 방법에 대해 알게 되었다고 하였다. 이외에 프로젝트 수업 방식이 이해도 빠르고 다양한 방법으로 생각을 하게 하고, 패들렛을 통해 자신의 행동을 개선할 수 있었다고 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백워드 설계 모형에 따라 설정했던 바라는 결과와 부합되어 나타난 결과로 이 수업은 수업 전 계획했던 내용을 모두 달성한 것으로 해석된다. 즉, 학생들은 주거의 의미와 기능, 주거공간 계획 및 활용 방법, 이웃과 더불어 살아가는 주생활 실천방안에 대한 지식을 알게 되었으며, 가족의 형태에 따라서 다양한 주거 형태가 있다는 것을 이해하게 되었고, 코하우징 마을을 디자인하고 모둠활동을 통해 협업하고 주택모형을 제작할 수 있게 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② 자신이 잘했다고 생각한 것
코하우징 마을 설립 프로젝트의 과정 중에서 학생들은 Table 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코하우징 마을 디자인, 주택모형 만들기, 개별 주거공간 디자인, 마을 설립 계획을 잘했다고 평가하였다. 특히, 코하우징 마을 디자인과 관련해서 주민 회의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아이디어와 의견을 제시하였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으며, 꼼꼼하게 디테일을 살려 독창적으로 마을을 디자인했다는 의견도 많았다. 또한 주택모형을 깔끔하고 정확하게 만들었다는 의견도 상대적으로 많았으며, 공간과 가구 배치를 현실적으로 디자인하였다는 의견도 많았다. 그 외에 마을 설립 계획을 꼼꼼하게 세웠다는 것,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열심히 한 것을 잘했다고 생각하였다. 이는 학생들이 4가지 수행과제를 루브릭에 부합되도록 과제를 잘 수행한 것으로 볼 수 있다.
③ 반성을 통해 개선하고 싶은 과정
자신의 수행과제에 대한 반성과 함께 다시 수행과제를 한다면 어떤 점을 개선할 것인지 묻는 설문조사 결과, Table 19에서와 같이 ‘주택모형 만들기’와 관련하여 개선하고 싶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더 정교하게 만들지 못한 것과 창, 문, 공간의 비율이 잘 맞지 않아서 개선하고 싶다고 하였다. 또한 코하우징 마을 디자인과 관련하여 마인드맵 활동을 통해 필요사항을 더 구체화하고 싶어하였으며, 마을 전경을 더 자세히 그리고 싶다고 하였다. 이외에 개별 주거공간 디자인에서 공간의 비율을 현실적으로 하지 못했던 것, 마을 설립계획서를 더 구체적으로 작성해야겠다는 것, 수업에 더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은 것에 대해 반성하였다. 학생들은 수행과제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모둠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겠다고 응답하여 루브릭에 대한 반성과 성찰이 이루어진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포트폴리오 평가를 적용한 수업에서 루브릭을 제시하고 이를 통한 피드백과 평가가 이루어진 결과로 볼 수 있다.
④ 포트폴리오 평가를 진행하면서 느낀 점
수업 후 포트폴리오 평가를 진행하면서 느낀 점은 무엇인지 묻는 설문조사 결과, Table 20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학생들은 마을을 설립하고 주택을 만드는 과정을 직접 해 보니 실제 자신의 집을 만드는 것같이 재미있었다고 하였으며, 이를 통해 성취감을 느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학생들은 모둠활동을 하면서 협업하는 과정이 좋았다고 느꼈으며, 코하우징 마을에 대한 관심이 생겼다. 이 외에 주거공간을 설계하고 만드는 과정이 힘들고 시간이 많이 든다는 것을 느꼈다. 학생들은 포트폴리오 평가방법을 적용하여 4가지 수행과제를 수행하는 과정 속에서 흥미와 성취감을 갖게 되었는데, 이는 각 과정 속에서 이루어진 피드백을 통해서 성장하면서 흥미와 성취감을 느낀 것으로 생각된다.
2) 수업에 대한 평가
학생들은 포트폴리오 평가를 적용한 수업에 대해 Table 21과 같이 수업을 통하여 자신이 성장하였고(M=3.76), 패들렛에 포트폴리오를 업로드하여 피드백을 받고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성찰이 이루어졌다고 응답하였다(M=3.74). 또한 코하우징 프로젝트 수업에 대해 전반적으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M=3.78). Lee와 Cho (2012)의 연구에서도 포트폴리오 평가가 학생들이 수업 활동에 더욱 집중하게 하여 학습효과와 만족도를 높였고 학생 스스로 수업의 진행 과정에서 자신의 참여정도를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는데, 이는 패들렛을 활용한 포트폴리오 평가 수업이 기존의 포트폴리오 평가 수업과 같은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가정교과의 주생활 영역 중 코하우징 수업에 포트폴리오 평가의 타당도, 신뢰도, 유용성을 확보한 수업 사례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와 이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포트폴리오 평가를 적용한 코하우징 수업을 백워드 설계 모형에 따라 설계한 결과, 성취기준에 기반하여 학습목표를 명확하게 설정할 수 있었고 학습의 탐구, 이해, 전이를 촉진하기 위한 본질적 질문과 학생이 이해하기를 바라는 내용, 알게 되기를 바라는 지식, 할 수 있게 되기를 바라는 기능을 구체적으로 서술할 수 있었다. 이는 Bae (1997)와 Kim (2012)이 포트폴리오 평가의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한 방법으로 제시한 것으로 본 연구는 학습목표를 명확하게 하고 학습을 통하여 알게 될 지식과 할 수 있게 될 기능을 명확히 하여 타당도를 확보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코하우징 마을 설립 프로젝트의 수행과제를 개발한 결과, ‘코하우징 마을 설립계획서 작성하기’, ‘코하우징 마을 디자인 하기’, ‘코하우징 마을 안의 우리집 디자인하기’, ‘우리 집 주택 모형 만들기’ 등 4가지 수행과제로 개발되었고 이에 대한 평가기준은 분석적 루브릭으로 개발되었다. Bae (1997)는 포트폴리오 평가 및 채점에서 일관성, 객관성, 정확성, 공정성 등을 유지해야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는데, 본 연구는 분석적 루브릭을 토대로 자기평가와 교사평가, 피드백 등을 진행하여 일관성, 객관성, 정확성, 공정성을 유지함으로써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었다. 다만, Kim과 Chae (2009), Han (2006)의 연구에서 분석적 루브릭을 개발할 때 학생이 참여하면 학생의 학습동기를 유발하고 평가에 대한 신뢰를 높여주는 것으로 나타나, 학생에게 더 높은 신뢰를 주기 위해서는 분석적 루브릭을 개발할 때 학생이 참여하여 개발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수업 시간에는 교사가 수행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을 지켜보며 구두로 피드백하였는데, 대부분의 학생이 어려워하거나 실수하는 부분은 공통적으로 피드백을 제공하였으며, 나머지는 개별적으로 피드백하였다. 피드백은 학생들에게 제시한 루브릭에 근거하여 제공하였고, 자기평가 문항도 루브릭을 근거로 하여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수업의 과정을 거쳐 학생들이 자기평가를 한 결과, 모든 문항에서 ‘상’으로 평가한 학생이 57% 이상으로 많은 학생들이 스스로를 높게 평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학생의 학습과 성장을 지원하는 피드백의 긍정적 역할이 제대로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피드백은 학생의 현재 수준과 도달해야 할 수행 수준 간의 차이를 자세하게 알려줌으로써 학생의 학습과 성장을 지원하는 역할을 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루브릭을 토대로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학생이 도달해야 할 수행 수준을 알려줄 수 있었다.
넷째, 학습자의 상호작용을 촉진하는 온라인 도구인 패들렛을 통하여 포트폴리오를 관리하고 피드백을 제공한 결과, 교사와 학생 모두 온라인으로 포트폴리오를 제출하고 돌려받음으로써 시간의 여유를 가지게 되었고, 동료의 결과물을 보면서 상호작용과 성찰을 할 수 있었다. 수업 중에 실시한 구두 피드백과 마찬가지로 온라인 피드백도 사전에 제시한 루브릭의 범위 안에서 제공하였으며 교사의 피드백을 동료 학생들에게도 공개하여 자신의 결과물을 성찰할 수 있게 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은 수업 후 바로바로 자신에 대한 동료 상호작용과 교사 피드백을 성찰하고 결과물을 수정하여 다시 업로드하거나 다음 수업시간에 발전된 결과물을 가지고 다음 단계를 진행하기도 하였다. Park과 Paik (2001)은 수업 과정에서 피드백을 제공하는 포트폴리오 평가 수업은 피드백을 수업 완료 후에만 피드백을 제공하였을 때와 대조되어 지식의 향상과 학생의 수업에 대한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을 확인하였지만 피드백을 제공하는 수업은 현장의 교사들에게 과중한 업무가 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긍정적인 효과를 중요하게 인식시킬 필요가 있다고 하였다. 이는 포트폴리오 평가 수업 과정에서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이 수업 효과를 극대화하지만 많은 노력을 필요로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Bae (1997)는 포트폴리오 평가의 유용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에 쉽게 적용하면서도 학습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방법을 실천해야 한다고 하였는데, 본 연구는 온라인 도구를 활용하여 포트폴리오를 관리하고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보다 쉽게 학습목표를 달성하게 하여 포트폴리오 평가의 유용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다섯째, 포트폴리오 평가를 적용한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은 다양한 주거형태와 코하우징의 의미와 설립과정을 이해하고, 코하우징 마을을 설계하는 방법을 알게 되었으며, 효율적인 공간의 활용방법, 평면도 그리는 방법, 협업의 중요성 등을 배운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수업 설계과정에서 설정했던 바라는 결과와 부합되어 나타난 결과로 수업 전에 계획했던 내용을 모두 달성한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수행과제에 대해서 잘한 점과 반성할 점에 대한 요소가 동일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학생들이 사전에 제시했던 루브릭에 근거하여 성찰한 것으로 생각된다. 또 코하우징 마을 설립 프로젝트 수업을 통해 자신이 성장하였으며(M=3.76), 성찰이 이루어졌고(M=3.74), 전반적으로 수업에 만족한다고(M=3.78) 대답하여 포트폴리오 평가를 적용한 수업을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Lee와 Cho (2012)의 연구에서도 포트폴리오 평가가 학생들이 수업 활동에 더욱 집중하게 하여 학습효과와 만족도를 높였고 학생 스스로 수업의 진행 과정에서 자신의 참여 정도를 긍정적으로 평가하였으며, Lee와 Lee (2007)도 포트폴리오 수업에 대해 학생이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고 하였다. 이는 포트폴리오 평가가 학생의 적극적인 참여로 학습효과를 높이는 데 유용한 학습방법임을 시사한다.
결론적으로 백워드 설계 모형에 따라 수업을 설계하여 학습목표를 명확하게 하고, 분석적 루브릭을 개발하여 사전에 제시하고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포트폴리오 평가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었다. 또 포트폴리오 관리와 교사 피드백, 동료 상호작용의 수단으로 패들렛을 활용함으로써 포트폴리오 평가에 들어가는 시간과 부담을 줄이고 상호작용을 활발하게 해 유용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가정교과에서 포트폴리오 평가의 타당도, 신뢰도, 유용성을 확보한 수업 사례를 제시한 것에 그 의의가 있다.
포트폴리오 평가는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기반으로 수업과 평가를 연계한 평가방법으로 학생의 능동적 참여를 활성화하고 학생 맞춤형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어 2022 개정 교육과정이 강조하는 과정 중심 평가, 개별 맞춤형 피드백 강화를 통한 학생 주도형 수업을 가능하게 한다. 본 사례연구를 기초자료로 활용함으로써 포트폴리오 평가의 타당도, 신뢰도, 유용성을 확보하여 학교 현장에 포트폴리오 평가를 성공적으로 적용하여 학생의 성장과 발전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본 연구는 1개 학교 241명의 학생에게 주생활 영역 수행과제에 적용한 사례연구이므로 연구 결과를 가정교과의 다른 영역으로 일반화하는데 제한점을 가지고 있으며, 학습 내용에 대한 비교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아 학습효과를 계량화하지 못하는 제한점이 있다. 따라서 추후 연구에서는 가정교과의 다양한 영역의 수업 및 수행과제에 더 많은 학생을 대상으로 사례를 분석하거나 평가 및 비교 분석 등을 통해 검증해 볼 것을 제언한다.
Declaration of Conflicting Interests
The author declares no conflict of interest with respect to the authorship or publication of this article
Figure 1.
Backward design model.
Figure 2.
Portfolio management using Padlet.
Figure 3.
Writing a cohousing village recruitment guide for resident.
Figure 4.
Cohousing village resident council results.
Figure 5.
Mind-map drawing.
Figure 6.
Cohousing village layout design, communal facility floor plan.
Figure 7.
Organizing individual residential spaces.
Figure 8.
Creating a mockup of my house.
Table 1.
Desired Results
교육과정 성취기준
[9기가02-05] 주거 가치관의 변화를 이해하고, 다양한 생활양식을 고려하여 이웃과 더불어 살아가는 주생활 문화를 실천한다.
[9기가02-06] 효율적인 주거공간 구성 방안을 탐색하여, 가족생활에 적합한 주거공간 구성에 활용한다.
학습 목표 설정
•주거의 의미와 기능을 이해하고 다양한 주거 형태를 설명할 수 있다.
•주거 가치관의 변화 내용을 이해할 수 있다.
•가족의 특성을 고려한 주거공간을 선택하고, 이웃과 더불어 사는 주생활 문화를 이해할 수 있다.
•코하우징의 생활방식을 이해하여 마을 설립을 위한 주민 회의에 협력적으로 참여할 수 있다.
•코하우징 마을의 전경을 디자인하고 공동생활 시설의 평면도를 그릴 수 있다.
•효율적인 주거공간 구성 방안을 탐색하여 코하우징 개별 주거공간의 평면도를 그릴 수 있다.
•코하우징의 개별 주거공간을 주택모형으로 만들 수 있다.
이해
본질적 질문
•가족의 형태가 변화하면서 주거 가치관이 변화한다.
•주거 가치관은 왜 변화하는가?
•이웃과 더불어 살아가는 지속가능한 주거 생활이 필요하고 주거 생활에는 다양한 형태가 있다.
•이웃과 더불어 살아가는 주거 생활을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는가?
•주거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는가?
학생들은 알게 될 것이다(지식)
학생들은 할 수 있게 될 것이다(기능)
•코하우징 입주 희망자 모집 안내문 작성하기
•주거 가치관, 주거 가치관의 변화, 주거의 의미와 기능
•코하우징 마을 디자인하기
•주거 가치관에 따른 주거공간의 계획 및 공간 활용 방법
•모둠활동을 통해 협업하기
•이웃과 더불어 살아가는 주생활 실천방안
•개별 주거공간 평면도 그리기
•주택모형 제작하기
Table 2.
Designing GRASPS for Performance Task Development
요소
내용
목표(Goal)
당신의 목표는 코하우징 마을 설립 목표를 세우고 함께할 가족을 모집하여 코하우징 마을을 설립하는 것이다.
역할(Role)
당신은 코하우징 마을 설립 추진 위원회 위원장이다.
대상(Audience)
당신의 목표 대상은 코하우징 마을 입주를 희망하는 자이다.
상황(Situation)
당신은 코하우징 마을을 설립하기로 하였다. 설립계획부터 입주민 모집, 주택 건설에 관한 일련의 활동을 책임지고 이끌어야 한다.
수행(Performance)
•입주희망자들을 모집하기 위한 설립계획을 세우고 매력적인 입주희망자 모집 안내문을 작성하시오.
•모집된 입주민과 입주민 회의를 열어 주민 의견을 수렴한 구체적인 설립계획 및 공동생활 규칙을 완성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코하우징 마을을 디자인하시오.
•코하우징 마을 입주민의 일원으로 자신의 집을 설계하시오.
•설계에 따라 자신의 집을 건축하시오.
기준(Standards)
•입주희망자 모집 안내문에는 코하우징 마을 이름, 설립 목표, 설립 위치 및 시설 형태, 모집 대상(자격요건), 모집 세대수를 명시해야 한다.
•코하우징 마을을 디자인하기 위해서는 마을 주민의 의견과 자신의 의견을 공유하고 협의하여 결정해야 한다.
•마을 디자인에는 마을의 길, 공동생활 시설, 공동생활 공간, 개별주택의 위치, 공동생활 규칙에 따른 생활방식 등을 포함한다.
•개별 주거공간을 디자인할 때는 공동생활과 조화를 이루는 개별 주거공간의 생활방식을 고려하여 작성한다.
•평면도를 기반으로 창, 문, 가구 등을 포함하여 구체적으로 자신의 집 모형을 제작한다.
Table 3.
Performance Task Scenarios
나는 코하우징 마을 설립 추진 위원회 위원장
당신은 코하우징 마을을 설립하고자 하는 코하우징 마을 설립 추진 위원회 위원장입니다.
마을 설립 추진 위원장으로서 코하우징 마을 입주민을 모집하고 협의를 거쳐 코하우징 마을을 디자인해서 설립해야 합니다. 또한 당신도 코하우징 마을 입주자이므로 코하우징 마을 안의 개별주택을 건설할 예정입니다.
코하우징 마을의 설립목적에 따른 시설 형태와 생활방식, 개인의 생활과 공동생활의 조화 등에 대한 구체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모집 안내문을 작성하여 코하우징 박람회에서 입주민을 모집합니다. 입주민 모집이 완료되면 입주민 회의를 개최하여 코하우징 마을의 설립 위치, 시설 형태, 공동생활 시설, 외부 공동생활 공간, 지켜야 할 생활 규칙 등을 정합니다. 이때 주민들은 자신이 원하는 코하우징 마을에 대해 충분히 고민하여 자신의생각을 정리한 후 회의를 통해 의견을 수렴합니다.
협의된 주민 의견을 바탕으로 코하우징 마을을 디자인합니다. 마을 디자인에는 마을의 길, 공동생활 시설, 공동생활 공간, 개별주택의 위치, 공동생활 규칙에 따른 생활방식 등을 포함해야 합니다. 코하우징 마을 디자인이 완성되면 코하우징 마을 공동생활과 조화를 이루는 개별 주거공간의 생활방식의 차이를 분석하고 개인의 생활방식을 고려하여 개별 주거공간을 디자인하고 주택모형을 제작합니다.
Table 4.
Performance Task 1 ‘Write a Plan to Establish a Cohousing Village’ Rubric
평가요소
평가내용
평가척도
채점 기준
계획서의 적합성
코하우징 마을에 대해 이해하 고 취지에 적합하게 계획서를 작성하였는가?
상
코하우징의 정의와 필요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코하우징 마을 설립 계획서를 적합하게 작성하였다.
중
코하우징의 정의와 필요성에 대한 이해를 하였으나 코하우징 마을 설립 계획서를 부적합하게 작성하였다.
하
코하우징의 정의와 필요성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고, 코하우징 마을 설립계획서를 부적합하게 작성하였다.
계획서의 구체성
코하우징 마을 설립 계획서를 구체적으로 작성하였는가?
상
코하우징 마을 설립 계획서의 내용을 이해하기 쉽게 정리하여 계획서를 구체화하였다.
중
코하우징 마을 설립 계획서의 내용을 빠짐없이 완성하였으나 설립 계획서를 이해하기 어렵게 작성하였고, 구체적으로 계획서를 표현하지 못했다.
하
코하우징 마을 설립 계획서의 일부분을 완성하였으며, 계획서를 구체화하여 표현하지 못했다.
계획서의 창의성
코하우징 마을 설립계획서를 창의적으로 구성하였는가?
상
마을의 명칭, 마을 설립 목표와 설립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계획을 창의적으로 일관성있게 구성하였다.
중
마을의 명칭, 마을 설립 목표를 창의적으로 설정하였으나 목표 달성을 위한 계획에서 일관성이 부족하다.
하
전체적으로 코하우징 마을 설립 계획서를 창의적으로 구성하는 데 미흡하였다.
Table 5.
Performance Task 2 ‘Design a Cohousing Village’ Rubric
평가요소
평가내용
평가척도
채점 기준
주민협의 의견서의 적합성
주민회의를 위한 자신의 의견서를 코하우징의 생활방식에 적합하게 작성하였는가?
상
주민과 협의를 위한 자신의 의견서를 코하우징 마을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사는 삶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구체적이고 현실적으로 적합하게 작성하였다.
중
주민과 협의를 위한 자신의 의견서를 코하우징 마을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사는 삶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 로 작성하였으나 실현이 불가능한 내용을 작성하였다.
하
주민과 협의를 위한 자신의 의견서를 작성하는데 코하우징 마을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사는 삶에 대한 이 해가 부족하다.
주민회의 참여의 협업능력
코하우징 마을 설립을 위한 모둠별 주민 회의에 협력적으로 참여하여 협의내용과 마을 디자인을 완성하였는가?
상
코하우징 마을 설립에 필요한 사항을 도출하기 위한 주민 회의에 협력적으로 참여하여 협의내용을 정리하고 마을 디자인을 완성하였다.
중
코하우징 마을 설립에 필요한 사항을 도출하기 위한 주민 회의에 참석하였으나 협의내용을 마을 디자인 에 반영하지 못했다.
하
코하우징 마을 설립에 필요한 사항을 도출하기 위한 주민 회의에서 맡은 역할을 소홀히 하여 협의내용 정 리와 마을 디자인을 완성하지 못했다.
코하우징마을 디자인의 창의성
코하우징 마을의 디자인이 창의적으로 작성되었는가?
상
코하우징 마을 설립을 위해 필요한 사항을 마인드맵에 구체적으로 정리하였고, 마을 배치, 길, 공동생활시설, 개별주택의 위치, 건물 디자인 등을 마인드맵에 근거하여 창의적으로 디자인하였다.
중
코하우징 마을 설립을 위해 필요한 사항을 정리한 마인드맵에 근거하여 마을 디자인을 하였으나 생활방 식에 맞게 창의적으로 디자인하지 못했다.
하
코하우징 마을 설립을 위해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정리하지 못하였으며 건물 디자인, 마을 배치 등을 형식적으로 디자인하였다.
Table 6.
Performance Task 3 ‘Design a My House in a Cohousing Village’ Rubric
평가요소
평가내용
평가척도
채점 기준
코하우징주거공간 구성의 적합성
공동생활과 조화를 이루도록 개별 주거공간의 생활방식을 작성하였는가?
상
공동생활과 조화를 이루는 개별 주거공간의 차이를 이해하고 개별 주거공간의 생활내용에 따라 생활방식을 현실적이고 구체적으로 작성하였다.
중
공동생활과 조화를 이루는 개별 주거공간의 차이를 이해하였으나 생활내용에 따라 개별 주거공간을 분류하지 못하고 생활방식을 구체적으로 표현하지 못했다.
하
공동생활과 조화를 이루는 개별 주거공간의 차이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고, 생활내용에 따라 개별 주 거공간의 생활방식을 구체적으로 표현하지 못했다.
개별 주거공간 디자인의 효율성
주거공간의 동선을 고려하여 효율적으로 공간과 가구배치 를 하였는가?
상
개별 주거공간 디자인에서 가족의 생활방식과 주거공간의 동선을 고려하여 효율적으로 공간과 가구를 배치하였다.
중
개별 주거공간 디자인에서 가족의 생활방식과 주거공간의 동선을 고려했으나 일부 공간과 가구 배치 에서 동선의 혼란이 있음을 인지하지 못하였다.
하
개별 주거공간 디자인에서 전체적으로 가족의 생활방식과 주거공간의 동선을 고려하지 못하여 공간 을 비효율적으로 구성하였다.
개별 주거공간 평면도의 완성도
도출된 개별생활방식을 구체 적으로 반영하여 우리집 디자 인의 평면도를 완성하였는가?
상
개별 주거공간에서의 생활방식을 평면도에 반영하여 정확하고 구체적으로 표현하였다.
중
개별 주거공간에서의 생활방식 중 일부분을 평면도에 반영하였고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표현하였다.
하
개별 주거공간에서의 생활방식을 평면도에 반영하지 못하였거나 평면도를 완성하지 못했다.
Table 7.
Performance Task 4 ‘Build a House Mockup of Your Home’ Rubric
평가요소
평가내용
평가척도
채점 기준
주택모형의 현실성
공간 구분, 창, 문, 가구 등의 크기와 배치를 현실성 있게 제 작하였는가?
상
주택모형에서 공간 구분을 현실성 있게 나타내었고 창과 문의 크기 등 입체적인 부분을 현실적으로 적절하게 배치하여 제작하였다.
중
주택모형에서 일부 공간 구분과 창과 문의 입체적 배치를 적절하게 하지 못했다.
하
주택모형에서 공간 구분을 현실성 있게 하지 못하고 창과 문의 위치를 부적절하게 배치하였다.
주택모형의 정교함
우리 집 주택모형을 정교하고 견고하게 제작하였는가?
상
주택모형을 정교하면서 견고하게 제작하였다.
중
주택모형을 견고하게 제작하였으나 절단면 등 정교하지 못한 부분이 있다.
하
주택모형이 견고하지 못하고 절단면이 정교하지 못하다.
주택모형의 완성도
우리집 디자인에 맞춰서 주택 모형을 완성하였는가?
상
우리집 디자인의 평면도와 일치하면서 가구, 창, 문 등 주택모형을 입체적으로 표현하는 데 노련하다.
중
우리집 디자인의 평면도와 일치하게 주택모형을 제작하였지만 가구, 창, 문 등을 완성하지 못하였다.
하
우리집 디자인의 평면도와 다르게 주택모형을 제작하였고 가구, 창, 문 등을 완성하지 못하였다.
Table 8.
Results of Learning Experience Planning
학습 주제(차시)
학습활동
주거 가치관에 따른 주거의 의미와 기능 변화, 다양한 주거 형태 이해하기(1~2차시)
•집의 의미에 대해 의견 나누기 – H(동기유발)
•본질적인 질문과 수행과제 안내하기 - W(목표)
•코하우징 이해하기 – O(조직화)
•코하우징 마을 입주 희망자 모집 안내문 작성하기 – T(개별화)
•코하우징 마을 설립 추진위원회 구성하기 - E1(경험과 탐구)
•수행결과 패들렛에 업로드 및 성찰하기(자기평가, 교사 피드백) - R(반성), E2(평가)
코하우징의 생활방식과 디자인 탐색하기(3~5차시)
•코하우징의 생활방식 이야기하기 – H(동기유발)
•수행과제 안내하기 - W(목표)
•코하우징 마을 설립 시 희망 사항 정리하기 – T(개별화)
•코하우징 마을 공동생활방식, 공동생활 시설 협의하기 - E1(경험과 탐구)
•코하우징 마을 설립 마인드맵 그리기 - O(조직화)
•코하우징 마을 디자인하기 - E1(경험과 탐구)
•코하우징 마을 시설 평면도 그리기 E1(경험과 탐구),
•수행결과 패들렛에 업로드 및 성찰하기(자기평가, 동료평가, 교사 피드백) - R(반성), E2(평가)
코하우징에서 효율적인 개별 주거공간 구성 방안 탐색 하기(6~7차시)
•공동체 주택에서 개별 주거공간에 대한 동영상 시청하기 – H(동기유발)
•본질적인 질문하기 – W(목표)
•코하우징 마을에서 개인 생활방식 알아보기 - E1(경험과 탐구)
•효율적인 주거공간 계획 이해하기 – O(조직화)
•개별 주거공간 구성하기 - T(개별화)
•우리집 디자인하기 - E1(경험과 탐구), T(개별화)
•수행결과 패들렛에 업로드 및 성찰하기(자기평가, 교사 피드백) - R(반성), E2(평가)
코하우징의 개별 주택모형 제작하기 (8~10차시)
•평면도의 입체적 표현방안 이야기하기 – H(동기유발)
•실습 방법과 평가 기준 안내하기 – W(목표)
•안전한 공구 사용 방법 익히기 – O(조직화)
•우리 집 모형 만들기 - E1(경험과 탐구), T(개별화)
•수행결과 패들렛에 업로드 및 성찰하기(자기평가, 교사 피드백) - R(반성), E2(평가)
Table 9.
Self-assessment Results after Completing Performance Task 1 (N (%))
내용
상
중
하
합계
나만의 코하우징 마을 설립계획서를 독창적이고 구체적으로 작성하였다.
146 (60.83)
88 (36.67)
6 (2.50)
240 (100.00)
코하우징 마을 설립계획서의 내용을 빠짐없이 패들렛에 발표하였다.
155 (64.58)
71 (29.58)
14 (5.83)
240 (100.00)
Table 10.
Example of Feedback for Performance Task 1
구분
피드백 내용
구두 피드백
코하우징 마을 입주자 모집 안내문 작성에서 설립목표에 막연해하는 학생에게 양성평등 실천, 공동육아, 친환경 생활 실천, 외롭지 않은 노년생활 등의 다양한 코하우징 마을의 사례를 제시함
코하우징 모집 대상을 사회초년생으로 설정한 학생에게 사회초년생을 대학 졸업 후 몇 년까지로 볼 것인지 고민해서 구체적으로 작성할 것을 조언함
코하우징 마을 입주희망자 모집 방식으로 모둠원을 구성할 때 친한 친구와 모둠을 구성하고자 하는 학생에게 각자 작성한 설립계획서의 설립목표가 비슷한 친구를 우선 찾아볼 것을 조언함
온라인 피드백
계획서에 이웃과 더불어 사는 공동체의 생활방식이 구체적으로 담겨 있네요.
계획서 내용이 독창적이고, 마을 설립의 취지가 뚜렷하네요.
코하우징 마을 설립 계획을 독창적으로 작성했어요. 실제 모집 안내문이 되기 위해서 좀 더 구체화하면 좋겠네요. 코하우징에 대한 자료를 좀 더 찾아 보고 자신의 코하우징 설립 목표를 정확히 정하면 구체적으로 작성할 수 있을 거예요.
코하우징의 필요성에 대한 조사가 필요해 보입니다. 수업 내용 외에 자료를 더 찾아보기 바라요. 참고할 동영상 링크를 제공하니 참고하면 좋겠네요.
코하우징 마을 설립목표와 계획이 구체적이네요. 본인만의 독창적인 아이디어가 더해지면 훌륭할 것 같아요.
Table 11.
Self-assessment Results after Completing Performance Task 2 (N (%))
내용
상
중
하
합계
코하우징 마을 설립에 필요한 시설 및 생활규칙을 구체적으로 작성하였다.
144 (59.75)
90 (37.34)
7 (2.90)
241 (100.00)
주민 회의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협의를 이끌어내기 위해 노력하였다.
147 (61.00)
86 (35.68)
8 (3.32)
241 (100.00)
코하우징 마을 설립에 필요한 사항들을 정리하는 마인드맵 작성에 적극적으로 의견을 말하였다.
142 (58.92)
87 (36.10)
12 (4.98)
241 (100.00)
마인드맵에서 정리된 내용을 코하우징 마을 디자인에 모두 반영하였다.
141 (58.51)
92 (38.17)
8 (3.32)
241 (100.00)
코하우징 마을 디자인에 내가 맡은 부분을 성실하게 작성하였다.
170 (70.54)
64 (26.56)
7 (2.90)
241 (100.00)
Table 12.
Example of Feedback for Performance Task 2
구분
피드백 내용
구두 피드백
•지켜야 할 생활 규칙에 ‘프라이버시 존중’이라고 적은 학생에게 이웃과 더불어 사는 코하우징의 생활방식에서의 개인 사생활은 일반 주거에서의 개인 사생활과 범위가 다름을 인식하고 구체적으로 설정할 것을 조언함
•4개 개별주택으로 구성된 코하우징 마을에 수영장을 설치할 것을 희망하는 학생에게 수영장 건축비용에 대해 경제적인 관점에서 검토할 것을 조언함
•공동식사를 위한 식당을 건설할 경우 식당관리, 식사준비 등을 어떻게 할 것인지 등 지켜야 할 생활규칙에 생각해 볼 것을 조언함
•주민 협의사항에 쓰레기 분리수거장을 공동생활 공간에 설치하기로 한 모둠에게 마인드맵에는 공동생활 공간 중 어느 곳에 배치할지, 관리는 어떻게 할 것인지 확장하여 생각해 볼 것을 조언함
온라인 피드백
•코하우징 마을 설립을 위한 주민 회의 결과에 입주민들의 희망 사항이 잘 반영되어 있네요.
•마인드맵에 코하우징에 필요한 사항을 빠짐없이 기록하여 표현하였어요.
•코하우징 마을 설립을 위한 주민회의 희망 사항이 모집 안내문의 설립목표 및 범위에서 벗어나는 내용이 있네요. 범위 내에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추가하고 싶다면 주민 회의에서 설득하여 목표를 변경하도록 해야 해요.
•마인드맵에 주민회의 내용이 구체적으로 표현되지 못했어요. 코하우징 마을 디자인을 위해서는 먼저 해결되어야 하니 입주민과 다시 논의하기 바라요.
•쇼핑몰이 공동생활 시설로 적합한지 고민이 필요해요. 주변 시설일 경우 코하우징 마을 디자인에서는 삭제하거나 공동생활 시설이 되기 위해서는 입주민이 직접 운영할 것인지, 외부 임대사업인지 구체적으로 결정하는 것이 좋겠어요.
•코하우징 마을 전경 디자인에 입주민회의 결과와 마인드맵에 기록되어 있는 공동생활 시설이 누락 되었네요. 입주민 회의를 다시 하여 회의 결과에서 삭제하거나 코하우징 마을 디자인에 추가하는 것이 좋겠어요.
Table 13.
Self-assessment Results after Completing Performance Task 3 (N (%))
내용
상
중
하
합계
공동생활 시설, 외부 공동생활 공간과 공동생활 규칙을 고려하여 개별주택의 공간별 생활방식을 구체적으로 작성하였다.
152 (63.33)
83 (34.58)
5 (2.08)
240 (100.00)
코하우징 마을의 시설과 생활규칙, 바뀐 생활 방식을 빠짐없이 반영하여 우리 집을 디자인하였다.
142 (59.17)
89 (37.08)
9 (3.75)
240 (100.00)
Table 14.
Example of Feedback for Performance Task 3
구분
피드백 내용
구두 피드백
•공동생활 시설을 고려했을 때 개별 주거공간에 게스트룸이나 바비큐 시설이 꼭 필요한 공간인지 고민해 볼 것을 조언함
•개별 주거공간에 개인운동공간(home gym)을 설치하는 것도 좋지만 공동생활시설의 피트니스센터를 사용할 때 적합한 생활방식인지 고민해 볼 것을 조언함
•방과 거실의 크기를 갖게 설정한 학생에게 효율적인 공간구성을 위해 거실, 방, 주방의 크기와 배치를 고민해 볼 것을 조언함
•창, 문의 위치가 빠진 학생에게 창, 문의 적절한 위치를 찾아서 그릴 것을 조언함
•현재 자신이 살고 있는 주거공간의 구성과 비교해서 코하우징 마을의 개별 주거공간에서 더해지거나 빠지는 공간, 커지거나 작아지는 공간을 고민해 볼 것을 조언함
온라인 피드백
•개별 주거공간에서의 생활방식을 반영하여 평면도를 구체적이고 정확하게 표현했네요.
•공동생활 시설을 고려해서 주거공간을 효율적으로 잘 구성했어요.
•공동생활 시설에 수영장이 있으니 우리 집에 수영장을 설치하기보다는 공동시설을 이용하는 것은 어떨까요? 고민해 보길 바라요.
•바비큐 시설이 공동시설에 있으니 공동시설을 사용하면서 이웃과 함께 식사한다면 ‘이웃과 더불어 사는 주거 생활’에 한층 가까워질 거예요. 바비큐 시설을 개별 주거공간에 만들지 않고 공동시설을 이용하는 것을 고민해 보세요.
•지난번에 있던 게스트룸을 없애니 공간이 훨씬 넓어졌네요. 잘했어요.
•우리 집 평면도를 규격에 맞춰 잘 작성했어요. 창, 문의 위치와 가구의 배치, 동선을 함께 고민하면 훨씬 좋은 공간 구성이 될 수 있어요.
•문의 크기와 가구의 크기를 고려했을 때 공간의 크기가 적절하게 구성되었는지 확인해 보면 좋겠어요.
•주거공간의 구성과 평면도 작성이 모두 훌륭해요. 다만 마을에서 집의 위치와 도로의 위치를 봤을 때 집의 방향을 확인해서 수정해 보세요.
•창이 빠져 있네요. 집의 방향과 채광, 환기를 고려해서 창의 적절한 위치를 선정하여 그리도록 해요.
Table 15.
Self-assessment Results after Completing Performance Task 4 (N (%))
내용
상
중
하
합계
주택모형의 공간 구분을 현실성 있게 나타내었다.
162 (67.50)
67 (27.92)
11 (4.58)
240 (100.00)
주택모형에서 창과 문의 위치와 크기를 적절하게 배치하여 제작하였다.
153 (63.75)
79 (32.92)
8 (3.33)
240 (100.00)
주택모형을 정교하면서 견고하게 제작하였다.
139 (57.92)
93 (38.75)
8 (3.33)
240 (100.00)
주택모형을 창의성을 발휘하여 제작하였다.
144 (60.00)
89 (37.08)
7 (2.92)
240 (100.00)
Table 16.
Example of Feedback for Performance Task 4
구분
피드백 내용
구두 피드백
•칼을 사용할 때 손을 다치지 않게 주의하고 밑에 고무판을 받치지 않은 학생에게 고무판을 받칠 것을 안내함
•평면도와 다르게 제작하는 학생에게 평면도에 맞게 만들 것을 안내하였으며 수정이 필요하면 평면도를 수정한 후 만들 것을 조언함
•창문을 만들지 않은 학생에게 창문을 먼저 만들 것을 조언함
•글루건에 손을 데지 않게 주의하도록 하고 글루가 너무 많이 묻은 경우 굳은 후 칼로 제거하도록 조언함
•식탁의 높이가 벽의 높이와 거의 비슷한 학생에게 벽의 높이와 비례해서 가구의 높이를 조정할 것을 조언함
온라인 피드백
• 평면도에 표시된 창과 문의 위치가 주택모형에서는 달라졌네요. 평면도에 맞춰 정확히 모형을 제작하는 것이 필요해요. 만약 모형을 만들다가 평면도가 잘못된 것을 깨달았다면 평면도를 수정해 보도록 해요.
•평면도에서는 창문과 문의 높이가 표시되지 않아서 모형 만들기에서 창문과 문의 높이가 제각각이네요. 동선을 고려해서 조정해 보세요.
•주택모형과 함께 가구까지 꼼꼼하게 잘 제작했어요.
•본드 찌꺼기가 많이 묻어있네요. 다음 시간에는 찌꺼기를 제거해서 좀 더 보기좋게 다듬어 보세요.
•평면도에 맞춰 모형을 잘 만들었네요. 가구 모형도 구체적이고 완성도 있게 제작했어요.
Table 17.
What You Learned from the Cohousing Village Establishment Project
구분
내용
N (%)
코하우징
코하우징의 의미와 설립과정 이해
코하우징의 의미와 장점에 대해 알게 되었다.
17 (13.50)
37 (29.37)
58 (46.03)
코하우징 마을을 설립하는 과정을 배웠다.
10 (7.94)
코하우징 마을을 설립할 때 고려해야 할 요인과 주민협의를 통해 해결할 수 있음을 배웠다.
4 (3.17)
코하우징 마을에서 이웃과 함께 살기 위해서는 서로 교류하고 도와가면서 살아야 한다.
4 (3.17)
코하우징 마을 설립 프로젝트를 하면서 코하우징 마을에 관심이 생겼고 살아보는 것도 괜찮다고 생각했다.
2 (1.59)
마을 설립 과정의 어려움 및 중요성
코하우징 마을을 설립하는 과정이 생각보다 어렵다.
13 (10.32)
16 (12.70)
코하우징 마을을 한번 설립하면 바꾸기 어렵기 때문에 처음부터 잘 지어야 한다는 것을 알았다.
3 (2.38)
코하우징 마을 디자인 하기
마을을 설계하는 법을 알게 되었다.
4 (3.17)
5 (3.96)
개인공간과 공동공간을 구분하여 디자인할 수 있게 되었다.
1 (0.79)
주거공간 계획
효율적인 주거 공간 활용 방법
주택의 기본적인 구조에 대해서 알게 되었다.
6 (4.77)
11 (8.74)
27 (21.44)
주거공간을 구성할 때 고려해야 할 요인과 동선을 고려해서 배치하는 방법을 알게 되었다.
5 (3.97)
주거공간 계획의 어려움 및 중요성
주거공간과 가구를 배치할 때 고려해야 할 요인이 많아 어렵다.
5 (3.97)
10 (7.94)
주거공간을 효율적으로 구성하는 것이 생활하는 데 중요하다.
5 (3.97)
주거공간 평면도 그리기
도면을 그리는 방법을 알게 되었다.
3 (2.38)
6 (4.76)
평면도에 가구를 배치하고 창문의 위치를 잡을 수 있게 되었다.
2 (1.59)
평면도 그릴 때 문의 방향과 크기를 어떻게 그리는지 알게 되었다.
1 (0.79)
협업의 중요성
서로 도우면서 협동하면 재미있고 결과도 좋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15 (11.90)
22 (17.46)
22 (17.46)
모둠활동을 하면서 소통하려면 친구의 관심이 무엇인지 알고 말에 귀 기울여야 함을 알게 되었다.
5 (3.97)
모둠활동을 하면서 배려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2 (1.59)
주택모형 만들기
칼, 글루건, 우드락 사용법을 알게 되었다.
5 (3.97)
10 (7.93)
10 (7.93)
주택모형을 더 견고하고 세밀하게 만들 수 있을 것 같다.
4 (3.17)
만들기가 재미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1 (0.79)
주거 형태 이해
다양한 주거 형태가 있는 것을 알게 되었고 내가 바라는 집의 형태에 대해 생각해 보는 계기가 되었다.
3 (2.38)
3 (2.38)
3 (2.38)
기타
프로젝트 수업
이런 방식의 수업이 이해도 빠르고 다양한 방법으로 생각하게 한다.
3 (2.38)
6 (4.76)
패들렛 활용 성찰
친구들의 패들렛을 보고 다르게 생각해 봄으로써 무엇이 잘못되었는지 알고 개선할 수 있었다.
2 (1.59)
진로
건설 분야 진로를 선택할 때 신중해야 한다.
1 (0.79)
합계
126 (100.00)
Table 18.
What You Think You Did Well after Completing a Performance Task
구분
내용
N (%)
코하 우징 마을 디자인
주민회의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아이디어와 의견을 제시하였다.
28 (17.29)
69 (42.59)
꼼꼼하게 디테일을 살려 독창적으로 마을을 디자인했다.
15 (9.26)
공동생활 시설의 설계를 잘했다.
13 (8.02)
코하우징 마을 설립 추진위원장으로 주민회의를 이끌었다.
11 (6.79)
마을에서 지켜야 할 규칙들을 마인드맵으로 잘 정하였다.
2 (1.23)
주택모형 만들기
주택모형을 깔끔하고 정확하게 만들었다.
23 (14.21)
33 (20.38)
주택모형 안에 가구를 잘 만들었다.
6 (3.70)
제시간 안에 완성도 있게 만들었다.
3 (1.85)
창문의 위치와 크기를 잘 정하여 만들었다.
1 (0.62)
개별 주거공간 디자인
공간과 가구배치를 현실적으로 잘 하였다.
16 (9.88)
32 (19.75)
평면도를 정확하고 현실적으로 잘 만들었다.
7 (4.32)
코하우징 마을과 어울리게 집을 설계하였다.
7 (4.32)
나만의 집을 독창적으로 디자인하였다.
2 (1.23)
설립 계획
설립계획을 꼼꼼하게 세웠다.
6 (3.70)
6 (3.70)
기타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열심히 했다.
13 (8.03)
22 (13.58)
구체적이고 창의적으로 아이디어를 냈고 설계도에 잘 반영했다.
5 (3.09)
뒷정리를 잘하였다.
2 (1.23)
활동지 작성을 성실하게 하였다.
2 (1.23)
합계
162 (100.00)
Table 19.
Reflection and Improvements after Performance Task
구분
내용
N (%)
주택모형 만들기
꼼꼼히 만들었으면 더 이쁘게 되었을 것 같다.
20 (16.81)
59 (49.59)
창과 문의 크기가 집의 크기와 비례가 맞지 않는다. 창과 문을 제대로 만들 것이다.
16 (13.45)
글루건, 칼을 안전하고 능숙하게 다루기 위해 연습할 것이다.
8 (6.73)
시간이 부족해서 다 만들지 못했다. 좀 더 집중해서 만들 것이다.
6 (5.04)
평면도를 모두 반영해서 만들지 못했다.
5 (4.20)
견고하지 못한 점이 아쉽다.
4 (3.36)
코하우징 마을 디자인
마인드맵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필요사항들을 도출할 것이다.
5 (4.20)
18 (15.13)
마을 전경을 그릴 때 자세히 그리지 못했다.
5 (4.20)
모둠 회의에서 갈등도 있고 해서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았는데, 적극적으로 참여하겠다.
4 (3.36)
공간배치를 잘못해서 공간 활용이 안되는 것 같아 공간 활용을 더 신경 써서 하겠다.
3 (2.53)
현실적으로 가능한 공동생활 시설을 정하고 싶다.
1 (0.84)
개별 주거공간디자인
공간들의 크기 비례를 잘 못 그려서 현실적이지 못했다.
6 (5.04)
16 (13.44)
집 설계를 꼼꼼하게 하지 못했다.
4 (3.36)
평면도에 창문과 가구 배치를 못했다.
4 (3.36)
주택에서의 생활방식을 구체적으로 도출하지 못했다.
2 (1.68)
설립 계획
설립계획서를 구체적으로 작성해야 다음 수행과제도 잘 할 수 있을 것 같다. 다음에는 설립계 획서를 구체적으로 작성하겠다.
5 (4.20)
5 (4.20)
기타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은 것을 반성한다.
10 (8.40)
21 (17.65)
좀 떠들었던 것 같다. 떠들지 않겠다.
4 (3.36)
시간이 부족하다. 시간이 더 많았으면 좋겠다.
3 (2.53)
학습지를 잃어버려서 전에 내용을 다시 그려야 했다. 조심해야겠다.
2 (1.68)
창의성이 부족했다.
1 (0.84)
수행과제를 하니까 너무 시끄러웠다. 개선되었으면 한다.
1 (0.84)
합계
119 (100.00)
Table 20.
What You Felt While the Portfolio Assessment
구분
내용
N(%)
수업에 대한 흥미
주택 설계부터 모형 만들기까지 해보니 내 집을 짓는 것 같아 재미있었다.
18 (27.69)
22 (33.84)
수행과제 프로젝트가 일반 수업보다 재미있었다.
4 (6.15)
수행과제 활동
친구들과 의견을 나누고 협업하는 과정이 너무 좋았다.
11 (16.94)
20 (30.78)
마을과 집을 디자인하는 게 어렵다는 걸 느꼈다.
5 (7.69)
구조를 설계하는 과정에 대해 알게 되었다.
3 (4.61)
마을을 만들어 가는 과정이 재미있었다.
1 (1.54)
코하우징에 대한 관심
코하우징 마을 설립과정이 얼마나 어렵고 얼마나 중요한지 느꼈다.
5 (7.69)
11 (16.92)
같은 목표를 가진 사람끼리 협력하여 살아가는 것에 흥미가 느껴져 나중에 그런 곳에서 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4 (6.15)
코하우징에 대해 더 잘 알 수 있었고 다양한 주택의 형태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2 (3.08)
성취감
설계부터 완성까지 직접 다 하다 보니까 어려웠지만 완성되었을 때 굉장히 뿌듯했고 성취감이 있었다.
5 (7.69)
5 (7.69)
과제수행의 어려움
만드는 것이 은근히 힘들었고 시간이 많이 들었다.
3 (4.61)
5 (7.69)
시설 하나하나 생각해서 공간에 맞춰 방을 설계하는 것은 좀 힘들다고 생각했다.
2 (3.08)
기타
대학교 전공수업을 듣는 것 같아 기분 좋았다.
1 (1.54)
2 (3.08)
또 한다면 더 잘 만들고 싶다.
1 (1.54)
합계
65 (100.00)
Table 21.
Class Satisfaction (N =204)
문항
N (%)
M (SD)
매우 그렇다
그렇다
보통이다
그렇지 않다
매우 그렇지 않다
코하우징 프로젝트 수업을 통해 내가 성장하였다.
43 (21.08)
82 (40.20)
71 (34.80)
4 (1.96)
4 (1.96)
3.76 (0.87)
패들렛에 프로젝트 과정을 올리면서 수업 과정에서 자신의 행동을 돌이켜 보았다.
45 (22.06)
79 (38.73)
68 (33.33)
7 (3.43)
5 (2.45)
3.74 (0.92)
코하우징 프로젝트 수업에 대해 전반적으로 만족한다.
51 (25.00)
75 (36.76)
66 (32.35)
7 (3.43)
5 (2.45)
3.78 (0.94)
References
Bae, H. S. (1997). An explolative review of quality control on portfolio evaluation. Journal of Educational Evaluation, 10(1), 75-104.
Baek, S. G., & Yoon, S. H. (2011). The effect of video portfolio assessment and feedback methods on teacher’s practical teaching competence. Journal of Educational Evaluation, 24(4), 849-871.
Byun, J. H. (2013). A case study on general English writing class using portfolio keeping and peer feedback. English21, 26(1), 203-232.
Cho, J. H., & Choi, J. S. (2009). A case on residens’ participation workshop for cohousing plan.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7(6), 155-169.
Cho, J. S. (2017). Differences in motivation to move in, participation in common activities, and life satisfaction of Swedish +40 cohousing residents according to intention to move.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35(4), 43-56. https://doi.org/10.7466/JKHMA.2017.35.4.43
Cho, J. W., & Cho, J. S. (2020).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PBL teaching/learning process plan of ‘housing culture and practical space use’ for home economics in middle school.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32(2), 59-76.
Cho, W. J., Choi, I. S., & Kim, E. Y. (2011). Developing rubrics for assessment for a teaching portfolio in kindergarten.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15(6), 213-235.
Cho, Y. G. (2009). A study on a tentative plan of the teaching portfolio development model and rubric for qualitative improvement of instruction in instructors.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26(2), 47-73.
Cho, Y. H., Park, H. J., Kim, J. Y., Suk, Y. M., & Lee, S. H. (2015). Exploring roles of feedback to facilitate online discussion. Asian Journal of Education, 16(2), 289-313.
Choi, M. S., Lee, A. H., & Jung, M. A. (2020). Interaction Teaching Method Using Edutech. Seoul: Hakjisa.
Columba, L., & Dolgos, K. A. (1995). Portfolio assessment in mathematics. Reading Improvement, 32(3), 174-176.
Han, J. Y. (2006). The influence of student-generated rubrics on reliability of grade result in technology education assessment.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25(3), 87-110.
Jeon, Y. J., & Lee, J. H. (2019). A practice of process-focused assessment for mathematical subject competency in elementary mathematics classroom.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22(3), 199-219.
Ju, S. E., & Yang, J. S. (2021).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online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for home economics curriculum and instructions using flipped learning.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 Instruction, 25(1), 1-14. https://doi.org/10.24231/rici.2021.25.1.1
Jung, H. J. (2016). A study on mathematics process-based assessment: Focused on the application case of the second grade of elementary mathematics. Studies in Mathematical Education, 2016(3), 40-46.
Jung, W. J., & Kim, Y. J. (2022). A comparative study on student achievement of paper-assessment and process-focused assessment in middle school science class. Biology Education, 50(2), 265-275. https://doi.org/10.15717/bioedu.2022.50.2.265
Kang, E. Y., & Park, M. J. (2020).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 process-based evaluation program on school space design: focusing on the housing life area of home economics curriculum in middle school.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32(4), 81-101. https://doi.org/10.19031/jkheea.2020.12.32.4.81
Kim, C. J. (2012). Portfolio instruction and portfolio assessment : focused on science education. Paju: Kyoyookbook.
Kim, C. J., & Choi, M. A. (2002). Developing scoring rubric and the reliability of elementary science portfolio assessment.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2(1), 176-189.
Kim, C. J., & Yoon, S. A. (2002). Contents validity of and information from elementary students’ science portfolio assessment.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2(1), 190-203.
Kim, J. I., & Chae, J. H. (2009). Effect of instruction for the learner-involved development of analytical rubrics on the learning motiv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focusing on the unit of ‘housing’.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1(1), 35-49.
Kim, J. S., & Yi, S. B. (2016).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process plan and performance assessment instrument for ‘understanding of adolescents’ unit at the subject ‘technology - home economics’ in middle school. The Journal of Practical Arts Education Research, 22(1), 241-260.
Kim, M. H., & Cho, J. S. (2011).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cohousing teaching·learning plan.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3(2), 55-69.
Kim, S. H. (2018). Development of clothing life education to cultivate subject competencies based on 2015 revised technology & home economics curriculum : focusing on integration of the curriculum-class-evaluation.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30(1), 115-128. https://doi.org/10.19031/jkheea.2018.03.30.1.115
Kim, S. N. (2020). The concept analysis and application proposal of process based assessment.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26(5), 317-334.
Kim, S. S. (2017). Understanding and applying process-based assessment. KICE Educational Plaza, 64, 12-15.
Ko, E. M., Heo, Y. S., & Chae, J. H. (2021). Development of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plan for process-based assessment in home economics of middle school: Focusing on the life design unit.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33(1), 101-127.
Ko, H. G. (2020).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process-fortified assessment in art subject based on 2015 revised national art curriculum. Journal of Art Education, 60, 79-106.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2018).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chool-level student assessment system by process-based assessment(2018 KICE issue paper: ORM 2018-39-7). Jincheon : Author.
Kwak, Y. S., & Ha, J. H. (2020). Analysis of application status of process-centered assessment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class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40(5), 463-471.
Kwon, E. M., & Kang, M. K. (2019). A study on process-based assessment using google classroom. English Language & Literature Teaching, 25(4), 61-78. https://doi.org/10.35828/etak.2019.25.4.61
Lee, G. S., Yoo, T. M., & Yang, J. S. (2018). Development of process-centered performance task for curriculum·Instruction·assessme nt alignment based on 2015 revised home economics curriculum.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0(4), 165-185. https://doi.org/10.19031/jkheea.2018.12.30.4.165
Lee, H. J., & Cho, B. E. (2014). The effect of using portfolio-based lessons on the development of self-identity of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and itstwo-year follow up – Focusing on the ‘understanding adolescents’ unit in middle school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6(1), 119-134.
Lee, H. J., & Lee, H. J. (2007). Development of portfolio material and analysis of instruction effect.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9(1), 15-33.
Lee, H. S., & Seo, E. H. (2021). Developing the evaluation method and teaching portfolio criteria for the innovational instruction in university.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1(3), 353-372.
Lee, M. J., & Cho, J. S. (2012).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teaching-learning plan for ‘residence and living environment’ of home economics applied with portfolio assessment.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4(3), 225-239.
Lee, M. Y. (2019). A case study of process-based evaluation and capacity enhancement on moral education, Paper presented at the 2019 winter conference of the Korea Society for Moral & Ethics Education Association. Seoul, Korea.
Lee, S. J., & Kim, J. S. (2003). Development of portfolio assessment instrument of electrical·electronic unit in the elementary practical arts subject.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9(2), 91-105.
McCamant, K., & Durrett, C. (1994). Cohousing, a contemporary approach to housing ourselves. Baltimore: Ten speed press.
Ministry of Education. (2015). General guidelines of 2015 Revised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notice 2015-74. Sejong: Autho.
Ministry of Education. (2021a). Feedback competency enhancement program for Process-based assessment teacher. Seoul: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 Creativity.
Ministry of Education. (2021b). General guidelines of 2022 revised curriculum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Ministry of Education Notice 2022-33. Sejong: Author.
Na, J. M., & Cho, J. S. (2016).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plan of senior cohousing for independent later life.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8(3), 1-16. https://doi.org/10.19031/jkheea.2016.09.28.3.1
Oh, J. G. (2021). Experience in the operation of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 process fortified assessment. Educational Research, 80, 353-368. https://doi.org/10.17253/swueri.2021.80..017
Park, H. M., & Paik, S. H. (2000). A study of portfolio assessment regarding feedback fitted into elementary school science classes. Chungram Science Education Research, 10(1), 214-227.
Park, H. M., & Paik, S. H. (2001). The effects of lessons adopting portfolio assessment regarding feedback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ientific knowledge, inquiry ability, and their percep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1(1), 22-29.
Park, H. S., & Ha, M. K. (2013).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the preferences for the type of cohousing-Focus on the classification by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Journal of Korean Design Knowledge, 27, 33-42.
Shin, H. J. (2021). Discussion on teacher-specific/process-oriented moral education evaluation for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Journal of Moral & Ethics Education, 73, 81-106. https://doi.org/10.18338/kojmee.2021..73.81
Wiggins, G. (1998). Educative assessment: Designing assessments to inform and improve students performance. San Francisco, CA: Jossey-Bass.
Wiggins, G., & McTighe, J. (2005). Understanding by design. Alexandria, V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Yang, J. S., & Lee, G. S. (2020). Strengthening the instruction-assessment alignment: development of items for essay-type assessment based on the achievement standards.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32(3), 135-159. https://doi.org/10.19031/jkheea.2020.09.32.3.135
Yoo, Y. S. (2017). Process-oriented assessment. Seoul: Tekville.